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082A -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082A
KR20220032082A KR1020227004196A KR20227004196A KR20220032082A KR 20220032082 A KR20220032082 A KR 20220032082A KR 1020227004196 A KR1020227004196 A KR 1020227004196A KR 20227004196 A KR20227004196 A KR 20227004196A KR 20220032082 A KR20220032082 A KR 2022003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hamber
valve
discharge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타로 요네자와
요시키 오쿠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ublication of KR2022003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04B9/129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 F04B9/131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with two mechanically connected pumping members
    • F04B9/133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with two mechanically connected pumping members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umping members being obtained by a double-acting elastic-fluid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2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B23/08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00Machines or pumps with differential-surface pistons
    • F04B5/02Machines or pumps with differential-surface pistons with double-act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04B9/129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2Flow-dividers; Priori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18Combined units comprising both motor and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6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elastic elements, e.g. springs, rubber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15B11/072Combined pneumatic-hydraulic systems
    • F15B11/0725Combined pneumatic-hydraulic systems with the driving energy being derived from a pneumatic system, a subsequent hydraulic system displacing or controlling the output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1Systems with pressure sources other than pumps, e.g. with a pyrotechnical charge
    • F15B2211/216Systems with pressure sources other than pumps, e.g. with a pyrotechnical charge the pressure sources being pneumatic-to-hydraul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3Double-acting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7Control of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utput member
    • F15B2211/7725Control of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utput member with automatic recipr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85Control specific to the type of fluid, e.g. specific to magnetorheological fluid
    • F15B2211/8855Compressible fluids, e.g. specific to pneu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발동기 본체(4) 내에 설치되는 피스톤(8)의 상측에 제1 발동실(9)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 제2 발동실(10)이 형성된다. 피스톤(8)으로부터 파일럿 밸브체(18)가 돌설된다. 파일럿 밸브체(18)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급배 밸브(13)가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로 이동될 때에, 급배 밸브(13)의 제1 밸브 부재(25)에 의해서 제1 발동실(9)로의 압력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전환됨과 함께, 급배 밸브(13)의 제2 밸브 부재(26)에 의해서 제2 발동실(10)로의 압력 유체의 배출과 공급이 전환된다.

Description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
이 발명은, 압력 유체(예를 들면 압축 에어)에 의해 피스톤을 구동하는 형식의 발동기(發動機)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유압 펌프 장치에는, 종래에는, 특허문헌 1(일본국·실개평2-13040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종래 유압 펌프 장치에서는, 하우징 내에 피스톤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피스톤의 상측에 왕동(往動) 작동실(作動室)이 형성됨과 아울러, 피스톤의 하측에 복동(復動) 작동실이 형성된다. 왕동 작동실에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상태와 배출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체(弁體)가,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복동 작동실에 압축 에어를 공급하는 상태와 공급 정지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공급 밸브체가, 하우징 내의 전환 밸브체와는 다른 개소(箇所)(위쪽(上方)의 개소)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복동 작동실의 압축 에어를 배출하는 상태와 배출 정지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릴리프(relief) 밸브체가, 공급 밸브체에 당접(當接,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개평2-130401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의 유압 펌프 장치는, 왕동 작동실에 압축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체와, 복동 작동실에 압축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공급 밸브체 및 릴리프 밸브체가,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따로따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유압 펌프 장치는, 전환 밸브체와 공급 밸브체 및 릴리프 밸브체가 왕동 작동실 및 복동 작동실 등의 압력 상태에 따라 따로따로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밸브체가 따로따로 구동되므로 유압 펌프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3개의 밸브체가 각각의 장소에 배치되므로 유압 펌프 장치의 상하방향의 치수도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로 콤팩트한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 도 3,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동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발동기 본체(4)에 형성되는 실린더 구멍(7)에, 피스톤(8)이 해당 실린더 구멍(7)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8)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一端側)에 제1 발동실(發動室)(9)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8)의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他端側)에 제2 발동실(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발동실(10)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1 발동실(9)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기 제1 발동실(9)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2 발동실(10)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상태를 급배(給排) 밸브(13)가 전환한다. 상기 급배 밸브(13)의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급압실(給壓室)(28)이 형성되며, 해당 급압실(28)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 상기 급배 밸브(13)를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 위치로 압동(押動, 밀어서 이동)시킨다. 상기 급배 밸브(13)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전환 작동실(36)이 형성되고, 해당 전환 작동실(36)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 상기 급배 밸브(13)를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 위치로 압동시킨다. 상기 피스톤(8)으로부터 파일럿(pilot) 밸브체(18)가 돌설(突設, 돌출 설치)되며, 해당 파일럿 밸브체(18)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환 작동실(36)에 압력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상태를 전환한다. 상기 급배 밸브(13)가 상기 일단측 위치 또는 상기 타단측 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급배 밸브(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밸브 부재(25)에 의해서 상기 제1 발동실(9)로의 압력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전환됨과 함께, 상기 급배 밸브(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밸브 부재(26)에 의해 상기 제2 발동실(10)로의 압력 유체의 배출과 공급이 전환된다.
상기 본 발명은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동기에서는, 급배 밸브가,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를 해당 급배 밸브와 일체로, 또는, 해당 급배 밸브를 구성하는 1군(群)의 부재 중 일부로서 가지고 있다. 그 급배 밸브가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발동실로의 압력 유체의 공급 및 배출과, 제2 발동실로의 압력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급배 밸브가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동기(同期)하여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동기를 간소한 구조로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하기 (1) 내지 (8)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와,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제2 밸브 부재(26)를 구비한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外周壁)에 통 모양(筒狀)의 상기 제1 밸브 부재(25)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진다(外嵌). 그 제1 밸브 부재(25)가, 제1 스프링(39)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 부세(付勢)됨과 아울러,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으로부터 해당 급배 밸브 본체(24)의 반경방향의 바깥쪽(外方)으로 돌설(突設, 돌출 설치)되는 돌기부(27)에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수용된다. 또한,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통 모양의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 제2 밸브 부재(26)가, 제2 스프링(40)에 의해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부세됨과 아울러, 상기 돌기부(27)에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수용된다.
이 경우, 급배 밸브가 일단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스프링에 의해서 제1 밸브 부재가 일단측으로 부세됨으로써,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流路)가 제1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급배 밸브 본체가 돌기부를 통해 제2 밸브 부재를 일단측으로 이동시켜,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제2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는,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와,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급배 밸브가 타단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급배 밸브 본체가 돌기부를 통해 제1 밸브 부재를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제1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제2 밸브 부재가 제2 스프링에 의해서 타단측으로 부세됨으로써,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제2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는,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2) 상기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와,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급배 밸브가 일단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제1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함께,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제2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함께,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는,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와,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를 확실하게 또한 거의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급배 밸브가 타단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제1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함께,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제2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함께,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는,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를 확실하게 또한 거의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3) 상기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와,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제2 밸브 부재(26)와, 전동(傳動) 부재(87)를 구비한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통 모양의 상기 제1 밸브 부재(25)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 제1 밸브 부재(25)가, 제1 스프링(39)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 부세됨과 아울러,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에 형성된 단차부(段差部)(85)에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수용된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통 모양의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 제2 밸브 부재(26)가, 제2 스프링(40)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부세된다. 또한,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제2 밸브 부재(26) 사이에 통 모양의 전동 부재(87)가 삽입된다. 그 전동 부재(87)가, 상기 제2 밸브 부재(26)를 상기 제2 스프링(40)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이 경우, 급배 밸브가 일단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스프링에 의해서 제1 밸브 부재가 일단측으로 부세됨으로써,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제1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함께,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전동 부재가 제2 밸브 부재를 일단측으로 이동시켜,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제2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함께,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는,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와,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급배 밸브가 타단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급배 밸브 본체의 단차부가 제1 밸브 부재를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제1 밸브 부재에 의해서 차단됨과 아울러, 제1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제2 밸브 부재가 제2 스프링에 의해서 타단측으로 부세됨으로써,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가 제2 밸브 부재에 의해 차단됨과 아울러,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는, 제1 발동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유로와, 제2 발동실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는 유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4) 상기 급배 밸브(13)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보조 스프링(38, 81)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 스프링(38, 81)이 상기 급배 밸브(13)를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 또는 일단측으로 부세(付勢)하고 있다.
