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204A -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204A
KR20220028204A KR1020200108924A KR20200108924A KR20220028204A KR 20220028204 A KR20220028204 A KR 20220028204A KR 1020200108924 A KR1020200108924 A KR 1020200108924A KR 20200108924 A KR20200108924 A KR 20200108924A KR 20220028204 A KR20220028204 A KR 2022002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shaft
sensing
bi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271B1 (ko
Inventor
김성균
Original Assignee
김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균 filed Critical 김성균
Priority to KR102020010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2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32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 B65H23/038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1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 B65H2404/1315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섬유가공장치의 각 모듈 사이에서 원단을 공급하도록 투입구(111) 및 배출구(112)를 전, 후측에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투입구(111) 상에 수평으로 장착하는 봉상의 감지부설치바(120)와, 감지부설치바(120)를 따라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되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원단 폭에 근접하는 간격으로 배치하여 원단의 양 변을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하는 제1,2감지부(131,132)와, 본체(110)의 내부에서 원단 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되 제1,2감지부(131,132) 각각의 감지 상태에 따라서 원단의 공급 방향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교정하는 편중방지부(140)와, 제1,2감지부(131,132)와 연동하여 편중방지부(140)의 교정 방향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구동하는 작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섬유가공장치에서 원단의 공급 방향이 편중되는 현상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APPARATUS TO PREVENT THE BIAS OF FABRIC FOR TEXTILE PROCESSING}
본 발명은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련장치 등과 같이 원단을 각 모듈에 공급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일련의 섬유가공장치에서 원단의 공급 방향을 유지하여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은 제직 이후에도 정련, 염색, 표면처리 등 섬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개질하기 위한 각종 가공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예컨대 정련공정은 원단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원단을 정련기에 투입하여 각 모듈로 공급하면서 일련의 단계를 거쳐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82467 호에는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수단과, 원단공급수단의 후방에 구비되어 원단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원단을 정련하는 정련수단과, 정련수단의 후방에 구비되어 정련수단을 통과한 원단을 수세하는 수세수단과, 수세수단의 후방에 구비되어 수세수단을 통과한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원단정련장치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55619 호에는 원단을 적재하여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뒤쪽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이송되는 원단에 물을 분사함에 따라 원단을 수세 처리하는 수세부와, 수세부의 뒤쪽에 구비되어 수세된 원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정단하는 정단부와, 수세부의 뒤쪽에 구비되어 수세 처리된 원단을 연속으로 이송시키면서 원단 측으로 열을 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부를 포함하는 원단 가공기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예로든 종래 기술에 따른 섬유 가공용 장치에 포함된 원단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롤러의 형태로 구비되어 원단을 각 모듈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종래의 원단공급장치용 롤러는 통상의 원통형 롤러 외에도,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20 - 0252514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로울러와, 가이드로울러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동로울러와, 구동로울러의 전방에 형성되며 구겨진 원단을 좌우로 펼치기 위한 코일이 형성된 나선형로울러와, 나선형로울러의 전방에 설치되어 원단이 좌우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원단지지구를 포함하는 원단공급장치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74980 호에는 원단 가공장치의 롤러 모듈에 있어서, 원단이 투입되는 한 쌍의 제1 롤러부와, 원단이 제1 롤러부로부터 투입되는 제2 롤러부와,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사이에 구비되어 원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고 가이드 롤러부는 일정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원단가공장치의 롤러 모듈을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82467 호 (2019.05.24)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55619 호 (2019.12.13) 한국등록실용신안 20 - 0252514 호 (2001.11.22) 한국등록특허 제 10 - 2074980 호 (2020.02.07)
