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35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351A
KR20220031351A KR1020200113175A KR20200113175A KR20220031351A KR 20220031351 A KR20220031351 A KR 20220031351A KR 1020200113175 A KR1020200113175 A KR 1020200113175A KR 20200113175 A KR20200113175 A KR 20200113175A KR 20220031351 A KR20220031351 A KR 2022003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upled
shaft
coupling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준
조홍준
이종민
노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351A/ko
Priority to CN202180074244.2A priority patent/CN116368272A/zh
Priority to US17/466,733 priority patent/US20220112645A1/en
Priority to JP2023514939A priority patent/JP2023540120A/ja
Priority to EP21194822.9A priority patent/EP3964623A1/en
Priority to JP2023514794A priority patent/JP2023540515A/ja
Priority to US17/466,965 priority patent/US20220074110A1/en
Priority to PCT/KR2021/011946 priority patent/WO2022050766A1/en
Priority to AU2021335817A priority patent/AU2021335817A1/en
Priority to AU2021335818A priority patent/AU2021335818A1/en
Priority to EP21194791.6A priority patent/EP3964628A1/en
Priority to PCT/KR2021/011950 priority patent/WO2022050768A1/en
Publication of KR2022003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하는 드럼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에서 연장되는 회전축의 자유단과 직접 결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물리력을 가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되는데, 공통적으로 히터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고 상기 열풍을 의류에 노출시킴으로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근자에는, 건조기는 의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캐비닛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도 생략하여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건조기는 상기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하되,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의 표면이 상기 열풍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의류의 표면 전체가 고르게 상기 열풍과 접촉하여 건조가 완료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에 결합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건조기는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터브가 존재하지 않게 때문에, 세탁기와 같이 구동부를 터브에 고정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캐비닛의 배면에 고정하는 건조기가 등장하였다.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08191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115455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06372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124674A 참조]
도1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캐비닛 배면에 결합된 종래 건조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과,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드럼(2)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패널(1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었다.
전술한 종래 건조기의 구동부(3)는 공통적으로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1)와, 상기 스테이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와, 상기 로터(32)와 결합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3)을 포함할 수 있었고, 상기 회전축(33)의 rpm을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켜 상기 드럼(2)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감속기(37)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 건조기는 공통적으로 상기 구동부(3)를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하는 고정부(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는 상기 스테이터(31)를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41)와, 상기 회전축(33)을 상기 배면패널(11)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4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건조기들은 상기 드럼(2)에 결합된 회전축(33)과 상기 구동부(3)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기 드럼(2)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11)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당히 작은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진동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배면패널(11)은 상기 구동부(3)의 하중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2)의 하중까지 상기 회전축(33)을 통해 전달받게 되므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 내부에 의류가 편심되어 있거나, 회전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드럼(2) 내부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 배면패널(11)로 반복적인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배면패널(11)이 진동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1)에 진동이나 외력이 전달되어 일시적이라도 상기 배면패널(11)이 휘거나 변형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3)와 상기 드럼(2)을 연결하는 회전축(33)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3)에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상기 회전축(33)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1)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1)이 진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터(32)와 상기 스테이터(31)의 간격이 일시적으로 가변되어 상기 로터(32)가 상기 스테이터(31)에 충돌하거나 불필요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구동부(3)가 상기 감속기(37)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37)에 결합된 회전축(33)과, 상기 감속기(37)에서 상기 드럼(2)으로 연결되는 감속축(33a)이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이때, 상기 감속기(37)가 상기 스테이터(31)나 상기 회전축(33)을 통해 상기 배면패널(11)에 지지되므로, 상기 배면패널(11)이 조금이라도 변형되면 상기 감속축(33a)과 상기 회전축(33)이 틀어지거나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33)에 연결된 감속축(33a)은 상기 드럼(33)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구동부(3)에 결합된 회전축(33)보다 위치 변화량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면패널(11)이 일시적으로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기울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3)가 작동할 때마다, 상기 회전축(33)과 상기 감속축(33a)이 어긋나게 되어 상기 감속기(37)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속기(37)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건조기에서 드럼(200)에 상기 구동부(33)를 직접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부(33)의 동력을 상기 드럼(200)에 전달시키는 회전축을 결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 처럼, 종래 건조기에서는 상기 구동부(33)를 상기 드럼(200)에 결합시키는 구체적인 구조를 명시한 바 없으므로 세탁기의 드럼(200)과 구동부(33)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2는 종래 드럼에 회전축을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한국특허공보 제 10-2005-0012392호 참조]
도2(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의 배면에 구동부와 결합되기 위한 드럼배면(220)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배면(220)에 결합되는 스파이더(2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파이더(23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의 둘레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드럼(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34)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은 상기 스파이터(230)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234)을 가질 수 있고,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234)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스파이(230)는 통상적으로 상기 드럼배면(220)에 형성된 결합면(227)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으며, 고정볼트(n)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230)는 상기 드럼(220) 배면에 중앙에 결합되는 허브(231)와 상기 허브(23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232)와, 상기 블레이드(232)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볼트(n)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233)과, 상기 허브(231)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회전축(23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63)와, 상기 모터(63)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축수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4)은 상기 축수부(61)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축수부(61)는 상기 회전축(234)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34)에 상기 모터(63)의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축(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축(62)는 상기 모터(63)에 의해 회전하는 별도의 구동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터(230)는 상기 회전축(234)에 상기 구동부의 축수부(61) 또는 결합부(62)와 별도로 결합되어야 하는 기어축(2341)이 더 연장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스파이터(230)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234)을 수용하고 지지해야 하는 별도의 구성이 더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인해 상기 드럼 및 구동부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연장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34)이 돌출되는 상기 스파이더(230)로 인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필수구성인 상기 모터(63)의 두께(D) 및 상기 결합부(62)의 두께(T)에 추가적으로 상기 회전축(234) 자체길이(A1)와, 상기 회전축을 지지해야 하는 축수부(61)의 지지길이(A2)가 더 확보될 필요가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234)이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자체길이(A1)와 이를 수용하여 지지해야 하는 지지길이(A2)를 포함한 추가길이(A)가 불필요하게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캐비닛의 전방 및 후방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추가길이(A) 만큼 상기 드럼(200)의 길이가 축소되어 의류 수용 부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상기 스파이더(230)가 상기 드럼배면(220)에 함몰되어 수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두께는 그만큼 더 감소될 수 있어도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용적이 여전히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건조기의 구동부는 모터(63)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두 개의 축을 모두 수용하여 각각의 축의 RPM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가 상기 스파이터(230)에 결합된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는 상기 드럼(200)에서 돌출된 회전축(234)까지 수용해서 지지하고, 상기 모터부(63) 결합된 상기 결합축(62)도 수용하여 지지해야 하므로, 상기 축들을 지지하기 위해 축수부가 그만큼 확보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상기 감속기의 전체 길이가 더욱 증가되므로, 그만큼 구동부 전체의 두께가 더욱 두꺼워지게 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충분한 드럼 용적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200)에서 돌출된 회전축을 직접 회전시키는 건조기가 제작되는 경우, 상기 건조기는 상기 드럼(200)의 용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상기 캐비닛을 길게 제작해야 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드럼을 직접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건조기는 특허문서로만 존재하고 실제 제품이 등장하지 못했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럼에서 회전축이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자유단이 상기 드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에서 회전축이 연장되어 상기 드럼에 직접 삽입 또는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변환시켜 전달할 수 있는 감속기가 구비되어도 드럼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자유단과 직접 결합되어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배면에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부싱부를 장착할 수 있는 드럼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감속기 전체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 동력의 rpm 및 토크를 변환시키는 감속기의 회전축을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감속기와 모터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배면에 구동부(감속기)를 일부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드럼배면에는 상기 감속기 등을 일부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과 상기 감속기 또는 상기 구동부는 암-수결합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에서 회전축이 연장되고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싱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부싱부가 배치되는 공간에 감속기 일부와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상기 드럼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상기 드럼 배면에 결합되기 위해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에는 상기 감속기에서 연장되는 출력축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은 드럼의 투입구로 함몰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다시 드럼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설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로는 상기 구동부와 회전축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설치면으로는 상기 부싱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암 + 구동부 수의 회전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드럼 배면에 회전축을 수용하는 구조(부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배면 중앙에 구동부(감속기) 축과 결합되는 부싱부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부싱은 구동부(감속기) 축이 수용 및 결합되는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의 수용홈은 내주면에 세레이션(기어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상기 기어홈에 정합되는 세레이션 (나사기어)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의 수용홈은 드럼 내부로 함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드럼의 배면보다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드럼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드럼의 배면보다 강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상기 수용홈에서 구동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드럼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면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부싱부는 꼬깔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부는 상기 수용홈에만 세레이션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싱부와 상기 드럼은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변환하는 감속기를 지지할 수 있는 리어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의 일면(내부쪽)에 드럼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어캐비닛의 타면(외부쪽)에 구동부 또는 감속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또는 감속기가 캐비닛 배면으로 돌출되는 부피를 축소시키기 위해 리어케이스은 드럼 내부로 함몰되는 장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에 상기 감속기가 결합되는 복수의 브라켓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은 상기 리어케이스와 분리 및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배면은 상기 리어케이스 및 장착홈과 마주하도록 함몰되는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장착홈이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감속기 또는 구동부 까지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스테이터 및 아우터 로터로 구비되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스테이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는 스테이터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드럼배면에 부싱이 지지되도록 내부 또는 외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의 중앙은 상기 지지면에서 다시 외부 또는 내부로 절곡되어 부싱부가 결합되는 설치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상기 설치면과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 상기 돌출면에 지지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에서 상기 드럼 내부로 연장되는 함몰면과, 상기 함몰면에서 드럼외부로 다시 연장되어 축과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감속기에서 돌출되는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에서 회전축이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자유단이 상기 드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에서 회전축이 연장되어 상기 드럼에 직접 삽입 또는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변환시켜 전달할 수 있는 감속기가 구비되어도 드럼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자유단과 직접 결합되어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배면에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부싱부를 장착할 수 있는 드럼을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이 수, 구동부가 암으로 구비된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며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을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리어케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상기 리어케이스에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와 스테이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의 최종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과 구동부의 축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부싱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가 조밀(COMPACT)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부싱부와 드럼배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며 의류처리장치의 드럼보다 후방에 배치된 구성이 조밀(COMPACT)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10)에는 후술하는 드럼(2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0)에는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 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77)에는 상기 건조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는 후술하는 세척펌프에서 전달받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부(7)는 상기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를 상기 전방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캐비닛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195)는 의류에서 토출된 응축수로 스팀(steam)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응축수 아닌 신선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steam)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195)는 상기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195)는 물을 일정량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일정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이때, 캐비닛의 전방패널(110)은 도어 및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되고, 캐비닛의 배면패널(120)은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덕트 및 급수부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부(195)는 캐비닛의 측면패널(1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195)를 별도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스팀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컨트롤내널(117)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컨트롤패널(117)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생산단가를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 별도의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195)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195)가 설치되는 측면패널(140)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부(195)와 연결되는 제어선 등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195)는 상기 의류에 접촉될 수 있는 스팀을 공급하기 때문에 신선한 물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된 물은 의류에서 생성된 것이므로 린트 또는 이물질이 함유될 가능성이 높아,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195)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는 물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160)는 신선한 물이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신선한 물을 외부에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195)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물공급부(16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195)에 전달할 수 있는 외부공급부(180)와, 별도로 신선한 물을 저장하여 상기 스팀부(195)에 공급할 수 있는 내부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170)는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어 신선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스팀부(195)는 설치 높이에 차이를 두어, 자중에 의해 상기 물탱크(171)의 물이 상기 스팀부(195)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스팀부(195)의 설치높이 차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물펌프(172)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펌프(430)를 배치되면,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간을 더욱 조밀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부(160)는 상기 물탱크(171)의 물을 상기 스팀부(195)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펌프(172)와,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물펌프(172)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안착시키는 탱크하우징(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180)는 