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489A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1489A KR20220031489A KR1020210074987A KR20210074987A KR20220031489A KR 20220031489 A KR20220031489 A KR 20220031489A KR 1020210074987 A KR1020210074987 A KR 1020210074987A KR 20210074987 A KR20210074987 A KR 20210074987A KR 20220031489 A KR20220031489 A KR 202200314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plate
- vibrating
- frame
- speak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4 Polyphthal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75 polyphta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2—Clamping rim of diaphragm or cone against sea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7—Diaphragms comprising metallic mater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201—Damping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diaphragms by addition of additional damp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과제]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피커(X)는, 진동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면부(13)를 갖는 진동판(1)과, 진동판(1)의 이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2)과, 진동판(1)을 지지하는 프레임(3)과, 보이스 코일(2)을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4)와, 진동판(1)의 표면과 대향하고, 진동면부(13)의 질량을 조정하는 질량 조정 부재(5)를 구비하고,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면부(13)의 표면에 고정된 판면부(51)와, 판면부(51)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52)를 갖고 있다.
[해결 수단] 스피커(X)는, 진동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면부(13)를 갖는 진동판(1)과, 진동판(1)의 이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2)과, 진동판(1)을 지지하는 프레임(3)과, 보이스 코일(2)을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4)와, 진동판(1)의 표면과 대향하고, 진동면부(13)의 질량을 조정하는 질량 조정 부재(5)를 구비하고,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면부(13)의 표면에 고정된 판면부(51)와, 판면부(51)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52)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댐퍼를 가진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기(磁氣) 회로에 의해 생성된 자장(磁場) 중에 보이스 코일을 배치하여, 그 보이스 코일에 음성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 자체가 진동함과 동시에 보이스 코일이 접촉하는 진동판이 진동하여 음파를 방사하는 다이내믹형 스피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2 참조). 특허 문헌 1 내지 2에 기재된 스피커는, 진동판의 이면 측에 배치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진동판의 이상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댐퍼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피커는, 돔형의 진동판과, 진동판의 외주연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표면 측에 볼록 형상으로 되는 에지(edge)와, 에지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진동판의 이면에는, 질량 부가 부재로 되는 보빈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보빈에 보이스 코일이 감겨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피커는, 보빈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를 가지고 있으며,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 사이의 보빈의 외주면에 댐퍼의 일단부가 접착 고정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바닥판에 댐퍼의 타단부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스피커는, 돔형의 진동판이 중앙에 돔부를 가짐과 함께 돔부의 주위에 표면 측에 볼록 형상이 되는 에지부를 갖고, 보빈이 돔부의 외주연부로부터 늘어뜨려져 있으며, 이 보빈에 보이스 코일이 감겨 있다. 돔부에 일체 형성된 댐퍼가, 보빈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뻗어나가고 있으며, 댐퍼의 선단부를 프레임의 바닥판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근래, 휴대 전화 등에 이용되는 마이크로스피커가 보급되어 있으며, 스피커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내지 2에 기재된 스피커와 같이 진동판과 접속된 보빈을 설치하고, 이 보핀에 보이스 코일을 감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소형 스피커에 있어서 조립이 어려웠다. 즉,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소형 스피커에서, 그 구조상, 보빈을 설치할 공간이 없는 경우가 많고, 또, 진동판의 일부에 보빈을 형성함으로써 보빈이 얇아지기 때문에, 조립이 곤란하였다. 게다가, 특허 문헌 1 내지 2에 기재된 스피커는, 진동판의 이면 측에 댐퍼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이나 자기 회로를 회피해서 댐퍼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서, 설계 자유도가 뒤떨어져, 스피커의 박형화를 도모하는데 지장이 되고 있었다.
