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371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371A
KR20200100371A KR1020190018560A KR20190018560A KR20200100371A KR 20200100371 A KR20200100371 A KR 20200100371A KR 1020190018560 A KR1020190018560 A KR 1020190018560A KR 20190018560 A KR20190018560 A KR 20190018560A KR 20200100371 A KR20200100371 A KR 20200100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tub
bracket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0371A/ko
Priority to AU2020225795A priority patent/AU2020225795B2/en
Priority to US17/431,805 priority patent/US20220142451A1/en
Priority to EP20759240.3A priority patent/EP3928675A4/en
Priority to PCT/KR2020/000966 priority patent/WO2020171393A1/ko
Publication of KR2020010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도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터브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판넬; 및 상기 도어 및 상기 커버판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회전할 때, 상기 커버판넬을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도어 회전축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를 구비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터브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전방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커버판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회전축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판넬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측공간에서 세척대상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의 전면은 개방되어, 도어의 개폐로 커버될 수 있다. 터브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압송하기 위한 하부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의 하측에는, 상기의 하부구조물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의 전면에는, 터브와 터브의 하측구조물을 커버하기 위한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넬은 터브와 베이스 사이에서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하는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에 의해 판넬이 회전할 때, 판넬의 하부는, 베이스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베이스의 전방은, 판넬의 이동공간을 제외하고 설계되어야 한다.
다만, 도어가 회전할 때, 판넬이 이동한다면, 베이스 전방의 판넬이동공간이 차지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만큼 하부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유럽등록특허 EP1894509B1에서는, 도어, 터브 및 판넬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구조를 통해 도어가 회전할 때,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판넬을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회전으로 판넬이 터브의 하측에서 배치되는 공간을 줄였다.
다만, 상기의 링크구조는, 터브에 일정반경으로 고정되는 링크가 도어가 회전할 때, 판넬에 연결되는 링크를 끌어당기는 구조를 가짐으로, 도어가 회전할 때, 판넬을 상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판넬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는, 링크가 판넬을 끌어당기는 구조로, 상대적으로 판넬에 작용하는 힘이 부족하고, 터브에 일정반경으로 고정되는 링크에 의해 판넬의 이동범위가 한정되어, 판넬이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이 제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유럽등록특허 EP2407723B1에서는, 터브, 도어 및 판넬에 연결되는 3개의 링크구조를 가지고, 도어가 회전할 때, 중앙에 배치되는 링크가 전방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판넬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링크가 전방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구조는, 전방으로 이동이 적은 도어의 초기개방시, 링크가 전방으로 밀리고, 전방으로 이동이 큰 도어의 후기 개방시 링크가 하측으로 밀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판넬의 이동을 도어의 개방에 따른 회전범위를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판넬의 이동량을 증가시켜 베이스의 공간활용범위를 극대화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도어의 회전을 고려하여 판넬의 이동범위를 증가시키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판넬이 장착되어 하중이 추가된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폐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가 베이스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구조를 가지고,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의 전방에, 도어와 베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넬은, 링크모듈에 의해 도어가 회전할 때,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링크모듈은, 도어 회전축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를 구비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터브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전방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커버판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회전축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링크가 상측으로 주되게 이동하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때에는, 제1링크가 전방으로 주되게 이동하여, 커버판넬의 이동범위를 넓힐 수 있다.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터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도어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브라켓이 도어회전축을 이동함에 따라 도어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제1링크-브라켓연결부가 회전하며, 제1링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브라켓에 연결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회전축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길이는,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타단부까지의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커버판넬과 연결되는 제3링크의 이동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은, 서로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각은, 160도 내지 175도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3링크의 직선과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간에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터브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터브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이너도어; 상기 이너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도어; 및 상기 제1아우터도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제1아우터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도어브라켓과, 상기 제1도어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을 포함하여, 도어브라켓이 도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연결부;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도어체결부; 및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으로 배치되어, 도어가 회전할 때, 링크연결부가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회전축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도어에 힘을 가하여, 상기 터브로부터 개방되는 상기 도어의 배치를 유지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고정부와 연결되는 도어고정부-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방될 수 잇다.