원단의 정련, 염색, 표면처리 등 섬유의 각종 가공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 예컨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원단정련장치에는 원단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원단공급장치는 각 모듈에 원단을 공급함으로써 정련수단과 수세수단을 통과하여 정련 및 수세된 후 권취수단의 권취롤에 권취되어 회수되도록 하는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비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원단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롤러의 형태로 구비되어 원단을 각 모듈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원단공급장치는 원단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장력 차이 또는 권취롤 사이의 편차, 원단의 재질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원단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대부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단편중현상은 원단의 공급 과정에서 주름 및 접힘을 야기하거나 원단 및 기계의 손상을 유발하여 작업 중단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원단편중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종 장력조절장치나 다수의 가이드롤러, 또는 상기 예시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원단이 좌우로 밀리지 않도록 원단롤의 양측을 지지하는 원단지지구 등의 구성이 제공되고 있으나 원단공급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든 원단가공장치에는 원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되 중심부가 일정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는바, 이와 같은 형태의 롤러는 원단을 공급 시 일시적으로는 원단을 중심부로 유도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나 자칫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오히려 장력 조절에 실패할 가능성을 내포하므로 사실상 그 작용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섬유가공장치의 각 모듈 사이에서 원단을 공급하도록 투입구(111) 및 배출구(112)를 전, 후측에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 상에 수평으로 장착하는 봉상의 감지부설치바(120)와,
상기 감지부설치바(120)를 따라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되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원단 폭에 근접하는 간격으로 배치하여 원단의 양 변을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하는 제1,2감지부(131,132)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원단 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제1,2감지부(131,132) 각각의 감지 상태에 따라서 원단의 공급 방향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교정하는 편중방지부(140)와,
상기 제1,2감지부(131,132)와 연동하여 상기 편중방지부(140)의 교정 방향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구동하는 작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섬유가공장치에서 원단의 공급 방향이 편중되는 현상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섬유의 가공 공정에서 원단을 각 모듈에 공급 시 원단의 공급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단편중방지장치는 종래 기술의 섬유가공공정에 사용되는 원단공급장치와 같은 각종 장력조절장치나 다수의 가이드롤러를 복잡하게 구동하는 등의 구성을 배제하고 장치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할 뿐만 아니라 각종 섬유의 가공 공정에 간편하게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원단의 공급 시 실시간으로 원단의 방향을 감지하고 편중 상태를 자동으로 교정하도록 작동하는 일련의 구성에 의해 원단 및 기계적 손상을 야기하는 편중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원단 공급을 안정적으로 지속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편중방지부의 작동 상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편중방지부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작동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편중방지부의 작동 상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편중방지부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작동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는 정련장치 등 원단을 각 모듈에 공급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일련의 섬유가공장치에서 원단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공급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10)와, 편중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부설치바(120) 및 제1,2감지부(131,132)와, 편중 상태를 교정하는 편중방지부(140)와, 편중방지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본체(110)는 섬유가공장치의 각 모듈 사이에서 원단을 공급하도록 투입구(111) 및 배출구(112)를 전, 후측에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110)는 통상적인 원단을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하여 내부를 통과하고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는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후술하게 될 편중방지부(140)와, 원단 이송을 위한 일반 롤러들을 배치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본체(110)의 일측에는 후술하게 될 작동부(150)를 장착하도록 소정의 프레임을 장착한다.
상기 감지부설치바(120)는 봉상으로 형성하여 본체(110)의 투입구(111) 상에 수평으로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감지부설치바(120)는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로 원단을 투입 시 최초 통과 위치에 구비하여 감지부설치바(120)에 장착되는 하기 제1,2감지부(131,132)에 의한 감지가 원단의 투입 시점에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감지부(131,132)는 상기 감지부설치바(120)를 따라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되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원단 폭에 근접하는 간격으로 배치하여 원단의 양 변을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감지부(131,132)는 상기 감지부설치바(120)의 양측에 장착하여 각각 원단의 일측 변 또는 타측 변을 감지한다. 상기 제1,2감지부(131,132) 사이의 간격은 원단의 폭에 최대한 근접하는 범위로 설정하여 미세한 편중 상태에도 즉시 감지가 가능하도록 마련하며 원단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폭을 반영하도록 상기 감지부설치바(120) 상에서 간격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감지부(131,132)는 예컨데 주지 관용되는 터치센서를 적용하여 원단의 일측 변 또는 타측 변이 편중되어 접촉 시 제1감지부(131) 또는 제2감지부(132)에서 즉시 감지하도록 구비하며 제1,2감지부(131,132)의 감지 상태에 따라서 후술하게 될 작동부(15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편중방지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원단 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제1감지부(131) 또는 제2감지부(132) 각각의 감지 상태에 따라서 원단의 공급 방향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교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편중방지부(140)는 상기 제1,2감지부(131,132)와 연동하는 하기 작동부(1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원단이 