그래서,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피커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특징 구성은, 진동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면부를 갖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면부의 이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와, 상기 진동판의 표면과 대향하여, 상기 진동면부의 질량을 조정하는 질량 조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질량 조정 부재는, 상기 진동면부의 상기 표면에 고정된 판면부와, 당해 판면부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를 갖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서는, 진동판의 이면에 보이스 코일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보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진동판의 이면에 대향하는 질량 조정 부재가 댐퍼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 없이 진동판의 이상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댐퍼가 진동판의 이면에 대향하는 질량 조정 부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판의 이면 측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이나 자기 회로와 같은 부품의 수용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것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진동면부의 표면에 고정된 판면부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에 의해, 진동면부로부터 판면부를 통해서 전파되는 이상 진동에 대해서 제진(制振)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질량 조정 부재가 상기 진동판보다도 강성이 높은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진동판의 질량을 조정하는 질량 조정 부재가 진동판보다도 강성을 높게 구성하면, 최저 공진 주파수를 낮게 해서 저음을 내기 쉬워져, 스피커 음역을 넓힐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면부의 주위로 뻗어나가는 에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에지부가 상기 이면 측에 볼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에지부를 이면 측에 볼록 형상으로 하면, 진동판에 대한 이면측에의 인장 응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진동판의 뒤틀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진동판의 표면에 배치되는 질량 조정 부재의 댐퍼와 에지부의 간섭을 신경 쓰지 않고, 진동판 및 질량 조정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판면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는, 상기 판면부의 한 쌍의 측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당해 측변으로부터 긴 판 형상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의 장판부(長板部)와, 복수의 상기 장판부의 타단부를 접속하는 환상부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댐퍼의 장판부를 판면부의 한 쌍의 측변으로부터 뻗어나가게 하면, 가공이 용이하고, 댐퍼에 의한 제진(制振)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장판부의 타단부를 접속하는 환상부를 설치하면, 질량 조정 부재의 취급이 용이해져, 조립성이 보다 향상된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에 끼워 유지되는 환상의 주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환상부는, 상기 주연부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주연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진동판의 주연부와 질량 조정 부재의 환상부(環狀部)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주연부와 프레임 사이에 끼워 유지시키면, 조립성이 더 높아질 뿐 아니라 질량 조정 부재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판면부가 상기 진동면부보다도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판면부의 표면적을 진동면부의 표면적보다도 크게 하면, 진동면부와 함께 진동하는 판면부의 유효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음압을 올리는 것이 가능해져, 양호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피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피커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피커의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그 이외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질량 조정 부재이다.
도 6은 그 이외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질량 조정 부재이다.
도 7은 그 이외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질량 조정 부재이다.
도 2는 스피커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피커의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그 이외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질량 조정 부재이다.
도 6은 그 이외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질량 조정 부재이다.
도 7은 그 이외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질량 조정 부재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피커(X)의 일례로서, 돔 형상의 다이나믹형 스피커로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피커(X)는, 자기 회로(4)에 의해 생성된 자계 중에 보이스 코일(2)을 배치하고, 이 보이스 코일(2)에 음성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보이스 코일(2) 자체가 진동함과 동시에 보이스 코일(2)이 고정되어 있는 진동판(1)이 진동하여 음파를 방사하는 다이나믹형 스피커이다. 이하에서는, 보이스 코일(2)에서 보아 진동판(1)의 측을 상부, 그 반대를 하부로 정의하고, 보이스 코일(2)과 진동판(1)의 적층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진동판(1)의 양면 중 보이스 코일(2)의 측을 이면(裏面), 그 반대를 표면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X)는, 진동에 의해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판(1)과, 진동판(1)의 이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2)과, 진동판(1)을 지지하는 프레임(3)과, 프레임(3)의 안쪽에 배치되어, 발생 자속을 쇄교(interlinkage; 鎖交)시켜 보이스 코일(2)를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4)와, 진동판(1)의 표면에 대향하는 질량 조정 부재(5)와, 자기 회로(4)가 고정된 바닥판(6)을 구비하고 있다.
진동판(1)은, 스피커(X)에 생긴 진동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얇은 판 형상의 부재이다. 진동판(1)은,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을 이용한 수지 필름이나 금속 필름 등의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은, 직사각형 환상의 외주(外周) 프레임부(11)(주연부의 일례)와, 외주 프레임부(1)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진동판(1)의 이면 측으로 되는 아래에 볼록 형상의 곡면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환상의 에지부(12)와, 에지부(12)의 내주(內周) 측에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진동면을 포함하는 진동면부(13)를 갖고 있다.