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 배치되고, 상기 도어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브라켓은,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연결부; 상기 도어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브와 체결되는 터브체결부; 및 상기 도어연결부의 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베이스체결부를 포함하여, 터브, 베이스 및 도어브라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터브브라켓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브라켓은, 상기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제2링크가 링크브라켓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배치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를 폐쇄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과 상기 링크브라켓과 연결되는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링크-브라켓연결부, 도어회전축, 링크브라켓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커버판넬을 연결하는 링크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홀더는,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된 일단부에서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 하측단부에서 상기 커버판넬과 연결되어, 커버판넬의 하부에서 링크모듈과 커버판넬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를 폐쇄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3링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각도는, 45도 이하로 형성되어, 도어의 초기 개방시 커버판넬을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로부터 완전히 개방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각도는, 평각보다 작은 둔각을 형성하여,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경우, 링크모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링크가 도어회전축으로부터 이격배치되어 도어와 함께 회전하고, 제3링크가 커버판넬을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버판넬이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베이스 내측의 공간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둘째,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가 상기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회전축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초기개방시 제1링크가 상측으로 커버판넬을 밀어 커버판넬의 이동량을 증가시키고, 도어의 후기개방시 제1링크가 전방으로 커버판넬을 밀어 커버판넬의 이동량을 증가시켜, 도어의 회전을 고려하여 커버판넬의 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도어브라켓과 터브브라켓을 통해 도어가 회전하고, 도어브라켓이 도어의 내측으로 체결되고, 도어의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도어고정부와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관련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와 커버판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아우터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 도어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 도어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일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과 힌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과 터브브라켓, 도어브라켓 및 커버판넬과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브라켓과 터브브라켓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되거나 닫히는 상태에서 링크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링크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2c에서 사용되는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는, 도어(100), 도어브라켓(160a, 160b) 및 커버판넬(200)은, 도어 길이방향(Lu-Ld), 도어 두께방향(Tf-Tr) 및 도어 폭방향(Le-Ri)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어 길이방향의 경우, 도어(100)가 터브(10)를 폐쇄할 때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도어 길이방향의 상하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두께방향의 경우, 도어(100)가 터브(10)를 폐쇄할 때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도어 두께방향의 전후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어 폭방향(Le-Ri)은, 도어(10)의 배치변경과 상관없이 일정하므로, 식기세척기(1)의 좌우방향(Le-Ri)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향 설정은, 도어(100)의 배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00)의 배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도어(100) 및 도어브라켓(160a, 160b)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외측을 커버하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b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8)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a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링크모듈(300a, 300b)과 도어(100) 및 커버판넬(200)의 관계는, 도 1b의 케이스(18)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실(10a)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70), 터브(10)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20), 터브(10)의 하단부에서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00), 도어(100)와 베이스(70)를 커버하고, 도어(10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판넬(200), 및 도어(100)가 회전할 때,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300a, 300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실(10a)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인 식기를 거치하는 랙(22a, 22b), 세척실(10a)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0)와, 세척펌프(30)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 중 적어도 하나로 보내는 절환밸브(40), 및 절환밸브(40)와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26a, 26b, 26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30)는, 세척펌프 하우징(32) 내부에 배치된 임펠러(34)를 세척모터(36)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섬프(20)에 저장된 세척수를 터브(10)로 공급할 수 있다. 세척펌프(30) 내부에는, 세척펌프 하우징(32) 내측에 존재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38)는, 세척펌프(30)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히터(38)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터브(10) 내부로 보내는 스팀노즐(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섬프(20)와 세척펌프(30)를 연결하는 세척펌프유입관(44), 세척펌프(30)와 절환밸브(40)를 연결하는 세척펌프 배출관(46), 세척펌프(30)와 스팀노즐(42)을 연결하는 스팀배출관(48)을 포함할 수 있다.
섬프(20)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섬프(2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50)과, 급수관(50)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2), 섬프(20)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54)과 배수펌프(56)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10)는 하측으로 섬프(20)와 연결될 수 있다. 터브(10)는 하측으로 섬프(20)와 연결되는 섬프홀(20a)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0)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실(10a)에는, 복수의 랙(22a, 22b)이 배치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실(10a)에는,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이 배치된다. 복수의 분사노즐(24a, 24b, 24c)은, 랙(22a, 22b)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0)의 전방측에는, 터브(1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배치된 터브프레임(16)이 배치될 수 있다. 터브프레임(16)은, 터브(10)의 상면(12)과, 양측면(14a, 14b)에서, 터브(10)에 체결될 수 있다.
터브(10)는 전방 하단부에서 도어(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터브(10)는, 도어(100)와 힌지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10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 회전축(100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70)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브(10)를 지지한다. 베이스(70)는 터브(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내측으로 섬프(20)와, 세척펌프(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70)의 내측에는, 세척펌프(30) 등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수용되는 제어박스(6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70)의 전방단부(72)는, 터브(10)의 전방단부(15)보다 후방으로 이격배치된다. 베이스(70)는, 도어(100)의 회전으로 커버판넬(200)이 이동할 때,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터브(10)보다 후방에서 배치된다.
