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27A -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27A
KR20220032727A KR1020200114420A KR20200114420A KR20220032727A KR 20220032727 A KR20220032727 A KR 20220032727A KR 1020200114420 A KR1020200114420 A KR 1020200114420A KR 20200114420 A KR20200114420 A KR 20200114420A KR 20220032727 A KR20220032727 A KR 2022003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em
holder
coupled
storag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박영환
김진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727A/ko
Priority to PCT/KR2020/012890 priority patent/WO2022055011A1/ko
Publication of KR2022003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수납용 랙의 일 실시예는,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1스템, 제1스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2스템, 및 제1스템에 결합하고,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제2스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1스템에 결합하고, 제1스템에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가로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지지부와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STORAGE RACK AND DISH WASH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식기를 수납하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측공간에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개방되어 식기를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도어가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터브의 내측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터브의 내측공간에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랙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랙에는 식기가 다양한 위치로 수납될 수 있다. 특히, 식기는 세로로 나란히 수납될 수 있다.
랙은 비교적 좁은 공간에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무게를 가진 식기, 조리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랙이 필요하다.
또한, 랙은 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랙의 형상의 변경,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부분적인 파손부분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면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랙의 제작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 사용으로 인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수납용 랙의 일 실시예는, 제1스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 제2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접시와 같은 단면적이 크고 대체로 평평한 접시 등의 식기를 촘촘하게 거치할 수 있는 세워진 상태 또는 크고 무거운 프라이팬 등의 식기를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누운 상태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납용 랙의 일 실시예는 제2스템이 제1스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제2스템의 회전시 제2스템의 와이어가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스템을 제1스템에 결합시키는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의 일 실시예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 홀더 및 메인프레임이 용이하게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납용 랙의 일 실시예는,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1스템, 제1스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2스템, 및 제1스템에 결합하고,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제2스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1스템에 결합하고, 제1스템에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가로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지지부와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템은, 제2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제1와이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일단이 제1와이어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와이어, 한 쌍의 제2와이어의 타단 각각에 양단이 결합하고,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는 요철부, 및 한 쌍의 제2와이어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고, 일단이 제1와이어에 결합하는 타인(tine)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와이어가 경사면에 안착되면 제2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가이드 각각은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는, 지지부와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와이어가 장착되는 함몰부, 및 제1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함몰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와이어의 이탈을 억제하여 제1와이어의 홀더에 대한 결합을 지지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 랙의 일 실시예는 홀더가 장착되고,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제1결합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홀더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가로와이어가 결합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과 제2결합홈은 가로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홈은, 제2돌출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가로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1가이드홈과 연결되고, 가로와이어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템은 가로와이어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가로와이어와 결합하는 세로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홀더는 하면에 형성되고 세로와이어가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부는, 홀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 제3돌출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세로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과 연결되고, 세로와이어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장착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홀더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세로와이어가 안착하는 제3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가이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와이어가 경사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제2와이어와 접촉하여 제2와이어를 가압하고, 제2와이어가 경사면과 접촉하는 동안 가압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 터브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 및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랙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스템이 세워지거나 홀더에 누운 상태를 적절히 이용하여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대체로 평평한 식기를 거치하거나 크고 무거운 식기를 거치함으로써, 수납용 랙의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랙에서, 제1와이어는 제1와이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제1와이어에는 외력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의 작용이 매우적다. 이에 따라, 제1와이어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로 인해 제1와이어 및 제2스템 전체의 변형 및 파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 랙에서, 제1프레임, 제2프레임, 홀더 및 메인프레임은 용이하게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수납용 랙의 세척, 수리 등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스템이 홀더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스템의 상태에서 식기가 수납용 랙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스템이 홀더의 경사면에 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제2스템의 상태에서 프라이팬이 수납용 랙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제2스템의 상태에서 와인잔이 수납용 랙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b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템, 제2스템 및 홀더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10), 상기 터브(1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20) 및 상기 터브(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 랙(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실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를 구비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인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랙(100)을 구비하고,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모듈(30)을 구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터브(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의 상방과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와 터브(10)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2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31)를 포함한다. 섬프(31)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3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섬프(3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세척노즐(34)은 랙(100)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세척노즐(34a)은 터브(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세척노즐(34b)은 상측 랙(100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측 랙(100a)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세척노즐(34c)은 하측 랙(100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하측 랙(100b)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31)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연결관(3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밸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로 공급된 세척수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집수된다. 섬프(31)에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32)로 유동하며 가압된다. 세척펌프(32)에서 가압된 세척수는 전환밸브(35)로 유동하며 복수의 연결관(33)에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세척수는 연결관(33)을 유동하여 세척노즐(34)로 압송된다.
