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71A -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71A
KR20220032771A KR1020200114502A KR20200114502A KR20220032771A KR 20220032771 A KR20220032771 A KR 20220032771A KR 1020200114502 A KR1020200114502 A KR 1020200114502A KR 20200114502 A KR20200114502 A KR 20200114502A KR 20220032771 A KR20220032771 A KR 2022003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iagnosis
safety inspection
presen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261B1 (ko
Inventor
이래철
전승현
손호웅
Original Assignee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0011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 불가능한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봉(100);
상기 봉(100)의 일단에 설치되되 각도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가 상기 봉(100)의 타단을 잡고 상기 카메라부(200)를 통하여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봉(100)은 꺽일 수 있는 1개 이상의 굴절부(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하며,
더불어 촬영된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식단말기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300)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multi-joint camera system for the safety inspection of structures}
본 발명은 구조물 및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라도 별도의 리프트 장비 및 차량, 선박(보트) 등의 사용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결함 부위를 촬영하고 분석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촬영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구조물 결함 확인 방법을 촬영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접안시설 및 선박 접안용 펜더 부위를 촬영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의 경우 철골의 부식, 콘크리트의 균열 등 외관으로 드러나는 결함이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결함이 발생하는 부위는 대다수가 안전진단 작업자가 바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아니고 안전진단 작업자의 접근이 불가능한 수직면이나 하부면에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결함을 확인하고 검측하기 위하여 크레인, 리프트 등의 중장비를 동원하게 되어 인력 및 장비 동원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었으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특히 도 3의 접안 시설의 경우, 선박을 동원하여 해상에서 결함을 검측하는 불편이 따랐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라도 별도의 리프트 등의 장비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결함 부위를 촬영하고 분석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1817호 '움직이는 물체를 효율적으로 추적하는 감시용 카메라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2007년09월19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7858호 '피사체의 전방위 촬영 및 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시스템', 2011년08월1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라도 별도의 리프트 등의 장비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결함 부위를 촬영하고 분석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 불가능한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봉(100);
상기 봉(100)의 일단에 설치되되 각도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가 상기 봉(100)의 타단을 잡고 상기 카메라부(200)를 통하여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봉(100)은 꺽일 수 있는 1개 이상의 굴절부(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하며,
더불어 촬영된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식단말기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300)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라도 별도의 리프트 등의 장비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결함 부위를 촬영하고 분석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촬영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구조물 결함 확인 방법을 촬영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접안시설 및 선박 접안용 펜더 부위를 촬영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위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봉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봉의 굴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가지고 현장에서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근거리통신수단을 가지고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은,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 불가능한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봉(100);
상기 봉(100)의 일단에 설치되되 각도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가 상기 봉(100)의 타단을 잡고 상기 카메라부(200)를 통하여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봉(100)은 꺽일 수 있는 1개 이상의 굴절부(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촬영된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식단말기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300)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봉(100)은 휨에 강하고 내구성이 유지되며 경량인 카본 내지 그래핀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카메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봉(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각도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본체렌즈를 가지고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본체부(210);
상기 본체렌즈 전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조절렌즈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렌즈부(230)는 광각렌즈 또는 접안렌즈 등 요구되는 사양에 대응하여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렌즈의 기능을 배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을 가지고 현장에서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과 같이 접안시설의 결함 부위를 촬영하는 등 현장에서는 손떨림 및 봉(100)의 길이로 인하여 정확한 촬영이 힘들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100)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40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400)는 통상적인 카메라 삼각대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3개의 다리부(410)가 지면과의 접점을 3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의 거치부(430)는 상기 봉(100)이 원터치식으로 결합하고 이탈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되 오므려진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위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위치부(5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진촬영 또는 동영상촬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위한 버튼이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봉의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봉(100)의 길이조절을 위해서 상기 봉(100)이 다수개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닛을 길이조절수단(130)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상기 유닛의 일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구멍형상의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132)가 형성된다.
다른 상기 유닛의 타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삽입구(133)가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턱(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135)가 이동 가능하도록 선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닛과 다른 유닛을 연결할 때,
상기 삽입구(133)를 상기 삽입홀(131)에 삽입하여 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구(135)의 상기 암나사산을 상기 수나사부(132)의 상기 수나사산에 결속하여 다수개의 유닛을 견고하게 연결하므로,
상기 봉(1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봉의 굴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굴절부(150)는 상기 봉(100)을 다양한 각도로 꺽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유닛 상호간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톱니면(151)을 형성하며 상기 유닛 상호간을 조임구(153)로 결합한다.
상기 굴절부(150)는 1개 이상 여러 부의에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수단(130)의 역할도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근거리통신수단을 가지고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시 결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식단말기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300)에 수신된다.
통상적으로 촬영된 화면은 동서남북 등 수평방향과 수직 등 수직방향을 정확히 계측하기 어렵고 안전진단 작업자로 하여금 촬영된 부위가 정확이 도면에서 어느 부분인지 알려주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부(200)에 수평 및 수직 방향을 각도로 정확히 계측하는 위치감지센서가 별도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에서 센서링된 위치 정보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촬영되었거나 촬영 중인 사진 및 동영상이 기준점인 동서남북과 수직선에 대하여 몇 도 편향되었는 지 각도와 방향으로 지시하여 그래픽 및 수치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조물의 실측 또는 설계도면을 미리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촬영된 부위 및 카메라 방향을 상기 도면상에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스위치부(500) 등을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마킹하고 상기 마킹을 클릭하면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봉
130: 길이조절수단
131: 삽입홀
132: 수나사부
133: 삽입구
134: 걸림턱
135: 고정구
150: 굴절부
151: 톱니면
153: 조임구
200: 카메라부
210: 본체부
230: 조절렌즈부
300: 모니터링 장치
400: 거치대
410: 다리부
430: 거치부
500: 스위치부

