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114A -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114A
KR20220030114A KR1020200111915A KR20200111915A KR20220030114A KR 20220030114 A KR20220030114 A KR 20220030114A KR 1020200111915 A KR1020200111915 A KR 1020200111915A KR 20200111915 A KR20200111915 A KR 20200111915A KR 20220030114 A KR20220030114 A KR 20220030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ear
ratchet
terminal bod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1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114A/ko
Priority to PCT/KR2021/010823 priority patent/WO2022050593A1/ko
Priority to JP2023509451A priority patent/JP2023537740A/ja
Priority to US18/006,298 priority patent/US20230307855A1/en
Priority to CN202180056925.6A priority patent/CN116034521A/zh
Priority to EP21864554.7A priority patent/EP4181325A4/en
Publication of KR2022003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16H2019/046Facilitating the engagement or stopping of 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장치로서, 기판에 체결되고, 일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미널 몸체,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한 제1 커넥터; 전선이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단자 몸체,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는 단자를 포함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래칫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부는, 톱니기어; 래칫기어, 및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터미널이 구비된 제1 커넥터와 단자가 구비된 제2 커넥터의 결합성을 높인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장치는 차량 또는 가전기기 등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와 전선을 통전되게 연결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것으로, 장치의 기판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와,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커넥터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결합하면,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장치의 기판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하면,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장치의 기판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걸림홈과 걸림부를 통해 결합하였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걸림홈과 걸림부 없이 단순 결합하면 너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28123호
본 발명은 래칫기어를 적용함으로써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장치는 기판에 체결되고, 일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미널 몸체,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한 제1 커넥터; 전선이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단자 몸체,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는 단자를 포함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래칫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부는, 상기 단자 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 몸체가 상기 터미널 몸체 내에 삽입 시 상기 터미널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톱니가 구비되는 톱니기어; 상기 터미널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톱니기어에 치합되되, 고정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고, 회전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래칫기어, 및 상기 래칫기어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을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를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칫부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톱니기어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스토퍼 선단을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 홈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에 방해 받지 않게 회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홈으로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면, 상기 톱니기어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스토퍼 선단을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안쪽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래칫기어에 의해 상기 톱니기어가 이동하지 못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벗어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스토퍼가 벗어나 있어 연속하여 회전하고,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톱니기어는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래칫부는 상기 래칫기어, 스토퍼 및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몸체 내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몸체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터미널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기어는, 상기 단자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 몸체에 구비된 래칫기어와 스토퍼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일단이 터미널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터미널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래칫기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장치는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래칫부를 포함하되, 상기 래칫부는 톱니기어, 래칫기어 및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장치에서 스토퍼는,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를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스토퍼를 상기 래칫기어로부터 분리시켜야 제1 및 제2 커넥터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커넥터가 쉽게 분리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의 결합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에서 래칫부의 결합 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에서 래칫부의 결합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본 발명은 기판과 전선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 커넥터장치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전자기기와 전자기기, 전선과 전선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래칫(ratchet)을 이용한 결합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 및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를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래칫부(30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제1 커넥터(100)는 기판(10)에 체결되고, 일면에 개구부(100a)가 구비되는 터미널 몸체(110), 상기 개구부(100a)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20)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제2 커넥터(200)는 전선(20)이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110)의 개구부(100a)에 삽입되는 단자 몸체(210), 상기 단자 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120)과 접촉되는 단자(220)를 포함한다.
래칫부
래칫부(300)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톱니기어(310),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을 포함한다.
상기 톱니기어(310)는 상기 단자 몸체(210)의 외측면(도 3에서 보았을 때 단자 몸체의 외측 외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톱니를 포함한다.
상기 톱니는 상기 단자 몸체(210)가 상기 터미널 몸체(110) 내에 삽입 시 상기 터미널 몸체(110)를 향하는 방향(도 3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터미널 몸체(11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 결합시 상기 톱니기어(310)에 치합되되, 고정시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고, 회전시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한다.
즉, 래칫기어(320)가 회전하면, 래칫기어(320)에 치합된 톱니기어(31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래칫기어(320)가 고정되면, 래칫기어(320)에 치합된 톱니기어(310)가 이동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결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래칫기어(32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치(321)와 상기 기어치(321) 사이에 홈(322)을 형성되되, 상기 톱니기어(310)에 치합되는 상기 기어치(321)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도 4에서 보았을 때 기어치의 우측면)은 수직면(321b)으로 형성되고,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도 4에서 보았을 때 기어치의 좌측면)은 경사면(321a)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래칫기어(320)는 도 4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는 스토퍼가 경사면(321a)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칫기어(320)는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는 스토퍼가 수직면(321b)에 걸림됨으로써 회전할 수 없다.