상기 외부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직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공급부(180)와 상기 내부공급부(17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스팀부(195)에 물을 공급할지를 결정하는 결정부(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196)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171)는 신선한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71)는 신선한 물을 수시로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탱크(171)는 상기 캐비닛(100)에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171)를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간단하게 물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71)는 상기 전방패널(110)을 통해 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수탱크도 상기 전방패널(110)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패널(110)은 상기 컨트롤패널(117)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해 상기 물탱크(171)를 인출할 영역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71)는 상부패널(130)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물탱크(171)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혼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저수부(7)가 상기 캐비닛에서 노출되는 방향이나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71)는 상기 상부패널(130)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저수부(7)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저수부(7)를 혼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171)는 신선한 물을 저장해야 하고, 저장된 물의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부피 차이로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저수부(7)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71)는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으므로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71)는 상기 상부패널(130)에서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물탱크(171)와 상기 저수부(7)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의 혼동 가능성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패널(130)은 상기 물탱크(171)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물탱크(171)가 캐비닛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탱크인출홀 또는 인출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물탱크(171)의 단면적과 대응되거나, 상기 물탱크(171)의 면적보다 조금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130)은 탱크인출홀(131)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171)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커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되는 순환유로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0)에는 상기 필터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장착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M)와, 상기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0) 내부에 물이 투입될 필요가 없고,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응축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드럼(200)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M)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M)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상기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상기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DD타입 세탁기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드럼(200)을 수용하는 터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드럼(200)은 상기 구동부(M)와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드럼(200)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터브(tub)가 생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구동부(M)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410)와,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케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간격은 상기 드럼(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드럼(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이나 후술하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가 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부(M)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보다는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200)의 배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상기 구동부(M)가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리어케이스(420)를 통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의 전단 또는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200)의 후방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이격되되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장착되는 상기 구동부(M)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이 상기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모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로 투입하는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상기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여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9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프론트케이스(410)를 통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리어케이스(420)를 향하여 상기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에서 공급된 열풍을 상기 드럼(200) 배면으로 안내하는 덕트커버(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430)는 상기 구동부(M)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M)를 냉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는 상기 덕트커버(430)와 상기 구동부(M)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차단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 길이(T1)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상기 배면패널(120)까지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엄밀하게는 상기 전면패널(120) 부터 상기 배면패널(120) 까지가 상기 캐비닛의 길이이지만, 상기 프론트케이스(410) 부터 상기 배면패널(120)까지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이 설치될 수 있는 허용공간에 해당하므로, 상기 허용공간의 길이(T1=허용길이)를 상기 캐비닛의 길이라고 간략하게 통칭할 수 있다.
상기 허용길이(T1)가 결정되면, 상기 드럼(200)의 길이(T2)과 상기 구동부의 길이(T3)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용길이(T1)는 상기 드럼길이(T2)와 상기 구동부 길이(T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길이(T2)와 상기 구동부 길이(T3)의 합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면패널(120)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상기 캐비닛의 배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는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구동부(M)에 직접 결합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후방은 차폐되어 상기 구동부(M)와 직접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M)와 직접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구동부(M)와 연결되어 직접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드럼바디(2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바디(210) 중 전방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드럼배면(2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구동부(M)에 결합될 수 있는 부싱부(30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구동부(M)에서 연장되는 회전축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드럼배면(220) 보다 강성이나 내구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정중앙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둘레부(221)와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M)와 결합될 수 있는 안착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부싱부(300)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부싱부(300)가 관통하여 수용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둘레부(221)와 상기 안착부(223) 사이에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흡입홀(224)를 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드람배면(2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의 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배면(22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리브(2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안착부(223)의 외주면에서 상기 둘레부(221)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25)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원주리브(22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6) 및 상기 안착부(223), 상기 둘레부(221) 사이 마다 상기 흡입홀(224)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6)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구동부(M)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바디(2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강화비드(212)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비드(212)는 상기 드럼바디(210)의 둘레를 따라 내부 또는 외부로 함몰 또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바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바디(210)에 다량의 의류가 수용되거나, 상기 구동부(M)를 통해 갑작스런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상기 드럼바디(210)가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구동부(M)에 직접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가 회전 방향을 바꾸거나 회전가속도가 크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즉각적으로 이를 반영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드럼바디(210)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배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에는 상기 구동부(M)에서 연장되는 회전축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는 본체를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411)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1)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바디(210)의 전방 또는 상기 투입구(211)를 수용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바디(210)를 수용하는 가스켓(4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투입구(2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211)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1) 사이로 상기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상기 가스켓(413)의 내주면에 추가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의 투입구(211)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1)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413) 또는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에는 상기 드럼바디(210)와 연통하여 상기 드럼바디(210)의 투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덕트연통홀(4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1)는 내부에 상기 덕트연통홀(419)과 상기 열풍공급부(900)를 연결하는 유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덕트연통홀(419)은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풍공급부(9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통홀(419)에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이물질 또는 린트 등이 열풍공급부(900)에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는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휠(415)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투입구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휠(415)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드럼(20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는 상기 드럼바디(2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에서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토퍼 설치부(4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410)는 상기 저수조(7)의 저수탱크가 인출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탱크지지홀(4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지지홀(414)은 상기 전방패널(110)에서 상기 저수조(7)가 배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케이스(4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의 하부에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에 지지될 수 있는 절개부(4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17)로 인해 상기 프론트케이스(410)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17)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의 공급덕트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덕트연통홀(419)에 공급된 드럼 내부 공기를 상기 열풍공급부(9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순환유로(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920)는 상기 드럼(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920)는 상기 덕트연통홀(419)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0)의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덕트(921)와, 상기 공급덕트(921)에서 공급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덕트(922)와, 상기 이동덕트(922)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9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921)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의 절개부(417)에 연통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410) 내부에 설치된 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922)는 상기 공급덕트(921)의 말단에서 상기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923)는 상기 이동덕트(922)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내부에 공기를 냉각하고 가열할 수 있는 히트펌프(9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950)는 상기 이동덕트(92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는 증발기(951)와, 상기 증발기(951)보다 하류 또는 배출덕트(923)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다시 가열하는 응축기(9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950)는 상기 응축기(952)를 통과한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증발기(951)로 다시 안내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기(951)를 통과한 냉매를 가압 및 가열하여 상기 응축기(952)에 공급하는 압축기(9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953)는 상기 이동덕트(922)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951)와 상기 응축기(952)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상기 배출덕트(923)에 연통하여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200)의 후방 또는 상기 덕트커버(430)로 안내할 수 있는 커넥터(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930)는 상기 배출덕트(9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952)를 통과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배출덕트(923) 보다 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부(900)는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덕트(921)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배출덕트(923)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200)으로 투입할 수 있는 송풍팬(95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9531)은 상기 배출덕트(923)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부(M)와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1)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리어플레이트(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구동부(M)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장착부(4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9)는 상기 리어케이스(4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M)는 상기 장착부(429)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9)는 상기 구동부(M)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부(M)를 상기 드럼배면(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플레이트(421)는 상기 커넥터(930)와 연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이동홀(423)과, 상기 공기이동홀(423)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배면(220)으로 배출시키는 연통홀(4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의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9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드럼배면(220)에 구비되는 흡입홀(224)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커버(4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43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 결합되되 상기 흡입홀(224)과는 이격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와 상기 덕트커버(430) 사이에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430)는 상기 모든 연통홀(42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통홀(424)을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덕트커버(43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통홀(424)로 모두 배출되고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430)는 상기 구동부(M)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M)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구동부(M)를 수용하되, 상기 구동부(M)의 냉각을 유도하도록 상기 구동부(M)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커버(430)는 상기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M)도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므로 이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덕트커버(430) 후방에는 배면패널(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2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커버(430)와 상기 구동부(M)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430) 및 상기 구동부(M)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00)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610)와, 상기 스테이터(6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620)는 상기 스테이터(610)를 수용하며 상기 스테이터(6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620)에는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610)와 상기 장착부(429)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로터(620)가 직접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620)는 상기 스테이터(610)에 의해 고속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를 상기 드럼(200) 내벽에 부착된 채로 회전할 수 있는 RPM 보다 훨씬 더 큰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는 상기 드럼(200) 내벽에 지속적으로 붙어 회전하면 드럼내벽에 부착된 부분이 열풍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가 상기 드럼(200)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구르거나 교반되기 위해 상기 로터(620)를 저속 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M)가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이나 토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M)는 RPM을 저감시켜 모터부(600)의 최대 출력을 활용하면서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드럼(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모터부(600)의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부(6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로터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로터부(610)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터부(61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6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내부에 상기 구동축(630)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630)의 rpm을 변형하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74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30)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740) 상기 구동축(630) 보다는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더 큰 토크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700)는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동축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된다. 즉,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서로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700) 내부의 기어박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결합이 해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30)의 동력이 상기 회전축(740)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상기 구동축(630)이 헛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700) 내부의 기어박스들이 서로 어긋나 충돌되어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는 각도가 심해질 경우 상기 감속기(700) 내부의 기어박스가 정위치를 완전히 벗어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일시적이라도 서로 동축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되지 못하면, 상기 감속기(700)의 성능을 담보할 수 없고 상기 드럼(200)을 의도한 것처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속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외력이 발생하여도 변형이 없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체에 상기 감속기와 상기 모터부를 고정시킨다.