세척노즐(34)로 압송된 세척수는 터브(10)로 분사되며,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다시 집수된다.
세척펌프(32) 내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세척펌프(32)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32)에서 분지되고 터브(10)의 일 측과 연통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노즐을 통해 터브(10)로 분사될 수 있다.
상측 랙(100a)과 하측 랙(100b)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측 랙(100a)과 하측 랙(100b)은 랙(100)으로 지칭하고, 이하에서는 랙(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랙(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랙(100)은 식기를 거치하고 수납하는 장치로, 터브(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랙(100)은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랙(100)은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고, 세척대상을 거치할 수 있다. 랙(100)의 복수의 와이어구조는 세척수가 식기로 분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랙(100)은 제1스템(200), 제2스템(300), 홀더(400) 및 메인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템(200)은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템(200)은 와이어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각 와이어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제1스템(200)은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하측으로 함몰된 부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스템(2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 예를 들어, 밥그릇, 국그릇, 대접, 접시, 컵 등이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제1스템(200)은 복수의 와이어로 구성되고, 복수의 와이어들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므로, 상기 제1스템(200)에 놓인 식기는 제1스템(200)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제2스템(300)은 상기 제1스템(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400)는 상기 제1스템(200)에 결합하고, 상기 제2스템(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홀더(4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인프레임(500)은 상기 홀더(400)가 장착되고,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은 메인프레임(5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이때 제1프레임과 메인프레임(500)은 홀더(400)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500)은 제2프레임에 비해, 와이어 사이의 간격이 다소 넓게 형성될 수 있어, 비교적 큰 식기의 세척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메인프레임(500)에 비교적 큰 식기를 수납하여 세척을 하거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메인프레임(500)에 장착하고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결합된 구조에는 큰 식기와 작은 식기를 함께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템(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스템(300)은 제1와이어(310), 제2와이어(320), 요철부(330) 및 타인(340)(ti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310)는 상기 제2결합부(4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와이어(310)는 홀더(4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제2스템(300)을 회전시키면, 제1와이어(310)는 홀더(4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와이어(3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310)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와이어(320)는 제1와이어(3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제1와이어(3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와이어(320)의 중단에는 절곡라인(3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절곡라인(321)에 의해 요철부(330)와 타인(340)을 제1와이어(3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2스템(300)에 식기의 거치에 관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요철부(330)는 한 쌍의 상기 제2와이어(320)의 타단 각각에 양단이 결합하고, 복수의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330)는 제2와이어(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330)의 요철 측면에 식기를 지지할 수 있는데, 상기 요철은 식기와 요철부(330)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300)과 제1스템(200)을 이용하여 와인잔(3000)을 지지하고 고정하여, 식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요철부(330)는 제2와이어(32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제2와이어(3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타인(340)은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320)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310)에 결합할 수 있다. 타인(34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타인(340)은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타인(340)에 컵 등을 거치하거나, 타인(340)과 타인(340) 사이에 접시 등을 거치할 수 있다.
