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664A -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664A
KR20220032664A KR1020200114265A KR20200114265A KR20220032664A KR 20220032664 A KR20220032664 A KR 20220032664A KR 1020200114265 A KR1020200114265 A KR 1020200114265A KR 20200114265 A KR20200114265 A KR 20200114265A KR 20220032664 A KR20220032664 A KR 2022003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inseng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cer
treating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민
Original Assignee
안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민 filed Critical 안준민
Priority to KR102020011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664A/ko
Publication of KR2022003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 및 흑삼, 흑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흑삼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통하여 동물 내지 인체에서 안전성 확인된 용량의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충분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benzimidazole derivatives and black ginseng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성 확보된 용량의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벤지미다졸 유도체들 중에는 인체용 구충제로 시판되고 있는 알벤다졸(albendazole)과 동물용 구충제로 사용되는 메벤다졸(mebendazole), 플루벤다졸(flubendazole), 옥시벤다졸(oxybendazole), 다이아벤다졸(thiabendazole), 펜벤다졸(pebendazole), 피반텔(febantel) 등이 있고, 이 중 알벤다졸은 인체용뿐만 아니라 동물용 구충제로도 널리 사용된다.
모든 세포 내 구성 성분 중에 존재하는 미세관은 1)세포의 분열, 2)세포의 운동, 3)세포 내 물질의 이동, 4)세포의 형태 유지 등과 같은 네 가지 핵심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벤지미다졸은 알파 튜뷸린과 베타 튜뷸린의 두 가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미세관의 구조 중 알파 튜뷸린의 기능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한다.
벤지미다졸이 선충류를 포함한 기생충 구충제로 개발된 이유는 포유류에 비해 선충류 세포 내 튜뷸린의 활성을 25배에서 400배 더 강하게 억제하기 때문이다. 즉, 포유류 세포에 악영향을 끼치는 용량보다 훨씬 낮은 용량으로 선충류 기생충을 죽일 수 있기 때문에 동물 또는 인체용 구충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벤지미다졸은 사람과 동물을 포함한 포유류 세포 내 튜뷸린에 대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활성을 억제하므로 구충제로서의 사용량보다 과량을 복용할 경우 포유류 세포 내 튜뷸린 활성을 억제할 것이며, 특히 정상 세포보다 훨씬 빠르게 증식하는 암세포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벤지미다졸의 경우 구충제로서 사용되는 용량에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하기 위해서는 안전성 확보되지 않은 과량을 복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는 기형 유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20-0045845호
본 발명자의 다양한 연구 끝에 흑삼과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 동물 내지 인체에서 안전성 확인된 용량의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충분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는 과제는 흑심과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 및
흑삼, 흑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는 알벤다졸(albendazole), 메벤다졸(mebendazole), 플루벤다졸(flubendazole), 옥시벤다졸(oxybendazole), 다이아벤다졸(thiabendazole), 펜벤다졸(pebendazole) 및 피반텔(febante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물 또는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추출한 후 베타-칼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베타-글루카나제(β-glucan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로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추출한 후 유산균 또는 효모로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흑삼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통하여 동물 내지 인체에서 안전성 확인된 용량의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충분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 및
흑삼, 흑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는 알벤다졸(albendazole), 메벤다졸(mebendazole), 플루벤다졸(flubendazole), 옥시벤다졸(oxybendazole), 다이아벤다졸(thiabendazole), 펜벤다졸(pebendazole) 및 피반텔(febante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량은 구충제로 허가 받은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흑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며, 흑삼을 분말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흑삼을 용매 추출한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추출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흑삼 추출물을 효소로 처리하거나 발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효소로 처리한 후 발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효소는 베타-칼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베타-글루카나제(β-glucan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에 이용되는 균주는 흑삼이 발효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모든 균주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또는 효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흑삼 추출물의 제조는
흑삼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효소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유산균 또는 효모,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예 : in vitro에서 종양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조사
in vitro에서 종양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1) 재료
in vitro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종양세포주를 이용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결장암 : HT29,
백혈병 : CCRF-CEM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임파종 : U937
흑색종 : MEXF 462L,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신장암 : RXF 944L,
자궁암 : UXF 1138
전립선암 : PC3
난소암 : OVCAR3
유방암 : MXAF401NL
위암 : GXF251L
2) 세포배양
10% 소 태아의 혈청을 보충한 페놀레드[Life Technologies, Karlsruhe 독일]와 RPMI 1640배지의 단층배양물을 습한 조건(95% 공기, 5% 이산화탄소) 37℃에서 사람의 종양세포들을 자라게 했다.