예를들어, 세탁기의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를 캐비닛에 1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터브 내부에 사출성형 방식으로 내장되어 있는 강체로 제작된 베어링 하우징에 상기 모터부와 상기 감속기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 외부에 상기 터브에 결합된 고정강판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강판에 상기 모터부와 상기 감속기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에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감속기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나 상기 고정강판과 함께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와 상기 구동부 자체는 항상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이 동축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되기 때문에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의 구성이 생략된다. 또한, 캐비닛의 배면패널(120)은 상대적으로 얇은 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61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로터(620)가 회전하거나 상기 구동축(630)이 회전할 때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배면패널(120)은 쉽게 진동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20)이 진동하거나 일시적이라도 휘어지게 되면 상기 드럼(200)과 결합되어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이 휘어지게 되어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120)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를 모두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가 나란하게 상기 배면패널(1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의 전체 길이 및 자중으로 인해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감속기(700)가 하부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에 결합된 회전축(740) 자체가 상기 감속기(700)와 틀어지게 되어 상기 구동축(630)과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심지어, 상기 배면패널(120)은 상기 모터부(600) 자체도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20)은 상기 모터부(600)의 자중으로 인해 상기 모터부(600)가 설치된 일면이 하부로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애초부터, 상기 배면패널(120)은 상기 모터부(600) 자체가 결합되는데 적합한 구성이 아닐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상기 스테이터(620)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600)가 지지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다량으로 수용되거나,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200)이 회전할 때마다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의류의 배치를 따라 틀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610)가 상기 드럼(200)과 별도로 분리되어 리어케이스(4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스테이터(610)와 다른 폭으로 진동하거나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의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지지되거나 후술하는 스토퍼(500)에 의해 설치된 위치가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과 결합된 회전축(740)의 위치도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에 진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진동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 또는 상기 리어케이스(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스토퍼(500)에 완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모터부(600)까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모터부(60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회전축(740)의 진동하는 진동폭 보다 상기 모터부(600) 및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진동하는 진동폭이 더 클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동축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터부(600)를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감속기(700) 자체가 구동부(M) 전체의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구동부(M) 전체의 진동 및 기울어지는 각도량의 기준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00)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700)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M)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700)가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때 상기 모터부(600)는 항상 상기 감속기(700)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구동부(600)는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구동부(600)는 서로를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 중 상기 스테이터(610)가 직접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감속기(700)를 기준으로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의 중심과 상기 감속기(70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630)은 상기 감속기(700)의 중심과 동축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동축 및 일치의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벽한 동축 및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공학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오차범위 또는 당업자가 동축 또는 일치라고 인정할 만한 수준의 범위는 허용하는 개념이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이 5도 이내로 틀어진 범위를 동축 또는 일치인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감속기(7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610)도 상기 감속기(7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터(610)와 상기 로터(620)의 간격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테이터(610)와 상기 로터(6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로터(620)가 상기 스테이터(610)를 회전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진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감속기(7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속기(700)와 함께 진동하고 상기 감속기(700)와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감속기(700)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은 항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740)의 중심과 상기 구동축(63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드럼(200)에 부하가 없거나 상기 모터부(6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면과 나란한 제1축(S1)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도 상기 제1축(S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이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모터부(6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속기(700)에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감속기(700)가 진동하거나 기울어짐으로써, 일시적으로 상기 감속기(700)가 제2축(S2)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감속기(700)와 함께 진동하거나 기울어져 제2축(S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도 상기 제2축(S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감속기(700)가 기울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감속기(7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은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은 항상 감속기(700)를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상기 감속기(700)가 지렛대 또는 시소의 작용점(P1)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속기(700)가 상기 모터부(600)를 포함한 진동계의 제1작용점(P1)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회전축(740)을 통해 상기 드럼(20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드럼(200)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와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200)의 하중은 상기 감속기(700)에 전달될 수 있다. 감속기(700)는 상기 모터부(600)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200)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진동계의 기준 또는 작용점(p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그 자체가 진동계의 중심 또는 작용점(P1)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되거나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기(700)는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속기(700)는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것이므로,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모터부(600), 상기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접촉될 수 있어도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700)에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장착부(429)가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모터부(600), 상기 드럼(200)가 형성하는 지렛대 또는 시소의 제2작용점(P2)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 및 상기 드럼(200)이 제1축(S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감속기(700)가 제3축(S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축(S3)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된 감속기(7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부(600)도 제3축(S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구동부(600)와 상기 드럼(200)은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600)와 상기 드럼(200)는 상기 감속기(700)를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드럼(200)은 벨트에 결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감속기(700)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감속기(700)에 의해 회전할 때 원심력 등에 의해 상부로 들려지거나 하부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스토퍼(510)와,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스토퍼(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200)은 회전축(740)을 기준으로 상부로 들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스토퍼(510)는 상기 드럼의 전방 상부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0)은 의류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처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드럼(200)의 후방 하부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스토퍼(51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의 설치부(416)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열교환부(90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을 지지하는 스토퍼(5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200)은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감속기(700)에 고정되어 상기 감속기(700)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은 의류의 하중이나 회전시 발생하는 의류의 낙하 등으로 인해 상부 또는 하부로 틀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200)은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틀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럼(200)은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을 기준으로 따로 진동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드럼(200)은 탄성력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비되어 일정 수준 변형이 허용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진동이나 외력이 상기 회전축(74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의 배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드럼(200)은 벨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못하므로 상기 의류를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하면 과도한 진동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은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투입연토홀(412)과 가스켓(413)을 통하여 상기 드럼(200)의 전방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의 배면은 상기 회전축(740)에 직접 결합되므로 드럼바디(210)의 후방은 상기 드럼배면(220)로 차폐되어 있고,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구동부(M)를 고정해야하는 장착부(429)를 설치해야 한다. 다시말해,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같이 상기 드럼과 마주하는 일면을 관통홀로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와 같이 상기 드럼(200)의 후방 또는 배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직접적으로 마찰 및 충돌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후술하는 드럼 수용홈(422)과 공기이동홀(423) 및 장착부(429)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과 간섭되는 부품이 매우 많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상기 드럼(200)을 직접지지하게 되면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200)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필요성이 있고, 상기 리어케이스(420) 자체는 상기 드럼(200)을 직접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0)은 의류가 다량으로 수용되어 회전하게 되면 벨트 등이 없으므로 상기 프론트케이스(410)나 상기 리어케이스(420)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할 수도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원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의 움직임을 허용된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 상단을 지지하는 전방스토퍼(51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휠(533), 상기 리어케시(42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후방 하단을 지지하는 후방스토퍼(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상기 구동부(M)와 상기 지지휠(533)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드럼(200)이 과도하게 움직일때만 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스토퍼(510)와 상기 후방스토퍼(5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방스토퍼(510)와 상기 후방스토퍼(520)가 상기 드럼(200)의 진동이나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상기 전방스토퍼(510)와 상기 후방스토퍼(520)가 상기 드럼(200)을 오히려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스토퍼(51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410)의 스토퍼설치부(416)에 결합되는 고정판(5111)과, 상기 고정판(51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레버판(5112), 상기 레버판(5112)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판(5113)과, 상기 지지판(5113)에서 상기 드럼(200)의 전방 상단에 배치되는 지지판(512)과, 상기 