편중된 상태일 경우 원단의 공급 방향을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교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축 내지 제3축(141,143,145)과 제1,2전환부(142)와, 제1,2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축(141)은 본체(110) 내에서 수평으로 장착하고 상기 작동부(150)와 연동하여 180도 범위로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축(141)은 하기 제1,2전환부(142)에 결합하는 제1,2롤러의 위치를 180도 범위에서 전환하기 위한 구동축으로서 하기 작동부(15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축(141)의 회전 후 정지 상태의 각도는 하기 제1,2전환부(142)에 결합된 제1,2롤러의 위치와 연계하여 설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는 제1축(141)의 양측에서 제1축(141)을 중심축으로 고정 결합하는 판상으로 구비하여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는 중심 축공을 형성하는 대략 원형 판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제1축(141)에 축결합하되, 상기 제1축(141)에 고정된 결합상태로 구비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는 상기 제1축(141) 상에서 통상적인 원단의 폭을 수용 가능한 범위의 간격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제1,2전환부(142) 사이에 하기 제1,2롤러가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에는 중심 축공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편심 축공을 형성하여 하기 제2축(143) 및 제3축(145)이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의 편심 축공은 중심축에서 상, 하 180도 방향으로 편심되는 각각의 위치에 형성하며, 상기 편심 축공의 위치는 하기 제1,2롤러의 위치와 상응하므로 상기 제1축(141)의 회전 후 정지 상태의 각도와 연계하여 설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축(143) 및 제3축(145)은 제1,2전환부(142)의 중심축에서 상, 하 180도 방향으로 편심되는 각각의 위치에 양단을 결합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2축(143) 및 제3축(145)은 상술한 제1,2전환부(142) 각각에 형성된 편심 축공에 양단을 축결합하여 상기 제1축(141)을 중심으로 상호 180도 위치에 구비하며, 제2축(143)에는 하기 제1롤러(144)가, 제3축(145)에는 제2롤러(146)가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롤러(144)는 상기 제2축(14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상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1롤러(144)는 상기 제1,2전환부(142)의 일측 편심 축공에 결합하는 제2축(143)을 중심축으로 결합하여 구비하되, 제1롤러(144)는 제2축(143)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원단의 공급 시 자유 회전하도록 마련한다.
상기 제1롤러(144)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을 확대하도록 형성하여 제1롤러(144)에 원단이 접촉된 상태로 공급 시 직경이 작은 일단 측으로 원단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롤러(146)는 상기 제3축(14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상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2롤러(146)는 상기 제1,2전환부(142)의 타측 편심 축공에 결합하는 제3축(145)을 중심축으로 결합하여 구비하되, 제2롤러(146)는 제3축(145)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원단의 공급 시 자유 회전하도록 마련한다.
상기 제2롤러(14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을 축소하도록 형성하여 제2롤러(146)에 원단이 접촉된 상태로 공급 시 직경이 작은 타단 측으로 원단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원추상 단일체로 형성하는 제1타입, 또는 다수의 파이프를 원추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제2타입으로 구성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타입에 따른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각각 양단부의 직경이 상반되는 형상을 가지는 원추상의 단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제2축(143) 및 제3축(145)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타입에 따른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각각 제2축(143) 및 제3축(145)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하는 판상의 제1,2회전부(147)를 구비하고, 제1,2회전부(147) 상에 다수의 파이프의 양단을 환형으로 배치하여 결합한다. 즉, 제2타입에 따른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환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파이프들의 간격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각각의 전체적인 외형이 양단부의 직경이 상반되는 원추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타입 또는 제2타입에 따른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원단의 재질이나 작업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편중 상태를 교정하는 속도 및 품질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금속재, 또는 금속 심재에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피복재를 구비하는 형태로 마련하여 상기 제1타입 또는 제2타입에 적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의 소재 역시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50)는 상기 제1,2감지부(131,132)와 연동하여 상기 편중방지부(140)의 교정 방향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 프레임에 장착하며 상기 제1,2감지부(131,132)와 연동하여 모터의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방향제어부와,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편중방지부(140)의 제1축(141)에 결합하여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제어부는 제1축(141)을 180도 범위로 정, 역회전하여 상기 편중방지부(140)가 원단의 편중 상태를 교정하도록 제어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90도 범위로 정, 역회전하여 상기 편중방지부(140)를 중립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비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는 예컨대, 정련기와 같이 정련수단, 수세수단, 권취수단을 구비하는 섬유가공장치의 각 모듈 사이에 구비하여 원단을 공급 시 원단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원단편중방지장치의 본체(110) 전측에 형성된 투입구(111)에 원단이 투입되면,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는 원단 공급용 일반 롤러에 의해 본체(110) 내부를 통과하여 본체(110) 후측에 형성된 배출구(112)로 원단이 배출된다.