3) 세포독성 분석
실험에 사용된 화합물의 증식방지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강화된 요오드화프로피듐(propidium iodide)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트립신화로 10% 소 태아의 혈청을 첨가한 1640 배지에서 대수상의 증식을 한 후에 세포들을 얻고,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당 5 ×104 세포)에 플레이트를 한 후 측정하였다.
세포를 대수 증식시키기 위해 24시간의 회복 후, 50㎖의 배양 배지(플레이트당 6개의 대조 웰) 또는 시험 조성물을 함유한 배양배지를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의 두 배 증식기간에 따라 배양 5일 정도 후에 배지를 요오드화프로피듐 6㎍/㎖을 함유한 신선한 배지로 바꾸어 주었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는 전체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도록 -18 ℃에서 24시간동안 보존하였다. 플레이트를 따뜻하게 한 후에 전체 세포수를 정량하기 위하여 밀리포어 싸이토플루오르 2350-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여기파장 530 nm, 방출파장 620 nm)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성장억제율은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T는 시험군을 처리한 후 종양세포수를 나타내며, C는 대조군을 처리한 후 종양세포수를 나타낸다.
4) 시료
알벤다졸(albendazole) 또는 펜벤다졸(pebendazole)을 DMSO에 녹이고 여기에 흑삼 추출물과 배양배지로 희석하여 DMSO의 최종농도가 0.3 %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흑삼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열수 추출후 알파-아밀라제(α-amylase)로 효소 처리한 효소 처리물, 열수 추출 후 알파-아밀라제(α-amylase)로 효소 처리한 다음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발효 발효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흑삼 추출물은 5㎖ 사용하였으며, 알벤다졸과 펜벤다졸은 각각 1㎍/㎖, 3㎍/㎖m 10㎍/㎖, 30㎍/㎖ 100㎍/㎖이었다.
구체적으로
흑삼을 70 내지 100℃의 열수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의 추출물에 효소를 부가하고 25 내지 65℃에서 2 내지 7시간 동안 효소 처리하는 효소처리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가 완료된 추출물에 유산균 또는 효모,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크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넣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8시간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통하여 제조하였다.
시료 1: 알벤다졸
시료 2: 펜벤다졸
시료 3: 흑삼 열수 추출물+알벤다졸
시료 4: 흑삼 효소 처리물+알벤다졸
시료 5: 흑삼 발효물+알벤다졸
시료 6: 흑삼 열수 추출물+펜벤다졸
시료 7: 흑삼 효소 처리물+펜벤다졸
시료 8: 흑삼 발효물+펜벤다졸
5) 세포독성 조사결과
상기 시험예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성장억제율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5-FU를 사용하였다.