이 경우, 급압실(給壓室)에 압력 유체의 압력이 공급되기 전에 있어, 급배 밸브의 패킹(packing) 저항력 등의 마찰력이나 급배 밸브의 자중(自重, 자체 무게)에 의한 저항력을 웃돌도록(上回), 보조 스프링이 급배 밸브를 일단측 위치 또는 타단측 위치로 부세하여 확실하게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급배 밸브가 일단측 위치와 타단측 위치 사이에 있는 중간 위치로 이동되어, 제1 발동실 및 제2 발동실에 압력 유체가 공급되면서 배출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발동기가 동작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제2 발동실(10)과 상기 전환 작동실(36)이 유로(78)에 의해 연통(連通)된다. 그 유로(78)의 일부 또는 전부에 스로틀로(throttle passage)(79)가 형성된다.
상기 발동기에서는, 전환 작동실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가 급배 밸브를 타단 위치를 향해 압동(押動)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그 전환 작동실로부터, 어떤 원인에 의해, 압력 유체가 조금씩 누출(漏出)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급배 밸브가 일단측 위치와 타단측 위치 사이에 있는 중간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제2 발동실의 압력 유체가 유로(스로틀로)를 통해 완만하게 전환 작동실로 공급되므로, 급배 밸브가 타단 위치에서 유지(保持)된다. 그 결과, 발동기가 동작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급압실(28)에 제1 작업용실(作業用室)(29)이 연통된다. 제1 작업용실(29)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밸브 부재(2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급압실(28)에 제2 작업용실(31)이 연통된다. 제2 작업용실(31)의 내부에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제2 작업용실(31)에 배압실(34)이 연통된다. 배압실(排壓室)(34)은 상기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제2 작업용실(3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배압실(34)과 상기 제2 작업용실(31)이, 상기 축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발동기를 간소한 구조로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7) 본 발명의 유압 펌프 장치는, 상기 발동기와, 상기 발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3)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3)는, 플런저(plunger)(22)와 제1 펌프실(61)과 제2 펌프실(62)과 제1 흡입 밸브(65)와 제2 흡입 밸브(66)와 제1 토출(吐出) 밸브(67)와 제2 토출 밸브(68)를 구비한다. 플런저(22)는, 상기 피스톤(8)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펌프(3) 내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플런저(22)의 도중부(途中部)에 대경부(大徑部, 큰 지름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60)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제1 펌프실(61)이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60)의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제2 펌프실(62)이 형성된다. 작동유(作動油)의 흡입구(吸入口)(63)를 상기 제1 펌프실(61)에 연통시키는 제1 흡입로(吸入路)(63a)에 제1 흡입 밸브(65)가 설치되어, 그 제1 흡입 밸브(65)가 상기 흡입구(63)로부터 상기 제1 펌프실(61)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역류(逆流, 반대 흐름)를 제한한다. 상기 흡입구(63)를 상기 제2 펌프실(62)에 연통시키는 제2 흡입로(63b)에 제2 흡입 밸브(66)가 설치되어, 그 제2 흡입 밸브(66)가 상기 흡입구(63)로부터 상기 제2 펌프실(62)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역류를 제한한다. 상기 제1 펌프실(61)을 작동유의 토출구(64)에 연통시키는 제1 토출로(吐出路)(64a)에 제1 토출 밸브(67)가 설치되어, 그 제1 토출 밸브(67)가 상기 제1 펌프실(61)로부터 상기 토출구(64)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역류를 제한한다. 상기 제2 펌프실(62)을 작동유의 토출구(吐出口)(64)에 연통시키는 제2 토출로(64b)에 제2 토출 밸브(68)가 설치되어, 그 제2 토출 밸브(68)가 상기 제2 펌프실(62)로부터 상기 토출구(64)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역류를 제한한다.
이 경우, 플런저는, 발동기에 의해 왕로(往路)와 복로(復路)에서 대략 동일한 구동력으로 이동되어, 그 왕로를 이동할 때와, 복로를 이동할 때의 양쪽에서 작동유를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8) 상기 플런저(22)는, 제1 소경부(小徑部, 작은 지름부)(22a)와 대경부(60)와 제2 소경부(22b)를 가진다. 제1 소경부(22a)는, 상기 피스톤(8)에 연결되어 있다. 그 제1 소경부(22a)보다도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기 대경부(60)가, 제1 소경부(22a)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소경부(22a)와 대략 동일한 직경 치수로 형성되는 제2 소경부(22b)가 상기 대경부(60)에 연결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유압 펌프 장치는, 왕로와 복로에서 거의 동일한 양만큼 작동유를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조로 콤팩트한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유압 펌프 장치의 단면시(斷面視)의 모식도(模式圖)이다.
[도 2] 도 2는, 상기 유압 펌프 장치의 동작 설명도로서, 상기 도 1에 유사한 모식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유압 펌프 장치의 부분도이며, 도 2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유압 펌프 장치의 부분도이며, 도 1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유압 펌프 장치의 부분도이며, 도 2에 유사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유압 펌프 장치(1)는, 압력 유체로서의 압축 에어를 이용하여 왕복 직선 운동하는 공압(空壓) 피스톤 발동기(이하, 간단히 발동기라고 한다.)(2)와, 그 발동기(2)로 구동되어 고압유(高壓油)를 토출하는 플런저식 유압 펌프(이하, 간단히 펌프라고 한다.)(3)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발동기(2)는, 압축 에어의 압력 에너지를 동력으로 변환하는 발동기 본체(4)와, 이 발동기 본체(4)에 압축 에어를 공급·배출하는 압축 에어 급배 기구(이하, 간단히 급배 기구라고 한다.)(5)로 구성된다. 그 발동기(2)와 급배 기구(5)가 펌프(3)에 고정된다.
상기 발동기 본체(4) 내에 실린더 구멍(7)이 상하방향(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실린더 구멍(7)에 구동용 피스톤(8)이 보밀상(保密狀, 밀폐 유지 상태)으로 상하방향(실린더 구멍의 축방향이며, 이하, 간단히, 상기 축방향이라고 한다.)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발동기 본체(4)의 상벽(4a)과 피스톤(8) 사이, 즉, 피스톤(8)의 상측(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제1 발동실(9)이 형성된다. 또한, 발동기 본체(4)의 하벽(4b)과 피스톤(8) 사이, 즉, 피스톤(8)의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제2 발동실(10)이 형성된다. 그 제2 발동실(10)로부터 압축 에어가 배출됨과 함께, 제1 발동실(9)에 압축 에어가 공급되면, 피스톤(8)이 하한(下限) 위치로 이동되어 간다. 또한, 제1 발동실(9)로부터 압축 에어가 배출됨과 아울러, 제2 발동실(10)에 압축 에어가 공급되면, 피스톤(8)이 상한(上限) 위치로 이동되어 간다.
상기 급배 기구(5)는, 발동기 본체(4)의 상측에 배치된 밸브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며, 급배 밸브(13)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발동실(9) 및 제2 발동실(10)이 급배 밸브(13)에 의해서 급압구(給壓口)(14)와 배압구(排壓口)(15)에 전환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압구(14)는, 공급 밸브(16)를 통해 압축 에어원(17)에 접속되어 있으며, 배압구(15)가 외계(外界)(밸브 케이스(12)의 외부)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급배 밸브(13)는, 피스톤(8)으로부터 위쪽(上方)으로 돌설되는 파일럿 밸브체(18)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상한 위치로 압동(押動)된 상태와 도 2에 나타내는 하한 위치로 압동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3)는, 피스톤(8)으로부터 아래쪽(下方)으로 돌설되는 플런저(22)를 가지며, 펌프(3) 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펌프실(21) 내에 플런저(22)가 보밀상으로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플런저(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펌프실(21)의 작동유가 토출구(64)로부터 송출(送出)된다.