상기 본체(110)로 원단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 상에 장착된 감지부설치바(12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2감지부(131,132) 사이를 원단이 통과한다.
상기 제1,2감지부(131,132)는 감지부설치바(120) 상에서 해당 원단의 폭에 근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바, 원단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중 현상이 발생할 경우 제1감지부(131) 또는 제2감지부(132)에 원단의 일측 변이 접촉하여 편중 상태를 즉시 감지한다.
원단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상기 제1감지부(131)에 감지되면 상기 작동부(150)의 방향제어부는 상기 편중방지부(140)의 제1축(141)을 일 방향 180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1축(141)의 회전에 의해 제1축(141)에 고정 결합되는 제1,2전환부(142)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의 회전에 의해 제1,2전환부(142)에 편심 결합되는 제2축(143) 및 제3축(145)은 각각 제1,2전환부(142)의 하측 및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2전환부(142)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축(145)에는 제2롤러(146)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바, 제2롤러(146)에 원단이 접촉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롤러(14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상으로 구비되므로 일측으로 편중되었던 원단은 제2롤러(146)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롤러(146)의 회전에 의해 원추상의 외주면을 따라서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편중 상태를 교정하게 된다.
반대로, 원단이 타측으로 편중되어 상기 제2감지부(132)에 감지되면 상기 작동부(150)의 방향제어부는 상기 편중방지부(140)의 제1축(141)을 타 방향 180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1축(141)의 회전에 의해 제1축(141)에 고정 결합되는 제1,2전환부(142)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1,2전환부(142)의 회전에 의해 제1,2전환부(142)에 편심 결합되는 제2축(143) 및 제3축(145)은 각각 제1,2전환부(142)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2전환부(142)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축(143)에는 제1롤러(144)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바, 제1롤러(144)에 원단이 접촉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롤러(144)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상으로 구비되므로 타측으로 편중되었던 원단은 제1롤러(14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롤러(144)의 회전에 의해 원추상의 외주면을 따라서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편중 상태를 교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원단의 편중 상태가 교정되어 정상적인 방향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기 방향제어부는 제1축(141)을 90도 범위로 정, 역회전하여 상기 편중방지부(140)를 중립 상태, 즉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에 원단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는 섬유가공장치의 각 모듈에 원단을 공급 시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소화된 장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각종 섬유의 가공 공정에 간편하게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원단의 공급 시 실시간으로 원단의 방향을 감지하고 편중 상태를 자동으로 교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하고 원단 및 기계의 손상을 방지하여 원단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지속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본체
111: 투입구
112: 배출구
120: 감지부설치바
131,132: 제1,2감지부
140: 편중방지부
141: 제1축
142: 제1,2전환부
143: 제2축
144: 제1롤러
145: 제3축
146: 제2롤러
147: 제1,2회전부
150: 작동부

Claims (3)

  1. 섬유가공장치의 각 모듈 사이에서 원단을 공급하도록 투입구(111) 및 배출구(112)를 전, 후측에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 상에 수평으로 장착하는 봉상의 감지부설치바(120)와,
    상기 감지부설치바(120)를 따라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되 원단의 종류에 따라서 원단 폭에 근접하는 간격으로 배치하여 원단의 양 변을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하는 제1,2감지부(131,132)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원단 면에 당접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제1,2감지부(131,132) 각각의 감지 상태에 따라서 원단의 공급 방향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교정하는 편중방지부(140)와,
    상기 제1,2감지부(131,132)와 연동하여 상기 편중방지부(140)의 교정 방향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구동하는 작동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중방지부(140)는,
    본체(110) 내에서 수평으로 장착하고 상기 작동부(150)와 연동하여 180도 범위로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제1축(141)과,