베이스(70)의 전방단부(72)는,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고려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10)는, 베이스(70)와 체결되어, 베이스(7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터브(10)는, 베이스(70)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터브(10)는, 이하에서 설명할 터브브라켓(80a, 80b)을 통해 베이스(7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0)와 베이스(70)는, 후방측에서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전방측에서 터브브라켓(80a, 80b)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닫힌 상태의 도어(100)를 전방으로 일정범위 개방하는 오토도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토도어모듈은, 터브(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터브(10)를 폐쇄하는 도어(100)를 일정범위로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토도어모듈은, 도어(100)의 일측을 가압하여, 도어(100)를 개방시키는 가압부(미도시)와,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토도어모듈은,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터브(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의 배치를 이동시켜,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0)가 개방될 때,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이동하는 커버판넬(200)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도어의 개방하거나,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터브브라켓>
이하에서는, 도 5, 도 7a, 도 7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터브(10)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고, 도어(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와 베이스(70)를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터브(10)에 체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80a, 80b)에는, 도어(100)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160a, 160b)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된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제1터브브라켓(80a)과, 터브(10)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제2터브브라켓(80b)을 포함한다. 제1터브브라켓(80a)과 제2터브브라켓(80b)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고, 터브(1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1터브브라켓(80a)과, 제2터브브라켓(80b)은, 터브(10)의 전방측과, 베이스의 전방측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터브브라켓(80a, 80b)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태를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b에서는 제1터브브라켓(80a)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기의 구성과 형태는, 제2터브브라켓(8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와 베이스(7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터브(10)와 체결되는 터브체결부(82)와, 베이스(70)에 체결되는 베이스체결부(84) 및 도어브라켓(160a, 160b)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연결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체결부(82)는, 터브(10)의 일 측면에 체결된다. 터브체결부(82)는, 터브(10)의 일측면의 전방단부에 배치된다. 터브체결부(82)는,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터브(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어연결부(86)에는, 도어브라켓(160a, 160b)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힌지홀(86a)이 형성된다. 힌지홀(86a)의 중심으로 도어(100)가 회전하는 도어 회전축(100a)이 형성된다. 도어연결부(86)는, 터브체결부(82)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어연결부(86)에 형성되는 힌지홀(86a)은, 터브(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회전하는 도어 회전축(100a)은, 터브(1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체결부(84)는, 도어연결부(86)의 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체결부(84)는, 베이스(70)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체결부(84)는, 베이스(70)와 후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체결부(84)에는, 베이스(70)와 결합되는 후크부(84a)가 형성된다. 베이스체결부(84)의 후크부(84a)는, 베이스(70)의 대응구조에 후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터브브라켓(80a, 80b)은, 링크모듈(300a, 300b)의 일측을 고정하는 링크체결부(88) 더 포함한다. 링크체결부(88)는, 터브브라켓(80a, 80b)이 형성하는 면과 수직하게 절곡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체결부(8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링크모듈(300a, 300b)의 링크브라켓(350)이 체결 및 고정된다. 링크체결부(88)에는, 링크브라켓(350)의 링크브라켓-체결부(356)가 별도의 체결부재(358)로 체결된다.
<도어 및 도어브라켓>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브라켓을 설명한다.
도어(100)는,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터브(10)의 전면과 접촉하여, 터브(10)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이너도어(110)와, 이너도어(110)의 전방에서 이너도어(110)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도어(120), 및 제1아우터도어(120) 상측에 배치되고, 이너도어(110)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도어(140)을 포함한다.
이너도어(110)는, 터브(10)의 개구된 전방부에 위치하여, 터브(1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너도어(110)의 전방에는, 제2아우터도어(140)와, 제1아우터도어(120)가 장착된다. 이너도어(110)는, 대략 사각형을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도어(110)에는, 터브(10) 내부로 공급되는 세제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디스펜서(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도어(110)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되는 디스펜서 장착부(112)를 포함한다. 디스펜서(62)는, 이너도어(110)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이너도어(11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도어브라켓(162)의 일부가 수용되는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이 형성된다.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은, 제1도어브라켓(162)이 장착되는 전면에서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 삽입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너도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도어(110)에는, 한 쌍의 제1도어브라켓(162)이 장착되는 한 쌍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이 형성된다. 한 쌍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 각각은, 이너도어(110) 전면의 양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도어(110)의 전면에는, 제1아우터도어(120)와 제2아우터도어(140)이 체결된다. 제1아우터도어(120)와 제2아우터도어(140)은, 이너도어(110)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아우터도어(120)는, 이너도어(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아우터도어(120)는, 제2아우터도어(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아우터도어(120)의 후방에는, 이너도어(110)가 배치되고, 제1아우터도어(120)의 전방에는, 커버판넬(200)이 배치된다.
제1아우터도어(120)는, 전면판(120a)과, 전면판(120a)의 둘레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20b)를 포함한다. 전면판(120a)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하부가이이더(122a, 122b)와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이 형성된다. 테둘리부(120b)는, 전면판(120a)의 양측 둘레에서 이너도어(11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너도어(110)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아우터도어(120)에는, 커버판넬(200)이 도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아우터도어(120)는, 상단의 일부가 제2아우터도어(140)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아우터도어(120)는,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더(122a, 122b)를 포함한다. 하부가이더(122a, 122b)는, 이하에서 설명할, 커버판넬(200)에 장착되는 하부홀더(210ad, 210bd)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로, 제1아우터도어(1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24a, 124b)의 구조와, 제2도어브라켓(180)에 형성되는 브라켓홀(184)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아우터도어(120)의 일측에는, 제2도어브라켓(180)이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제1아우터도어(120)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에 형성되는 브라켓홀(184)은, 가이드홀(124a, 124b)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2도어브라켓(180)에 형성되는 브라켓홀(184)은, 가이드홀(124a, 124b)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아우터도어(120)에는, 가이드홀(124a, 124b)의 상측으로 하부홀더(210ad, 210bd)가 삽입되는 하부홀더 삽입홀(126a, 126b)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도어브라켓(180)에도, 하부홀더 삽입홀(126a, 126b)에 대응하는 삽입홀(18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도어(120)에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가 이동하는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이 형성된다.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은, 커버판넬 체결부재(220)가 이동하는 가이드구조를 가진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는, 체결부재 이동홈(128a, 128b)를 따라 이동하며,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아우터도어(140)은, 이너도어(110)의 전방면에 체결된다. 제2아우터도어(140)은, 제1아우터도어(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아우터도어(14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를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버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제2아우터도어(140)의 내부에는, 조작버튼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아우터도어(140)에는, 커버판넬(200)이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아우터도어(140)은, 제2아우터도어(140)의 전면으로 장착된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더(142a, 142b)를 포함한다.