다음으로, 상기 급배 기구(5)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 케이스(12) 내에 통 모양의 급배 밸브(13)가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급배 밸브(13)는, 통 모양의 급배 밸브 본체(24)와, 그 급배 밸브 본체(24)의 하부의 외주벽에 보밀상으로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제1 밸브 부재(25)와, 급배 밸브 본체(24)의 상부의 외주벽에 보밀상으로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제2 밸브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그 제1 밸브 부재(25)는,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가진다. 또한, 제2 밸브 부재(26)는,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가진다. 그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으로부터 돌기부(27)가 해당 급배 밸브 본체(24)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둘레방향으로 돌설된다. 그 돌기부(27)에 제1 밸브 부재(25)가 상측(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수용된다. 그 돌기부(27)에 제2 밸브 부재(26)가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수용된다. 즉,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에 제1 밸브 부재(25)와 제2 밸브 부재(26)가 조합된 하나의 조립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동기에서는, 조립체가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로 일체적으로 이동될 때에, 제1 발동실(9)로의 압축 에어의 공급 및 배출과, 제2 발동실(10)로의 압축 에어의 공급 및 배출을 급배 밸브(13)가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동기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발동기는, 간소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7)와 급배 밸브 본체(24)와 일체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 대신에, 급배 밸브 본체(24)와 돌기부(27)로서의 돌기 부재의 2 이상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수용 홈을 둘레방향으로 형성하고, 링 모양의 부재를 절반으로 나눈 형상의 2 이상의 돌기 부재를 수용 홈에 장착하여, 그 돌기 부재의 외주벽을 스냅 링(止輪, 멈춤 링)으로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27)는,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구멍에 압입(壓入)이나 나합(螺合,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핀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밸브 케이스(12) 내에서 급배 밸브 본체(24)의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급압실(28)이 형성된다. 그 급압실(28)은, 밸브 케이스(12)에 형성되는 급압구(14)를 통해서 압축 에어원(17)에 연통되어 있다. 그 급압실(28)은, 급배 밸브(13)의 하부의 외주측(外周側)에 형성되는 제1 작업용실(29)에 연통됨과 함께, 급배 밸브 본체(24)에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연통로(連通路)(30)를 통해서, 급배 밸브(13)의 상부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2 작업용실(31)에 연통된다. 제1 작업용실(29)이, 밸브 케이스(12)에 형성되는 제1 급배 구멍(32)을 통해 제1 발동실(9)에 연통된다. 또한, 제2 작업용실(31)이, 밸브 케이스(12)에 형성되는 제2 급배 구멍(33)을 통해 제2 발동실(10)에 연통된다. 제1 작업용실(29)의 내부에 상기 제1 밸브 부재(25)가 배치되고, 제2 작업용실(31)의 내부에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배치된다.
상기 급배 밸브(13)의 돌기부(27)의 외주측으로서 제1 작업용실(29)과 제2 작업용실(31) 사이에 배압실(34)이 형성된다. 배압실(34)이, 제1 작업용실(29)과 제2 작업용실(31)에 연통됨과 아울러, 소음기(消音器)(35)를 통해, 밸브 케이스(12)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압구(15)에도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복수의 밸브나 작업용실이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발동기(2)에서는, 급배 밸브(13)의 외주측에, 제1 작업용실(29)과 배압실(34)과 제2 작업용실(31)이 상하로 늘어서서 1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동기는, 상하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급배 밸브(13)를 사이에 두고 급압실(28)과는 반대측(상측)에 전환 작동실(36)이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급배 밸브 본체(24)의 통공(筒孔)(24a)의 내측 및 급배 밸브 본체(24)의 상단부의 상측에 전환 작동실(36)이 형성된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하반(下半)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이 되도록 급배 밸브 본체(24)의 상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단부의 수압 면적은, 하반 부분의 수압 면적보다도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술(後述)하는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체(18)가 하한 위치로 이동하여, 급압실(28)이 파일럿 밸브실(45) 등을 통해서 전환 작동실(36)에 연통되었을 때에는, 급압실(28)의 압축 에어의 상향(上向) 압력이 급배 밸브 본체(24)의 하반 부분의 수압면(受壓面)에 작용함과 함께,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의 압력이 급배 밸브 본체(24)의 상단부의 수압면에 작용한다. 따라서,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의 압력이 상단부의 수압 면적에 작용하는 아래쪽으로의 압압력(押壓力)으로부터, 급압실(28)의 압축 에어의 압력이 하반 부분의 수압 면적에 작용하는 상향 압압력을 뺀 차력(差力)이 급배 밸브 본체(24)에 하향(下向)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하반 부분의 수압 면적이란, 봉지(封止, 밀봉) 부재(48)보다도 실린더 구멍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이며, 또한, 봉지 부재(27a)의 상기 반경방향의 안쪽(內方)의 하반 부분의 단면(斷面)의 면적으로서, 급압실의 압축 에어의 압력이 작용하는 하반 부분의 단면의 면적이다. 또한, 상단부의 수압 면적이란, 봉지 부재(48)보다도 상기 반경방향의 바깥쪽이며, 또한, 봉지 부재(27b)의 상기 반경방향의 안쪽의 하반 부분의 단면의 면적으로서,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의 압력이 작용하는 하반 부분의 단면의 면적이다.