진동판(1)은, 후술하는 프레임(3)의 제2 프레임(3B)의 제2 테두리부(33) 상에 고정되고, 프레임(3)의 제1 프레임(3A)과 제2 프레임(3B) 사이에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가 끼워져 있다. 외주 프레임부(11)의 이면과 제2 프레임(3B)의 제2 테두리부(33)의 상부면은, 예를 들어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는, 원호 형상의 4개의 모서리부(11a)와 4개의 모서리부(11a) 사이에 각각 형성된 4변의 직선 형상부(11b)로 형성되어 있다. 에지부(12)는, 외주 프레임부(11)와 진동면부(13)를 접속하는 환상 가동 부재이다. 이 에지부(12)는, 진동면부(13)의 주위로 뻗어나가고 있으며, 진동면부(13)의 진동에 의해 공진한다.
진동면부(13)는, 보이스 코일(2)에서 생긴 진동 에너지를 공기에 전파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한다. 진동면부(13)의 상부면(표면)에는, 진동판(1)의 진동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판형상의 질량 조정 부재(5)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도 1도 참조).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판(1)의 진동면의 질량의 조정이나 제진 등의 음질 조정을 하기 위한 부재이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보이스 코일(2)은, 도선을 감아서 각진 통 형상으로 형성한 도전성 부재이며, 통전의 방향과 강약에 대응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기구이다. 보이스코일(2)은, 자기가 생긴 자계와, 후술하는 자석(M)에서 생긴 자계(磁界)의 상호 작용에 의해, 통전된 전기 에너지를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자기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진폭으로 진동시킨다. 보이스 코일(2)은 이 진동에 의해 진동면부(13)를 진동시킨다.
보이스 코일(2)은, 직사각형 형상의 권회부(21)와, 한 쌍의 리드선(22, 22)(인출선)을 갖고 있다. 권회부(21)의 축심 방향(두께 방향)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권회부(21)의 상부면은 진동면부(13)의 하부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2)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생긴 진동 에너지는, 진동면부(13)에 전달되어 음파로 변환된다. 한 쌍의 리드선(22, 22)은, 한 쌍의 단자(7, 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3)은, 폴리프탈아마이드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된 직사각형 환상의 테두리체이다. 프레임(3)은, 진동판(1)의 표면 측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3A)과, 진동판(1)의 이면 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3B)을 갖고 있다.
제1 프레임(3A)은, 직사각형 환상의 제1 테두리부(31)와, 제1 테두리부(31)의 네 귀퉁이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다리부(32)를 갖고 있다. 제1 테두리부(31)는, 하부면에 후술하는 질량 조정부재(5)의 환상부(52b)가 배치된 외부 테두리부(31a)와, 외부 테두리부(31a)로부터 위쪽으로 단 빠진 내부 테두리부(31b)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내부 테두리부(31b)와 질량 조정 부재(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32)는, 제1 테두리부(31)의 모서리부를 구성하는 외부 테두리부(31a)의 교차하는 2변에 걸치듯이 단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테두리부(31)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해당 모서리부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잘라서 깎은 관통 구멍을 형성한 노치 구멍부(32a)를 갖고 있다.
제2 프레임(3B)은, 직사각형 환상의 제2 테두리부(33)와, 제2 테두리부(33)의 단변(短邊)으로 되는 양측부로부터 내측으로 뻗어나가고, 한 쌍의 단자(7, 7)를 지지하는 단자 지지부(34)와, 제2 테두리부(33)의 네 귀퉁이에서부터 장변(長邊)을 따라서 내측으로 뻗어나가고, 바닥판(6)의 네 귀퉁이가 접착 고정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바닥판 고정부(35)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단자(7)는, 프레임(3) 측의 일단부가 리드선(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7)의 타단부는, 외부에 노출된 외부 단자(71)와, 외부 단자(71)의 타단부로부터 U자 형상으로 되접어 꺾인 되접어 꺾임부(72)와, 되접어 꺾임부(72)로부터 내측으로 뻗어나가서, 선단을 굴곡시킨 뻗어나옴부(73)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테두리부(33)의 상부면에는, 상부면에 전술한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의 이면이 접착된다. 이 제2 테두리부(33)는, 네 귀퉁이의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돌기부(33a)와, 돌기부(3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프레임(3A)의 다리부(32)의 내부 형태를 따라서 절결부로 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노치부(33b)를 포함하고 있다. 노치부(33b)를 다리부(32)의 내부 형태를 따르게 한 상태에서, 돌기부(33a)가 다리부(32)의 노치 구멍부(32a)에 걸어맞춤으로써, 제1 프레임(3A)과 제2 프레임(3B)이 고정된다(도 1도 참조).