지지판(5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00)과 접촉하는 펠트(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방스토퍼(510)은 상기 드럼(200)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상기 레버판(5112)과 상기 연장판(5113)이 상부로 일정 수준 들리면서 상기 드럼(200)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펠트(513)가 상기 드럼(200)의 전방과 마찰되어 상기 드럼(200)이 상부로 과도하게 들리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211)의 외주면은 상기 드럼바디(210) 보다 직경이 작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휠(533)이나 상기 펠트(513)가 접촉할 수 있는 접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펠트(513) 및 상기 지지휠(533)이 상기 접지부(213)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상기 드럼(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전방스토퍼(510)는 상기 드럼의 전방 상단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특정간격은 상기 드럼(200)이 회전시 상기 가스켓(413)을 벗어날 수 있는 간격이거나, 상기 드럼(200)이 상기 회전축(740)을 과도하게 비틀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스토퍼(510)는 상기 지지판(512)과 상기 펠트(513)가 상기 접지부(213)에 회전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촉휠(532)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휠(533)이 상기 접지부(213)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접촉휠이 상기 접지부(213)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드럼(200)이 상기 투입연통홀(412)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c)를 참조하면, 따라서,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상기 드럼(200)을 이격시키도록 배치하되, 상기 후방스토퍼(520)와 상기 구동부(M)가 상기 드럼(20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드럼(200)이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과도하게 접근하면 상기 후방스토퍼(520)가 이를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상기 드럼(200)의 마찰 또는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접촉 및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에 의류가 수용되어 회전하면 상기 드럼(200)은 벨트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하는 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구동부(M)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 보다 두께가 두껍거나 강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200)이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드럼(200)의 이동을 완충하지 않고 지지하게 되므로 오히려 상기 드럼(200)을 상부로 밀어내는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를 향하여 강하게 가압되어 심할 경우 상기 도어(130)가 강제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드럼(200)의 후방과 기준간격 이격되어 상기 드럼(2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일정수준 허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이 과도하게 프론트케이스(410)를 가압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간격은 상기 드럼(200)에 의류가 기준포량 이상 수용되어 있어 상기 드럼(200)이 회전시 상기 드럼(200)이 후방으로 밀려 이동하는 경우 상기 드럼(200) 배면과 상기 후방스토퍼(520)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간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후방스포터(520)은 상기 드럼(200)이 기준간격 후방으로 이동할 때만 상기 드럼(200)을 지지하여 상기 후방서포터(520)가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서포터(520)는 상기 드럼(200)과 접촉될 수 있는 펠트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0)과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기준간격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이나 상기 열풍공급부(900)에 지지되는 지지결합부(521)와, 상기 지지결합부(521)에서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레그(522)와, 상기 지지레그(522)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524)와, 상기 연장부(524)에서 상기 드럼배면(220)을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제한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522)는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부에 절개홈(5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4)는 상기 지지레그(522)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드럼(200)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일정수준 완충하며 후방스포터(520) 전체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4)는 상기 지지레그(52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연장부(5241)과, 상기 경사연장부(524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5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25)는 상기 직선연장부(524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배면(22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격부(5251)과, 상기 이격부(5251)에서 상기 드럼배면(220)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5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지지부(525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하중지지부(5252)의 자유단을 절곡되어 구비되는 만곡부(525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이격부(5251)로 인해 상기 드럼(200)의 후방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오히려 상기 드럼(200)이 후방을 향하여 일정수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후방스토퍼(520)와 상기 감속기(700) 또는 상기 구동부(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스토퍼(420)는 상기 드럼의 하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정간격이랑 상기 드럼(200)이 실링부(490)을 벗어나는 간격이나 상기 회전축(740)을 과도하게 비틀게 되는 간격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직선연장부(5242)는 상기 드럼(200)의 후방과 상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리어케이스(42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감속기(700) 자체가 상기 구동부(M)의 위치 및 진동의 기준이 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200)의 배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700)는 리어케이스(420)에 안착되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드럼(200)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00) 또는 상기 드럼(200)이 상기 감속기(700)외에 다른 구성에 간섭되어 상기 감속기(700)와 별도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 및 상기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 또는 회전계에 있어서, 시소의 작용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200)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1)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리어플레이트(421)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서 돌출되어 상기 드럼배면(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드럼수용홈(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수용홈(422)은 상기 드럼배면(220)과 이격되되 상기 드럼배면(220)의 외주면을 일부 수용할 수 있는 직경과 깊이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수용홈(422)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서 제1높이(L1) 만큼 돌출되어 상기 이러플에이트(421) 전방에 상기 드럼배면(220)이 일부 수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드럼수용홈(422)에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흡입홀(224)과 마주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연통홀(4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424) 사이에는 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강화절곡부(4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절곡부(426)는 상기 연통홀(424) 사이에 함몰 또는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424) 사이에 배치된 리어플레이트(421)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통홀(424)은 상기 열풍공급부(9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드럼(200)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드럼수용홈(422)이 상기 드럼배면(220)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통홀(424)에서 토출되는 열풍은 상기 흡입홀(224)로 공급되는 것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수용홈(422)과 상기 드럼배면(220)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드럼수용홈(422)에 수용되어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수용홈(422)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의 강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링부(4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90)는 상기 드럼수용홈(422)에서 상기 드럼수용홈(422)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90)는 상기 드럼수용홈(422)의 내주면에서 깊이 L2 만큼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90)는 상기 드럼수용홈(422)에서 함몰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드럼수용홈(422)의 강성도 강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의 전체적인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490)는 상기 드럼수용홈(422)에서 전방으로 L2만큼 함몰됨으로써, 상기 드럼배면(220)과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장착부(49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감속기(700)와 상기 드럼배면(220)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드럼배면(220)을 연결하는 회전축(740)의 길이도 그만큼 더 축소시켜 상기 회전축(740)의 내구성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740)이 틀어질 수 있는 각도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490)는 상기 드럼수용홈(422)에서 함몰되되,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구동부(60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착부(490)에 수용되어 전체적인 캐비닛(100)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부(49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1)를 관통하여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되는 회전축(740)이 통과하는 축관통홀(4291)과 상기 축관통홀(429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감축기(700)를 지지하는 장착면(4292)와, 상기 장착면(4292)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드럼수용홈으로 연장되는 장착홈(42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면(4292)에는 상기 감속기(700) 또는 상기 감속기(700)를 상기 장착면(4292)에 결합시키는 결합부(800)와 결합되는 체결부(4293)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홈(4294)는 상기 감속기(700) 또는 상기 모터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6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이 안착될 수 있는 전선지지홈(4295)이 상기 장착홈(4294)에서 외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4294)는 상기 구동부(M)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커넥터(930)에서 공급된 열풍을 상기 덕트커버(430)로 전달하는 공기이동홀(4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이돌홀(42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덕트커버(430)를 따라 상기 연통홀(424)로 유입될 수 있다.
도9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모터부(600)가 감속기(700)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장착부(429)에 안착되어 지지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감속기(700)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429)에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로터(620)는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된 구동축(630)에 의해 상기 감속기(700)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610)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의 배치가 나란한 동축(s)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00)는 회전중심이 상기 동축상(s)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도 회전중심이 상기 동축상(s)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로터(620)도 상기 동축(S)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되는 상기 회전축(740)도 상기 동축(S)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스테이터(6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장착부(429)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감속기(700)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면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추가적으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스테이터(610)가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구동축(630)의 rpm을 변환하여 상기 회전축(740)을 회전시키므로, 상기 드럼(200)도 상기 동축(s)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가 진동하거나 회전하여 상기 동축(s)이 틀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동축(s)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감속기(700)는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200)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200)과 상기 감속기(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드럼회전축(740)이 상기 리어케이스(420)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드럼회전축(740)을 통해 상기 드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드럼(200)과 상기 모터부(600)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드럼(200)과 상기 모터부(6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200)과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전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드럼(200) 및 상기 모터부(600)의 지지중심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전방에는 상기 드럼(200)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후방에는 상기 모터부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후방에서 상기 리어케이스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드럼(200)을 서로 연결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과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감속기(700)를 통해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적어도 일부의 하중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드럼(200)은 상기 리어케이스(420)를 기준으로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610)가 상기 감속기(700)에 고정되므로, 상기 구동축(630)은 상기 감속기(700)와 함께 기울어지거나 상기 감속기(700)와 동시에 진동할 수 있다.
