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932B1 -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932B1
KR102657932B1 KR1020220191167A KR20220191167A KR102657932B1 KR 102657932 B1 KR102657932 B1 KR 102657932B1 KR 1020220191167 A KR1020220191167 A KR 1020220191167A KR 20220191167 A KR20220191167 A KR 20220191167A KR 102657932 B1 KR102657932 B1 KR 10265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information
word
butt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영
Original Assignee
신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영 filed Critical 신우영
Priority to KR102022019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치된 한국어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컴퓨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 system}
본 발명은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 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교육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응하는 교육컨텐츠를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팝을 통해 다양한 한류문화가 전세계에 유통됨에 따라 한국어 대한 교육 수요 역시 급증하고 있지만 한국어 교육의 수요 성장속도에 비해 기존 한국어 교육 서비스와 교재는 대부분 유아용 기초 언어학습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류의 역동성과 화려함에 익숙한 외국인에게는 맞지 않는 정적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단순 튜터를 매칭 및 소개해주거나 간단한 상황별 일상 회화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현 시장에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나, 대부분의 동남아, 중동의 한국어에 관심있는 한류 팬들에게는 한국어 학습 비용이 높아 부담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해외여행이 제한이 되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 및 한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2528호(2021년 6월 28일)는 맞춤형 외국어 교육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외국어 학습자와 강사를 매칭하여 강의를 진행하고 강의 내용을 음성 또는 영상으로 녹화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외국어 교육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외국어 학습자와 강사를 매칭한 이후에 강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한류콘텐츠, 스포츠콘텐츠 등 특정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에게 외국어 학습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외에도 개인적인 생활에 대한 관심사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외국어 학습을 고취하기 위한 시스템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어 관련 교육 컨텐츠는 보통 일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동영상 컨텐츠가 위주인데, 이에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1:1로 배정된 강사에게 이를 실시간으로 질의하는 등의 시스템이 없어, 이에 대한 효과적 학습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실생활과 관련하여 관심도가 높은 맞춤형 강의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또한, 동영상 강의를 수신할 때 실시간으로 1:1 강사를 매칭하고, 상호 양방향 소통을 통해 교육을 진행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치된 한국어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컴퓨팅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팅장치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교육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컴퓨팅장치로부터 복수의 소셜네트워크 중 제1소셜네트워크에 대한 로그인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소셜네트워크 내부에 게시된 글목록 및 텍스트정보를 크롤링부가 크롤링하여 관심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관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컨텐츠의 교육정보에서 상기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컨텐츠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관심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교육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교육정보는 특정 한국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국단어와 상기 한국단어의 음역으로 구성된 외국어단어를 상기 한국단어의 한국어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외국어단어에 포함된 제1외국문자를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한국단어의 한국어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외국어단어에 포함된 제2외국문자를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팅장치 및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플랫폼에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로그인하여 접속한 것을 식별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수신하는 요청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허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강사단말기 중 상기 관심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강사단말기에 매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강사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실생활과 관련하여 관심도가 높은 맞춤형 강의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또한, 동영상 강의를 수신할 때 실시간으로 1:1 강사를 매칭하고, 상호 양방향 소통을 통해 교육을 진행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교육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관심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강사단말기와 매칭된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실시간 교육이 이루어지는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자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교육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관심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강사단말기와 매칭된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실시간 교육이 이루어지는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자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은 기 설치된 