단자 지지부(34)는, 상부면에 단자(7)의 외부 단자(71)가 재치되는 단자대(34a)와, 제2 테두리부(33)의 한 개의 장변에 있어서의 양단의 모서리부에 있는 노치부(33b)의 하부면을 움푹 패게 하여 형성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에 걸쳐서 단자(7)의 되접어 꺾임부(72)가 따르는 지지 오목부(34b)와, 단자(7)의 뻗어나옴부(73)를 하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벽부(34c)를 갖고 있다. 이 지지 벽부(34c) 중 뻗어나옴부(73)의 굴곡진 선단이 배치되는 부위에는, 해당 선단이 탄성 변형 가능한 공간으로서, 관통 구멍(34c1)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 회로(4)는, 자석(M)과 극편(pole piece)(B)을 갖고 있다. 자석(M)은, 페라이트 자석 등의 영구 자석이다. 자석(M)은 자계를 보이스 코일(2)에 작용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석(M)은, 보이스 코일(2)의 권회부(21)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서, 권회부(21)의 내측 영역에 배치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 자석(41)과, 권회부(21)의 외측 영역에 배치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한 쌍의 제2 자석(42, 42)을 포함하고 있다(도 4도 참조).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 42)은, 상하 방향에서, 보이스 코일(2)의 권회부(21)의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 42)은, 바닥판(6)의 상부면에 재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 42)은, 바닥판(6)의 상부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 42)은, 각 판면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바와 같은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자석(41)과 제2 자석(42, 42)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방향은 역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41)의 상부면의 자극이 N극일 경우, 제2 자석(42, 42)의 상부면의 자극은 S극이다. 이 경우, 제1 자석(41)으로부터 생기는 자계는, 상부면으로부터 권회부(21)의 외주를 통과해서, 제2 자석(42, 42)의 상부면에 흐르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자석(42, 42)은, 제2 테두리부(33)의 장변에 장축(長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극편(B)은, 권회부(21)의 내측 영역에 배치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 극편(43)과, 권회부(21)의 외측 영역에 배치되고, 직사각형 판 형상의 한 쌍의 제2 극편(44, 44)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극편(43)은 제1 자석(41)의 상부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고정되며, 한 쌍의 제2 극편(44, 44)은 각각, 한 쌍의 제2 자석(42, 42)의 상부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 극편(4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면의 단면 형상은, 제1 자석(41)의 수평면에서의 단면 형상과 같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극편(43)은, 보이스 코일(2)의 권회부(2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4도 참조). 제1 자석(41)의 일부 및 제1 극편(43)은, 권회부(21)의 축심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서, 권회부(21)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극편(43)의 상부면은, 상하 방향에서 권회부(21)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극편(43)은, 자성 재료(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자석(41)에서 발생한 자속을 권회부(21)에 쇄교시키도록 수속(收束)시킨다.
