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067A -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067A
KR20220026067A KR1020200106661A KR20200106661A KR20220026067A KR 20220026067 A KR20220026067 A KR 20220026067A KR 1020200106661 A KR1020200106661 A KR 1020200106661A KR 20200106661 A KR20200106661 A KR 20200106661A KR 20220026067 A KR20220026067 A KR 2022002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image
module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738B1 (ko
Inventor
배영민
Original Assignee
배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민 filed Critical 배영민
Priority to KR102020010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서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학습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EARLY CHILDHOO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카드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고,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가진다.
최근에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아학습용 낱말 카드를 전용 단말기로 촬영하면 낱말 카드에 적힌 글씨를 화면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하는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관련 기술은 낱말 카드의 낱말 자체에 인식 가능한 코드 등이 미리 인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낱말 카드가 제품으로 생산된 이후에는 해당 낱말 카드에 동일한 콘텐츠만 제공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354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학습카드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고,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서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학습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할 목표 이미지 및 상기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편집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상기 목표 이미지 및 상기 학습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인식하면, 상기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3차원 객체의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상기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의 상기 학습모듈은, 상기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학습카드에는,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기 위한 인증코드가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고, 검색하는 단계의 검색모듈은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목표 이미지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 상기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학습카드의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에서 복수의 상기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모듈은,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상기 동시에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복수의 낱글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말이면, 조합된 낱말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입력모듈,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분석모듈,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모듈로 이루어진 콘텐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학습카드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고,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참여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의 학습카드를 예시하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서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을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콘텐츠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입력모듈, 분석모듈, 검색모듈, 학습모듈, 통신모듈, 편집모듈은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웹 서버에 포함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학습카드는 유아가 글자 또는 그림을 학습시키기 위한 복수의 단위 형태의 카드이며, 학습카드에는 자음, 모음, 낱글자, 동물, 식물, 사물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프린팅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목표 이미지는 학습카드에 프린팅되거나 부착된 자음, 모음, 낱글자, 동물, 식물, 사물 중 어느 하나의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와 동일한 형상과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로서, 콘텐츠 DB에 저장되며, 학습카드에 형성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와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학습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콘텐츠 데이터이다. 학습 콘텐츠에는 학습카드에 포함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가 3차원 객체의 증강현실 형태로 포함된다. 학습 콘텐츠에는 3차원 객체 외에도 소리 또는 영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 학습 콘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학습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한다.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는 학습카드에서 식별하기 위한 목표 이미지가 콘텐츠 DB에 저장된다.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는 학습카드의 일면에 프린팅되거나 또는 부착된 문자열 및 도안 이미지와 동일한 형상 및 형태를 가지는 이미지이다. 또한, 콘텐츠 DB에는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목표 이미지가 낱글자“가” 라면, 학습 콘텐츠는 낱글자“가”를 증강현실 형태의 3차원 객체로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를 포함한다.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S100)는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상시적으로 업데이트, 편집 또는 삭제가 가능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자는 학습카드를 제작한 제작자, 학습카드를 판매하는 판매자 또는 학습카드를 구매한 구매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는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즉,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의 입력모듈은 사용자 단말기가 학습카드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면, 그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다. 여기서 디지털카메라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촬영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디지털 카메라가 설치되고,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된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S200)는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제공받으면,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분석모듈로 전송한다.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는 분석모듈이 입력모듈로부터 제공받은 학습카드 이미지를 분석하고,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분석모듈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면 이를 식별하고,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없다는 알림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모듈은 마커리스(Markerless) 형태로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즉, 분석모듈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목표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마커 또는 코드가 입력되지 않아도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면,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가 수행된다.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는 검색모듈이 콘텐츠 DB에서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다. 검색모듈은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의 검색이 완료되면 그 학습 콘텐츠를 통신모듈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는 통신모듈이 검색 완료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이동통신망, 와이파이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가 완료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가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이다.
예컨대, 학습 콘텐츠가 자음 “ㄱ”이라면 학습모듈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ㄱ”을 따라 쓸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학습모듈은 사용자가 “ㄱ”을 따라 쓰는 중에 터치된 구역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를 하여 따라 쓰기를 유도하고, 사용자가 “ㄱ”을 전부 따라 쓰면 학습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의 전송모듈은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함께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편집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한다.