한국어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는 컴퓨팅장치(100) 및 이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국어란 한국어(韓國語, Korean)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 해외 재외동포 거주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남북한과 일부 재외동포 거주지의 법상(한국(남한), 중국의 조선족 자치 지역)·사실상(북한을 포함한 그 이외 지역) 공용어를 의미하며, 한국어는 한글로 표기될 수 있는 문자를 포함하며, 표준어 및 실생활에서 쓰이는 생활용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컨텐츠는 한국어의 모음, 자음, 문법 등에 대하여 외국인을 상대로 하여 진행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이는 사전에 강의실 내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편집한 비디오 파일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미지 파일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장치(100)는 예컨대, 개인 컴퓨터, 서버(200)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데이터 처리를 중앙 서버(200)가 아닌 데이터가 발생하는 주변(edge)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에지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며, 기재된 것만으로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장치(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자입력부 또는 출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장치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 (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컴퓨팅장치(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각각의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외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크롤링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컴퓨팅장치(10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 등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상기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사별 IoT망을 갖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통신모듈은 별개의 통신부(210)를 가진 복수의 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IoT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통신모듈을 이용하면 설정된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통신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컴퓨팅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 검색플랫폼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40)에 의해 수신된 한국어 관련 교육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와 텍스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4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부(240)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4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링부(230)는 복수의 검색엔진을 접속하여, 복수의 검색엔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대한 검색 시 웹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외부플랫폼 또는 서버(200)로부터의 API를 통해 이들을 크롤링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크롤링은 API를 통해 하는 것 외에도 API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검색엔진 각각의 웹사이트 주소를 찾아내고, 해당 웹사이트 주소의 URL을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플랫폼이란 복수의 검색엔진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외부플랫폼에서의 API는 구글, 네이버, 다음, 야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서버(2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서버(200)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200)로부터 광고용 캐릭터 제작 시스템은 서버(2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24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한국어 교육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교육컨텐츠를 수신(S10)하고,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로그인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게시된 글목록 및 텍스트정보를 크롤링하여 관심정보(231)를 획득(S20)하고, 관심정보(231)에 대응하는 관심컨텐츠를 식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교육정보를 화면에 표시(S30)하며, 교육정보에 포함된 한국단어를 모음과 자음으로 구별하여, 한국단어의 음역을 각각 구별된 모음과 자음의 색상으로 외국문자로 표시(S40)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교육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컴퓨팅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소셜네트워크 중 제1소셜네트워크에 대한 로그인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1소셜네트워크 내부에 게시된 글목록 및 텍스트정보를 크롤링부(230)가 크롤링하여 관심정보(231)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장치(100)를 통해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게시된 글 목록에서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것이 청소용품을 구매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에 크롤링부(230)는 청소용품에 대한 각종 이미지, 텍스트정보 등을 모두 수집할 수 있고, 이를 관심정보(231)로 획득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소셜네트워크는 미디어 서비스의 가입 또는 방문을 통해 이용자 간의 상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의미하며, 소셜네트워크는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폐쇄적일 수 있으나, 다른 소셜네트워크 업체의 플랫폼과 상호 연동 및 소통될 수 있도록 개방적인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네트워크는 페이스북, 구글(워크플래이스, 그룹스, Meet, 캘린더 등), 슬랙, 네이버(라인, 블로그, 카페 등), 다음(카카오톡, 페이지, 스토리 등), 인스타그램 등의 온라인상으로 사용자간 정보의 공유 및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획득된 관심정보(231)에 기초하여 교육컨텐츠의 교육정보에서 관심정보(231)에 대응하는 관심컨텐츠를 식별하여, 식별된 관심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교육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청구용품의 구매에 관한 것이 관심정보(231)라고 전제한다면, 이에 생활용품 구매, 상품구매, 재래시장 방문과 같이 크롤링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정보에 