타인(340)은 제1와이어(3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제1와이어(3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스템(300)의 상태에서 식기가 수납용 랙(100)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제2스템(300)이 식기세척기(1)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템(300)의 상기 절곡라인(321)을 제외한 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에서는, 타인(340) 사이와 제1스템(200)의 와이어 사이에 단면적이 크고 대체로 평평한 식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에서는 타인(340) 사이와 제1스템(200)의 와이어 사이에 단면적이 크고 대체로 평평한 접시(1000) 등의 식기를 촘촘하게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에서는 제2스템(300)이 식기의 수납을 방해하지 않고, 타인(340)을 이용하여 식기를 랙(100)에 촘촘하고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7은 제2스템(300)이 홀더(400)의 경사면(411)에 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제2스템(300)의 상태에서 프라이팬(2000)이 수납용 랙(100)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서는 제2스템(300)이 식기세척기(1)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홀더(400)의 경사면(411)과 접촉하여 상기 홀더(40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다.
제2스템(300)이 홀더(400)의 경사면(411)에 누운 상태에서는, 제2스템(300)의 절곡라인(321)의 상부가 식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에는 메인프레임(500)과 제1프레임의 가장자리에 크고 무거운 식기를 거치함으로써, 랙(10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템(300)이 홀더(400)의 경사면(411)에 누운 상태에서는, 메인프레임(500)과 제1프레임의 가장자리에 크고 무거운 프라이팬(2000)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라이팬(2000)의 바닥면은 제2스템(300)의 절곡라인(321)의 상부에 지지되고, 따라서 프라이팬(2000)은 랙(100)에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제2스템(300)의 상태에서 와인잔(3000)이 수납용 랙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b의 사시도이다.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잔(3000)의 개구 부분은 제1스템(200)의 와이어에 거치되고, 와인잔(3000)의 다리 부분은 요철부(300)의 골에 거치됨으로써, 와인잔(3000)은 제1스템(200)과 요철부(300)에 의해 랙(100)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에서는 제2스템(300)이 홀더(400)의 경사면(411)에 누운 상태에서 와인잔(3000)이 랙(100)에 수납되었으나, 와인잔(3000)의 크기, 구조, 랙(100)에 수납된 다른 식기의 종류와 개수 등을 고려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에서도 와인잔(3000)을 랙(100)에 수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랙(100)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스템(30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스템(300)이 세워지거나 홀더(400)에 누운 상태를 적절히 이용하여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대체로 평평한 식기를 거치하거나 크고 무거운 식기를 거치함으로써 수납용 랙(100)의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와이어의 양측 단부에 절곡된 부분인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를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2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식기가 제2스템에 수납되면 식기에 의해 제2스템에 하중이 가해지고, 식기의 하중과 지지부재의 반력에 의해 제1와이어에 비틀림 모멘트가 가해질 수 있다.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제1와이어의 절곡부는 변형이 발생하고, 이는 제2스템의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기에 설명하는 구조를 가진 홀더(400)를 이용하여 제1와이어(310)를 제1스템(200)에 결합시켜, 상기 제1와이어(310)가 식기의 하중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를 받지 않으면서, 제2스템(300)이 제1스템(20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홀더(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홀더(400)는 지지부(410), 제1결합부(420) 및 제2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10)는 상기 제2스템(300)을 지지하는 경사면(4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템(300)이 누운 상태에서 상기 제2스템(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경사면(411)은 상기 제2스템(300)의 제2와이어(32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더(400)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템(300)이 누운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411)은 제2와이어(320)와 접촉하여 상기 제2스템(300)이 누운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10)는 가이드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32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와이어(320)가 상기 경사면(411)에 안착되면 상기 제2와이어(320)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412)는 제2와이어(320)가 경사면(411)을 향하여 홀더(4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와이어(320)가 경사면(411)을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경사면(411)과 가이드부(4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411)과 가이드부(412)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홀더(400)의 횡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가이드 각각은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부(412)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도,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2와이어(320)는 복수의 상기 경사면(411)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하나의 