    제1축(141)의 양측에서 제1축(141)을 중심축으로 고정 결합하는 판상으로 구비하여 연동하는 제1,2전환부(142)와,
    제1,2전환부(142)의 중심축에서 상, 하 180도 방향으로 편심되는 각각의 위치에 양단을 결합하여 구비하는 제2축(143) 및 제3축(145)과,
    상기 제2축(14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상으로 구비하는 제1롤러(144)와,
    상기 제3축(14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상으로 구비하는 제2롤러(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144) 및 제2롤러(146)는,
    원추상 단일체로 형성하는 제1타입, 또는 다수의 파이프를 원추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제2타입으로 이루어지고,
    금속재, 또는 금속 심재에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피복재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KR1020200108924A 2020-08-28 2020-08-28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KR102385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24A KR102385271B1 (ko) 2020-08-28 2020-08-28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24A KR102385271B1 (ko) 2020-08-28 2020-08-28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04A true KR20220028204A (ko) 2022-03-08
KR102385271B1 KR102385271B1 (ko) 2022-04-08

Family

ID=8081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924A KR102385271B1 (ko) 2020-08-28 2020-08-28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2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215A (ja) * 1994-03-16 1995-10-03 Sumitomo Metal Ind Ltd ストリップの蛇行修正用ピンチロール、蛇行修正装置および蛇行修正方法
KR200252514Y1 (ko) 2001-08-13 2001-11-22 양옥선 원단 공급장치
KR20140046544A (ko) * 2012-10-04 2014-04-21 아이씨이아이우방(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KR101423227B1 (ko) * 2013-12-06 2014-07-24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산업필름 공급 와인더용 가이드롤러조립체
KR101982467B1 (ko) 2019-02-25 2019-05-24 한정원 원단정련장치
KR102055619B1 (ko) 2019-07-15 2019-12-13 김겸훈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KR102074980B1 (ko) 2019-05-22 2020-02-07 안창현 원단 가공장치의 롤러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215A (ja) * 1994-03-16 1995-10-03 Sumitomo Metal Ind Ltd ストリップの蛇行修正用ピンチロール、蛇行修正装置および蛇行修正方法
KR200252514Y1 (ko) 2001-08-13 2001-11-22 양옥선 원단 공급장치
KR20140046544A (ko) * 2012-10-04 2014-04-21 아이씨이아이우방(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KR101423227B1 (ko) * 2013-12-06 2014-07-24 주식회사 나노이앤피 산업필름 공급 와인더용 가이드롤러조립체
KR101982467B1 (ko) 2019-02-25 2019-05-24 한정원 원단정련장치
KR102074980B1 (ko) 2019-05-22 2020-02-07 안창현 원단 가공장치의 롤러 모듈
KR102055619B1 (ko) 2019-07-15 2019-12-13 김겸훈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271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9927B1 (en) Teaseling and/or fluffing machine for fabric and knit-work with tension control
EP2346668B1 (en) Film stretcher
KR102291526B1 (ko)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JPH10158963A (ja) 編物ウェブの巻取装置
CN104846519A (zh) 多幅织机中的织布卷取装置
KR20130018171A (ko)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6094A (ko) 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변부 마감용 봉제장치
US40687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ving web
KR102385271B1 (ko) 섬유가공용 원단편중방지장치
KR20200005992A (ko) 트위스팅 또는 케이블링 머신용 실 공급 장치
US3402443A (en) Cloth straightening apparatus
US4146190A (en) Web winding control system
JPS5928654B2 (ja) 筒状布帛の湿潤処理装置に使用する膨らみ制御装置
EP3003939B1 (en)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with superimposed winding positions with multiple motor drives
KR100845188B1 (ko) 원단 텀블러 가공장치
CN108237768B (zh) 高速转移印花机的整纬纠偏装置
JP3827239B2 (ja) 経編機における編地巻き取り装置、及びその巻き取り方法
JP2015200042A (ja) シート湯洗処理ユニットおよびシート湯洗処理装置
US5819382A (en) Tenter unit
US4062094A (en) Apparatus for laterally stretching textile fabric and the like
KR101305865B1 (ko) 원형직물의 비틀림이 보정되는 기모기
KR102296834B1 (ko) 케이블 와인딩 장치
EP2975164B9 (en) Spinning machine comprising a core yarn supplying unit.
KR960005671Y1 (ko)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CN113981607A (zh) 一种经编机纱线张力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