상부가이더(142a, 142b)는, 이하에서 설명할 커버판넬(200)에 장착되는 하부홀더(210ad, 210bd)가 삽입되는 상부가이드홈(144a, 144b)과, 상부가이드홈(144a, 144b)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하부홀더(210ad, 210bd)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146a, 146b)를 포함한다. 가이드리브(146a, 146b)에는, 가이드리브(146a, 146b)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제1강성보강구조(148a, 148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아우터도어(140)에는, 상부가이더(142a, 142b)의 일측으로 가이드리브(146a, 146b)의 강성을 추가적으로 보강하는 제2강성보강구조(150a, 15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우터도어(140)의 전면에는, 양 측방에서, 하부홀더(210ad, 210bd)가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더(142a, 142b)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터브(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브라켓(160a, 160b)을 더 포함한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도어(100)에 고정 연결되고, 터브(10)에 고정 연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도어(100)가 터브(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일부가, 이너도어(110)와 제1아우터도어(120) 사이에 배치된다.
도어브라켓(160a, 160b)은, 제1아우터도어(120)에 체결되고, 터브(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도어브라켓(162)과, 제1도어브라켓(162)과 연결되고, 이너도어(110)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180)을 포함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도어(100)에 체결되는 도어체결부(164), 터브(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연결부(166), 이하에서 설명한 제1링크(3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연결부(16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브라켓(162)은, 일부 개방된 도어(100)의 배치를 유지하는 도어고정부(390)와 연결되는 도어고정부-연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체결부(164)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지고, 도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어체결부(164)는, 이너도어(110)의 도어브라켓 체결홈(114a, 114b)에 삽입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다.
터브연결부(166)는, 도어체결부(164)의 하측에 배치된다. 터브연결부(166)는, 터브(10)에 체결되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터브연결부(166)는, 터브브라켓(80a, 80b)과 별도의 힌지부재(19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연결부(166)에는, 상기 힌지부재(198)가 삽입되는 힌지홀(166a)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연결부(166)는, 도어(100)가 회전하는 도어 회전축(100a) 상에 배치되므로, 도어(100)의 개방 또는 폐쇄로 인해 도어(100)의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위치가 고정된다.
링크연결부(168)는, 터브연결부(16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168)는, 도어(100)가 회전할 때, 터브연결부(16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연결부(168)는, 터브연결부(166)로부터 도어의 두께방향(Tf-Tr) 후방(Tr)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168)에는, 링크모듈(300a, 300b)의 제1링크(3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연결부(168)는, 제1링크(310)의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연결부(168)는, 제1링크(310)와 힌지부재(380) 및 별도의 체결부재(38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어(100)가 회전할 때, 제1링크(310)의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는, 링크연결부(168)를 따라 이동한다.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터브연결부(166)로부터 도어의 두께방향(Tf-Tr)의 후방(Tr)에 배치된다.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도어(100)에서 도어의 두께방향(Tf-Tr) 후방으로 연장되고, 단부에서, 도어고정부(390)의 연결클립(396)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연결부(170)의 단부는, 후크형상을 형성되고, 연결클립(396)이 상기의 후크형상에 삽입되어, 제1도어브라켓(162)과 도어고정부(390)가 연결될 수 있다.
도어체결부(164)는, 터브연결부(166)를 기준으로, 도어의 길이방향(Lu-Ld)의 상향(Lu)으로 연장되며, 도어(100)에 체결된다.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터브연결부(166)를 기준으로, 도어의 두께방향(Tf-Tr)의 후방(Tr)으로 연장되며, 단부에서 도어고정부(390)와 연결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제2도어브라켓(180)과 체결되는 제1브라켓체결부(172)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체결부(172)는, 제1아우터도어(120)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180)의 제2브라켓체결부(194)와 체결부재(174)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1브라켓체결부(172)는, 도어체결부(164)의 도어의 두께방향(Tf-Tr)의 전방(Tf)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어브라켓(162)는, 터브브라켓(80a, 80b)과 링크모듈(300a, 300b) 사이에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이너도어(110)와 제1아우터도어(120) 사이에 배치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제1아우터도어(120)의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에서 제1아우터도어(120)에 체결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일측에서 제1도어브라켓(162)과 체결 및 고정되고, 타측에서 제1아우터도어(120)와 체결 및 고정된다.
제2도어브라켓(180)은, 제1도어브라켓(162)에 연결되어, 커버판넬(200)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제1도어브라켓(162)으로 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도어브라켓(180)은, 제1아우터도어(120)의 후방에 체결되어 하부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가이드부(182)와, 홀더가이드부(182)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도어브라켓(162)과 체결되는 제2브라켓체결부(194)를 포함한다.