상기 상단부의 하측에 스프링실(37)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스프링실(37)은, 호흡 구멍을 통해 배압구(15)에 연통된다. 그 스프링실(37)에 보조 스프링(38)이 장착되고, 그 보조 스프링(38)이 밸브 케이스(12)에 대하여 급배 밸브 본체(24)를 위쪽(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을 향해서 부세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압구(14)에 공급되는 압축 에어의 압력이 급배 밸브(13)에 작용하기 전에 있어, 보조 스프링(38)이 급배 밸브(13)를 위쪽으로 확실하게 부세하므로, 급배 밸브(13)가 상한 위치(상기 축방향의 일단측 위치)로 압동되어 있다. 그 결과, 급배 밸브(13)가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상기 축방향의 타단측 위치) 사이에 있는 중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발동실(9) 및 제2 발동실(10)이 급압구(14) 및 배압구(15)의 양쪽으로 연통되어 유압 펌프 장치가 동작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프링(38)의 부세력이, 적어도, 급배 밸브(13)와 그 급배 밸브(13)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패킹 저항)이나 급배 밸브의 자중 등에 의한 저항력을 웃도는 정도가 되도록 해당 보조 스프링(38)의 스프링 정수(定數)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작업용실(29) 내로서 그 제1 작업용실(29)의 바닥면(底面)과 제1 밸브 부재(25)의 대경부의 하면 사이에 제1 스프링(39)이 장착된다. 그 제1 스프링(39)이 밸브 케이스(12)에 대해서 제1 밸브 부재(25)를 위쪽으로 부세한다. 또한, 제2 작업용실(31) 내로서 제2 작업용실(31)의 천정면(天井面)과 제2 밸브 부재(26)의 대경부의 상면 사이에 제2 스프링(40)이 장착된다. 그 제2 스프링(40)이 밸브 케이스(12)에 대해서 제2 밸브 부재(26)를 아래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상기 제1 작업용실(29)의 바닥면에 제1 급압측(給壓側) 밸브 시트(29a)가 형성된다. 그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에 당접(접촉) 가능한 제1 급압측 밸브면(25a)이, 제1 밸브 부재(25)의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작업용실(29)의 천정면에 제1 배압측(排壓側) 밸브 시트(29b)가 형성된다. 그 제1 배압측 밸브 시트(29b)에 당접 가능한 제1 배압측 밸브면(25b)이, 제1 밸브 부재(25)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작업용실(31)의 천정면에 제2 급압측 밸브 시트(31a)가 형성된다. 그 제2 급압측 밸브 시트(31a)에 당접 가능한 제2 급압측 밸브면(26a)이, 제2 밸브 부재(26)의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작업용실(31)의 바닥면에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가 형성된다. 그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에 당접 가능한 제2 배압측 밸브면(26b)이, 제2 밸브 부재(26)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8)으로부터 파일럿 밸브체(18)가 위쪽으로 돌설된다. 그 피스톤(8)과 동행(同行)하여 파일럿 밸브체(18)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급배 밸브(13)가 급압실(28)과 상기 전환 작동실(36)을 연통시키는 상태와, 차단시키는 상태로 전환한다. 그 결과, 급배 밸브(13)가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로 전환 조작된다. 그 파일럿 밸브체(18)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통공(24a) 내에, 통 모양의 슬리브(sleeve)(44)의 하반 부분인 소경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슬리브(44)의 통공 내에 파일럿 밸브실(45)이 형성된다. 그 파일럿 밸브실(45)에 파일럿 밸브체(18)가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통공(筒孔)(24a)의 내주면(內周面)과 슬리브(44)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18)의 외주면과 통공(24a)의 내주면 사이에 환상(環狀) 봉지 부재(48)가 보밀상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 환상 봉지 부재(48)는, 슬리브(4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용부(49)에 의해서 위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44)의 통공의 내주벽에는 압발(壓拔, pressure releasing) 밸브 시트(52)가 설치되고, 이 밸브 시트(52)에 압발 밸브체(53)(압발 볼)가 폐쇄 스프링(54)에 의해서 아래쪽을 향하여 부세된다. 그 압발 밸브체(53)는, 파일럿 밸브체(18)의 선단부에 그 일부로서 일체 형성되는 압발 조작 로드(이하, 조작 로드라고 한다.)(46)와 당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 케이스(12)의 상부에 형성되는 압발구(壓拔口)(55)가, 배압구(15)를 통해 밸브 케이스(12)의 외부(외계)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44)의 상부에 대경부(大徑部)가 형성되고, 그 대경부의 외주벽과 밸브 케이스(12)의 수용 구멍(77) 사이에 스로틀로(G)가 설치된다. 그 스로틀로(G)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56)이, 슬리브(44)의 상단부와, 밸브 케이스(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벽(上端壁)(57) 사이에 설치된다. 그 개폐 수단(56)은, 상단벽(57)에 형성되는 환상(環狀) 홈에 장착되는 환상 봉지 부재(47)와, 슬리브(44)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환상 계합면(係合面)(44b)을 가지고 있다. 그 슬리브(44)의 계합면(44b)과 봉지 부재(47)가 당접 가능하게 간극을 두고 대면(對面)되어 있다. 그 슬리브(44)가 상승되어 계합면(44b)이 봉지 부재(47)에 당접되면 스로틀로(G)가 폐쇄되고, 계합면(44b)이 봉지 부재(47)로부터 이간(離間)되면 스로틀로(G)가 개방된다. 즉, 전환 작동실(36)의 압력이 설정 압력을 밑돌고(下回) 있을 때에는, 상단벽(57)과 슬리브(44)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 스프링(58)의 부세력에 의해서 해당 슬리브(44)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스로틀로(G)가 개방된다(개폐 수단(56)이 밸브 개방된다.). 또한, 전환 작동실(36)의 압력이 설정 압력을 웃돌 때에는,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가 슬리브(44)를 상단 위치로 이동시켜 스로틀로(G)가 차폐된다(개폐 수단(56)이 밸브 폐쇄된다.).
상기 파일럿 밸브체(18)(조작 로드(46))와 개폐 수단(56)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피스톤(8)의 하강에 동행하여 파일럿 밸브체(18)가 도 1의 상한 위치로부터 도 2의 하한 위치로 전환되는(하강되어 가는) 경우에는, 우선, 압발 밸브체(53)가 밸브 폐쇄 스프링(54)에 의해서 압발 밸브 시트(52)에 착좌(着座)되어, 그 압발구(51)가 폐쇄된다. 이어서, 압발 밸브체(53)로부터 조작 로드(46)가 이간(離間)된다. 계속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체(18)의 외주면이 환상 봉지 부재(48)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간된다.
그러면, 급압실(28) 내의 압축 에어가, 파일럿 밸브체(18)와 환상 봉지 부재(48)와의 밸브 개방 간극·파일럿 밸브실(45)·슬리브(44)의 관통 구멍(44a)을 통해서 전환 작동실(36)로 도입된다.
그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에 의해 슬리브(44)가 밸브 폐쇄 스프링(54)과 압축 스프링(58)의 아래쪽으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승되며, 슬리브(44)의 계합면(44b)이 상단벽(57)의 봉지 부재(47)에 계합된다. 그러면, 전환 작동실(36)이 급속히 가압되어 가고,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가 보조 스프링(38)의 위쪽으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급배 밸브 본체(24)를 강력하게 밀어내려(押下) 도 2의 하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급배 밸브 본체(24)의 돌기부(27)가 제1 밸브 부재(25)를 제1 스프링(39)에 대항하여 밀어 내리면, 제1 배압측 밸브면(25b)을 제2 배압측 밸브 시트(29b)로부터 이간(밸브 개방)시킴과 아울러, 제1 급압측 밸브면(25a)을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에 계합(밸브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발동실(9)은, 제1 급배 구멍(32)과 제1 작업용실(29)과 배압실(34)을 통해서 배압구(15)에 연통된다. 또한, 제2 스프링(40)의 아래쪽으로의 부세력과 급압실(28)로부터의 압축 에어의 압력에 의해 제2 밸브 부재(26)가 밀려 내려가서, 제2 밸브 부재(26)의 제2 급압측 밸브면(26a)을 제2 급압측 밸브 시트(31a)로부터 이간(밸브 개방)시킴과 아울러, 제2 배압측 밸브면(26b)을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에 계합(밸브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발동실(10)은, 제2 급배 구멍(33)과 제2 작업용실(31)과 급압실(28)을 통해서 급압구(14)에 연통된다. 그 결과, 피스톤(8)의 상승 복귀 행정(復歸行程)이 개시된다.
