KR101371962B1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962B1
KR101371962B1 KR1020120140376A KR20120140376A KR101371962B1 KR 101371962 B1 KR101371962 B1 KR 101371962B1 KR 1020120140376 A KR1020120140376 A KR 1020120140376A KR 20120140376 A KR20120140376 A KR 20120140376A KR 101371962 B1 KR101371962 B1 KR 10137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iculty
waveform
smart device
training
upper li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우
이재근
문전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4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향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유도하는 훈련 파형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재활 운동 장치에서 가지지 못하는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높은 집중력을 가지고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upper extremities rehabilitation using smar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지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지 재활 장치는 상지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 장치이다. 종래의 상지 재활 장치는 손으로 페달을 잡고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는 훈련을 하거나 손으로 회전체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는 훈련을 하는 상지 재활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지 재활 장치는 사용자가 쉽사리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지속적인 훈련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상지 재활 장치는 다양한 운동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센서,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 복잡한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여러 가지 재활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반면에 고가의 장치가 될 수밖에 없는 단점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등록특허 제10-055446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향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유도하는 훈련 파형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훈련 파형은 시간 축에 대해 사인파 형상을 가지고,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단계는, 동일한 임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훈련 파형에 대한 제1 적분 값과 상기 조작 파형에 대한 제2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적분 값에 대한 제2 적분 값의 오차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한 오차가 제1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현재의 난이도보다 높은 제2 난이도로 조절하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상기 제1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2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로 유지하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상기 제2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3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보다 낮은 난이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지 재활 방법은 상기 난이도의 수행 결과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난이도 수행 이력과 최근 난이도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최근 난이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파형을 상기 훈련 파형에 겹친 형태로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조향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조향 수단과 유무선 연결되며, 상기 상지 재활 방법은, 상기 조향 수단의 강도에 해당하는 스프링 효과 강도 및 댐퍼 효과 강도를 설정받는 단계, 및 상기 설정받은 강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조향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향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유도하는 훈련 파형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훈련파형 제공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조작파형 생성부와,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파형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난이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조향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조향 수단과 유무선 연결되며, 상기 상지 재활 장치는, 상기 조향 수단의 강도에 해당하는 스프링 효과 강도 및 댐퍼 효과 강도를 설정받는 강도 설정부, 및 상기 설정받은 강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조향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재활 운동 장치에서 가지지 못하는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높은 집중력을 가지고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상지 재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10 내지 S330 단계를 설명하는 화면 예이다.
도 5는 도 3의 S330 단계의 상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지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지 재활 장치 및 방법으로서 전문의의 판단에 의해 환자가 상지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 재활기구를 사용함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기존 재활 치료 장비보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훈련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지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의 개념도이다. 스마트 기기(10)는 조향 수단(20)의 가운데 부분에 도킹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면, 조향 수단(20)에 결합된 별도의 거치대(미도시) 안에 스마트 기기(10)가 장착된다. 여기서, 조향 수단(20)의 회전 시에 스마트 기기(10)가 추락하지 않도록 거치대와 스마트 기기(10)의 측면 간이 단단히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이 거치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조향 수단(20)과 스마트 기기(10) 간의 도킹은 자력에 의한 고정 방식, 접착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는 일반적인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에 해당된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10)에는 자이로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회전 각도의 수집이 가능하며 조향 수단(20)의 회전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0) 상에 상지 재활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상지 재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100)는 훈련파형 제공부(110), 조작파형 생성부(120), 파형 비교부(130), 난이도 조절부(140), 강도 설정부(150), 제어신호 전송부(160), DB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지 재활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10)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 가능하다.
먼저, 훈련파형 제공부(11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향 수단(20)의 회전 조작을 유도하는 훈련 파형을 화면상에 제공한다(S310). 이후 조작파형 생성부(12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한다(S320).
파형 비교부(130)는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한다(S330). 그러면, 난이도 조절부(14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한다(S340).
도 4는 도 3의 S310 내지 S340 단계를 설명하는 화면 예이다. 도 4의 (a)에는 상기 훈련 파형(A)의 궤적을 따라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여 생성된 조작 파형(B)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영점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해 각각 좌회전 및 우회전의 조작 각도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4의 (a)와 같이, 조작 파형의 생성 시에는 상기 조작 파형을 상기 훈련 파형에 겹친 형태로 화면상에 제공한다. 중앙의 기준선(B)는 사용자가 조향 수단(20)을 전혀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 나타나는 파형으로서 시간에 따라 직선형의 파형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파형은 시간에 따른 조향 수단(20)의 조작 각도 변화량에 대응하는 파형에 해당된다.