홀더가이드부(182)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하부홀더(210ad, 210bd)가 이동하는 브라켓홀(184)과, 하부홀더(210ad, 210bd)가 삽입되는 삽입홀(186)이 형성된다. 홀더가이드부(182)는, 제1아우터도어(120)에 접촉하는 제1면(188)과, 브라켓홀(184) 주위에서 제1아우터도어(120)와 간격을 유지하는 제2면(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면(190)과 제1아우터도어(120)의 사이간격은, 이하에서 설명할 하부홀더(210ad, 210bd)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미도시)의 간격만큼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홀더(210ad, 210bd)가 하부가이더(122a, 122b)에 장착될 때, 하부홀더(210ad, 210bd)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으로 제1아우터도어(120)와, 제2도어브라켓(180)의 제1면(188)이 삽입된다.
삽입홀(186)의 하측에는, 하부홀더(210ad, 210bd)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가림돌기(192)가 형성된다. 가림돌기(192)는, 제1아우터도어(120)와 제2면(190) 사이에서 형성되는 틈을 가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버판넬>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넬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판넬(200)은, 도어(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도어(100)가 회전할 때, 도어(100)의 길이방향(Lu-Ld) 상하로 이동한다. 커버판넬(200)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도어(100)와 베이스(7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판넬(200)에는, 링크모듈(300a, 300b)의 일측에 장착되어 커버판넬(200)을 이동시키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와, 도어(100)에 장착되어, 커버판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가 체결된다. 커버판넬(200)의 후방면에는, 복수의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와, 복수의 커버판넬 체결부재(220)가 체결될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는, 한 쌍의 링크모듈(300a, 300b)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는, 별도의 체결부재(222)를 통해 커버판넬(200)의 후방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는, 별도의 체결부재(224)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할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는, 링크모듈(300a, 300b)이 배치변경에 따라 커버판넬(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210au, 210bu, 210ad, 210bd)는, 제2아우터도어(140)의 상부가이더(142a, 142b)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와, 제1아우터도어(120)의 하부가이더(122a, 122b)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와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는,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와 한 쌍의 하부홀더(210ad, 210bd)는,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배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링크모듈>
이하에서는, 도 4, 도 7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을 설명한다.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100)가 회전할 때, 도어(100)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시킨다.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100)가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커버판넬(200)을 직선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링크모듈(300a)과, 도어(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링크모듈(300b)을 포함한다. 제1링크모듈(300a)과 제2링크모듈(300b)은 동일한 구성을 기능을 가진 형태로 도어의 좌우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링크모듈(300a)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제1링크모듈(300a)은, 제2링크모듈(3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여, 제2링크모듈(300b)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며, 도 11에서 설명되는 제2링크모듈(300b)은, 제1링크모듈(30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도어브라켓(160a, 16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310), 터브브라켓(80a, 80b)과 제1링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320), 제1링크(310)와 커버판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모듈(300a, 300b)은, 제2링크(320)와 터브브라켓(80a, 80b)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350)과, 제3링크(330)와 커버판넬(200)을 연결하는 링크홀더(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310)는, 제1링크바디(312) 제1링크바디(31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링크(3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연결부(314), 제1링크바디(31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제3링크(33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2연결부(316), 및 제1링크-1연결부(314)와 제1링크-2연결부(316)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브라켓(160a, 160b)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를 포함한다.
제2링크(320)는, 제2링크바디(322), 제2링크바디(32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1링크(3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연결부(324), 제2링크바디(32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2연결부(326)를 포함한다. 제2링크-2연결부(326)는, 링크브라켓(350)을 통해 터브브라켓(80a, 8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링크-2연결부(326)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체결되는 링크브라켓(350)의 링크브라켓-연결부(35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링크(330)는, 제3링크바디(332), 제3링크바디(33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1링크(3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연결부(334), 제3링크바디(33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커버판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2연결부(336)를 포함한다. 제3링크-2연결부(336)는, 링크홀더(340)를 통해 커버판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3링크-2연결부(336)는,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연결부(3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링크(330)에는, 제1도어브라켓(162)와의 마찰을 줄이는 마찰저감부재(360)가 배치된다. 제3링크(330)은, 도어(100)의 회전시,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3링크(330)는, 커버판넬(200)을 도어의 길이방향(Lu-Ld)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으로, 이동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거나, 이동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360)는, 제1도어브라켓(162)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링크(300)의 형태가 변형이나, 링크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링크브라켓(350)은, 일측이 터브브라켓(80a, 80b)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링크(3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링크브라켓(3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320)의 제2링크-2연결부(326)는 위치가 고정된다.
링크브라켓(350)은, 링크브라켓바디(352), 링크브라켓바디(35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2링크(3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연결부(354), 링크브라켓바디(35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터브브라켓(80a, 80b)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체결부(356)를 포함한다.