한 쌍의 제2 극편(44, 44)은, 각각, 그의 길이방향을, 제2 자석(42, 4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2 극편(44, 44)은, 권회부(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극편(44, 44)은,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2 자석(42, 42)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자석(42, 42)의 내측 영역(보이스 코일(2)에 근접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자석(42, 42)의 일부 및 제2 극편(44, 44)은, 권회부(21)의 축심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권회부(21)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극편(44, 44)의 상부면은, 상하 방향에서 권회부(21)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극편(44, 44)은, 자성 재료(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자석(42, 42)이 발생한 자속을 권회부(21)에 수속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극편(44, 44)의 상부면은, 제1 극편(43)의 상부면보다도 낮고, 진동판(1)의 에지부(1)의 볼록 형상의 곡면의 최하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다(도 4 참조). 이것에 의해, 진동판(1)의 에지부(12)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 제2 극편(44, 44)이 에지부(12)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자석(41)과 제2 자석(42)의 상부면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각각 제1 극편(43)과 제2 극편(44, 44)에 의해 수속되어 권회부(21)에 쇄교하여 흐른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2)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도 보이스 코일(2)에 큰 전자력을 작용시켜 큰 진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스피커(X)는 적은 전류에서 큰 음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판(1)의 진동면이 되는 진동면부(13)의 질량 조정이나 제진 등의 음질 조정을 하기 위한 얇은 판 형상의 부재이다. 질량 조정 부재(5)는,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진동판(1)보다도 강성이 높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나, 금속 박판 등이어도 상관없다.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면부(13)의 표면에 고정된 판면부(51)와, 판면부(51)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5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질량 조정 부재(5)에서는, 판면부(51)와 댐퍼(52)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판면부(51)는, 진동면부(13)와 동일한 직사각형 판형상 그리고 동일한 표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면부(51)의 하부면이 진동면부(13)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어, 진동판(1)의 진동 상태를 안정시킨다. 또한 판면부(51)는 진동면부(13)보다도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진동면부(13) 및 판면부(51)의 진동하는 유효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음압을 올릴 수 있게 되어, 스피커(X)의 음역을 확대할 수 있다.
댐퍼(52)는, 판면부(51)의 한 쌍의 측변(장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측변으로부터 진동판(1)의 판면과 평행하게 긴 판 형상으로 뻗어나가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변에 각각 2개의 총 4개)의 장판부(52a)와, 복수의 장판부(52a)의 타단부를 직사각형 환상으로 접속하는 환상부(52b)를 갖고 있다. 댐퍼(52)는, 보이스 코일(2)에서부터 진동면부(13) 및 판면부(51)에 전달된 이상 진동을 흡수(감쇠)하는 제진 기구이다.
각각의 장판부(52a)는, 일단부가 판면부(51)의 한 쌍의 장변 중앙 부근으로부터 뻗어나가고, 타단부가 환형상부(52b)의 모서리부(52b1)의 근방의 단변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장판부(52a)는, 환상부(52b)의 4개의 직선 형상부(52b2) 중, 장변으로 되는 한 쌍의 직선 형상부(52b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52a1)와, 환상부(52b)의 4개의 직선 형상부(52b2) 중, 내측을 향하여 경사부(52a1)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활처럼 굽은 만곡부(彎曲部)(52a2)를 포함하고 있다. 환상부(52b)는, 원호 형상의 4개의 모서리부(52b1)와, 4개의 모서리부(52b1) 사이에 각각 형성된 4변의 직선 형상부(52b2)로 형성되어 있어,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와 같은 직사각형 판형상 그리고 동일한 표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환상부(52b)의 하부면은,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환상부(52b)는,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와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3A)과 외주 프레임부(11)(제2 프레임(3B))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다.