Claims (3)

  1. 안전진단 작업자가 접근 불가능한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봉(100);
    상기 봉(100)의 일단에 설치되되 각도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가 상기 봉(100)의 타단을 잡고 상기 카메라부(200)를 통하여 구조물의 결함 부위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봉(100)은 꺽일 수 있는 1개 이상의 굴절부(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촬영된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안전진단 작업자의 전용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이동식단말기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300)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KR1020200114502A 2020-09-08 2020-09-08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KR10257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02A KR102573261B1 (ko) 2020-09-08 2020-09-08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02A KR102573261B1 (ko) 2020-09-08 2020-09-08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71A true KR20220032771A (ko) 2022-03-15
KR102573261B1 KR102573261B1 (ko) 2023-09-01

Family

ID=8081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502A KR102573261B1 (ko) 2020-09-08 2020-09-08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2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817B1 (ko) 2001-03-07 2007-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움직이는 물체를 효율적으로 추적하는 감시용 카메라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20426A (ja) * 2006-07-11 2008-01-31 Teikoku Sekkei Jimusho:Kk 車載型遠隔点検装置
KR101057858B1 (ko) 2011-01-28 2011-08-19 심광호 피사체의 전방위 촬영 및 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시스템
KR101432176B1 (ko) * 2013-05-01 2014-08-20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취득용 다관절 카메라 조정장치
KR20180082818A (ko) * 2017-01-11 2018-07-19 한창엽 다관절 카메라부가 구비된 촬영 장치
KR102012514B1 (ko) * 2019-02-28 2019-08-20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교량 하부 대상 영상안전점검 장치
KR102038127B1 (ko) * 2018-12-07 2019-10-2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05308A (ko) * 2019-02-28 2020-09-0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교량 난간부에서 자율조종 굴절 아암 로봇을 이용한 교량 하부 안전점검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817B1 (ko) 2001-03-07 2007-09-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움직이는 물체를 효율적으로 추적하는 감시용 카메라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20426A (ja) * 2006-07-11 2008-01-31 Teikoku Sekkei Jimusho:Kk 車載型遠隔点検装置
KR101057858B1 (ko) 2011-01-28 2011-08-19 심광호 피사체의 전방위 촬영 및 줌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시스템
KR101432176B1 (ko) * 2013-05-01 2014-08-20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취득용 다관절 카메라 조정장치
KR20180082818A (ko) * 2017-01-11 2018-07-19 한창엽 다관절 카메라부가 구비된 촬영 장치
KR102038127B1 (ko) * 2018-12-07 2019-10-2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12514B1 (ko) * 2019-02-28 2019-08-20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교량 하부 대상 영상안전점검 장치
KR20200105308A (ko) * 2019-02-28 2020-09-0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교량 난간부에서 자율조종 굴절 아암 로봇을 이용한 교량 하부 안전점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261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1360B1 (en) Infrastructure positioning camera system
EP3306908B1 (en)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US20180339386A1 (en) Calibration approach for camera placement
JP4962415B2 (ja) 建設機械の刃先位置計測装置
EP1262909A3 (en) Calculating camera offsets to facilitate object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triangulation
KR102195855B1 (ko)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EP2698600A1 (de) Entfernungsmessmodul
US20070098251A1 (en) Non-contact three-dimensional measur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503692B1 (ko) 토목구조물 및 건축물 안전진단시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 장비
KR102234863B1 (ko)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폭 측정장치
CH709874B1 (it) Strumento di geodesia.
KR101247966B1 (ko) 토목구조물 및 건축물 안전진단시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 방법
KR101181706B1 (ko) 화상측정용 기기 및 토목 구조물 변형 측정 방법
KR101242564B1 (ko) 토목구조물 및 건축물 안전진단시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 장비
KR102573261B1 (ko)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다관절 카메라 장비 시스템
JP6097063B2 (ja) 高さ測定装置及び高さ測定方法
JP4853064B2 (ja) ピストン型ガスホルダーの傾斜測定装置および傾斜測定方法
JP2007178276A (ja) 構造物の観察検査装置及び観察検査方法
KR101809655B1 (ko) 공간영상도화 데이터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확보하는 시스템
JP2016001151A (ja) 壁面画像取得装置
JP2014148396A (ja) 建設作業時の安全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JP2021051435A (ja) 建築物側面図作成システム及び建築物側面図作成方法
JP5096728B2 (ja) クレーンの吊り荷用フックブロック自動追尾装置
WO2020234912A1 (ja) 携帯装置、位置表示方法、及び位置表示プログラム
KR101010354B1 (ko) 레이저 스폿 위치 검출 장치, 위치 정렬 시스템 및 위치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