도10는 상기 감속기(70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속기(7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기어박스를 수용하는 감속기하우징(710,7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부(600)와 마주하는 제1하우징(710)과, 상기 드럼(200)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제2하우징(7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감속기(700) 내부의 기어박스는 대부분 상기 제1하우징(71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하우징(720)은 상기 감속기(700) 내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7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축소하여 드럼(200)의 길이를 더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20)은 상기 제1하우징(710)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바디(722)와 상기 차단바디(7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710)에 결합되는 결합바디(721)와, 상기 차단바디(722)에서 상기 회전축(74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축지지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디(722)는 원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바디(721)는 상기 차단바디(722)에서 일정 두께를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710)의 일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바디(721)는 상기 제1하우징(710)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바디(722)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축지지부(723)는 상기 회전축(74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의 배열(align)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721)는 일정 두께를 구비하여 상기 감속기(700)를 상기 스테이터(610) 또는 상기 장착부(429)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부(7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80)는 상기 결합바디(721)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바디(721)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80)는 상기 스테이터(610)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돌기(781)와, 상기 장착부(429)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78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781)은 상기 결합바디(721)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축 수용부(713)를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710)은 다단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직경의 기어들을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되는 기어박스는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를 공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를 수용하여 상기 유성기어가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710)은 상기 제2하우징(720)에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를 수용하는 링기어하우징(711)과, 상기 링기어하우징(711)에서 상기 제2하우징(720)과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유성기어의 일단을 수용하는 유성기어하우징(7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은 상기 링기어하우징(711) 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의 중심과 상기 링기어하우징(711)의 중심은 서로 동축(s)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에는 상기 로터(6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6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은 상기 제1하우징(7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하우징(710) 내부에서 기어박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의 일면에는 상기 로터(6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셔부(640)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와셔부(64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와셔돌기(71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는 상기 와셔부(6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와셔결합홀(7122)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돌기(7121)과 상기 와셔결합홀(7122)는 상기 구동축(63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781)는 상기 결합돌기(782) 보다 단면적이 크고 두께도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체결돌기(781)와 상기 스테이터(610)와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6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더 쉽게 견딜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체결돌기(781)에 안착되어 별도의 고정부재로 상기 체결돌기(7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스테이터(6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홀(78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돌기홀(7811)은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도11은 상기 감속기(700)에 상기 스테이터(61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며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바디(611)와 상기 본체바디(611)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돌기(781)에 결합되는 고정리브(612)와, 상기 본체바디(611)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코일이 감기도록 구비되는 티스(614)와, 상기 티스(614)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코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슈(615)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터미널(6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611)는 내부에 수용공간(61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리브(612)는 상기 본체바디(611) 내부에서 수용공간(613)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리브(612)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781)와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리브홀(6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610)가 상기 감속기(700)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700)은 상기 스테이터(610)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스테이터(610)에 수용되면 상기 구동부(M) 전체의 두께가 축소되어 상기 드럼(200)의 용적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스테이터(610)에 수용되면, 상기 감속기(700)의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이 더욱 정밀하게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본체바디(6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710)과 상기 제2하우징(720)은 가장 큰 직경이 상기 본체바디(6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7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바디(611)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돌기(781)은 상기 감속기하우징에서 상기 고정리브(612)에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체결돌기(781)는 상기 고정리브(6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710)과 상기 제2하우징(720)의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6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612)는 상기 체결돌기(781)에 직접 결합되는 제1고정리브(612a)와, 상기 체결돌기(781)와는 직접 결합되지는 않지만 상기 체결돌기(781)나 상기 제1하우징(710)을 지지할 수 있는 제2고정리브(6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782)는 상기 체결돌기(781)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체결돌기(781)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12은 상기 모터부(600)가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된다. 상기 감속기(700)의 일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감속기(700)의 하우징에서 외부로 돌출된 체결돌기(781)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바디(6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바디(611)의 중심과 상기 감속기(700)의 중심 및 상기 회전축(630)이 동축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620)는 상기 폴슈(615)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610)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620)는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본체바디(611)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감속기(7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터(620)와 상기 스테이터(610)의 간격(G1)이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620)와 상기 스테이터(610)가 충돌하거나 상기 스테이터(610)에서 일시적으로 비틀어지며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 이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700)의 중심과 구동축(6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직경선(D1)과, 상기 본체바디(6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직경선(D2)과 상기 로터(62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직경선(D3)이 모두 상기 구동축(630)의 회전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700) 자체가 상기 구동축(630)의 회전중심이 되고, 상기 스테이터(610)가 상기 감속기(70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감속기(700)를 기준을 틀어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700)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13은 상기 드럼(200)이 구동부(M)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상기 드럼(200)과 상기 구동부(M)가 설치된다. 이때, 건조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200)의 직경과 길이 중 하나 이상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캐비닛(100)의 부피도 증가된다.
이때, 상기 캐비닛(100)의 높이와 길이는 정해지거나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건조용량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200)의 길이를 최대한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길이(T3)가 길어질수록 상기 드럼의 길이(T2)가 축소되어 상기 드럼의 건조용량이 축소되므로 상기 구동부의 길이(T3)를 감소시켜 상기 드럼의 길이(T2)를 최대한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4 참조)
상기 드럼(200)에서 회전축이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M)가 상기 드럼에서 돌출되는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부(M)가 상기 회전축을 충분히 지지하며 수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감속기(7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드럼에서 연장된 회전축의 축이 틀어지지 않도록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길어지게 될 수 밖에 없다. 상기 구동부(M)의 전체 길이(T3)가 증가하여 상기 드럼(200)의 길이(T2)가 축소될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700)에는 상기 구동축(630)에 결합된 기어박스가 존재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복잡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드럼(200)에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기어박스를 일체로 제작할 수 없으므로, 상기 드럼(200)에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기어박스 구성을 결합시켜야 하는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700)의 부피는 더욱 증가되어 상기 드럼(200)의 길이(T2)가 더 축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회전축이 돌출되어 연장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드럼배면(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의 둘레나 상기 드럼바디(2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스파이더의 구성이 필수적이다. 상기 스파이더가 상기 드럼배면(220)에 결합되면 상기 스파이더의 두께만큼 상기 드럼의 전체길이(T2)가 축소되거나 상기 드럼 내부의 용적이 감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드럼과 같이 드럼에서 나오는 회전축을 암수결합으로 상기 구동부(M)가 수용하여 결합되면, (구동부 : 암, 드럼 : 수) 상기 드럼배면(220)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부의 끝단 길이(T3)가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그만큼 상기 드럼(200)의 길이(T2)가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M)에서 회전축(740)이 연장되고 상기 드럼(200)은 상기 회전축(740)과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구동부에서 회전축(740)이 돌출되고 상기 드럼(200)은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 : 수, 드럼 : 암)
상기 드럼배면(220)은 중앙에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되는 회전축(740)의 자유단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740)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받아 상기 드럼바디(21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관점으로, 상기 드럼(200)은 상기 지지휠(533) 등의 스토퍼(500)와 상기 프론트케이스 등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200)에 회전력만 가해지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된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200)에 회전력만 가하면 상기 드럼(200)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감속기(700)에 수용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회전축(740)을 틀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스파이더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감속기(700)에서 지지되는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배면(220)에 단순 결합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은 상기 드럼배면(22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회전축(740)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두께와 강성으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200)의 무게가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때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배면(200)은 상기 회전축(740)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부싱부(30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회전축(740)과 결합되어 회전방향이 바뀌거나 급 가속되어 회전되어도 형상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한 재질로 구비되거나 두껍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부싱부(300)보다 연한재질로 구비되거나 얇게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되는 회전축(740)은 상기 부싱부(30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는 둘레부(221)와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싱부(300)가 결합되는 안착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부(221)에는 상기 열풍공급부(9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투입되는 흡입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둘레부(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절곡부(2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드럼배면(220)에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싱부(300)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부상부(300) 중 축을 결합된 부분이 일부 수용될 수 있는 장착홀(222)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둘레부(221)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둘레부(221)에서 함몰되어 상기 드럼배면(220)의 전체 강성을 강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223)에 상기 부싱부(300)가 결합되어 회전력을 받더라도 상기 회전력을 분산시켜 상기 드럼배면(22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감속기(70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장착판(429)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부(M)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과(200)과 상기 구동부(M)의 간격을 축소시켜, 상기 회전축(740)의 길이를 더 축소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의 길이(T2)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은 상기 둘레부(221)의 내주면에서 상기 드럼바디(2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용면(2231)과, 상기 수용면(2231)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M)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면(2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2232)의 내주면에는 상기 부싱부(3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설치면(22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면(22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장착홀(2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면(2232)는 상기 부싱부(300)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싱부(300)과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결합홈(22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설치면(2232)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배면(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740)을 일부 수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부싱부(300)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740)은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 또는 양측이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고 다른 양측이 직선부로 구비되는 트랙(Track)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싱부(300)는 단면이 상기 타원형과 트랙형으로 구비된 회전축(740)과 면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부싱부(300) 내부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4는 상기 부싱부(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a)를 참조하면,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결합홈(2234)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면(310)과, 상기 결합면(3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740)이 결합되는 축결합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310)은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2234)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회전축(740)을 더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면(310)의 내주면에서 내부로 함몰되는 함몰면(33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축결합부(320)는 상기 함몰면(3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320)는 상기 회전축(740)을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함몰면(330)의 내주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면(330)은 원통의 고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홀(222)에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홀(22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도14(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면(310)은 상기 함몰면(330) 또는 축결합부(32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부싱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결합면(310)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면(330)에서 상기 부싱결합부(312)의 외면 까지 거리는 상기 함몰면(330)에서 상기 부싱결합부(312)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결합면(310)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결합면(310)의 면적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결합면(310)에서 두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결합면(310)보다 두껍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결합면(310)이 두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함몰면(330)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결합면(310)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안착부(223)의 결합홈(2234)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2234)과 용접결합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3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결합면(310)에서 두께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재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함몰면(330) 또는 상기 축결합부(320)를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싱결합부(312)가 n개로 구비되어 있다면, 360/n 