링크브라켓바디(352)는, 링크브라켓-연결부(354)와 링크브라켓-체결부(356) 사이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브라켓바디(352)에는 복수의 부분에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링크브라켓바디(352)와 터브브라켓(80a, 80b)사이에는 도어브라켓(160a, 160b)이 배치될 수 있다. 링크브라켓바디(352)는, 터브브라켓(80a, 80b)과 평행한 면을 형성하는 수직바디(352a)와, 수직바디(352a)를 터브브라켓(80a, 80b)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수평바디(352b)를 포함한다. 수직바디(352a)의 단부에서 링크브라켓-연결부(354)가 배치되고, 수평바디(352b)의 단부에서 링크브라켓-체결부(356)가 배치된다. 수직바디(352a)와 수평바디(352b)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링크브라켓바디(352)는, 수직바디(352a)와 수평바디(352b)를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부(352c)를 더 포함한다. 이격부(352c)는, 수직바디(352a)와 수평바디(352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도어브라켓(162a, 162b)의 일부구성이 배치되도록 하측으로 공간(352d)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브라켓-체결부(356)는 터브브라켓(80a, 80b)의 일측에 체결되어 배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브라켓-체결부(356)는, 별도의 체결부재(358)를 통해 터브브라켓(80a, 80b)에 체결된다. 링크브라켓-체결부(356)는, 터브브라켓(80a, 80b)에 고정되어, 링크브라켓(350)의 배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도어(100)가 회전하더라도, 제2링크(3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연결부(35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링크홀더(340)는, 링크홀더바디(342), 링크홀더바디(34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3링크(3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홀더-연결부(344), 링크홀더바디(342)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링크홀더-체결부(346)를 포함한다. 링크홀더(340)는, 커버판넬(200)에 체결되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를 통해 커버판넬(200)과 연결된다. 링크홀더(340)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에 체결되어 배치가 고정된다.
링크홀더(340)는, 커버판넬(200)과 링크모듈(300a, 300b)이 체결되는 위치를 터브(10)의 하측으로 배치할 수 있다.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는, 제1아우터도어(120)의 하단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가 폐쇄될 때,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는, 제1아우터도어(120)의 하단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즉, 커버판넬(200)에 장착된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와, 링크홀더(340)의 링크홀더-체결부(346)가 터브(10)의 하측공간에서 체결될 수 있어, 사용자가 커버판넬(200)을 링크모듈(300a, 300b)에 조립할 수 있다. 링크홀더-체결부(346)는, 커버판넬 체결부재(220)에 고정되게 체결되므로, 링크홀더(340)의 배치가 커버판넬(200)과의 관계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는 제1힌지(37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310)와 제3링크(330)는 제2힌지(37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320)는, 링크브라켓(350)과 제3힌지(37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링크(330)는, 링크홀더(340)와 제4힌지(37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310)는 제2링크(320) 및 제3링크(330)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링크-1연결부(314) 중심과 제1링크-2연결부(3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1)의 길이(이하, ‘제1링크의 길이’)는, 제2링크-1연결부(324) 중심과 제2링크-2연결부(32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2)의 길이(이하, 제2링크의 길이’) 및 제3링크-1연결부(334) 중심과 제3링크-2연결부(33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3)의 길이(이하, ‘제3링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3링크(330)의 길이는, 제2링크(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링크축(300c)에서부터 제1링크-2연결부(316)의 중심까지의 직선(이하, ‘제1링크 2직선’, L12)의 길이는, 링크축(300c)에서부터 제1링크-1연결부(314) 중심까지의 직선(이하, ‘제1링크 1직선’, L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에서부터 제3링크(330)와 연결되는 제1링크(310)의 일단부(316)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12) 길이는,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에서부터 제2링크(320)와 연결되는 제1링크(310)의 타단부(314)까지의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11)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링크축(300c)의 이동에 따른 제1링크(310)가 이동할 때, 커버판넬(200)과 연결된 제3링크(330)의 이동범위를 증가시켜, 커버판넬(200)의 도어의 길이방향(Lu-Ld) 이동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링크 1직선(L11)과 제1링크 2직선(L12)는 서로 경사각(θ0)을 형성한다.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에서부터 제3링크(330)와 연결되는 제1링크(310)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12)과, 제1링크-브라켓연결부(318)에서부터 상기 제2링크(320)와 연결되는 제1링크(310)의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11)은, 서로 경사각(θ0)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링크 1직선(L11)과 제1링크 2직선(L12)이 만나는 링크축(300c)은, 제1링크-1연결부(314) 중심과 제1링크-2연결부(3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1)보다 전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링크 1직선(L11)과 제1링크 2직선(L12)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θ0)은,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 1직선(L11)과 제1링크 2직선(L12)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θ0)은, 완전히 개방된 도어(10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 제1링크-2연결부(316)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175도 이하의 범위로 형성되고, 폐쇄된 도어(100)에서 제1링크(310)와 제3링크(330) 사이의 간격을 줄이도록 160도 이상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1링크-1연결부(314) 중심과 제1링크-2연결부(3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1)과, 제3링크-1연결부(334) 중심과 제3링크-2연결부(33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3)이 형성하는 각도가 평각에 가깝게 형성되더라도, 제1링크 2직선(L12)과 제3링크-1연결부(334) 중심과 제3링크-2연결부(33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3)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θ1)은, 상기 평각보다 좁은 각도를 형성하여, 도어(100)의 닫힘시 발생할 수 있는 링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고정부>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고정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10)로부터 개방되는 도어(100)의 배치를 유지하는 도어고정부(3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고정부(390)는, 도어(100)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고정부(390)는, 도어브라켓(160a, 160b)과 연결되어, 도어(100)가 개방되는 반대방향으로 도어(100)에 탄성력을 가한다.