편집하는 단계(S110)는 편집모듈이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등록, 삭제 또는 편집하는 단계(S110)이다. 편집하는 단계(S110)는 위에서 설명한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수행된다.
편집하는 단계(S110)는 편집모듈이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한 콘텐츠 제공자에게 편집툴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공자는 편집툴을 이용하여 콘텐츠 DB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예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목표 이미지)을 식별하면,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의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식별한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0)는 검색모듈에서 검색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낱글자 “나”를 목표 이미지로 인식하면 검색모듈은 낱글자 “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 “나비”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만약, 콘텐츠 DB에 낱글자 “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나비”, “나주”, “나무”)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 검색모듈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한다. 검색모듈은 무작위 선정 방식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거나 또는 오름차순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검색모듈은 복수의 학습 콘텐츠 모두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모듈이 복수의 학습 콘텐츠를 모두 검색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는 검색된 복수의 학습 콘텐츠 모두가 일정 시간 동안 반복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S400)의 검색모듈은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예를 들면,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식별한 도안 이미지가 비행기에 대한 도안 이미지이면, 검색모듈은 비행기의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거나 또는 단어 “비행기”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본 실시예에서 검색모듈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세 번째 예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300)에서 분석모듈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의 학습모듈은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분석모듈이 비행기에 대응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고, 검색모듈이 비행기 형상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에, 학습모듈은 사용자가 비행기의 형상을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한, 사용자가 단어 “비행기”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된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인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콘텐츠 DB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원하는 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에 저장하고, 그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학습카드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학습카드에 부착 형식으로 제작된 경우에 콘텐츠 제공자는 학습카드에 먼저 부착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탈착하고, 원하는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학습카드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제작된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에 저장하여 사용자 맞춤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학습카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학습 활용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의 학습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카드(10)에는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는 위한 인증코드(12)가 형성된다. 인증코드(12)는 학습카드(10)에 프린팅 또는 부착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분석모듈은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 및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한다.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와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에만 목표 이미지(11)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은 학습카드 외에 다른 문서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에서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석모듈은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모듈은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에서 검색한다.
예컨대,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검색모듈은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자음 “ㅂ”이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모음 “ㅏ”가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자음“ㄱ”이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낱글자 “박”을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글자가 박”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1)에는 낱글자 “박”이 3차원 객체(20)로 형성된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복수의 낱글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말이면, 조합된 낱말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낱글자 “자”가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낱글자 “동”이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낱글자“차”가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낱글자로부터 낱말“자동차”를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은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말“자동차”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검색모듈이 검색하는 학습 콘텐츠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말“자동차”의 형상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1)에는 낱말 “자동차”의 형상이 3차원 객체(20)로 형성된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의 흥미를 높이고 또한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 설명하는 학습카드, 사용자 단말기(200), 목표 이미지, 학습 콘텐츠, 콘텐츠 제공자(2)는 제1 실시에에서 설명한 학습카드, 사용자 단말기, 목표 이미지, 학습 콘텐츠, 콘텐츠 제공자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학습카드를 촬영한 뒤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콘텐츠 서버(100)로 전송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콘텐츠 제공자(2)가 등록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100)는 목표 이미지에 매칭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 뒤, 검색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학습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된 학습 콘텐츠를 터치 동작을 통해 따라 쓰거나 따라 그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콘텐츠 서버(100)를 예시한 블록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의 콘텐츠 서버(100)는 콘텐츠 DB(110), 입력모듈(120), 분석모듈(130), 검색모듈(140), 학습모듈(150), 통신모듈(160) 및 편집모듈(170)을 포함한다.
콘텐츠 DB(110)에는 학습카드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목표 이미지 및 복수의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복수의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다.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는 후술하는 편집모듈(170)에 의해 편집될 수 있다.
입력모듈(12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예컨대, 입력모듈(120)은 사용자 단말이 학습카드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면, 그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는다.