도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6개로 구비되고, 60도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2단으로 상기 결합면(310)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으로 상기 결합면(310)에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재에서 전달되는 외력을 상기 부싱결합부(312) 자체가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배면(220)의 안착부(223)에 형성된 결합홈(2234)도 상기 부싱결합부(312)와 동일하게 2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234)과 상기 부싱결합부(312)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234)에 상기 부싱결합부(312)가 즉각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어, 상기 부싱부(300)의 설치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는 공정도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결합부(320)는 상기 회전축(740)이 결합되는 결합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321)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이 면접촉되어 수용될 있으며, 상기 회전축(74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회전축(740)이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부홈(32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홈(322)은 상기 회전축(74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홈(322)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740)과 면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홈(322)은 상기 회전축(7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74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내부홈(322) 내부에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결합판(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323)는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의 표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판(323)은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축결합부(320)에 삽입되는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판(323)은 상기 회전축(740)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어도 상기 회전축(740)이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판(323)은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회전축결합홈(3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회전축결합홈(3231)을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74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부싱부(300)에서 임의로 이탈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0)이 전후방향으로 진동 하더라도 상기 결합판(323)이 상기 회전축(740)과 결합된 위치가 항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홈(322)은 상기 회전축(740)에서 겉돌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74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홈(322)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740)과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사선 또는 홈기어(3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홈기어(3221)에 결합될 수 있는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회전하면,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회전축(740)과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740)의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 또는 트랙형상 등 직선부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내부홈(322)의 단면도 상기 회전축(74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회전축(740)의 회전력 및 회전방향은 즉시 상기 내부홈(322)에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급가속 하거나, 회전방향을 급하게 변경하더라도, 상기 내부홈(322)은 즉각적으로 상기 회전축(740)과 함께 급가속되거나, 회전방향이 급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200)이 상기 회전축(740)과 함께 동일하게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판(323)은 상기 결합바디(321)의 양단에서 일정길이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판(323)은 상기 결합바디(3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결합바디(321)의 자유단은 상기 결합판(323)까지 외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321)의 자유단은 상기 외부홈으로 인해 상기 결합홈(3231)에 삽입되는 결합부재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부싱부(30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면(330)은 상기 결합면(310)에서 제1길이(B1) 만큼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길이(B1)는 상기 결합면(310)의 직경 또는 상기 함몰면(330)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축결합부(321) 뿐만 아니라, 상기 함몰면(330)의 깊이 만큼 상기 부싱부(300)에 수용되는 깊이가 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면(330)이 상기 드럼배면(220) 보다 전방(투입구,211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도 상기 드럼배면(220) 보다 더 전방(드럼 투입구 방향)에 위치할 만큼 수용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에 위치할 정도로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200)에 깊숙히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드럼바디(210)가 뒤틀리는 것이 해소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740)의 회전력을 더 효과적으로 상기 부싱부(300)가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함몰면(330) 및 상기 축결합부(320)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드럼바디(210) 내부로 함몰될 뿐,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 및 상기 축결합부(320)보다 더 후방(구동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드럼(200)이 결합된 면적이 증가됨과 동시에, 상기 드럼(200)의 용적도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결합부(320)에서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함몰면(33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면(330)이 상기 결합면(310)에서 상기 구동부(M)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면,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함몰면(330)의 내주면에서 상기 구동부(M)와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함몰면(330)이 상기 결합면(310)에서 연장되는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로 상기 함몰면(330)의 내주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부싱부(300)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함몰면(33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7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면(330)의 내부 공간을 상기 회전축(740)이 결합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함몰면(330)에서 상기 구동부(M)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바디(321)는 상기 함몰면(330)의 내주면에서 전후방향(구동부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15는 상기 구동부(M)가 상기 드럼(200)에 결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상기 감속기(7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부(600)의 상기 스테이터(61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터(610)에 전류를 공급하는 터미널(616)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근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접촉될 수는 있지만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되어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로터(620)는 상기 스테이터(610)와 마주하는 영구자석(623)과, 상기 영구자석(623)이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6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설치바디(622)와 상기 설치바디(62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610)와 마주하여 회전하는 로터바디(6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바디(621)는 상기 스테이터(6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설치바디(622)은 상기 로터바디(621)의 외주면에서 상기 스테이터(610)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바디(621)는 중앙에 구동축(630)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630)과 상기 설치바디(62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스테이터(6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는 상기 로터바디(621)의 중앙에 결합되는 스터트(631)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70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에는 상기 로터바디(621)의 내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와셔부(6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셔부(640)는 상기 구동축(630)에 결합되어 는 결합와셔(642)와, 상기 결합와셔(642)에서 상기 로터바디(620)를 지지하는 지지와셔(6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부(640)로 인해 상기 로터(620)와 상기 구동축(630)에서 틀어지며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와셔부(640)는 상기 로터(62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감속기(700)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6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감속기(700)의 상기 제1하우징(710)은 상기 로터바디(620)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하우징(720)은 상기 제1하우징(71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배면(220)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710)과 상기 제2하우징(720) 내부에는 상기 기어박스(7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730)는 상기 구동축(630)의 자유단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동축(630)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태양기어(731)와, 상기 태양기어(731)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732)와, 상기 유성기어(7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성기어(732)를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링기어(733)와,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7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리어(7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732)는 상기 태양기어(7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성기어(732)는 상기 태양기어(731)와 상기 링기어(733)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유성바디(7321)과, 상기 제1유성바디(7321) 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는 제2유성바디(7322)와 상기 제1유성바디(7321)과 상기 제2유성바디(7322)를 상기 케리어(7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축(7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731)가 회전하면 상기 유성기어(732)가 회전하여 상기 기어축(7323)을 회전시켜 상기 케리어(7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케리어(734)는 상기 기어축(7323)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케리어(7341)와, 상기 기어축(7323)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케리어(7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리어(7341)와 상기 제2케리어(7342)는 링형상 또는 원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케리어(7342)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회전축(740)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제2케리어(7342)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케리어(7342)에 결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710)은 상기 제1유성바디(732)의 외주면 또는 상기 링기어(733)의 외주면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링기어하우징(711)과, 상기 링기어하우징(711)에서 상기 제2유성바디(732)와 상기 제1케리어(7341)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유성기어하우징(712)과,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6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수용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기어하우징(711)은 상기 제1하우징(7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은 상기 제1하우징(710)의 측면일부와 상기 로터(620)와 마주하는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수용부(713)는 상기 유성기어하우징(71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수용부(713)는 상기 제2유성바디(732)가 상기 제1유성바디(731)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수용부(713)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동축(6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베어링(7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베어링(770)은 상기 구동축(6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베어링(770)과 상기 축수용부(713)는 상기 감속기(70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감속기(7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630)이 배치되는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700) 자체의 부피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의 간격도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의 전체 두께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터(610)를 상기 감속기(700)에 더 가까이 결합시켜 상기 구동축(63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베어링(770)과 상기 축수용부(713)가 상기 감속기(70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감속기(700)와 가까워짐으로써 상기 스테이터(610) 내부에 상기 감속기(700)가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터부(600)의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감속기(700)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상기 프론트케이스(410) 사이에 배치되는 드럼(200)의 길이를 더욱 확장할 수 있고, 상기 드럼(200)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720)은 상기 링기어하우징(711)에 결합되는 결합바디(721)와, 상기 결합바디(721)에서 상기 기어박스(730)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바디(722)와, 상기 차단바디(722)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7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723)는 상기 차단바디(722)에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축지지부(723)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7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베어링(7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베어링(760)은 상기 회전축(7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배면(2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드럼배면(220)은 최대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베어링(760)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배면(220)보다 전방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로터(620)에 의해 회전하명 상기 태양기어(73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유성기어(732)는 이에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제1유성바디(7321)가 상기 링기어(733)에 맞물려 회전하나, 상기 링기어(733)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유성바디(7321)는 반작용에 의해 상기 태양기어(73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732)는 기어축(7323)을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케리어(734)를 회전시킨다. 상기 케리어(73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케리어(734)에서 연장되는 회전축(740)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732)는 상기 태양기어(731)와 맞물리게 되므로 상기 태양기어(731)와 맞물려 반대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유성기어(732)가 상기 링기어(733)에 회전하면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케리어(734)는 상기 태양기어(73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태양기어(7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태양기어(731)의 직경보다 상기 유성기어(732)의 외주면 직경 및 상기 케리어(734)의 직경이 더 크므로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태양기어(731) 보다 더 작은 rpm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구동축(630) 보다 더 작은 rpm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마찰손실 외에 에너지가 낭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구동축(630)에 전달된 동력은 상기 회전축(7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740)의 rpm은 감소한 만큼 회전시키는 힘인 토크는 증폭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모터부(600)의 발생하는 저토크 및 고rpm에 해당하는 동력을 고토크 및 저rpm에 해당하는 동력으로 전환하므로,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모터부(600)의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에 전달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630)의 축방향과, 회전축(740)의 축방향은 서로 동축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630)은 상기 감속기(700) 내부에 지지되며, 상기 스테이터(610)도 상기 감속기(700)에 고정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구동축(630)이 상기 감속기(700)과 이루는 방향은 거의 항상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730)가 상기 감속기(700) 내부에 기어결합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740)도 상기 기어박스(730)에서 상기 감속기하우징(720) 및 베어링(770)에 의해 축이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축(740)이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되는 방향은 거의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은 거의 항상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은 상기 감속기하우징과 함께 기울어지거나 상기 감속기 하우징과 동시에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제2하우징(720)에서 연장되는 축지지부(723)에 지지되어 상기 부싱부(3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축지지부(723)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제1베어링(7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자유단이 상기 축결합부(3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부(M)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축소하여 상기 드럼(200)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M)의 전체 길이(T3)는 상기 로터(620)의 후면에서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까지 길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M)가 상기 캐비닛(100)에서 상기 전체길이(T3) 만큼과 대응되는 부피를 독자적으로 차지하게 되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이 배치될 수 있는 드럼길이(T2)가 축소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부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 공간활용도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M)각 구성을 조밀(Compact)하게 배치하거나, 상기 구동부(M)가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여 상기 구동부(M) 전체 길이(T3)를 구동부(M)의 각 구성의 두께의 합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구동부(M)의 전체길이(T3)는 상기 스테이터(610)와 상기 로터(620)의 두께 해당하는 모터부(600)의 두께(T31)와, 상기 감속기(700) 전체의 두께(T32)와, 상기 감속기(70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740)의 길이(T33)의 합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스테이터(61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스테이터(610)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중첩길이(E1) 만큼 상기 스테이터(6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중첩길이(E1)는 상기 체결부(728)에서 상기 축수용부(713)까지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감속기(700)의 실제길이(T3X)는 상기 모터부(600)의 두께(T31)과 상기 감속기의 길이(T32)의 합보다 중첩길이(E1) 만큼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600) 및 상기 감속기(7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중첩길이(E1) 만큼 우선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중첩길이(E1)는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가 자체적으로 축소한 길이에 해당한다.
