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155A -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155A
KR20140073155A KR1020120140971A KR20120140971A KR20140073155A KR 20140073155 A KR20140073155 A KR 20140073155A KR 1020120140971 A KR1020120140971 A KR 1020120140971A KR 20120140971 A KR20120140971 A KR 20120140971A KR 20140073155 A KR20140073155 A KR 2014007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reality marker
marker
module
foreign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381B1 (ko
Inventor
이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2014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3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8Picture books with additional toy effects, e.g. pop-up or slid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07Signa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별 또는 회차별로 유아의 외국어 학습을 하기 위한 증강 현실 마커 및 해당 단어의 그림 또는 부가 설명이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 북; 카메라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하는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미리 저장하는 증강 현실 마커 DB와,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DB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된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외국어 선택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외국어로 소정의 3D 캐릭터가 상기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동작 버튼이 터치될 때마다 상기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LEARNING LANGUAGE USING AUGMENTED REALITY MARKER}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의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되고 있다. 증강 현실 태그(augmented reality tag)나 증강 현실 마커(augmented reality marker) 등이 그 예이다. 증강 현실 기술은 스마트 폰과 결합되어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증강 현실 마커는 스마트 폰의 카메라 모듈을 증강 현실 마커에 촬영하면, 그 증강 현실 마커를 인식하여 그 증강 현실 마커 상에 다양한 그래픽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아직 그 실제 활용도의 폭이 넓지 않고 단지 증강 현실 기술 그 자체 이상의 응용은 선보이고 있지 않다.
한편, 최근에는 조기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유아의 조기 외국어 교육이 두뇌 발달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도 공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조기 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 교육 학습 매체들은 비디오 동영상이나 그림책, 단어 카드 등의 종래 학습 매체의 답습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유아들이 매우 피동적으로 되게끔 하고, 또한 지루함이나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다.
유아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학습 매체로서, 스마트 폰과 증강 현실 마커가 이용된다면, 유아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은, 일별 또는 회차별로 유아의 외국어 학습을 하기 위한 증강 현실 마커 및 해당 단어의 그림 또는 부가 설명이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 북; 카메라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하는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미리 저장하는 증강 현실 마커 DB와,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DB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된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외국어 선택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외국어로 소정의 3D 캐릭터가 상기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동작 버튼이 터치될 때마다 상기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소정의 학습일에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인식한 증강 현실 마커의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경우에는,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외국어마다 미리 대응된 특정 도형을 주변에서 인식하면 상기 학습일에는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은,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구비된 화면을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상기 증강 현실 마커 DB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상기 대비 결과 일치되는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상기 대비 결과 일치되는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외국어 선택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는, 소정의 3D 캐릭터가 선택된 외국어로 상기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3D 캐릭터가 상기 미리 대응된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외국어마다 미리 대응된 특정 도형을 주변에서 인식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해당 학습일 동안에는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조기 외국어 교육을 위한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통해 3D 캐릭터가 외국어 단어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설명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보다 효율적인 학습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과 달리 하나의 증강 현실 마커에 다양한 외국어 단어가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외국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증강 현실 마커에 연결된 하나의 단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뜻을 표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당일 학습한 내용은 해당 학습일에는 별도의 증강 현실 마커의 인식없이도 학습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 현실 마커 북없이도 언제든지 학습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해당 학습일에는 이미 학습한 증강 현실 마커가 없더라도 네모나 세모 또는 원 등의 도형에 미리 대응되도록 구성된 다양한 외국어를 주변의 해당 도형을 인식하여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시공의 제약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100)(이하, '어학 학습 시스템'이라 함)은 증강 현실 마커 북(110)과 스마트 단말(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마트 단말(120)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120)은 카메라 모듈(121),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 증강 현실 마커 DB(123), 터치스크린 모듈(124) 및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학 학습 시스템(100)의 스마트 단말(120) 상에 증강 현실 마커를 인식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고, 증강 현실 마커는 유아의 외국어 단어를 조기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에 인쇄 내지는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어학 학습 시스템(100)은 증강 현실 마커 북(110)의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하여 유아들에게 다양한 외국어 단어를 3D 캐릭터를 통해 설명하고 표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기존과 달리 다양한 외국어 선택 버튼과 동작 버튼이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하나의 증강 현실 마커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선택을 통해 기존의 증강 현실 마커 기술과 달리 보다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해진다.