스토퍼
스토퍼(330)는 상기 래칫기어(320)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을 해제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스토퍼(330)는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320)를 상기 제2 커넥터(2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330)의 해제 없이 상기 제2 커넥터(2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를 결합시킬 수는 있지만, 상기 제2 커넥터(2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의 결합을 해제할 수는 없다.
즉, 상기 제2 커넥터(2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가 결합되면서 톱니기어(310)에 의해 래칫기어(32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330)는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에 구비된 경사면(321a)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래칫기어(320)의 홈에서 홈으로 연속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래칫기어(320)에 삽입된 스토퍼(330)의 선단을 해제하지 않아도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커넥터(2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가 분리되면서 톱니기어(310)에 의해 래칫기어(32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330)는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에 구비된 수직면(321b)에 걸림되면서 래칫기어(320)의 회전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래칫기어(320)에 삽입된 스토퍼(330)의 선단을 해제하지 않으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없다.
스프링
스프링(340)은 상기 스토퍼(330)를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은 제1 커넥터(100)에 체결되고 타단은 스토퍼(330)의 선단 일측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톱니기어(310)는 상기 단자 몸체(210)의 외측면 중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70~80% 결합되는 지점부터 완전히 결합되는 지점까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20~30% 결합이 해제되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의 결합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상기 제2 커넥터(200)에 구비된 톱니기어(310)에 의해 제1 커넥터(100)에 구비된 래칫기어(320)가 회전하되,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스토퍼(330) 선단을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 홈(322)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래칫기어(320)는 상기 스토퍼(330)에 방해 받지 않게 연속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토퍼(330)의 선단은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에 구비된 경사면(321a)을 따라 가이드되기 때문에 래칫기어(3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30)는 상기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02)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서 홈(322)으로 연속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래칫기어(320)에 삽입된 스토퍼(330)를 해제하지 않아도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330)가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를 분리하면, 상기 톱니기어(310)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스토퍼(330) 선단을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 바깥쪽으로 밀어내지 못하는, 즉 상기 스토퍼(330)의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회전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에 구비된 수직면(321b)에 스토퍼(330)의 선단이 걸리면서 래칫기어(3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래칫기어(320)에 스토퍼(33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를 분리시킬 수 없다.
상기 스토퍼(330)가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서 벗어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분리하면,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스토퍼(330)가 벗어나 있어 연속하여 회전하고, 상기 래칫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톱니기어(310)는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30)가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의 홈(322)에서 벗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터미널 몸체(110)를 구비한 제1 커넥터(100)와 단자 몸체(210)를 구비한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몸체(110) 내부에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몸체(210)에는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가이드홈(111)과 가이드돌기(211)를 포함함으로써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111)이 형성된 상기 터미널 몸체(110)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1)과 연결되는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11)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2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설정된 결합지점에서 걸림돌기(212)가 걸림홈(112)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설정된 결합지점 이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초과 결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자 몸체(210)와 톱니기어(310)를 포함하되, 상기 톱니기어(310)는 상기 단자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톱니기어(310)는 단자 몸체(210)에 형성된 결합홈(213)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톱니기어를 단자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래칫기어와의 치합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톱니기어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톱니기어를 단자 몸체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진 소재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 주기를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래칫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래칙부(300)는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이 설치되는 래칫 몸체(350)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몸체(350)는 터미널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래칫 몸체(350)는 래칫 몸체(350)에 형성된 가이드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래칫 몸체(350)를 터미널 몸체(1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 래칫몸체를 터미널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래칫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래칙부(300)는 터미널 몸체(110)에 구비되는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터미널 몸체(110)에는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36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360)는 일단이 터미널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보호커버(360)는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을 보호하거나 또는 보호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보호커버를 포함함으로써 터미널 몸체(110)에 구비된 래칫기어(320), 스토퍼(330), 및 스프링(340)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토퍼(330)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330)는, 상기 터미널 몸체(110)의 외주면에 상기 래칫기어(3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편(331)과,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 홈(322)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320)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편(332)을 포함한다.