분석모듈(130)은 입력모듈(120)에 입력된 학습카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콘텐츠 DB(110)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분석모듈(130)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110)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면 이를 목표 이미지로 식별하고,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콘텐츠 DB(110)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없다는 알림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모듈(130)은 마커리스(Markerless) 형태로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한다. 즉, 분석모듈(130)은 학습카드의 이미지에 목표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마커 또는 코드가 입력되지 않아도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검색모듈(140)은 콘텐츠 DB(110)에서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다. 검색모듈(140)은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의 검색이 완료되면 그 학습 콘텐츠를 통신모듈(16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학습모듈(15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학습 콘텐츠가 자음 “ㄱ”이라면 학습모듈(15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터치하여 “ㄱ”을 따라 쓸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학습모듈은 사용자가 “ㄱ”을 따라 쓰는 중에 터치된 구역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여 따라 쓰기를 유도하고, 사용자가 “ㄱ”을 전부 따라 쓰면 학습 완료를 알리는 이벤트를 제공한다.
통신모듈(16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통신모듈(160)은 검색모듈(140)에서 검색된 학습 콘텐츠 및 학습모듈(15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편집모듈(170)은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등록, 삭제 또는 편집한다. 편집모듈(170)은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한 콘텐츠 제공자(2)에게 편집툴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공자(2)는 편집툴을 이용하여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목표 이미지 및 학습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첫 번째 예로,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인식된 목표 이미지가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이면, 그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분석모듈(130)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낱글자 “나”를 목표 이미지로 인식하면 검색모듈(140)은 낱글자“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 “나비”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
만약, 콘텐츠 DB(110)에 낱글자 “나”로부터 연상되는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나비”, “나주”, “나무”)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 검색모듈(140)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한다. 검색모듈(140)은 무작위 선정 방식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거나 또는 오름차순으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인식된 목표 이미지가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이면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분석모듈(130)이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식별한 도안 이미지가 비행기에 대한 도안 이미지이면, 검색모듈(140)은 비행기의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하거나 또는 단어 “비행기”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
세 번째 예로, 콘텐츠 서버(100)는 학습카드의 이미지에서 인식된 목표 이미지가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이면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분석모듈(130)이 비행기에 대응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고, 검색모듈(140)이 비행기 형상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검색한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비행기의 형상을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단어 “비행기”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학습카드의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콘텐츠 DB(110)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는 원하는 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110)에 저장하고, 그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학습카드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학습카드에 부착 형식으로 제작된 경우에 콘텐츠 제공자(2)는 학습카드에 먼저 부착된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를 탈착하고, 원하는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학습카드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제작된 문자열(목표 이미지)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목표 이미지)를 콘텐츠 DB(110)에 저장하여 사용자 맞춤형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학습카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학습 활용을 높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학습카드(10)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할 때, 학습카드(10)에 형성된 인증코드(12)를 함께 식별함으로써 학습카드(10) 외에 다른 문서로부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카드(10)에는 분석모듈(130)로부터 식별되는 위한 인증코드(12)가 형성된다. 인증코드(12)는 학습카드(10)에 프린팅 또는 부착된 문자열(11) 또는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분석모듈(130)은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 및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한다. 검색모듈(140)은 분석모듈(130)에서 학습카드(10)의 이미지로부터 인증코드(12)와 목표 이미지(11)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에만 목표 이미지(11)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은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에서 복수의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모듈(130)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검색모듈(140)은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자음 “ㅂ”이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모음 “ㅏ”가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자음“ㄱ”이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120)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130)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낱글자 “박”을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140)은 분석모듈(130)에서 조합된 낱글자가 “박”일 경우, “박”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의(A)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습카드(10-1)에 낱글자 “자”가 포함되고, 제2 학습카드(10-2)에 낱글자 “동”이 포함되고, 제3 학습카드(10-3)에 낱글자“차”가 포함된 경우, 입력모듈(120)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를 모두 제공받으면, 분석모듈(130)은 제1 학습카드(10-1)의 이미지 내지 제3 학습카드(10-3)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여 복수의 낱글자로부터 낱말“자동차”를 조합한다. 그리고 검색모듈(140)은 분석모듈(130)에서 조합된 낱말이 “자동차”일 경우, “자동차”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110)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검색모듈(140)이 검색하는 학습 콘텐츠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모듈에서 조합된 낱말“자동차”의 형상(20)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1)에는 낱말 “자동차”의 형상이 3차원 객체(20)로 형성된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체 또는 부분적 기능들은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기계어로 번역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가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외에도,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00: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