특히, 해당 학습일에 학습한 증강 현실 마커의 경우, 증강 현실 마커 북(110)이 없더라도 그날에는 반복적으로 학습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중국어는 세모, 영어는 네모, 일본어는 동그라미와 같이 미리 간단한 도형을 대응시키고, 사용자가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없이 외부에 나가더라도 이러한 도형을 인식하여 그날 학습한 컨텐츠를 재학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역시 시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강 현실 마커 북(110)은 일별 또는 회차별로 유아의 외국어 학습을 하기 위한 증강 현실 마커 및 해당 단어의 그림 또는 부가 설명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아의 학습을 위한 오프라인 보조 교재라고 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에는 매일 또는 회차 별로 적당한 개수의 증강 현실 마커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매일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스마트 단말(120)에 구비되는 촬영을 위한 구성이다.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은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카메라 모듈(121)을 통해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특징점 구성의 연결이라든가 다양한 패턴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마커를 인식하고 해석할 수 있다.
증강 현실 마커 DB(123)는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증강 현실 마커 DB(123)에는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이며,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모듈(124)은 스마트 단말(120)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이다. 터치스크린 모듈(1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면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은 증강 현실 마커 DB(123)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대비 결과 일치되는 경우, 그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 영상은 3D 캐릭터가 증강 현실 마커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해당 외국어 단어를 발음하고 설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은 앞서 터치스크린 모듈(124)에 디스플레이된 외국어 선택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외국어로 소정의 3D 캐릭터가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증강 현실 마커에 여러 외국어 컨텐츠가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터치될 때마다 그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소정의 학습일에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이 인식한 증강 현실 마커의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경우에는,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이 외국어마다 미리 대응된 특정 도형을 주변에서 인식하면 그 학습일에는 학습한 증강 현실 영상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모는 중국어, 네모는 영어, 동그라미는 일본어로 지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실외나 실내 어디서든 증강 현실 마커없이도 해당 도형을 주변에서 찾아 그날 학습 내용을 복습할 수 있다. 이는 특징점 구성을 이용한 형상 인식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은 사용자가 소정의 학습일에 디스플레이한 증강 현실 영상을 그 학습일에는 해당 증강 현실 마커의 인식없이도 재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20)의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증강 현실 영상이 나타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는 증강 현실 마커 북(110)의 증강 현실 마커가 표시되어 있고, 3D 캐릭터가 그 증강 현실 마커 상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화면 오른편 위에는 외국어 선택 버튼이 있고, 화면 왼편 위에는 동작 버튼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이 카메라 모듈(121)을 통해 증강 현실 마커 북(110)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인식한다(S101).
다음으로,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구비된 화면을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02).
다음으로,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증강 현실 마커 DB(123)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한다(S103).
대비 결과, 일치되는 증강 현실 마커가 있는 경우,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외국어 버튼이나 동작 버튼에 따라 지정된 증강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사용자에 의해 외국어 선택 버튼이 터치되는 지 감지한다(S104).
이때, 사용자에 의해 외국어 선택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소정의 3D 캐릭터가 선택된 외국어로 그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5).
그리고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터치되는 지 감지한다(S106).
이때,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3D 캐릭터가 미리 대응된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7).
다음으로,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122)이 외국어마다 미리 대응된 특정 도형을 주변에서 인식하는 경우에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듈(125)이 해당 학습일 동안에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124)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08).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일별 또는 회차별로 유아의 외국어 학습을 하기 위한 증강 현실 마커 및 해당 단어의 그림 또는 부가 설명이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 북;
    카메라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인식하는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미리 저장하는 증강 현실 마커 DB와,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 모듈과, 상기 증강 현실 마커 DB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된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외국어 선택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외국어로 소정의 3D 캐릭터가 상기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동작 버튼이 터치될 때마다 상기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소정의 학습일에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인식한 증강 현실 마커의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경우에는,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외국어마다 미리 대응된 특정 도형을 주변에서 인식하면 상기 학습일에는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3.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증강 현실 마커 북에 표시된 증강 현실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동작 버튼 및 외국어 선택 버튼이 구비된 화면을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상기 증강 현실 마커 DB에 저장된 증강 현실 마커와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증강 현실 마커를 대비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상기 대비 결과 일치되는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상기 대비 결과 일치되는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외국어 선택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는, 소정의 3D 캐릭터가 선택된 외국어로 상기 증강 현실 마커에 미리 대응된 단어를 발음하며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 버튼이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3D 캐릭터가 상기 미리 대응된 단어의 다른 뜻을 설명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마커 인식 모듈이 외국어마다 미리 대응된 특정 도형을 주변에서 인식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강 현실 구동 모듈이 해당 학습일 동안에는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KR1020120140971A 2012-12-06 2012-12-06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43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971A KR101432381B1 (ko) 2012-12-06 2012-12-06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971A KR101432381B1 (ko) 2012-12-06 2012-12-06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55A true KR20140073155A (ko) 2014-06-16