그리고 피스톤(8)의 상승에 동행하여 파일럿 밸브체(18)가 도 2의 하한 위치로부터 도 1의 상한 위치로 전환되는(상승되는) 경우에는, 우선, 파일럿 밸브체(18)의 외주면이 환상 봉지 부재(48)의 내주면에 봉지(封止, 밀봉) 접촉한다. 이어서, 조작 로드(46)가 압발 밸브체(53)를 밸브 폐쇄 스프링(54)에 대항하여 압발 밸브 시트(52)로부터 이간시켜, 전환 작동실(36) 내의 압축 에어를 슬리브(44)의 관통 구멍(44a), 압발 밸브 시트(52)와 압발 밸브체(53) 사이의 밸브 개방 간극, 압발구(51)의 경로로 배압구(15)로부터 밸브 케이스(1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의해, 급압실(28)의 압축 에어의 압력 및 보조 스프링(38)의 부세력에 의해 급배 밸브 본체(24)가 밀어 올려져서 상한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면, 급배 밸브 본체(24)의 돌기부(27)가 제2 밸브 부재(26)를 제2 스프링(40)에 대항하여 밀어올리면, 제2 배압측 밸브면(26b)을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로부터 이간(밸브 개방)시킴과 함께, 제2 급압측 밸브면(26a)을 제2 급압측 밸브 시트(31a)에 계합(밸브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발동실(10)은, 제2 급배 구멍(33)과 제2 작업용실(31)과 배압실(34)을 통해서 배압구(15)에 연통된다. 또한, 제1 스프링(39)의 위쪽으로의 부세력과 급압실(28)로부터의 압축 에어의 압력에 의해서 제1 밸브 부재(25)를 밀어올리고, 제1 밸브 부재(25)의 제1 급압측 밸브면(25a)을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로부터 이간(밸브 개방)시킴과 함께, 제1 배압측 밸브면(25b)을 제1 배압측 밸브 시트(29b)에 계합(밸브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발동실(9)은, 제1 급배 구멍(32)과 제1 작업용실(29)과 급압실(28)을 통해서 급압구(14)에 연통된다. 그 결과, 피스톤(8)의 하강 구동 행정이 다시 개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환상 봉지 부재(48)는, O링 등의 단면(斷面)이 원형인 것에 한하지 않고, 단면 형상이 V자 모양의 것이나 U자 모양의 것 그 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그 재질은, 고무 등의 씰 성능이 뛰어난 것이나, 수지 등의 내마모성이 뛰어난 것이어도 되고, 복수 종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환상 봉지 부재(48)는, 슬리브(44)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 대신에, 슬리브(44)의 내주면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발동기(2)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공압 작동식으로 구성하는 것 대신에, 질소 등의 다른 종류의 가스로 작동시키거나, 유압으로 작동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런저식 유압 펌프(3)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피스톤(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설된 플런저(22)가, 펌프(3)의 하우징(20) 내에 형성되는 펌프실(2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플런저(22)는, 위쪽(일단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제1 소경부(22a)와, 그 제1 소경부(22a)보다도 직경 치수가 큰 대경부(60)와, 제1 소경부(22a)와 거의 동일한 직경 치수의 제2 소경부(22b)를 가지고 있다. 제1 소경부(22a)의 직경 치수와 제2 소경부(22b)의 직경 치수가 대략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플런저(22)가 펌프실(21)로부터 압출하는 작동유는, 왕로에서의 토출량과 복로에서의 토출량이 대략 동일해진다. 또한, 왕로에서의 토출량과 복로에서의 토출량에 차(差)를 두고 싶은 경우에는, 제1 소경부(22a)의 직경 치수와 제2 소경부(22b)의 직경 치수를 상이한 치수로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 제2 소직경부(22b)는 생략해도 된다.
상기 대경부(60)가 펌프실(21)에 보밀상으로 삽입된다. 또한, 대경부(60)의 상측에 제1 펌프실(61)이 형성됨과 함께, 대경부(60)의 하측에 제2 펌프실(62)이 형성된다. 그 유압 펌프(3)의 하우징(20)에 흡입구(63)와 토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그 흡입구(63)는, 작동유의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으며, 토출구(64)는, 외부로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63)는, 제1 흡입로(63a)를 통해서 제1 펌프실(61)에 연통됨과 함께, 제2 흡입로(63b)를 통해서 제2 펌프실(62)에 연통된다. 또한, 토출구(64)는, 제1 토출로(64a)를 통해서 제1 펌프실(61)에 연통됨과 함께, 제2 토출로(64b)를 통해서 제2 펌프실(62)에 연통된다. 제1 흡입로(63a)의 도중부에 제1 흡입 밸브(65)가 설치되며, 제2 흡입로(63b)의 도중부에 제2 흡입 밸브(66)가 설치된다. 그 제1 흡입 밸브(65) 및 제2 흡입 밸브(66)는, 플런저식 유압 펌프(3) 내에 설치된 밸브 시트와, 그 밸브 시트를 향해서 스프링에 의해 부세되는 밸브체로 구성되는 체크 밸브이다. 그 제1 흡입 밸브(65)는, 흡입구(63)로부터 제1 펌프실(61)로의 기름의 흐름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역류를 제한한다. 제2 흡입 밸브(66)는, 흡입구(63)로부터 제2 펌프실(62)로의 기름의 흐름을 허용함과 아울러, 그 역류를 제한한다. 또한, 제1 토출로(64a)의 도중부에 제1 토출 밸브(67)가 설치되고, 제2 토출로(64b)의 도중부에 제2 토출 밸브(68)가 설치된다. 그 제1 토출 밸브(67) 및 제2 토출 밸브(68)는, 제1 흡입 밸브(65) 등과 동일한 구조의 체크 밸브이다. 제1 토출 밸브(67)는, 제1 펌프실(61)로부터 토출구(64)로의 기름(oil)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류를 제한한다. 또한, 제2 토출 밸브(68)는, 제2 펌프실(62)로부터 토출구(64)로의 기름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류를 제한한다.
상기 피스톤(8)을 하강 구동시키면, 플런저(22)의 대경부(60)가 하강한다. 이때, 그 제2 펌프실(62)의 작동유의 압력이 높아져, 그 제2 펌프실(62) 내의 고압의 작동유가 제2 토출 밸브체(76)를 밀어서 열고, 그 고압의 작동유가 토출구(64)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이때, 제1 펌프실(61)의 내압이 흡입구(63) 내의 작동유의 압력보다도 낮아져, 흡입구(63)의 작동유가 제1 흡입 밸브체(70)를 밀어서 열고, 흡입구(63)의 작동유가 제1 펌프실(61)로 흡입된다.
상기 피스톤(8)을 상승 구동시키면, 플런저(22)의 대경부(60)가 상승한다. 이때, 제1 펌프실(61)의 작동유의 압력이 높아져, 그 제1 펌프실(61) 내의 고압의 작동유가 제1 토출 밸브체(74)를 밀어서 열고, 그 고압의 작동유가 토출구(64)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이때, 제2 펌프실(62)의 내압(內壓)이 흡입구(63) 내의 작동유의 압력보다도 낮아져, 흡입구(63)의 작동유가 제2 흡입 밸브체(72)를 밀어서 열고, 흡입구(63)의 작동유가 제2 펌프실(62)로 흡입된다. 이상의 행정(行程)을 반복함으로써, 고압의 작동유가 왕로와 복로의 양쪽에서 토출구(64)로부터 외부로 송출된다. 이 때문에, 플런저(22)는, 발동기(2)에 의해 왕로와 복로에서 대략 동일한 구동력으로 이동되어, 그 왕로를 이동할 때와, 복로를 이동할 때의 양쪽에 있어 압유(壓油)를 연속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왕로에서만 압유를 토출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압유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 펌프 장치는, 압유를 연속해서 토출하므로, 압유의 맥동(脈動)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부재(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참조 숫자를 붙여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유압 펌프 장치(1)에서는, 급배 밸브 본체(24)의 상단부의 상측으로서 전환 작동실(36) 내에 보조 스프링(81)이 장착된다. 그 보조 스프링(81)이 밸브 케이스(12)에 대하여 급배 밸브 본체(24)를 아래쪽(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압 펌프 장치의 급압구(14)에 압축 에어가 공급되기 전에 있어, 보조 스프링(81)이 급배 밸브(13)를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부세한다. 그 결과, 급배 밸브(13)가 중간 위치로 이동되어 유압 펌프 장치(1)가 동작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유압 펌프 장치(1)의 급배 밸브(13)가, 급배 밸브 본체(24)와 제1 밸브 부재(25)와 제2 밸브 부재(26)의 각각의 부재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 대신에, 제2 실시형태의 유압 펌프 장치(1)에서는, 급배 밸브(13)가 급배 밸브 본체(24)와 제1 밸브 부재(25)와 제2 밸브 부재(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급배 밸브(13)보다도, 본 실시형태의 급배 밸브쪽이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유압 펌프 장치(1)의 제1 작업용실(29)의 저벽(底壁, 바닥벽)에 수용 홈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링 모양의 제1 밸브 시트 부재(82)가 장착된다. 