도어고정부(390)는, 도어(100)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92)와, 탄성부재(392)와 도어(1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94), 및 연결부재(394)의 단부에 배치되고, 도어브라켓(160a, 160b)의 도어고정부-연결부(170)에 체결되는 연결클립(396)을 포함한다.
도어고정부(390)는, 연결부재(394)에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부재(3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398)는, 연결부재(394)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마찰을 가하여, 탄성부재(392)와 커버판넬(200)이 장착된 도어(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평행관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무게를 가지는 커버판넬(200)이 장착된 도어(100)가 터브(10)로부터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어고정부(390)는, 도어(100)에 고정되는 제1도어브라켓(162)의 도어고정부-연결부(170)와 연결된다. 제1도어브라켓(162)은, 도어(100)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도어고정부-연결부(170)는, 도어(100)에 도어의 두께방향(Tf-Td) 후방(Td)에 배치된다. 제1도어브라켓(162)에 연결되는 도어고정부(390)는, 제1도어브라켓(162)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는 도어고정부-연결부(170)를 하측(D) 후방(R)으로 힘을 가한다.
<도어의 작동>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링크모듈(300a, 300b)의 배치가 변경되고, 도어(10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커버판넬(200)이 이동한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축(300c)은, 도어 회전축(100a)보다 도어 두께방향(Tf-Tr)으로 후방에 배치된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링크-1연결부(314) 중심과 링크축(300c)을 연결하는 직선(L12)과, 제3링크-1연결부(334) 중심과 제3링크-2연결부(33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3)이 형성하는 각도(이하, ‘제1링크 2직선(L12)과 제3링크(L3)가 형성하는 각도, θ1)는 90도 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링크 2직선(L12)과 제3링크(L3)가 형성하는 각도(θ2)는,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의 초기 열림동작에서 제1링크(310)의 상측으로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판넬(200)로 작용하는 힘이 제3링크(330)와 제1링크 2직선(L12)가 형성하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커버판넬(200)로 작용하는 힘보다 크게 형성하여, 도어(100)의 초기 열림동작에서의 커버판넬(200)의 이동범위가 커지게 할 수 있다.
즉, 도 12a와 같이, 도어(100)가 닫힌 상태로부터 도 12b와 같이, 도어가 절반이상 열린상태까지(이하, ‘초기개방상태에서’),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단위회전당 커버판넬(200)의 이동량이, 도 12b의 도어가 절반이상 열린상태로부터 도 12c의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부터 까지(이하, ‘후기개방상태에서’),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단위회전당 커버판넬(200)의 이동량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링크-1연결부(314) 중심과 링크축(300c)을 연결하는 직선(L11)과, 제2링크-1연결부(324) 중심과 제2링크-2연결부(32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L2)이 형성하는 각도(이하, ‘제1링크 1직선(L11)과 제2링크(L2)가 형성하는 각도, θ1)는 90도 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한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축(300c)은, 도어 회전축(100a)과 제2링크(320)의 제2링크-2연결부(326) 사이에 배치된다.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1링크 2직선(L12)과 제3링크(L3)가 형성하는 각도(θ2)는, 180도보다 작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1링크 2직선(L12)과 제3링크(L3)가 형성하는 각도(θ2)는, 160도 내지 175도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1링크 1직선(L11)과 제2링크(L2)가 형성하는 각도(θ1)는, 직각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1링크 1직선(L11)과 제2링크(L2)가 형성하는 각도(θ1)는,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는,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까지 회전된 상태로, 도 12c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100)가 터브(10)의 개방된 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도어(100)가 개방될 때, 링크축(300c)은, 도어 회전축(100a)의 후방에서, 도어 회전축(100a)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도어(100)가 개방될 때, 링크축(300c)은, 도어회전축(100a)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링크축(300c)의 회전방향은, 링크모듈(300a, 300b)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어(100)가 개방될 때, 제1링크 1직선(L11)과 제2링크(L2)가 형성하는 각도(θ1)는, 45도 이하의 예각에서 90도에 가까운 직각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어(100)가 개방될 때, 제1링크 2직선(L12)과 제3링크(L3)가 형성하는 각도(θ2)는, 45도 이하의 예각에서 180도 미만의 둔각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터브 10a : 세척실
70 : 베이스 80a, 80b : 터브브라켓
82 : 터브체결부 84 : 베이스체결부
86 : 도어연결부 88 : 링크체결부
100 : 도어 110 : 이너도어
120 : 제1아우터도어 120a : 전면판
120b : 테두리부 122a, 122b : 하부가이더
140 : 제2아우터도어 142a, 142b : 상부가이더
160a, 160b : 도어브라켓 162 : 제1도어브라켓
164 : 도어체결부 166 : 터브연결부
168 : 링크연결부 170 : 도어고정부-연결부
180 : 제2도어브라켓 200 : 커버판넬
210au, 210bu : 상부홀더 210ad, 210bd : 하부홀더
220 : 커버판넬체결부재 300a, 300b : 링크모듈
310 : 제1링크 318 : 제1링크-브라켓연결부
320 : 제2링크 330 : 제3링크
340 : 링크홀더 350 : 링크브라켓
360 : 마찰저감부재 390 : 도어고정부

Claims (16)

  1.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베이스;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도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터브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판넬; 및
    상기 도어 및 상기 커버판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회전할 때, 상기 커버판넬을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도어 회전축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를 구비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터브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전방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커버판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회전축의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터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도어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브라켓에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길이는,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타단부까지의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은, 서로 경사각을 형성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160도 내지 175도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터브의 전면과 접촉하여, 상기 터브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이너도어;