경사면(411)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420)는 상기 지지부(4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템(200)에 결합하고, 상기 제1스템(200)에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가로와이어(210)가 삽입되는 삽입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와이어(210)가 삽입홀(421)에 삽입됨으로써, 제1스템(200)은 홀더(4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부(420)는 상기 지지부(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420)는 홀더(400)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와이어(320)의 회전방향 및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와이어(320)가 제1결합부(420)와 접촉하면, 제2스템(300)은 도 5에 도시된 세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와이어(320)는 제1결합부(420)에 의해 회전방향이 제한되어, 세워진 상태에서 경사면(4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스템(300)은 경사면(4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결합부(430)는 상기 지지부(410)와 상기 제1결합부(420)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템(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함몰부(431) 및 결합지지부(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31)는 상기 지지부(410)와 상기 제1결합부(420)가 연결되는 부위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31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431)는 제1와이어(310)와 상기 제1와이어(3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와이어(320)가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지지부(432)는 상기 제1결합부(4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43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합지지부(432)는 상기 제1와이어(310)의 이탈을 억제하여 상기 제1와이어(310)의 상기 홀더(400)에 대한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부(43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와이어(310)는 함몰부(431)에 끼워지고 결합지지부(432)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홀더(4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310)는 상기 제2결합부(4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400)는 상기 제1결합부(42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500)에 결합하는 제1결합홈(441)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441)에 메인프레임(500)이 결합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결합한 홀더(400), 상기 메인프레임(500)을 포함하는 랙(1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홀더(400)는 상기 제1결합홈(44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메인프레임(500)에 장착하거나 메인프레임(5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홀더(400)는 상기 홀더(400)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로와이어(210)가 결합하는 제2결합홈(451)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부(450)는 제1결합부(4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로와이어(210)는 제1결합부(420)와 제2돌출부(45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제1결합부(420)와 제2돌출부(45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홀더(4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5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홈(451)은 제1가이드홈(451a) 및 제1안착홈(4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51a)은 상기 제2돌출부(450)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로와이어(21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홈(451b)은 상기 제1가이드홈(451a)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와이어(2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가로와이어(210)를 제1가이드홈(451a)에 끼우면, 외력에 의해 제1가이드홈(451a)은 탄성변형하면서 가로와이어(210)의 직경보다 작은 폭 부위가 벌어지고, 결국 가로와이어(210)는 제1안착홈(451b)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가로와이어(210)와 홀더(400)의 결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가로와이어(210)를 제2결합홈(45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템(200), 제2스템(300) 및 홀더(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421)과 상기 제2결합홈(451)은 상기 가로와이어(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와이어(210)는 삽입홀(421)과 제2결합홈(451)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400)에 장착될 수 있다.
홀더(400)를 가로와이어(210)에 조립하는 경우, 먼저 가로와이어(210)의 단부를 홀더(400)의 삽입홀(421)에 삽입하고, 다음으로 홀더(400)를 가압하여 가로와이어(210)를 상기 제2결합홈(451)에 끼우면, 홀더(400)는 가로와이어(2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순서의 반대과정을 거쳐 홀더(400)는 가로와이어(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템(200)은 상기 가로와이어(210)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와이어(210)와 결합하는 세로와이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400)는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세로와이어(220)가 장착되는 장착홈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400)는 삽입홀(421)과 제2결합홈(451)을 통해 제2스템(300)의 가로와이어(210)와 결합하고, 장착홈부(460)를 통해 제2스템(300)의 세로와이어(220)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제2스템(300)에 결합할 수 있다.