그 제1 밸브 시트 부재(82)의 상면에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가 형성된다. 그 급배 밸브(13)가 하한 위치로 이동하여, 제2 밸브 부재(26)의 제2 배압측 밸브면(26b)이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에 당접함과 함께, 제1 밸브 부재(25)의 제1 급압측 밸브면(25a)이 제1 밸브 시트 부재(82)의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에 당접된다. 이때, 제1 밸브 시트 부재(82)는, 급배 밸브(13)에 의해 탄성 변형되므로, 급배 밸브(13)와 밸브 케이스(12)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을 흡수하도록 상기 밸브면과 밸브 시트가 확실하게 또한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동기하여 당접(밸브 폐쇄)된다. 여기서, 제1 밸브 시트 부재(82)(및, 후술하는 제2 밸브 시트 부재(83))는, 수지, 고무, 그 외 소재, 그것들의 2 이상의 소재를 조합한 것, 또는, 접시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과 링 모양의 부재를 조합한 것 등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밸브 시트 부재(82)가, 제1 작업용실(29)의 저벽의 수용 홈에 장착되는 것 대신에, 제1 작업용실(29)의 천정벽에 형성되는 수용 홈에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밸브 시트 부재(82)의 하면에 제1 배압측 밸브 시트(29b)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작업용실(31)의 천정벽에 수용 홈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수용 홈에 제1 밸브 시트 부재(82)와 동일한 링 모양의 제2 밸브 시트 부재(83)가 장착된다. 그 밸브 시트 부재(83)의 하면에 제2 밸브 시트(31a)가 형성된다. 그 급배 밸브(13)가 상한 위치로 이동하여, 제1 밸브 부재(25)의 제1 배압측 밸브면(25b)이 제1 배압측 밸브 시트(29b)에 당접됨과 함께, 제2 밸브 부재(26)의 제2 급압측 밸브면(26a)이 제2 밸브 시트 부재(83)의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a)에 당접한다. 이때, 제2 밸브 시트 부재(83)는, 급배 밸브(13)에 의해 탄성 변형되므로, 급배 밸브(13)와 밸브 케이스(12)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을 흡수하도록 상기 밸브면과 밸브 시트가 확실하게 당접된다. 또한, 상기 제2 밸브 시트 부재(83)가, 제2 작업용실(31)의 천정벽의 수용 홈에 장착되는 것 대신에, 제2 작업용실(31)의 저벽에 형성되는 수용 홈에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밸브 시트 부재(83)의 상면에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가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44)의 대경부가 삽입되는 수납 구멍(77)과 급압구(14)를 연통시키는 유로(78)가, 밸브 케이스(12)에 형성된다. 그 유로(78)의 도중부에 스로틀부(79)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급압구(14)에 공급되는 압축 에어가, 유로(78)의 스로틀부(79), 스로틀부(G)를 통해 전환 작동실(36)에 공급된다.
여기서, 유로(78)를 가지지 않는 도 1, 2에 나타내는 유압 펌프 장치에서는, 압발 밸브체(53)가 압발 밸브 시트(52)에 당접되어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파일럿 밸브실(45)의 압축 에어가 어떤 원인에 의해 누출되어 가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급배 밸브(13)가 도 3의 하한 위치로부터 중립(中立) 위치로 상승하므로, 급압구(14)가 제1 작업용실(29) 및 제2 작업용실(31)을 통해 배압구(15)로 연통됨과 아울러, 제1 발동실(9) 및 제2 발동실(10)이 배압구(15)로 연통된다. 이 때문에, 최악일 경우, 압유 펌프 장치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유압 펌프 장치에서는, 제2 발동실(10) 경유(經由)로 상기 유로(78)를 통해서 완만하게 전환 작동실(36)로 공급된 압축 에어가, 파일럿 밸브실(45)로부터 누출된 압축 에어를 보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유압 펌프 장치의 동작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로(78)와 같이, 그 유로(78)의 일부에 스로틀로(79)를 마련하는 것 대신에, 유로(78)의 전부에 스로틀로(79)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부재(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참조 숫자를 붙여서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본 실시형태의 급배 기구(5)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급배 기구(5)의 밸브 케이스(12) 내에 통 모양의 급배 밸브(13)가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급배 밸브(13)는, 통 모양의 급배 밸브 본체(24)와, 그 급배 밸브 본체(24)의 하부의 외주벽에 보밀상으로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제1 밸브 부재(25)와, 급배 밸브 본체(24)의 상부의 외주벽에 보밀상으로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제2 밸브 부재(26)와, 제1 밸브 부재(25)와 제2 밸브 부재(26) 사이에 삽입되는 통 모양의 전동(傳動) 부재(87)를 가지고 있다. 그 제1 밸브 부재(25)는,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가진다. 또한, 제2 밸브 부재(26)는,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가진다.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에 제1 밸브 부재(25)와 제2 밸브 부재(26)와 전동 부재(87)가 조합된 하나의 조립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동기에서는, 조립체가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로 일체적으로 이동될 때에, 제1 발동실(9)로의 압축 에어의 공급 및 배출과, 제2 발동실(10)로의 압축 에어의 공급 및 배출을 급배 밸브(13)가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동기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급압실(28)은, 급배 밸브(13)의 하부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1 작업용실(29)에 연통됨과 함께, 급배 밸브 본체(24)에 상하방향(상기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연통로(30)를 통하여, 급배 밸브(13)의 상부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2 작업용실(31)에 연통된다. 제1 작업용실(29)이, 밸브 케이스(12)에 형성되는 제1 급배 구멍(32)을 통해 제1 발동실(9)에 연통된다. 또한, 제2 작업용실(31)이, 밸브 케이스(12)에 형성되는 제2 급배 구멍(33)을 통해 제2 발동실(10)에 연통된다. 제1 작업용실(29)의 내부에 상기 제1 밸브 부재(25)가 배치되고, 제2 작업용실(31)의 내부에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배치된다. 또한, 배압실(34)의 내부에 전동 부재(87)가 배치된다. 그 전동 부재(87)의 하부가 제1 밸브 부재(25)의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보밀상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전동 부재(87)의 상단면이 제2 밸브 부재(26)에 당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전동 부재(87)의 하면과 제1 밸브 부재(25)의 상면 사이에 작동실(88)이 형성되고, 그 작동실(88)에 압축 에어를 급배(給排)하는 유로(84)가 제1 밸브 부재(25)에 형성된다. 그 유로(84)가 작동실(88)과 제1 작업용실(29)을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가,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가진다. 그 급배 밸브 본체(24)의 대경부의 외주측으로서 제1 작업용실(29)과 제2 작업용실(31) 사이에 배압실(34)이 형성된다.
파일럿 밸브체(18)(조작 로드(46))와 개폐 수단(56)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피스톤(8)의 하강에 동행하여 파일럿 밸브체(18)가 도 4의 상한 위치로부터 도 5의 하한 위치로 전환되는(하강되어 가는) 경우에는, 우선, 압발 밸브체(53)가 밸브 폐쇄 스프링(54)에 의해 압발 밸브 시트(52)에 착좌되어, 그 압발구(51)가 폐쇄된다. 이어서, 압발 밸브체(53)로부터 조작 로드(46)가 이간된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 본체(18)의 외주면이 환상 봉지 부재(48)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간된다.
그러면, 급압실(28) 내의 압축 에어가, 파일럿 밸브체(18)와 환상 봉지 부재(48)와의 밸브 개방 간극·파일럿 밸브실(45)·슬리브(44)의 관통 구멍(44a)을 통해서 전환 작동실(36)로 도입된다.