종양세포주 시료 1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110 109 94 81 74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112 112 97 85 81
임파종 : U937 99 99 84 77 64
흑색종 : MEXF 462L 99 98 85 77 63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99 99 82 77 62
MEXF 514L 99 99 84 77 62
RXF 944L 99 99 82 75 62
신장암 : RXF 944L 99 99 82 77 70
자궁암 : UXF 1138 99 99 82 75 65
전립선암 : PC3 99 99 84 75 66
유방암 : MXAF401NL 99 98 82 75 66
위암 : GXF251L 99 98 82 76 66
결장암 : HT29 99 98 82 76 64
종양세포주 시료 2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110 109 94 81 71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112 112 97 85 80
임파종 : U937 99 99 84 77 62
흑색종 : MEXF 462L 99 98 85 77 62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99 99 82 77 62
MEXF 514L 99 99 84 77 62
RXF 944L 99 99 82 75 62
신장암 : RXF 944L 99 99 82 77 70
자궁암 : UXF 1138 99 99 82 75 65
전립선암 : PC3 99 99 84 75 66
유방암 : MXAF401NL 99 98 82 75 66
위암 : GXF251L 99 98 82 76 66
결장암 : HT29 99 98 82 76 64
종양세포주 시료 2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75 64 38 20 11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81 61 41 21 15
임파종 : U937 74 55 31 17 4
흑색종 : MEXF 462L 74 57 32 18 7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73 56 31 17 9
MEXF 514L 72 58 33 19 7
RXF 944L 71 55 33 17 5
신장암 : RXF 944L 74 56 33 17 4
자궁암 : UXF 1138 72 56 33 17 2
전립선암 : PC3 73 56 34 16 4
유방암 : MXAF401NL 72 55 31 16 5
위암 : GXF251L 71 55 31 14 4
결장암 : HT29 72 55 31 17 4
종양세포주 시료 4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77 65 40 20 14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84 62 42 21 11
임파종 : U937 74 54 30 15 4
흑색종 : MEXF 462L 74 58 32 18 7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73 56 31 15 8
MEXF 514L 72 58 32 15 4
RXF 944L 71 55 33 14 3
신장암 : RXF 944L 74 56 34 17 4
자궁암 : UXF 1138 72 56 32 15 2
전립선암 : PC3 73 55 34 16 4
유방암 : MXAF401NL 71 55 32 16 2
위암 : GXF251L 71 54 31 17 2
결장암 : HT29 72 57 31 14 4
종양세포주 시료 5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75 62 38 19 12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82 66 40 20 15
임파종 : U937 74 55 31 17 4
흑색종 : MEXF 462L 74 55 32 18 5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73 56 31 17 9
MEXF 514L 72 58 33 17 2
RXF 944L 71 55 33 17 3
신장암 : RXF 944L 74 57 33 17 4
자궁암 : UXF 1138 74 56 33 14 2
전립선암 : PC3 73 56 34 15 2
유방암 : MXAF401NL 72 53 31 14 2
위암 : GXF251L 70 55 31 14 2
결장암 : HT29 72 55 31 14 2
종양세포주 시료 6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75 64 38 20 11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81 61 41 21 15
임파종 : U937 74 55 31 17 4
흑색종 : MEXF 462L 74 57 30 18 7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73 56 31 17 9
MEXF 514L 72 58 33 19 7
RXF 944L 70 55 33 17 5
신장암 : RXF 944L 74 56 33 17 4
자궁암 : UXF 1138 72 52 33 17 2
전립선암 : PC3 73 56 34 18 4
유방암 : MXAF401NL 72 55 31 16 4
위암 : GXF251L 71 55 31 14 4
결장암 : HT29 72 55 31 17 4
종양세포주 시료 7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75 64 38 19 11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80 61 42 20 15
임파종 : U937 74 55 31 14 4
흑색종 : MEXF 462L 74 54 32 14 2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73 56 31 14 5
MEXF 514L 72 58 33 15 7
RXF 944L 71 55 32 17 2
신장암 : RXF 944L 74 56 33 17 4
자궁암 : UXF 1138 72 56 33 17 3
전립선암 : PC3 73 56 34 16 4
유방암 : MXAF401NL 72 55 31 17 2
위암 : GXF251L 71 55 31 14 4
결장암 : HT29 72 55 31 17 2
종양세포주 시료 8
1 3 10 30 100
백혈병 : CCRF-CEM 75 66 38 20 9
전골수성 백혈병 : K562 81 62 41 21 14
임파종 : U937 74 55 31 17 2
흑색종 : MEXF 462L 74 54 32 18 1
비소세포폐암 : LXFL 529L 73 56 31 17 3
MEXF 514L 72 58 33 17 2
RXF 944L 70 55 33 17 2
신장암 : RXF 944L 74 56 33 16 2
자궁암 : UXF 1138 72 56 33 14 2
전립선암 : PC3 73 57 34 15 1
유방암 : MXAF401NL 70 55 31 16 3
위암 : GXF251L 70 55 31 15 1
결장암 : HT29 72 55 31 15 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알벤다졸과 펜벤다졸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100㎍/㎖에서도 암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흑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시료 3 내지 8에서는 알벤다졸과 펜벤다졸을 10㎍/㎖ 사용할 때부터 유효한 암세포 독성을 보여 흑삼 추출물의 사용에 따라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의 사용량을 1/10 이상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흑삼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통하여 동물 내지 인체에서 안전성 확인된 용량의 벤지미다졸계 구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충분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Claims (6)