홀더(400)는 가로와이어(210)와 세로와이어(220)에 결합함으로써, 에 의해 제1스템(200), 제2스템(300) 및 홀더(400)의 조립체는 랙(100)에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쉽게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홀더(400)는 가로와이어(210)와 세로와이어(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부(460)는 예를 들어 지지부(4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3돌출부(461), 제2가이드홈(462) 및 제2안착홈(4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돌출부(461)는 상기 홀더(4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돌출부(461)가 함몰되어 제2가이드홈(462)과 제2안착홈(46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홈(462)은 상기 제3돌출부(461)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로와이어(22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홈(463)은 상기 제2가이드홈(462)과 연결되고, 상기 세로와이어(22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세로와이어(220)를 제2가이드홈(462)에 끼우면, 외력에 의해 제2가이드홈(462)은 탄성변형하면서 세로와이어(220)의 직경보다 작은 폭 부위가 벌어지고, 결국 세로와이어(220)는 제2안착홈(463)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세로와이어(220)와 홀더(400)의 결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세로와이어(220)를 제2가이드홈(46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00)는 제3안착홈(4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안착홈(464)은 상기 장착홈부(46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홀더(400)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로와이어(22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부(460)는 예를 들어 지지부(410)의 하면에 상기 장착홈부(460)와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안착홈(464)은, 장착홈부(460)와 달리, 세로와이어(220)가 홀더(400)에 놓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에 그칠 수 있다. 따라서, 제3안착홈(464)은 장착홈부(460)의 제2가이드홈(462)과 같은 억지끼워맞춤을 위한 구조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안착홈(463)과 제3안착홈(464)은 상기 세로와이어(2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로와이어(220)는 제2안착홈(463)과 제3안착홈(464)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이로써 홀더(400)는 세로와이어(2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홀더(400)는 제1스템(200)의 가로와이어(210)와 세로와이어(2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홀더(400)를 제1스템(200)에 장착하거나 제1스템(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홀더(400)는 상기 가이드부(41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70)는 가이드부(41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00)를 정면으로 볼 때, 경사면(411)의 일부를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470)는 상기 제2와이어(320)가 상기 경사면(411)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와이어(320)와 접촉하여 상기 제2와이어(320)를 가압하고, 상기 제2와이어(320)가 상기 경사면(411)과 접촉하는 동안 가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와이어(320) 스토퍼(470)에 꽉 끼여 경사면(411)과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누운 상태에서, 스토퍼(470)에 의해 제2와이어(320)는 경사면(41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랙(100)에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쉽게 분리되지 않고, 이러한 누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력을 가하여 제2와이어(320)를 경사면(411) 방향으로 회전 및 가압하여 제2와이어(320)가 스토퍼(470)에 끼게하여 제2스템(300)이 홀더(400)에 누운, 도 7에 도시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시 외력을 가하여 제2와이어(320)를 상기 스토퍼(47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2스템(300)이 세워진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스템(300)의 제1와이어(310)의 단부는 절곡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와이어(310)는 외력을 받지 않고 상기 홀더(40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제1와이어(310)가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제1와이어(310)에 외력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의 작용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즉, 제1와이어(31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400)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제1와이어(310)에는 외력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의 작용이 매우적다. 이에 따라, 제1와이어(310)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로 인해 제1와이어(310) 및 제2스템(300) 전체의 변형 및 파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 제2프레임, 홀더(400) 및 메인프레임(500)은 용이하게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수납용 랙(100)의 세척, 수리 등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터브
20: 도어 30: 세척모듈
31: 섬프 32: 세척펌프
33: 연결관 34: 세척노즐
35: 전환밸브 100: 랙
200: 제1스템 210: 가로와이어
220: 세로와이어 300: 제2스템
310: 제1와이어 320: 제2와이어
321: 절곡라인 330: 요철부
340: 타인 400: 홀더
410: 지지부 411: 경사면
412: 가이드부 420: 제1결합부
421: 삽입홀 430: 제2결합부
431: 함몰부 432: 결합지지부
440: 제1돌출부 441: 제1결합홈
450: 제2돌출부 451: 제2결합홈
451a: 제1가이드홈 451b: 제1안착홈
460: 장착홈부 461: 제3돌출부
462: 제2가이드홈 463: 제2안착홈
464: 제3안착홈 470: 스토퍼
500: 메인프레임 1000: 접시
2000: 프라이팬 3000: 와인잔

Claims (15)

  1.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1스템;
    상기 제1스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2스템; 및
    상기 제1스템에 결합하고, 상기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2스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템에 결합하고, 상기 제1스템에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가로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는,
    수납용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템은,
    상기 제2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제1와이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와이어;
    한 쌍의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 각각에 양단이 결합하고,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는 요철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하는 타인(tine)
    을 포함하는,