그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에 의해 슬리브(44)가 밸브 폐쇄 스프링(54)과 압축 스프링(58)의 아래쪽으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승되고, 슬리브(44)의 계합면(44b)이 상단벽(57)의 봉지 부재(47)에 계합된다. 그러면, 전환 작동실(36)이 급속히 가압되어 가고, 전환 작동실(36)의 압축 에어가 보조 스프링(38)의 위쪽으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급배 밸브 본체(24)를 강력하게 밀어내려 도 5의 하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급배 밸브 본체(24)의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85)가 제1 밸브 부재(25)를 제1 스프링(39)에 대항하여 밀어 내리면, 제1 배압측 밸브면(25b)을 제2 배압측 밸브 시트(29b)로부터 이간(밸브 개방)시킴과 함께, 제1 급압측 밸브면(25a)을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에 계합(밸브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발동실(9)은, 제1 급배 구멍(32)과 제1 작업용실(29)과 배압실(34)을 통해서 배압구(15)에 연통된다. 이어서, 제2 스프링(40)의 아래쪽으로의 부세력과 급압실(28)로부터의 압축 에어의 압력에 의해 제2 밸브 부재(26)가 밀려 내려가서, 제2 밸브 부재(26)의 제2 급압측 밸브면(26a)이 제2 급압측 밸브 시트(31a)로부터 이간(밸브 개방)됨과 함께, 제2 배압측 밸브면(26b)이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에 계합(밸브 폐쇄)된다. 이에 의해, 제2 발동실(10)은, 제2 급배 구멍(33)과 제2 작업용실(31)과 급압실(28)을 통해 급압구(14)에 연통된다. 그 결과, 피스톤(8)의 상승 복귀 행정이 개시된다.
그리고 피스톤(8)의 상승에 동행하여 파일럿 밸브체(18)가 도 5의 하한 위치로부터 도 4의 상한 위치로 전환되는(상승되는) 경우에는, 우선, 파일럿 밸브체(18)의 외주면이 환상 봉지 부재(48)의 내주면에 봉지 접촉한다. 이어서, 조작 로드(46)가 압발 밸브체(53)를 밸브 폐쇄 스프링(54)에 대항하여 압발 밸브 시트(52)로부터 이간시켜, 전환 작동실(36) 내의 압축 에어를 슬리브(44)의 관통 구멍(44a), 압발 밸브 시트(52)와 압발 밸브체(53) 사이의 밸브 개방 간극, 압발구(51)의 경로로 배압구(15)로부터 밸브 케이스(1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의해, 급압실(28)의 압축 에어의 압력 및 보조 스프링(38)의 부세력에 의해 급배 밸브 본체(24)가 밀려 올라가서 상한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면,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장착되는 봉지 부재(86)와 제1 밸브 부재(25)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제1 스프링(39)의 위쪽으로의 부세력과 급압실(28)의 압력에 의한 압압력이 제1 밸브 부재(25)를 밀어올려, 제1 밸브 부재(25)의 제1 급압측 밸브면(25a)을 제1 급압측 밸브 시트(29a)로부터 이간(밸브 개방)시킴과 함께, 제1 배압측 밸브면(25b)을 제1 배압측 밸브 시트(29b)에 계합(밸브 폐쇄)시킨다. 이에 의해서, 제1 발동실(9)은, 제1 급배 구멍(32)과 제1 작업용실(29)과 급압실(28)을 통해 급압구(14)에 연통된다. 또한, 제1 작업용실(29) 내의 압축 에어가 작동실(88)에 공급되고, 그 작동실(88)의 압축 에어에 의한 압압력이 전동 부재(87)를 통하여 제2 밸브 부재(26)를 제2 스프링(40)에 대항하여 밀어올린다. 그러면, 제2 배압측 밸브면(26b)이 제2 배압측 밸브 시트(31b)로부터 이간(밸브 개방)됨과 함께, 제2 급압측 밸브면(26a)이 제2 급압측 밸브 시트(31a)에 계합(밸브 폐쇄)된다. 이에 의해, 제2 발동실(10)은, 제2 급배 구멍(33)과 제2 작업용실(31)과 배압실(34)을 통해서 배압구(15)에 연통된다. 그 결과, 피스톤(8)의 하강 구동 행정이 다시 개시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상기 압력 유체는, 예시한 압축 에어 대신에, 다른 기체 또는 압유 등의 액체여도 된다.
상기 급배 밸브(13)는,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 대신에,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급압실(28)을 급배 밸브(13)의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설치하는 것 대신에, 급배 밸브(13)의 상측(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전환 작동실(36)을 급배 밸브(13)의 상측(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설치하는 것 대신에, 급배 밸브(13)의 하측(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 급압구(14)를 유압 펌프 장치의 우측에 설치하는 것 대신에, 상측이나 다른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 보조 스프링(38) 및 보조 스프링(81)은 생략해도 된다. 상기 제1 스프링(39) 및 제2 스프링(40)은 생략해도 된다.
그 밖에, 당업자가 상정(想定)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3 : 펌프, 4 : 발동기 본체, 5 : 급배 기구, 7 : 실린더 구멍, 8 : 피스톤, 9 : 제1 발동실, 10 : 제2 발동실, 12 : 밸브 케이스, 13 : 급배 밸브, 22 : 플런저, 24 : 급배 밸브 본체, 24a : 통공, 25 : 제1 밸브 부재, 26 : 제2 밸브 부재, 27 : 돌기부, 28 : 급압실, 29 : 제1 작업용실, 31 : 제2 작업용실, 34 : 배압실, 36 : 전환 작동실, 38 : 보조 스프링, 39 : 제1 스프링, 40 : 제2 스프링, 46 : 조작 로드, 60 : 대경부, 61 : 제1 펌프실, 62 : 제2 펌프실, 63 : 흡입구, 63a : 제1 흡입로, 63b : 제2 흡입로, 64 : 토출구, 64a : 제1 토출로, 64b : 제2 토출로, 65 : 제1 흡입 밸브, 66 : 제2 흡입 밸브, 67 : 제1 토출 밸브, 68 : 제2 토출 밸브, 73 : 제1 토출로, 78 : 유로, 79 : 스로틀로, 81 : 보조 스프링, 85 : 단차부, 87 : 전동 부재.