바닥판(6)은, 냉간 압연 강판 등의 금속제 자성재료(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6)은, 평판부(61)와, 평판부(61) 중 단변을 위쪽으로 굴곡시킨 굴곡부(62)를 포함하고 있다. 평판부(61)의 상부면에는, 제1 자석(41) 및 한 쌍의 제2 자석(42, 42)이 접착되는 위치에 다수의 비관통구멍인 유저공(有底孔)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이 앵커 효과를 발휘하여 접착 강도를 높이고 있다. 평판부(61)의 네 귀퉁이에는, 장변의 모서리에서부터 단변을 따라 돌출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볼록부(6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변을 따른 한 쌍의 볼록부(61a)의 사이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오목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61a) 주변이 제2 프레임(3B)의 바닥판 고정부(35)의 하부면에 접착 고정되어, 오목부(61b)에서부터 제2 자석(42)의 하부면의 일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4도 참조). 또한, 굴곡부(65)는, 단자 지지부(34)의 지지벽부(34c)와 제1 자석(41) 및 제1 극편(43)(보이스 코일(2)의 권회부(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판(1)의 이면에 보이스 코일(2)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판(1)을 늘어뜨린 보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판(1)의 표면에 대향하는 질량 조정 부재(5)가 댐퍼(52)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늘리지 않고, 진동판(1)의 이상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댐퍼(52)가, 진동판(1)의 표면에 대향하는 질량 조정 부재(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판(1)의 이면 측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2)이나 자기 회로(4) 같은 부품의 수용 공간이 확보되어, 설계 자유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면부(13)에 고정된 판면부(51)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댐퍼(52)에 의해, 진동면부(13)로부터 판면부(51)를 통해 전파되는 이상 진동에 대해서 제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질량 조정 부재(5)는, 진동판(1)보다도 강성이 높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저 공진 주파수를 낮추어 저음을 내기 쉬워져, 스피커(X)의 음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에지부(12)를 진동판(1)의 이면 측에 볼록 형상으로 하면, 진동판(1)에 대한 이면 측에의 인장 응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진동판(1)의 왜곡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진동판(1)의 표면에 배치되는 질량 조정 부재(5)의 댐퍼(52)와 에지부(12)의 간섭을 신경 쓰지 않고, 진동판(1) 및 질량 조정 부재(5)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보다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댐퍼(52)의 장판부(52a)를 판면부(51)의 한 쌍의 측변으로부터 뻗어나가게 하고 있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댐퍼(52)에 의해 제진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 장판부(52a)의 타단부를 접속하는 환상부(52b)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질량 조정 부재(5)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조립성이 보다 향상된다. 게다가,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와 질량 조정 부재(5)의 환상부(52b)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외주 프레임부(11)(제2 프레임(3B))와 제1 프레임(3A) 사이에 끼워 유지시키면, 조립성이 더 높아질 뿐만 아니라, 진동판(1) 및 질량 조정 부재(5)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질량 조정 부재(5)의 댐퍼(52)는, 환상부(52b)를 생략하여, 장판부(52a)의 선단부를 절곡한 절곡부(52c)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52c)를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1)(제2 프레임(3B))와 제1 프레임(3A) 사이에 끼워 유지시켜도 된다.
(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질량 조정 부재(5)의 댐퍼(52)는, 장판부(52a)에 부가하여, 판면부(51)와 환상부(52b)를 접속하는 직선형상의 접속부(52d)를 복수(도면에서는 6개) 설치해도 된다.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질량 조정 부재(5)의 댐퍼(52)는, 환상부(52b)를 대신하여, 한 쌍의 장판부(52a)의 선단부를 연결시킨 연결부(52e)를 설치하고, 이 연결부(52e)를 진동판(1)의 외주 프레임부(1)(제2 프레임(3B))와 제1 프레임(3A) 사이에 끼워 유지시켜도 된다.
(4)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댐퍼(52)의 장판부(52a)는 계단 형상이나 물결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5)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질량 조정 부재(5)에 일체 형성된 댐퍼(52)를 갖춘 스피커(X)라면, 보이스 코일(2), 프레임(3) 및 자기 회로(4) 등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댐퍼를 갖는 스피커에 이용 가능하다.