  1.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 및
    흑삼, 흑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지미다졸계 유도체 구충제는 알벤다졸(albendazole), 메벤다졸(mebendazole), 플루벤다졸(flubendazole), 옥시벤다졸(oxybendazole), 다이아벤다졸(thiabendazole), 펜벤다졸(pebendazole) 및 피반텔(febante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이 물 또는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이 추출한 후 베타-칼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베타-글루카나제(β-glucan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및 셀룰라제(cellul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로 처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이 추출한 후 유산균 또는 효모로 발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이 효소로 처리한 후 유산균 또는 효모로 발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114265A 2020-09-08 2020-09-08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32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265A KR20220032664A (ko) 2020-09-08 2020-09-08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265A KR20220032664A (ko) 2020-09-08 2020-09-08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664A true KR20220032664A (ko) 2022-03-15

Family

ID=8081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265A KR20220032664A (ko) 2020-09-08 2020-09-08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8838A1 (en) * 2021-06-11 2022-12-15 Raincastle Bio. Limited Combination treatment of a saponin agent and an anthelminitic agent against canc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45A (ko) 2018-10-23 2020-05-06 한국원자력의학원 N-1h-벤지미다졸-2-일-3-(1h-피롤-1-일) 벤자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45A (ko) 2018-10-23 2020-05-06 한국원자력의학원 N-1h-벤지미다졸-2-일-3-(1h-피롤-1-일) 벤자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8838A1 (en) * 2021-06-11 2022-12-15 Raincastle Bio. Limited Combination treatment of a saponin agent and an anthelminitic agent against canc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764B1 (ko) 아르트로스피라-계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US10493116B2 (en) Longevity gene expression enhancer
EP4039261A2 (en) Plant extrac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reducing uv damage
KR101124783B1 (ko)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KR20220032664A (ko) 벤지미다졸 유도체와 흑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ukhov et al. Prebiotic effect of native noncovalent arabinogalactan—flavonoid conjugates on bifidobacteria
JP2023138611A (ja) サクラソウ科植物の抽出物の用途
JPWO2019116574A1 (ja) アポトーシス細胞の量を増加させ、ネクローシス細胞の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健康食品及び化粧品並びにアポトーシス細胞の量を増加させ、ネクローシス細胞の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催芽ブドウ種子由来成分の製造方法
US9750677B2 (en) Use of metal complexes which are mimetics of SOD as food agents and as cosmetics
KR20150112617A (ko) 미네랄 성분 및 퀴노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ukul et al.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fective Trichinella spiralis larvae in mice by use of homeopathic drugs
KR20160121632A (ko) 효모 발효 허브 복합체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저자극인 추출물의 제조 방법
Dubini et al. In vitro antimycotic activity and nail permeation models of a piroctone olamine (octopirox) containing transungual water soluble technology
CN113069450B (zh) Fto抑制剂在制备抗氧化产品中的应用
KR101446295B1 (ko) 사가섬 에조엔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DE112016006312T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nthocyaninoligomeren unter Verwendung von Coenzym, das von Aspergillus Sp.-Stamm abgeleitet ist
CN106309415B (zh) 卷柏素类化合物在作为抗真菌药物增效剂中的应用
KR101343367B1 (ko) 지의류 형성 곰팡이의 추출물 또는 시탈론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30410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외용제조성물
WO2022173012A1 (ja) スペルミジン産生促進剤
KR20130027598A (ko) 미백 효능을 갖는 술 지게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 조성물
Itankar Evaluation of in vitro antidandruff activity of biotransformed material (extract) of Nicotiana tabacum leaves
KR100859983B1 (ko) 당뇨로 인한 활성산소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소나무잔나비버섯 추출물 및 그 용도
CN115996714A (zh) 人用抗真菌剂
KR20170058563A (ko) Nrf-2 활성 증진 엉겅퀴 전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