Claims (9)

  1. 발동기(發動機) 본체(4)에 형성되는 실린더 구멍(7)에 해당 실린더 구멍(7)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8)과,
    상기 피스톤(8)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一端側)에 형성되는 제1 발동실(9)과,
    상기 피스톤(8)의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他端側)에 형성되는 제2 발동실(10)과,
    상기 제2 발동실(10)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1 발동실(9)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기 제1 발동실(9)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함과 함께 상기 제2 발동실(10)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급배(給排) 밸브(13)와,
    상기 급배 밸브(13)의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급압실(給壓室)(28)로서, 해당 급압실(28)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서 상기 급배 밸브(13)를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 위치로 압동(押動)시키는 급압실(28)과,
    상기 급배 밸브(13)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전환 작동실(36)로서, 해당 전환 작동실(36)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서 상기 급배 밸브(13)를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 위치로 압동시키는 전환 작동실(36)과,
    상기 피스톤(8)으로부터 돌설(突設)되는 파일럿(pilot) 밸브체(18)로서, 해당 파일럿 밸브체(18)의 상기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전환 작동실(36)에 압력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파일럿 밸브체(18)를 구비하며,
    상기 급배 밸브(13)가 상기 일단측 위치 또는 상기 타단측 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급배 밸브(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밸브 부재(25)에 의해서 상기 제1 발동실(9)로의 압력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전환됨과 함께, 상기 급배 밸브(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밸브 부재(26)에 의해서 상기 제2 발동실(10)로의 압력 유체의 배출과 공급이 전환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와,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外周壁)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外嵌) 통 모양의 상기 제1 밸브 부재(25)로서, 제1 스프링(39)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 부세(付勢)됨과 함께,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으로부터 해당 급배 밸브 본체(24)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설되는 돌기부(27)에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수용되는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상기 제2 밸브 부재(26)로서, 제2 스프링(40)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부세됨과 함께, 상기 돌기부(27)에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수용되는 상기 제2 밸브 부재(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와,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 밸브(13)는, 급배 밸브 본체(24)와,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상기 제1 밸브 부재(25)로서, 제1 스프링(39)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 부세됨과 함께,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에 형성된 단차부(段差部)(85)에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수용되는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급배 밸브 본체(24)의 외주벽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깥으로 끼워지는 통 모양의 상기 제2 밸브 부재(26)로서, 제2 스프링(40)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 부세되는 상기 제2 밸브 부재(26)와,
    상기 제1 밸브 부재(25)와 상기 제2 밸브 부재(26) 사이에 삽입되는 통 모양의 전동(傳動) 부재(87)로서, 상기 제2 밸브 부재(26)를 상기 제2 스프링(40)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전동 부재(8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 밸브(13)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보조 스프링(38, 81)이 장착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38, 81)이 상기 급배 밸브(13)를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 또는 일단측으로 부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동실(10)과 상기 전환 작동실(36)이 유로(流路)(78)에 의해서 연통(連通)되며, 그 유로(78)의 일부 또는 전부에 스로틀로(throttle passage)(7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압실(28)에 연통되는 제1 작업용실(作業用室)(29)로서, 내부에 상기 제1 밸브 부재(25)가 배치되는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급압실(28)에 연통되는 제2 작업용실(31)로서, 내부에 상기 제2 밸브 부재(26)가 배치되는 제2 작업용실(31)과,
    상기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제2 작업용실(31)에 연통되는 배압실(排壓室)(34)로서, 상기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제2 작업용실(3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압실(34)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작업용실(29)과 상기 배압실(34)과 상기 제2 작업용실(31)이, 상기 축방향으로 늘어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발동기와, 상기 발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펌프(3)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로서,
    상기 피스톤(8)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펌프(3) 내에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plunger)(22)로서, 해당 플런저(22)에 형성되는 대경부(大徑部)(60)를 가지는 플런저(22)와,
    상기 대경부(60)의 상기 축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제1 펌프실(61)과,
    상기 대경부(60)의 상기 축방향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제2 펌프실(62)과,
    작동유(作動油)의 흡입구(吸入口)(63)를 상기 제1 펌프실(61)에 연통시키는 제1 흡입로(吸入路)(63a)에 설치되는 제1 흡입 밸브(65)로서, 상기 흡입구(63)로부터 상기 제1 펌프실(61)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류(逆流)를 제한하는 제1 흡입 밸브(65)와,
    상기 흡입구(63)를 상기 제2 펌프실(62)에 연통시키는 제2 흡입로(63b)에 설치되는 제2 흡입 밸브(66)로서, 상기 흡입구(63)로부터 상기 제2 펌프실(62)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류를 제한하는 제2 흡입 밸브(66)와,
    상기 제1 펌프실(61)을 압유(壓油)의 토출구(吐出口)(64)에 연통시키는 제1 토출로(吐出路)(64a)에 설치되는 제1 토출 밸브(67)로서, 상기 제1 펌프실(61)로부터 상기 토출구(64)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류를 제한하는 제1 토출 밸브(67)와,
    상기 제2 펌프실(62)을 작동유의 토출구(64)에 연통시키는 제2 토출로(64b)에 설치되는 제2 토출 밸브(68)로서, 상기 제2 펌프실(62)로부터 상기 토출구(64)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그 역류를 제한하는 제2 토출 밸브(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2)는, 상기 피스톤(8)에 연결되는 제1 소경부(小徑部)(22a)와, 그 제1 소경부(22a)보다도 큰 지름으로 형성됨과 함께, 해당 제1 소경부(22a)에 연결되는 상기 대경부(60)와, 제1 소경부(22a)와 대략 동일한 직경 치수로 형성되도록 상기 대경부(60)에 연결되는 제2 소경부(2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장치.
KR1020227004196A 2019-08-09 2020-07-31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 KR20220032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8215 2019-08-09
JPJP-P-2019-148215 2019-08-09
PCT/JP2020/029512 WO2021029236A1 (ja) 2019-08-09 2020-07-31 発動機およびその発動機を備える油圧ポン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082A true KR20220032082A (ko) 2022-03-15

Family

ID=7457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196A KR20220032082A (ko) 2019-08-09 2020-07-31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25705A1 (ko)
EP (1) EP4012177B1 (ko)
JP (1) JP7426122B2 (ko)
KR (1) KR20220032082A (ko)
CN (1) CN114270034B (ko)
TW (1) TWI761899B (ko)
WO (1) WO2021029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6279B (zh) * 2021-06-30 2024-05-17 北京航空航天大学宁波创新研究院 高压油路切换装置及液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0401A (ja) 1988-11-10 1990-05-18 Daishowa Seiki Co Ltd タッチセンサ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8602A (ja) * 1984-04-02 1985-10-21 Inaba Rasenkan Seisakusho:Kk 流体の圧力増幅装置
JPH0749041Y2 (ja) * 1989-04-03 1995-11-13 相生精機株式会社 流体圧駆動連続作動型往復動アクチュエータ
JPH0544633A (ja) * 1991-08-09 1993-02-23 Kosumetsuku:Kk ガス増圧器
JP2946005B2 (ja) * 1991-08-09 1999-09-06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ガス増圧器
JP3898695B2 (ja) * 2004-01-16 2007-03-28 エスア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高圧流体発生装置
WO2009011012A1 (ja) * 2007-07-18 2009-01-22 Pascal Engineering Corporation エア駆動型油圧ポンプ
CN103764950B (zh) * 2011-09-09 2017-02-15 英格索尔-兰德公司 具有可编程逻辑控制器接口的空气马达及改造空气马达的方法
JP5969318B2 (ja) * 2012-08-28 2016-08-17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加圧エア駆動式ピストン往復動型油圧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0401A (ja) 1988-11-10 1990-05-18 Daishowa Seiki Co Ltd タッチセン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2177B1 (en) 2024-05-15
US20220325705A1 (en) 2022-10-13
EP4012177A1 (en) 2022-06-15
JPWO2021029236A1 (ko) 2021-02-18
TWI761899B (zh) 2022-04-21
JP7426122B2 (ja) 2024-02-01
WO2021029236A1 (ja) 2021-02-18
CN114270034B (zh) 2023-06-02
CN114270034A (zh) 2022-04-01
TW202117194A (zh) 2021-05-01
EP4012177A4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705A (en) Air drive pumps and components therefor
JP5969318B2 (ja) 加圧エア駆動式ピストン往復動型油圧ポンプ
KR20220032082A (ko) 발동기 및 그 발동기를 구비하는 유압 펌프 장치
US5050482A (en) Apparatus for driving piston by fluid pressure
CN112689714B (zh) 流体压力缸
TW201700889A (zh) 流路單元及切換閥
US20220196006A1 (en) Reduced pressurization shift within diaphragm pump cavity
KR100317585B1 (ko) 유체압피스톤발동기
JP2022077812A (ja) 発動機およびその発動機を備える油圧ポンプ装置
JP4428671B2 (ja) 流体圧発生装置
JPH08326924A (ja) リップパッキン及びシール構造
JP6796291B2 (ja) エアシリンダ
JP2000271800A (ja) 機械プレスの過負荷防止装置
JP3898695B2 (ja) 高圧流体発生装置
JP7436426B2 (ja) 増圧装置
CN111226046B (zh) 控制阀
JP3342929B2 (ja) 高圧流体発生装置
JP6932885B2 (ja) 液圧シリンダ装置
JP6780820B2 (ja) エアシリンダ
JP6954804B2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
JP2019065989A (ja) 油圧作動装置及びパン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