S110: 편집하는 단계
S200: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S300: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S400: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S5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S600: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laims (10)

  1. 입력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콘텐츠 DB에 미리 저장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서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학습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별할 목표 이미지 및 상기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모듈이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편집모듈이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상기 목표 이미지 및 상기 학습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자음, 모음 또는 낱글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인식하면,
    상기 학습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문자열로부터 연상되는 3차원 객체의 단어가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상기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형상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 이미지로부터 동물, 식물, 또는 사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안 이미지를 인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의 상기 학습모듈은, 상기 도안 이미지를 따라 그리거나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단어를 따라 쓰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카드에는,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식별되기 위한 인증코드가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고,
    검색하는 단계의 검색모듈은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기 분석모듈이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목표 이미지를 모두 식별하였을 때, 상기 목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카드의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도안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 DB에 저장된 다른 문자열 또는 다른 도안 이미지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복수의 학습카드 이미지에서 복수의 상기 목표 이미지를 동시에 식별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모듈은,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의 조합에 따라 다른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에서 검색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의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분석모듈에서 동시에 식별된 상기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자음 및 모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글자면, 조합된 낱글자가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고,
    상기 동시에 식별된 복수의 목표 이미지가 복수의 낱글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낱말이면, 조합된 낱말이 3차원 객체로 포함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1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문자열 또는 도안 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카드 이미지를 제공받는 입력모듈, 상기 학습카드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식별하는 분석모듈, 상기 목표 이미지에 매칭되는 증강현실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DB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여 따라 쓰거나 또는 따라 그리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모듈로 이루어진 콘텐츠 서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플랫폼.
KR1020200106661A 2020-08-25 2020-08-25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 KR10259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61A KR102594738B1 (ko) 2020-08-25 2020-08-25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61A KR102594738B1 (ko) 2020-08-25 2020-08-25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67A true KR20220026067A (ko) 2022-03-04
KR102594738B1 KR102594738B1 (ko) 2023-10-25

Family

ID=8081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661A KR102594738B1 (ko) 2020-08-25 2020-08-25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936B1 (ko) * 2023-01-27 2023-05-30 주식회사 이지콘텐츠연구소 메타버스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55A (ko)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3545A (ko) 2015-08-24 2017-03-06 오정금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용 시트지 및 시스템
KR20170113946A (ko) * 2016-03-30 2017-10-13 오연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KR20180032161A (ko) * 2016-09-21 2018-03-29 강거웅 문자 카드 세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55A (ko)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3545A (ko) 2015-08-24 2017-03-06 오정금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용 시트지 및 시스템
KR20170113946A (ko) * 2016-03-30 2017-10-13 오연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KR20180032161A (ko) * 2016-09-21 2018-03-29 강거웅 문자 카드 세트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936B1 (ko) * 2023-01-27 2023-05-30 주식회사 이지콘텐츠연구소 메타버스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738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2379B (zh) 一种声纹创建与注册方法及装置
JP4366108B2 (ja) 文書検索装置、文書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908641B (zh) 一种获取图片标注数据的方法和系统
CN108416003A (zh) 一种图片分类方法和装置、终端、存储介质
CN107221328B (zh) 修改源的定位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CN109074172A (zh) 向电子设备输入图像
CN103198502A (zh) 数字漫画编辑器及方法
Laraba et al. Dance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hidden Markov models
JP20073169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98503A (zh) 数字漫画编辑器及方法
CN111640193A (zh) 文字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TW201314638A (zh) 具虛擬實境擴充功能的點讀裝置
CN106537387A (zh) 检索/存储与事件相关联的图像
JP2002117027A (ja) 感情情報抽出方法および感情情報抽出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JP2022522425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装置による文字認識方法
KR2022002606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KR102021700B1 (ko) 사물인터넷 기반 환자 맞춤형 의사소통장애 재활 방법
KR2017003995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CN115130437B (zh) 一种文档智能填写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648367A (zh) 一种点读方法和点读装置
CN110378378B (zh) 事件检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26475B1 (ko) 시각적 입력의 처리
CN107240305A (zh) 语文写作教学方法及装置
CN113627186A (zh) 基于人工智能的实体关系检测方法及相关设备
Rai et al. MyOcrTool: visualization system for generating associative images of Chinese characters in smar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