상기 구동부(M)는 다른 구성과의 배치관계를 통해 차지하는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600)와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리어케이스(420)에서 차지하는 길이를 설치길이(T3Y)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200)은 회전시 상기 리어케이스(420)에 간섭되지 않기 위해 이격거리(G)만큼 상기 리어케이스(420)와 이격되어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전방에 배치된다.
결국,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배면에서 설치길이(T3Y) 만큼 독자적인 공간을 차지하며 배치되고, 상기 드럼(200)과는 이격거리(G) 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M)가 차지하는 길이(T3)는 상기 회전축(420)의 길이(T33)를 고려하면, 적어도 상기 설치길이(T3Y)와 상기 이격거리(G)의 합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구동부(M)의 길이(T3)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상기 장착부(429)가 상기 드럼배면(220) 또는 부싱부(300)을 향하여 수용깊이(L2) 만큼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429)의 직경은 상기 로터(620)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서 상기 장착면(4292)까지 상기 장착홈(4294)이 수용깊이(L2)만큼 함몰되거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장착부(429)는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가 상기 장착부(429)에 수용되어 배치되면,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1) 보다 상기 수용깊이(L2) 만큼 상기 드럼배면(220)과 더 가까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의 설치길이(T3Y)는 상기 이격거리(G)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는 상기 이격거리(G)에 해당하는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감속기(700)의 설치길이(T3Y) 중 상기 수용깊이(L2)에 해당하는 만큼의 부피를 상기 이격거리(G)에 해당하는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과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을 수용깊이(L2) 만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490)로 인해 상기 감속기(700)가 상기 드럼(200)과 상기 수용깊이(L2) 만큼 가까워지므로, 상기 회전축(740)의 길이(T33)을 그만큼 더 축소할 수 있어 전체 구동부 길이(T3)를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700)의 기어박스(730)는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 중 하나 이상은 비금속재질 또는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를 견고한 금속재질로 구비하게 되면,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를 소형으로 구비하여도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을 그대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감속기(700)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를 금속재질로 구비하게 되면, 상기 기어박스(730)의 무게가 증가하여 상기 감속기(700)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것이 그만큼 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부(6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기어박스(730)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감속기(700)가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가 모두 금속재질로 구비되면, 상기 회전축(720)이나 상기 구동축(63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어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 중 어느하나가 파손되거나, 상기 회전축(720)이나 상기 구동축(630)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 중 하나 이상은 비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축(720)이나 상기 구동축(630) 중 하나 이상은 강화플라스틱 등의 수지 계열로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어박스(730) 자체의 하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부(600)에서 발생하는 열 전달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로 전달되는 진동을 일부 완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태양기어(731)와, 유성기어(732), 링기어(733)와 케리어(734) 중 하나 이상이 비금속재질로 구비되면, 금속재질로 구비될때 보다 부피가 더 커질 수 있고, 상기 감속기 두께(T32)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429)가 수용깊이(L2) 만큼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서 함몰되므로 상기 증가한 감속기 두께(T32)를 충분히 완충할 수 있다. 더욱이, 부싱부(300)가 상기 함몰면(330)을 통해 상기 회전축(740) 또는 상기 감속기(700)의 축지지부(723)을 수용하여 상기 증가한 감속기 두께(T32)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740)이 무리하게 짧아지게 되면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부싱부(300)와 결합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상기 구동부(M)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드럼(200)에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상기 회전축(740)을 길게 구비하면, 상기 구동부(M)의 전체길이(T3)가 증가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 내부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는 함몰면(330)을 포함하는 부싱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함몰면(330)으로 인해 상기 축결합부(320)가 상기 드럼(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700)에서 연장되는 상기 회전축(740)은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도 상기 축결합부(320)에 지지되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함몰면(330)으로 인해 상기 드럼(2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의 길이(T33)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부싱부(300)로 인해 상기 드럼(200)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200)과 독립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회전축(740)을 지지하는 축지지부(723)가 상기 장착부(429)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지지부(723)는 상기 장착부(429)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제2하우징(720)에서 상기 부싱부(300)를 향하여 연장길이(T3Z)만큼 연장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의 실제길이(T3X)는 상기 설치길이(T3Y)와 상기 연장길이(T3Z)를 더한 값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부싱부(300)도 더 가까워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740)의 길이도 그만큼 더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길이(T3Z)는 상기 축지지부(723)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부싱부(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720)에서 연장된 길이에 해당할 수다. 예를들어, 상기 축지지부(723) 내주면에 구비된 상기 제1베어링(7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싱부(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축지지부(723)가 상기 함몰면(3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길이(T3Z)는 상기 이격길이(G)에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길이(T3Z)는 상기 장착부(429)와 상기 부싱부(300)가 이격된 길이와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429)와 상기 부싱부(300)가 이격된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700)의 일부가 상기 부싱부(3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감속기(700) 자체가 상기 드럼(200)과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두께를 상기 연장길이(T3Z)와 상기 부싱부(300)가 중첩된 길이 만큼 더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지지부(723)가 상기 연장길이(T3Z) 만큼 상기 감속기(700)에서 이격되므로, 상기 회전축(740)이 감속기(700)에서 연장되어 감속기(700)와 별도로 차지하는 길이(T33)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드럼(200) 배면에서 완전히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는 상기 장착부(492)의 수용깊이(L2) 및 상기 함몰면(330)의 깊이(B1), 상기 축지지부(723)의 연장길이(T3Z) 만큼 공간을 활용하여, 최대한 조밀(COMPACT)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M)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의 배면에서 노출된 노출두께(T3R) 만큼만 상기 캐비닛에서 차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구동부(M)는 상기 스테이터(610) 내부의 공간활용, 상기 장착부(429)로 인한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케이스(420) 사이의 공간활용, 상기 축지지부(723)로 인한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드럼(200) 사이의 공간활용, 상기 부싱부(300)로 인한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의 공간활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리어케이스(420) 배면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컴팩트 영역(T3C)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차지하는 두께는 전체 구동부(M)의 두께(T3) 중에 컴팩트영역(T3C)에 해당하는 두께를 제외한 상기 리어케이스(420)에서 노출영역인 노출두께(T3R)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가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허용된 길이 T1 이내에서 노출두께(T3R)만큼만 추가로 차지하고 컴팩트 두께(T3C) 만큼은 독립적으로 차지하지 않을 수 있고, 드럼의 길이(T2)는 최대 컴팩트 영역의 두께(T3C)만큼 더 길게 확보될 수 있다.