1: 진동판
2: 보이스 코일
3: 프레임
5: 질량 조정 부재
4: 자기 회로
11: 외주 프레임부(주연부)
12: 에지부
13: 진동면부
51: 판면부
52: 댐퍼
52a: 장판부
52b: 환상부
X: 스피커
2: 보이스 코일
3: 프레임
5: 질량 조정 부재
4: 자기 회로
11: 외주 프레임부(주연부)
12: 에지부
13: 진동면부
51: 판면부
52: 댐퍼
52a: 장판부
52b: 환상부
X: 스피커
Claims (6)
- 스피커로서,
진동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진동면부를 갖는 진동판;
상기 진동면부의 이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 및
상기 진동판의 표면과 대향하고, 상기 진동면부의 질량을 조정하는 질량 조정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질량 조정 부재는 상기 진동면부의 상기 표면에 고정된 판면부와, 당해 판면부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댐퍼를 갖고 있는, 스피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조정 부재는 상기 진동판보다 강성이 높은, 스피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면부 주위로 뻗어나가는 에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에지부는 상기 이면측에 볼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면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는 상기 판면부의 한 쌍의 측변에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고 당해 측변으로부터 긴 판 형상으로 뻗어나가는 복수의 장판부(長板部)와, 상기 복수의 장판부의 타단부를 접속하는 환상부를 갖고 있는, 스피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프레임에 끼워 유지되는 환상의 주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환상부는 상기 주연부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주연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는, 스피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면부는 상기 진동면부보다도 큰 표면적을 갖고 있는,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149104 | 2020-09-04 | ||
JP2020149104A JP7510312B2 (ja) | 2020-09-04 | 2020-09-04 | スピーカ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1489A true KR20220031489A (ko) | 2022-03-11 |
Family
ID=8039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4987A KR20220031489A (ko) | 2020-09-04 | 2021-06-09 | 스피커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78557A1 (ko) |
JP (1) | JP7510312B2 (ko) |
KR (1) | KR20220031489A (ko) |
CN (1) | CN11414367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39373B (zh) * | 2024-03-25 | 2024-08-02 |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 扬声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90815A (ja) | 2008-06-02 | 2009-12-10 | Hosiden Corp | スピーカ |
JP2013030872A (ja) | 2011-07-27 | 2013-02-07 | Jvc Kenwood Corp | ダンパ構造,パッシブラジエータ,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90311A (ja) | 2012-10-30 | 2014-05-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スピーカ用ダンパおよびスピーカ |
JP6634605B2 (ja) | 2014-09-10 | 2020-01-2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ラウドスピーカと、これを搭載した移動体装置 |
CN107409260A (zh) | 2015-02-11 | 2017-11-28 | 奥音科技(北京)有限公司 | 超声波模式下的电动换能器 |
US20180109893A1 (en) | 2016-10-18 | 2018-04-19 | Bdnc (Holding) Limited | Hard speaker radiating diaphragms with light-curable voice coil attachment |
EP3635973B1 (en) | 2017-06-09 | 2021-08-04 | Ask Industries Societa' per Azioni | Loudspeaker structure |
-
2020
- 2020-09-04 JP JP2020149104A patent/JP7510312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6-09 KR KR1020210074987A patent/KR2022003148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7-21 US US17/381,431 patent/US2022007855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09-03 CN CN202111031981.2A patent/CN11414367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90815A (ja) | 2008-06-02 | 2009-12-10 | Hosiden Corp | スピーカ |
JP2013030872A (ja) | 2011-07-27 | 2013-02-07 | Jvc Kenwood Corp | ダンパ構造,パッシブラジエータ,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043691A (ja) | 2022-03-16 |
CN114143678A (zh) | 2022-03-04 |
JP7510312B2 (ja) | 2024-07-03 |
US20220078557A1 (en) | 2022-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17032B2 (en) | Speaker device | |
CN109587610B (zh) | 声音转换器 | |
US9185494B2 (en) |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 |
KR101770378B1 (ko) | 댐퍼 진동판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피커 | |
US20140185839A1 (en) | Suspension structure of multi-functional type vibration actuator | |
KR20190123992A (ko) |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 |
KR101622155B1 (ko) | 센터 진동판 형상을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 |
JP2023129251A (ja) | スピーカ | |
KR20220031489A (ko) | 스피커 | |
JPWO2019077925A1 (ja) | スピーカ、および、振動板ユニット | |
JP5528866B2 (ja) | 多機能型発音体および携帯情報端末 | |
KR101363512B1 (ko) | 마이크로 스피커 | |
TWI487387B (zh) | 多功能微型揚聲器(三) | |
KR20200143790A (ko) | 비원형 진동자 | |
JP2021190851A (ja) | スピーカ | |
TWI837831B (zh) | 揚聲器 | |
CN118678268B (zh) | 发声装置和电子设备 | |
KR102028854B1 (ko) | 진동판 | |
CN212727403U (zh) | 扬声器 | |
US20240348984A1 (en) | Electroacoustic conversion device | |
KR20240141089A (ko) |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커 | |
KR102699321B1 (ko) | 음향 진동 엑추에이터 | |
KR102152980B1 (ko) | 패널 가진형 익사이터 | |
KR101948826B1 (ko) | 진동판 | |
KR20230123674A (ko) | 굴곡부가 형성된 보이스코일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