즉, 스토퍼(330)는 가이드편(331)이 래칫기어(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편(332)이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 홈(322)으로부터 벗어나면서 래칫기어(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편(331)이 래칫기어(320)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편(332)이 상기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1) 사이 홈(322)에 삽입되면서 래칫기어(320)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가이드편과 고정편이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래칫기어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는 스토퍼(330)가 상기 래칫기어(320)를 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제1 커넥터
110: 터미널 몸체
120: 터미널
200: 제2 커넥터
210: 단자 몸체
220: 단자
300: 래칫부
310: 톱니기어
320: 래칫기어
330: 스토퍼
340: 스프링
350: 래칫 몸체

Claims (13)

  1. 기판에 체결되고, 일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미널 몸체,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한 제1 커넥터;
    전선이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단자 몸체,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는 단자를 포함한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래칫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부는,
    상기 단자 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 몸체가 상기 터미널 몸체 내에 삽입 시 상기 터미널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톱니가 구비되는 톱니기어;
    상기 터미널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톱니기어에 치합되되, 고정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되지 않게 결합하고, 회전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을 해제하는 래칫기어, 및
    상기 래칫기어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을 해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커넥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를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커넥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부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톱니기어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스토퍼 선단을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 홈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에 방해 받지 않게 회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홈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커넥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면, 상기 톱니기어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스토퍼 선단을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안쪽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래칫기어에 의해 상기 톱니기어가 이동하지 못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는 커넥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벗어난 상태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면,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홈에서 스토퍼가 벗어나 있어 연속하여 회전하고,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톱니기어는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분리되는 커넥터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래칫부는 상기 래칫기어, 스토퍼 및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 몸체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몸체 내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몸체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터미널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톱니기어는, 상기 단자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 몸체에 구비된 래칫기어와 스토퍼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일단이 터미널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터미널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래칫기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래칫기어의 기어치 사이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래칫기어를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커넥터장치.
KR1020200111915A 2020-09-02 2020-09-02 커넥터장치 KR20220030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15A KR20220030114A (ko) 2020-09-02 2020-09-02 커넥터장치
PCT/KR2021/010823 WO2022050593A1 (ko) 2020-09-02 2021-08-13 커넥터장치
JP2023509451A JP2023537740A (ja) 2020-09-02 2021-08-13 コネクタ装置
US18/006,298 US20230307855A1 (en) 2020-09-02 2021-08-13 Connector Device
CN202180056925.6A CN116034521A (zh) 2020-09-02 2021-08-13 连接器装置
EP21864554.7A EP4181325A4 (en) 2020-09-02 2021-08-13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15A KR20220030114A (ko) 2020-09-02 2020-09-02 커넥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114A true KR20220030114A (ko) 2022-03-10

Family

ID=8049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15A KR20220030114A (ko) 2020-09-02 2020-09-02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7855A1 (ko)
EP (1) EP4181325A4 (ko)
JP (1) JP2023537740A (ko)
KR (1) KR20220030114A (ko)
CN (1) CN116034521A (ko)
WO (1) WO20220505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123A (ko) 2016-09-08 2018-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8888U (ko) * 1977-03-23 1978-10-13
JPH09204961A (ja) * 1996-01-25 1997-08-05 Yazaki Corp 低挿抜力コネクタ
KR200463785Y1 (ko) * 2010-12-20 2012-12-05 조정민 굴절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200466204Y1 (ko) * 2011-07-15 2013-04-03 공윤옥 이동 가능한 벽체용 콘센트
CN202259947U (zh) * 2011-09-30 2012-05-30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机车用连接器限位组件
JP2013098055A (ja) * 2011-11-01 2013-05-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コネクタ
KR20200111915A (ko)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구현을 위한 창문 일체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123A (ko) 2016-09-08 2018-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593A1 (ko) 2022-03-10
JP2023537740A (ja) 2023-09-05
EP4181325A1 (en) 2023-05-17
EP4181325A4 (en) 2023-12-13
CN116034521A (zh) 2023-04-28
US20230307855A1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5000431T5 (de) Schutzstruktur für einen stromführenden Abschnitt und Verbinder
US11515661B2 (en) Plug assembly for data cables
JP2016042455A (ja) オス端子保護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0459905B (zh) 插接连接部件
US7896663B2 (en) Plug assembly, attachment plug and conversion plug
BR112013007828B1 (pt) Conector de encaixe
JP6280816B2 (ja) 電線固定具
KR20220030114A (ko) 커넥터장치
US7704091B2 (en) Snagless plug and boot connection
WO2014142142A1 (ja) コネクタ装置
US9231336B2 (en) Device for fixing a cable to a cable outlet connector
US20220043230A1 (en) Plug connector part for an optical and/or electrical plug connection
US10773921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rd reel, and apparatus including cord reel and holder
JP5847132B2 (ja) 締結部材被覆構造
KR200490913Y1 (ko) 전력케이블 보호구용 고정장치
KR20100113655A (ko) 와이어커버
US926810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CN104648809A (zh) 一种扎带及使用该扎带的连接器
JP2008293859A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JP7454133B2 (ja) 接地端子操作ユニット
KR200471776Y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WO2014168093A1 (ja) コネクタ装置
JP3129036U (ja) コード絡まり防止具
CN206211202U (zh) 一种便于携带的电源线
JP2018040434A (ja) 拘束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