도 4의 (a)에서 조작 파형(B)의 주기는 훈련 파형(A)의 주기보다 긴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파형(B)이 훈련 파형(A)에 못 미치는 경우, 현재 제공된 훈련 파형(A)의 난이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이보다 낮은 난이도의 훈련 파형(A')을 도 4의 (b)와 같이 새롭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훈련 파형은 시간 축에 대해 사인파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사인파의 진폭 또는 주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훈련 파형이 시간에 따라 항상 일정한 진폭과 주기를 갖는 사인파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훈련 파형의 진폭 또는 주기가 시간에 따라 가변형으로 바뀌는 형태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형 파형은 별도의 파형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훈련 파형과 조작 파형의 비교 단계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S330 단계의 상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실선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훈련 파형에 해당되고, 점선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파형에 해당된다고 가정한다. 물론, 세로 축은 시간이고, 가로 축은 좌회전 및 우회전 방향의 조향각의 크기에 해당된다.
먼저, 두 파형의 비교를 위해서는, 동일한 임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훈련 파형에 대한 제1 적분 값과 상기 조작 파형에 대한 제2 적분 값을 연산한다. 도 5의 경우는 사인 파형의 절반 궤적인 0~t 구간에 대한 적분 값을 두 파형에 대해 연산한다. 도 5에서 훈련 파형은 실선, 조작 파형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적분 값의 연산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Figure 112012100971858-pat00001
수학식 1에서 f(x)는 시간에 따른 훈련 파형의 함수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제1 적분 값에 대한 제2 적분 값의 오차를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연산한다.
Figure 112012100971858-pat00002
여기서 a는 상기 훈련 파형에 대한 제1 적분 값, b는 상기 조작 파형에 대한 제2 적분 값에 해당한다.
이하의 표 1은 도 3의 S340 단계의 상세 실시예를 나타낸다.
오차 표시 설 정
0% ~ 10% Good 현재 난이도 수행 후
다음 단계의 난이도 수행
10% ~ 30% Complete 현재 난이도 훈련 진행
30% 이상 Bad 이전 단계의 난이도 수행
표 1과 같이 난이도 조절부(140)에서는 상기 연산한 오차가 제1 임계범위(ex, 0~10%)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현재의 난이도보다 높은 제2 난이도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연산한 오차가 제1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2 임계범위(ex, 10~30%)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제2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3 임계범위(ex, 30%~)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보다 낮은 난이도로 조절한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10)의 화면에 표 1과 같이 각 상황의 난이도 수행 결과(Good, Complete, Bad)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훈련 중에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훈련 파형과의 오차가 매우 작은 경우 현재 난이도를 수행하는데 문제 없음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의 난이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차가 그보다 크면 현재 난이도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오차가 매우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현재 난이도를 수행하는데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난이도보다 낮은 단계의 난이도로 변경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훈련 능력에 적합한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맞게 난이도의 단계적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향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훈련할 수 있어 사용자별 재활 훈련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조향 장치를 이용한 상지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따라 기존 재활 치료 장비보다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높은 집중력을 가지고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서와 같이, 상지 재활 장치(100)는 상기 난이도의 수행 결과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여 현재 사용자로 하여금 난이도의 수행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난이도 수행 이력과 최근 난이도 정보를 DB부(170)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시에 제공되는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최근 난이도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장 최근의 난이도에 이어서 재활 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10)는 조향 수단에 장착되어 조향 수단(20)과 유무선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핸들과 같은 조향 수단(20)에는 USB 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USB 포트를 통해 조향 수단(20)을 PC와 연결하면 조향 수단(20)에 대한 각종 설정(ex, 강도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조향 수단(20)의 USB 포트는 스마트 기기(10)의 포트와 케이블 등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물론, 조향 수단(20)은 스마트 기기(1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지 재활 장치(100)는 강도 설정부(150)를 통해 상기 조향 수단(20)의 강도(운동 부하)에 해당하는 스프링 효과 강도 및 댐퍼 효과 강도를 설정받는다. 여기서, 스프링 효과 강도는 핸들이 회전 조작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부분이고, 댐퍼 효과 강도는 핸들의 회전 조작시 들어가는 힘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스프링 효과 강도 및 댐퍼 효과 강도는 기 공지된 사항으로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제어신호 전송부(160)는 상기 설정받은 강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조향 수단(2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조향 수단(2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받은 강도에 대응하는 강도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강도 설정 및 제어 과정은 S310 단계 이전 또는 S340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10)를 통해 운동 부하의 조절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조향 수단(20)을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로서 조향 수단(20)의 가운데에 스마트 기기(10)를 도킹하여 운동 중에도 화면을 통해 진행 사항 및 결과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에 따른 여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환자의 초기 상태와 지속적인 운동에 따른 회복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 기기 20: 조향 수단
100: 상지 재활 장치 110: 훈련파형 제공부
120: 조작파형 생성부 130: 파형 비교부
140: 난이도 조절부 150: 강도 설정부
160: 제어신호 전송부 170: DB부

Claims (12)

  1.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향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유도하는 훈련 파형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훈련 파형은 시간 축에 대해 사인파 형상을 가지고,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단계는,