    상기 이너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도어; 및
    상기 제1아우터도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제1아우터도어에 체결되고,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도어브라켓과, 상기 제1도어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제2도어브라켓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연결부;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도어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도어에 체결되는 도어체결부; 및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으로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하중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도어에 힘을 가하여, 상기 터브로부터 개방되는 상기 도어의 배치를 유지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터브연결부로부터 도어의 두께방향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고정부와 연결되는 도어고정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 배치되고, 상기 도어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브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브라켓은,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연결부;
    상기 도어연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브와 체결되는 터브체결부; 및
    상기 도어연결부의 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베이스체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터브브라켓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브라켓은, 상기 도어회전축의 후방에서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를 폐쇄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는, 상기 도어회전축과 상기 링크브라켓과 연결되는 상기 제2링크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커버판넬을 연결하는 링크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홀더는,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된 일단부에서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 하측단부에서 상기 커버판넬과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를 폐쇄할 때, 상기 제1링크-브라켓연결부에서부터 상기 제3링크와 연결되는 제1링크의 일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3링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각도는, 45도 이하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KR1020190018560A 2019-02-18 2019-02-18 식기세척기 KR20200100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60A KR20200100371A (ko) 2019-02-18 2019-02-18 식기세척기
AU2020225795A AU2020225795B2 (en) 2019-02-18 2020-01-20 Dishwasher
US17/431,805 US20220142451A1 (en) 2019-02-18 2020-01-20 Dishwasher
EP20759240.3A EP3928675A4 (en) 2019-02-18 2020-01-20 DISHWASHER
PCT/KR2020/000966 WO2020171393A1 (ko) 2019-02-18 2020-01-2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60A KR20200100371A (ko) 2019-02-18 2019-02-18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371A true KR20200100371A (ko) 2020-08-26

Family

ID=7214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60A KR20200100371A (ko) 2019-02-18 2019-02-18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42451A1 (ko)
EP (1) EP3928675A4 (ko)
KR (1) KR20200100371A (ko)
AU (1) AU2020225795B2 (ko)
WO (1) WO20201713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813A1 (ko) * 2020-12-11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408A (ja) * 1991-10-29 1993-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用扉装置
JP3149323B2 (ja) * 1994-10-17 2001-03-26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の扉装置
DE602006012830D1 (de) 2006-08-31 2010-04-22 Bonferraro Spa Haushaltseinbaugerät mit an die Gerätetür angeordneter Vorsatzplatte
PL2407723T3 (pl) 2010-07-14 2018-03-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Zawias przesuwny do urządzenia gospodarstwa domowego
SI24962A (sl) * 2015-04-16 2016-10-28 BlaĹľ Zmazek Gospodinjski aparat, prednostno vgradni pomivalni stroj, z vrati in drsnim panelom, nameščenim na vratih
EP3108791B1 (en) * 2015-06-26 2017-11-08 Whirlpool EMEA S.p.A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inge for a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ITUA20161650A1 (it) * 2016-03-14 2017-09-14 Nuova Star Spa Cerniera per ante di elettrodomestici.
BR112018076268A2 (pt) * 2016-06-30 2019-03-26 Electrolux Appliances AB máquina de lavar louça
IT201700049646A1 (it) * 2017-05-08 2018-11-08 Faringosi Hinges Srl Cerniera per elettrodomestic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813A1 (ko) * 2020-12-11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25795B2 (en) 2023-07-20
AU2020225795A1 (en) 2021-10-07
EP3928675A4 (en) 2022-11-16
EP3928675A1 (en) 2021-12-29
US20220142451A1 (en) 2022-05-12
WO2020171393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91522A1 (en) Dishwasher
KR20060058298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101054115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US20160095498A1 (en) Dish washing machine
KR20070105335A (ko) 식기 세척기
MX2007004667A (es) Protector de goteo para un lavavajillas de tipo gaveta.
KR20200100371A (ko) 식기세척기
AU2020224973B2 (en) Dishwasher
US10420452B2 (en) Dish washing machine
US7415984B2 (en) Tub lip alignment system for a dishwasher
EP3597095B1 (en) Dishwasher
US7578566B2 (en) Ribbed escutcheon for appliance door assembly
KR102334623B1 (ko) 식기 세척기
KR102627641B1 (ko) 식기세척기
US11959507B2 (en) Taper pin for an appliance housing
KR101257507B1 (ko) 식기 세척기
KR100964677B1 (ko) 식기세척기의 흡음재 고정구조
JP4412083B2 (ja) 食器洗浄機の設置方法
KR20170036394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070040461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20220059738A (ko) 식기 세척기
JP2003310523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