    수납용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경사면에 안착되면 상기 제2와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 각각은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수납용 랙.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가 장착되는 함몰부; 및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이탈을 억제하여 상기 제1와이어의 상기 홀더에 대한 결합을 지지하는 결합지지부
    를 포함하는,
    수납용 랙.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장착되고,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수납용 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결합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수납용 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로와이어가 결합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수납용 랙.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가로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수납용 랙.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제2돌출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로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와이어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안착홈
    을 포함하는,
    수납용 랙.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템은 상기 가로와이어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와이어와 결합하는 세로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세로와이어가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더 포함하는,
    수납용 랙.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홀더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돌출부;
    상기 제3돌출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로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과 연결되고, 상기 세로와이어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안착홈
    을 포함하는,
    수납용 랙.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홈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로와이어가 안착하는 제3안착홈
    을 더 포함하는,
    수납용 랙.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경사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와이어와 접촉하여 상기 제2와이어를 가압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동안 가압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수납용 랙.
  14.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 랙
    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 랙은,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1스템;
    상기 제1스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와이어로 형성되는 제2스템; 및
    상기 제1스템에 결합하고, 상기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2스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스템에 결합하고, 상기 제1스템에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가로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랙은,
    상기 홀더가 장착되고,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된 와이어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템은,
    상기 제2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제1와이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와이어;
    한 쌍의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 각각에 양단이 결합하고,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는 요철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하는 타인(tine)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00114420A 2020-09-08 2020-09-08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20032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20A KR20220032727A (ko) 2020-09-08 2020-09-08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CT/KR2020/012890 WO2022055011A1 (ko) 2020-09-08 2020-09-23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20A KR20220032727A (ko) 2020-09-08 2020-09-08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27A true KR20220032727A (ko) 2022-03-15

Family

ID=8063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420A KR20220032727A (ko) 2020-09-08 2020-09-08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2727A (ko)
WO (1) WO20220550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5726A1 (de) * 2004-07-23 2006-03-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zur variablen Aufnahme von Geschirrteilen
KR101240857B1 (ko) * 2005-12-14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1270618B1 (ko) * 2006-11-15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080044080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PL2215956T3 (pl) * 2009-02-10 2020-11-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gulowany zespół stojakowy kosza do zmywark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011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101B2 (en) Dishwasher with slidable tine assembly
EP3705017B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KR20080044077A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220032727A (ko)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TR201807992T4 (tr) Bulaşık sepeti ve bulaşık yıkama makinesi.
US10420452B2 (en) Dish washing machine
KR20090057710A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210062823A (ko) 식기세척기
KR20230067345A (ko) 식기세척기
KR20230060162A (ko) 식기세척기
EP3593697A1 (en) A cutlery basket for dishwashers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20200100371A (ko) 식기세척기
KR20070062656A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2627641B1 (ko) 식기세척기
KR20060100607A (ko) 식기세척기
CN215899582U (zh) 承载装置和洗涤电器
CN219645667U (zh) 洗锅支架和洗碗机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2486274B1 (ko) 식기세척기
KR20210062822A (ko) 식기세척기
CN219878101U (zh) 一种洗碗机的搁架及洗碗机
CN215899596U (zh) 承载篮和家用电器
CN217040053U (zh) 承载装置和洗涤设备
CN215899597U (zh) 置物架、承载篮和家用电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