KR101432381B1 KR101432381B1 (ko) 2014-08-20

Family

ID=5112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971A KR101432381B1 (ko) 2012-12-06 2012-12-06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38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5132A (zh) * 2015-01-14 2015-04-29 蝶恋花动漫(天津)有限公司 基于自然图像识别与增强现实技术的互动教育方法和系统
WO2017010716A1 (ko) * 2015-07-13 2017-01-19 한상선 다양한 추가기능이 탑재된 제품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시스템
CN106504600A (zh) * 2016-12-29 2017-03-15 昆山库尔卡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早教智能学习系统
KR102012316B1 (ko) * 2019-02-12 2019-10-21 주식회사 이에프엠 증강현실 기반의 방과 후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141065A (ko) * 2018-06-13 2019-12-23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발판 놀이 학습장치
KR20200023071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코엘 유아 식습관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6794B1 (ko) * 2020-05-19 2020-12-30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199007B1 (ko) * 2020-05-19 2021-01-06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4612A (ko) * 2019-07-30 2021-02-09 (주)빅토리아프로덕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222599B1 (ko) * 2020-05-19 2021-03-04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6067A (ko) * 2020-08-25 2022-03-04 배영민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KR102512184B1 (ko) * 2022-02-28 2023-03-21 주식회사 아티젠스페이스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219A (ko) 2016-12-21 2018-06-29 유선영 증강현실을 이용한 융합형 영어 미술 컨텐츠 학습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KR101893431B1 (ko) * 2017-02-13 2018-08-30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411A (ja) 2003-01-28 2004-08-19 Dainippon Printing Co Ltd 英語学習システム
JP2008268684A (ja) 2007-04-24 2008-11-06 Seiko Instruments Inc 音声再生装置、電子辞書、音声再生方法、音声再生プログラム
JP5509976B2 (ja) 2010-03-25 2014-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472378B2 (ja) 2012-05-31 2014-04-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5132A (zh) * 2015-01-14 2015-04-29 蝶恋花动漫(天津)有限公司 基于自然图像识别与增强现实技术的互动教育方法和系统
WO2017010716A1 (ko) * 2015-07-13 2017-01-19 한상선 다양한 추가기능이 탑재된 제품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시스템
CN106504600A (zh) * 2016-12-29 2017-03-15 昆山库尔卡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早教智能学习系统
KR20190141065A (ko) * 2018-06-13 2019-12-23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발판 놀이 학습장치
KR20200023071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코엘 유아 식습관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2316B1 (ko) * 2019-02-12 2019-10-21 주식회사 이에프엠 증강현실 기반의 방과 후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014612A (ko) * 2019-07-30 2021-02-09 (주)빅토리아프로덕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96794B1 (ko) * 2020-05-19 2020-12-30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199007B1 (ko) * 2020-05-19 2021-01-06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222599B1 (ko) * 2020-05-19 2021-03-04 (주)웅진씽크빅 도서 객체와 상호작용 컨텐츠를 연계한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11068075B1 (en) 2020-05-19 2021-07-20 Woongjin Thinkbig Co., Ltd. Read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by relating book object to interactive content
US11073917B1 (en) 2020-05-19 2021-07-27 Woongjin Thinkbig Co., Ltd. Read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by relating book object to interactive content
KR20220026067A (ko) * 2020-08-25 2022-03-04 배영민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KR102512184B1 (ko) * 2022-02-28 2023-03-21 주식회사 아티젠스페이스 독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381B1 (ko)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381B1 (ko)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2411854B (zh) 基于增强现实的课堂教学混合技术应用系统及方法
US20170286383A1 (en) Augmented imaging assistance for visual impairment
Hurter et al. Strip'TIC: exploring augmented paper strips for air traffic controllers
US11636779B2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for constructing parts together
US20200387276A1 (en) Virtualization of physical activity surface
KR20190098116A (ko) 증강현실 기반 코딩교육 옴니에듀 시스템
US11915606B2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a paired, active stylus
Schneider The iPhone as an Object of Knowledge
TW202121250A (zh) 展示對象的控制方法與裝置、電子設備及記錄媒體
CN111464859B (zh) 一种在线视频展示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hatte et al. Hand-held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 case study with sorting
Ouali et al. Architecture for real-time visualizing arabic words with diacritics using augmented rea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hiengtham et al. Improve template matching method in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thai alphabet learning
JP2015049372A (ja) 外国語学習支援装置及び外国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
US20150356882A1 (en) Learning system using nfc chart
WO2022166039A1 (zh) 一种基于磁性卡片的汉字拼搭互动学习系统及方法
KR20100102397A (ko) 무선네트워크에 의한 교육 시스템
TW201913297A (zh) 基於手勢之文字輸入系統及方法
Yushendri et al. Design the Smart Board system in ubiquitous comput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JP2012252214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をコンテンツ表示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117755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657932B1 (ko)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RU197799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риложениями с элементами дополненной реальности
AlKassim et al. Sixth sense technology: Comparisons and future predi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