도16은 상기 부싱부(300)와 상기 드럼 배면(2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안착될 수 있는 결합면(310)과 상기 회전축(740)과 결합될 수 있는 축결합부(320)와, 상기 축결합부(320)를 상기 드럼 배면(220) 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함몰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면(330)은 상기 결합면(310)에서 상기 결합면(310)의 직경, 상기 장착홀(222)의 직경, 또는 상기 함몰면(330)의 직경 중 하나 이상보다 더욱 길게 설정되는 제2길이(B2)만큼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면(330)은 더 깊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740)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배면(220) 외부에서 차지하는 길이를 더욱 축소킬 수 있고, 상기 구동부(M)가 차지하는 추가 영역을 더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수용면(2231)은 상기 제2길이(B2) 보다 더 길게 상기 둘레부(2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면(2231)의 직경은 상기 로터(620) 또는 상기 스테이터(61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429)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수용면(2231)으로 인해 상기 장착부(429)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면(2231)은 상기 장착부(429) 등에 구비된 전선지지홈(4295)를 회피하기 위해 외부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전선회피홈(223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수용면(2231) 내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를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축소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를 상기 회전축(74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활용하여 구동부(M)의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지만,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공간을 또한 축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지지면(2232)에서 상기 부싱부(300)가 안착되는 설치면(2233)이 상기 구동부(M)와 가까워지도록 오히려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설치면(2233)은 상기 지지면(2232)에서 상기 수용면(2231)이 함몰되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의 결합면(310)은 상기 설치면(2233)이 상기 지지면(2232)에서 상기 드럼배면(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면(2232) 보다 상기 구동부(M)를 향하여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234)은 상기 설치면(2233)에서 상기 구동부(M)를 향하여 더 도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싱결합부(312)는 상기 결함홈(2234)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안착부(223)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면(2233)이 상기 지지면(2232)에서 절곡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부싱부(300)의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안착부(223)의 강성이 더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234)도 상기 설치면(2233)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면(310)의 강성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홈(2234)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17은 상기 안착부(233)와 상기 설치면(2233)을 구비한 드럼배면(220)에 상기 구동부(M)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선 도1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테이터(610) 또는 상기 모터부(600)의 두께(T31)과, 상기 감속기(700)의 두께(T32)과, 상기 회전축(740)의 두께(T33)의 합보다 상기 구동부(M) 전체의 두께(T3)가 작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스테이터(610)와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회전축(740)이 조밀(Compact)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M)의 전체 두께를 축소하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상기 스테이터(610) 내부 공간에 상기 감속기(700)가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610)와 상기 감속기(700)의 설치공간이 중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600)와 상기 감속기(700)의 전체 두께는 상기 모터부(600)의 두께와 상기 감속기(700)의 두께의 합보다 작아 상기 구동부(M) 자체가 차지하는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600)와 상기 감속기(700)가 중첩된 길이 만큼 상기 드럼의 길이(T2)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429)에서 상기 장착면(4292)는 상기 장착홈(4294)을 통해 상기 드럼배면(220)을 향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421)에서 수용깊이(L2) 만큼 함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20)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배면에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20)를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수용깊이(L2) 만큼 앞당겨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 자체적으로 두께를 축소시켜 배치되는 부피를 축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까지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공간을 상기 구동부(M)가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M) 배면에 배치한 배면패널(120)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420)를 기준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1)를 상기 배면패널(12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리어플레이트(421)를 더 상기 수용깊이(L2) 만큼 후방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럼의 길이(T2)를 상기 수용깊이(L2) 만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후방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구동부(M)를 조밀(Compact)하게 배치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바디(210)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구동부(M)를 상기 드럼(200)을 향해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이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차지하는 공간 또는 상기 구동부(M)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중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 상기 리어케이스(420) 및 상기 구동부(M) 전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 또는 의류 수용 공간의 일부에 상기 구동부(M)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M)가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과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 일부를 상기 부싱부(300), 상기 구동부(M) 또는 상기 리어케이스(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는 드럼공간 활용영역(C)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은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 수용 공간 중 일부를 상기 부싱부(300), 상기 구동부(M) 또는 상기 리어케이스(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공간활용영역(C)은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상기 드럼의 투입구(211)를 향하여 함몰되는 안착부(223)가 형성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활용길이(C1) 만큼 함몰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223)의 수용면(2231)은 상기 둘레부(221)의 내주면에서 활용길이(C1) 만큼 상기 투입구(211)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배면(220)의 외면에서 상기 활용길이(C1) 만큼 대응되는 공간이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면(2231)은 상기 장착부(429)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면(2231)은 상기 장착부(429)를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수용면(2231)의 일면과 상기 장착부(429)의 적어도 일면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일부가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으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케이스(420)가 이격된 이격길이(G)도 다양화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둘레부(221)와 상기 리어케이스(420)는 제1간격(Ga)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면(2232)와 상기 장착면(4292)의 간격은 제1간격(Ga) 보다 더 길게 설정되는 상기 제2간격(Gb)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면(2232)과 상기 장착면(4292)의 제2간격(Gb)을 상대적으로 길게 확보하되, 구동부(M)와 무관한 제1간격(Ga)은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여, 상기 드럼(200)과 상기 리어케이스(420)의 이격공간(G)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429)에는 상기 감속기(700) 또는 상기 모터부(600)가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429)가 상기 수용면(2231)에 수용되면,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모터부(600)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M)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M)가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서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노출영역(T3R)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의 외부는 상기 드럼(200)이 활용하는 공간으로 볼 수도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의 관점에서는, 상기 드럼배면(220)을 상기 구동부(M)가 배치되는 영역 또는 상기 구동부(M)의 측면까지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드럼의 길이(T2)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상기 안착부(223)를 통해 상기 구동부(M)를 일부 또는 전부 수용함으로써, 상기 드럼배면(220)을 상기 구동부(M)의 전면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드럼길이(T2)가 최대한 길어질 수 있고, 상기 드럼 내부의 용적은 상기 수용길이(C1)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더 확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으로 인해, 상기 구동부(M)를 조밀(Compact)하게 설치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그만큼 건조용적도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공간활용영역(C)은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상기 부싱부(300)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회전축(740)과 결합되는 부재이므로,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돌출되어 결합되면 상기 수용길이(C1)에 상기 부싱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싱부(3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상기 드럼(200)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럼(200)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부싱부(300)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히킬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에서, 상기 결합면(310)가 상기 드럼배면(220)에 결합되면 상기 함몰면(330)은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상기 제1길이(B1) 또는 제2길이(B2) 만큼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함몰면(330)의 내주면에서 상기 회전축(740)을 수용하는 상기 축결합부(320)가 상기 투입구(211)의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면(330)과 상기 축결합부(320)는 총 부싱길이(C3)만큼 상기 드럼 내부(200)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드럼공간활용영역(C)은 더 확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부싱길이(C3) 만큼 상기 드럼(2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부싱부(300)가 상기 드럼(200)과 별도로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최대한 축소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허용길이(T1)에서 상기 부싱부(300)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되어 그만큼 상기 구동부(M)를 확보하는 공간이 증가하거나 상기 드럼길이(T2)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부(300) 중 상기 부싱길이(C3)는 상기 회전축(740)을 상기 드럼(200) 내부에 수용하는 길이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740)은 상기 부싱길이(C3)만큼 상기 드럼(200)에 수용되어 상기 드럼(200)과 상기 구동부(M)의 길이가 더 가깝고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감속기 제2하우징(720)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축소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감속기(700)에서 틀어지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관점에서는, 상기 부싱길이(C3)가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에 포함되므로, 상기 드럼배면(220)을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보다 후방으로 더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회전축(740)이 독자적으로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연장되어 배치될 공간의 일부도 의류를 수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길이(T2)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면(2233)은 상기 지지면(2232)에서 상기 드럼배면(220)의 외부를 향하여 확보길이(C2)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확보길이(C2)는 상기 수용길이(C1)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보길이(C2)로 인해 상기 수용길이(C1)와 대응되는 공간은 상기 구동부(M) 또는 상기 장착부(429)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부싱부(30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중 활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길이(C1)와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구동부(M) 및 상기 장착부(429)와 상기 드럼(200)이 중첩되어 설치되는 공간에 해당하면서도, 상기 부싱부(300)와 상기 드럼(200)이 중첩되는 설치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설치면(2233)은 상기 지지면(2232)의 내주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설치면(2233)의 직경은 상기 지지면(2232)의 외주면 및 상기 수용면(2231)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상기 확보길이(C2)는 상기 수용길이(C1)보다 짧다. 상기 설치면(2232)이 상기 지지면(2232)에서 과도하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면(2232)이 상기 구동부(M)와 오히려 간섭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상기 확보길이(C2)에 대응되는 영역의 부피는 상기 드럼배면(220)에서 수용길이(C1)에 대응되는 영역의 부피보다 작다.
한편, 상기 설치면(2233)이 상기 확보길이(C2)로 상기 지지면(2232)에서 돌출됨으로써, 상기 부싱부(300)의 안착면(310)이 상기 장착부(429)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700)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축(740)의 길이는 더욱 축소될 수 있고,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감속기(700)는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감속기(700)에서 상기 회전축(740)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760)까지 상기 함몰면(3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배면(22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740)과 상기 구동축(630)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담보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740)이 상기 드럼(200) 및 의류의 하중에도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상기 드럼공간 활용영역(C)으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을 향하여 조밀(Compact)하게 상기 구동부(M)의 구성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길이(C1) 만큼 상기 감속기(700)와 상기 모터부(600)를 상기 드럼배면(220)을 향하여 접근시킬 수 있고, 상기 확보길이(C2)만큼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모터부(600)가 상기 설치면(2232)과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싱길이(C3) 만큼 상기 회전축(740)의 자유단을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감속기(700) 및 상기 모터부(600)를 상기 드럼배면(220)에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M)의 실제 길이(T3) 중 상기 드럼배면(220)의 후방에서 독자적으로 상기 캐비닛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실제 노출영역(T3R)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실제노출영역(T3R)은 상기 구동부(M)가 상기 리어플레이트(421)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노출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실제노출영역(T3R)의 두께는 상기 구동부(M) 전체 두께(T3)의 1/2 또는 1/3 보다 작을 수 있어, 상기 허용길이(T1) 중에 상기 구동부가 차지하는 구동부 길이(T3)는 그만큼 짧아질 수 있고, 상기 드럼길이(T2)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캐비닛 200 드럼 300 부싱부
400 지지부 500 스포터 600 모터부
700 감속기 900 열풍공급부 M 구동부

Claims (21)

  1.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전방에 투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바디와,
    상기 드럼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는 드럼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배면은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배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이 결합되는 부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배면은
    상기 드럼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 내측에서 상기 부싱부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직경은 상기 구동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착부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둘레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수용면과,
    상기 수용면의 내주면에서 상기 구동부와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싱부가 안착되는 설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은 상기 부싱부를 지지하거나 상기 부싱부를 관통하는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이 결합되는 축결합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결합면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함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함몰면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은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1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축결합부는 내주면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안착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과 상기 안착부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결합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체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안착부와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 후방에 배치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rpm을 변환시켜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13175A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175A KR20220031351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CN202180074244.2A CN116368272A (zh) 2020-09-04 2021-09-03 衣物处理设备
US17/466,733 US20220112645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3514939A JP2023540120A (ja) 2020-09-04 2021-09-03 衣類処理装置
EP21194822.9A EP3964623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3514794A JP2023540515A (ja) 2020-09-04 2021-09-03 衣類処理装置
US17/466,965 US20220074110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1/011946 WO2022050766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1335817A AU2021335817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1335818A AU2021335818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194791.6A EP3964628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1/011950 WO2022050768A1 (en) 2020-09-04 2021-09-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175A KR20220031351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51A true KR20220031351A (ko) 2022-03-11

Family

ID=8081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175A KR20220031351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3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11295A1 (en) Drum for washing machine
US2022007411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3135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52A (ko) 의류처리장치
EP396462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3135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6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08532B (zh)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8B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111120A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39979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1427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55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46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6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