    동일한 임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훈련 파형에 대한 제1 적분 값과 상기 조작 파형에 대한 제2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적분 값에 대한 제2 적분 값의 오차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한 오차가 제1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현재의 난이도보다 높은 제2 난이도로 조절하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상기 제1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2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로 유지하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상기 제2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3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보다 낮은 난이도로 조절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의 수행 결과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난이도 수행 이력과 최근 난이도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최근 난이도로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파형을 상기 훈련 파형에 겹친 형태로 화면상에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조향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조향 수단과 유무선 연결되며,
    상기 상지 재활 방법은,
    상기 조향 수단의 강도에 해당하는 스프링 효과 강도 및 댐퍼 효과 강도를 설정받는 단계; 및
    상기 설정받은 강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조향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7. 조향 수단에 도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향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유도하는 훈련 파형을 화면상에 제공하는 훈련파형 제공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조작에 대응되는 조작 파형을 생성하는 조작파형 생성부;
    상기 훈련 파형과 상기 조작 파형을 비교하는 파형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난이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훈련 파형은 시간 축에 대해 사인파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파형 비교부는,
    동일한 임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훈련 파형에 대한 제1 적분 값과 상기 조작 파형에 대한 제2 적분 값을 연산한 다음, 상기 제1 적분 값에 대한 제2 적분 값의 오차를 연산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 조절부는,
    상기 연산한 오차가 제1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현재의 난이도보다 높은 제2 난이도로 조절하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상기 제1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2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로 유지하고,
    상기 연산한 오차가 상기 제2 임계범위보다 높은 제3 임계범위 이내이면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현재의 난이도보다 낮은 난이도로 조절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의 수행 결과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난이도 수행 이력과 최근 난이도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훈련 파형의 난이도를 상기 최근 난이도로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파형 생성부는,
    상기 조작 파형을 상기 훈련 파형에 겹친 형태로 화면상에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조향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조향 수단과 유무선 연결되며,
    상기 상지 재활 장치는,
    상기 조향 수단의 강도에 해당하는 스프링 효과 강도 및 댐퍼 효과 강도를 설정받는 강도 설정부; 및
    상기 설정받은 강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조향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장치.
KR1020120140376A 2012-12-05 2012-12-05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KR101371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76A KR101371962B1 (ko) 2012-12-05 2012-12-05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376A KR101371962B1 (ko) 2012-12-05 2012-12-05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962B1 true KR101371962B1 (ko) 2014-03-10

Family

ID=5064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376A KR101371962B1 (ko) 2012-12-05 2012-12-05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67B1 (ko) * 2015-02-16 2016-06-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편마비 환자용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280A (ja) 2005-03-14 2006-09-21 Osaka Univ 上肢リハビリ装置
KR20100072582A (ko) * 2008-12-22 2010-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US20130059696A1 (en) 2010-03-23 2013-03-07 Industrial Research Limited Exercise system and controller
KR101327688B1 (ko) 2012-06-01 2013-11-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용 상지 재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280A (ja) 2005-03-14 2006-09-21 Osaka Univ 上肢リハビリ装置
KR20100072582A (ko) * 2008-12-22 2010-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US20130059696A1 (en) 2010-03-23 2013-03-07 Industrial Research Limited Exercise system and controller
KR101327688B1 (ko) 2012-06-01 2013-11-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용 상지 재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67B1 (ko) * 2015-02-16 2016-06-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편마비 환자용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4176B (zh) 一种基于Kinect传感器的上肢关节活动度测量方法
JP4695605B2 (ja) 神経筋刺激
McMahan et al. High frequency acceleration feedback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ealism of haptically rendered textured surfaces
US9754158B2 (en) Training device
CN101308400A (zh) 基于眼动和头动检测的新型人机交互装置
JP2011516915A (ja) モーションコンテンツベースの学習装置及び方法
CN105597281B (zh) 一种用于手指精细运动功能评估和训练的方法及装置
KR101371962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지 재활 방법 및 그 장치
JP4181796B2 (ja) 肢体リハビリテーション訓練装置
KR20100072582A (ko)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70087214A (ko) 가상 현실 장비를 이용한 재활 치료 방법
JP2006020780A (ja) 四肢訓練装置
JP4715394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KR20160082430A (ko) 재활 로봇
CN103316464B (zh) 一种高尔夫挥杆练习方法及其装置
Ho et al. The design of EMG measurement system for arm strength training machine
CN114903747A (zh) 踝关节康复训练装置
CN103143142A (zh) 一种娱乐运动健身一体化跑步机及其手操作器
TWI601526B (zh)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of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Rahman et al. The development of low cost exercise monitoring device for paralytic
CN102204815B (zh) 一种人体机械阻抗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KR101750506B1 (ko) 햅틱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EP1689498B1 (en) System for performing induced limb movements, particularly for rehabilitating and sports purposes
JP2020028511A (ja) 運動機能回復訓練装置
CN113031771B (zh) 一种穿戴式振动触觉体感装置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