대응하는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식별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교육정보를 표시하여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교육정보는 특정 한국단어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한국단어와 한국단어의 음역으로 구성된 외국어단어를 한국단어의 한국어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외국어단어에 포함된 제1외국문자를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으로 표시하고, 한국단어의 한국어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외국어단어에 포함된 제2외국문자를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구'라는 한국단어가 교육정보에 포함되어 있다면, '전구'라는 단어를 'JeonGu” 로 외국어로 표시하되, 한국어의 모음에 해당하는 “ㅓ, ㅜ”를 영어의 “eo, u”를 각각 제1색상인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한국어의 자음에 해당하는 “ㅈ, ㄴ, ㄱ”를 영어의 “J, n, G”를 각각 제2색상인 파란색으로 표시하여,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모음과 자음을 익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은 컴퓨팅장치(100) 및 서버(2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플랫폼에 사용자단말기(300)가 로그인하여 접속한 것을 식별하면, 사용자단말기(300)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수신하는 요청을 사용자단말기(300)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요청에 대한 허가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복수의 강사단말기(310) 중 관심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강사단말기에 매칭정보를 송신하고, 제1강사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생활용품 구입에 대한 강의 컨텐츠 제작에 참여한 강사의 단말기에 매칭정보를 송신하고, 외국어를 학습하는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300)에 카메라 촬상의 동의요청을 하여 이를 허용하면, 관심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이와 함께 사용자단말기(300)에서의 촬상된 영상과, 강사단말기(310)에서의 촬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함께 표시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팅창을 함께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통해 한국어의 학습을 진행하되, 강사가 직접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하이브리드 교육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3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입력을 하는 전자펜(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400)은 각각의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제어부(240)는 복수의 버튼 중 제1버튼(410)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300)의 터치패널 상에 제1한국단어에 대한 제1텍스트정보를 입력하는 제1사용자입력을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제1한국단어에 대한 한국어발음을 포함한 음성데이터를 컴퓨팅장치(100)에 송신하며, 복수의 버튼 중 제2버튼(420)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300)의 터치패널 상에 제1외국단어에 대한 제2텍스트정보를 입력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제1외국단어에 대응하는 제1한국단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강사단말기(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하이브리드 교육을 진행할 때, 전자펜(400)의 제1버튼(410)을 통해 한국단어인 “전구”를 입력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전구”에 대한 한국어발음을 컴퓨팅장치(100)를 통해 수신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며, 전자펜(400)의 제2버튼(420)을 통해 “전구”의 외국어 원어인 “Lamp”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화면에 한국어로 동일한 의미를 뜻하는 “전구”를 표시하도록 하여, 전자펜(400)을 통해 실시간으로 궁금한 간단한 사항에 대응하는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버튼(410)의 하부에는 제1버튼(410)이 눌리는 힘이 제거된 후에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양측에 제1스프링부(411)를 포함하며, 제2버튼(420)의 하부에는 제2버튼(420)이 눌리는 힘이 제거된 후에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양측에 제2탄성스프링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스프링부(411)와 제2탄성스프링부(421) 사이에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센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제1버튼(410)의 제1센서(412)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버튼(420)의 제2센서(422)는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자펜(400)의 특성상 버튼을 섬세하게 조작하기 쉽지 않고, 이에 버튼이 오작동으로 눌리는 경우가 있는데, 센서(430)의 위치를 각각 멀리하게 하되, 이들 간 스프링을 각각 두어 오작동의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센서는 일반적으로 전자펜(400)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센서(430)를 의미하며, 전자펜(400) 내부의 통신모듈을 통해서 컴퓨팅장치(100) 또는 사용자단말기(300)에 이를 송신할 수 있다.
100: 컴퓨팅장치, 110: 사용자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크롤링부
231: 관심정보, 240: 제어부
300: 사용자단말기, 310: 강사단말기
400: 전자펜, 410: 제1버튼, 411: 제1탄성스프링부, 412: 제1센서
420: 제2버튼, 421: 제2탄성스프링부, 422: 제2센서, 430: 센서

Claims (3)

  1.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치된 한국어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컴퓨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장치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교육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컴퓨팅장치로부터 복수의 소셜네트워크 중 제1소셜네트워크에 대한 로그인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소셜네트워크 내부에 게시된 글목록 및 텍스트정보를 크롤링부가 크롤링하여 관심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관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컨텐츠의 교육정보에서 상기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컨텐츠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관심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교육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교육정보는 특정 한국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국단어와 상기 한국단어의 음역으로 구성된 외국어단어를 상기 한국단어의 한국어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외국어단어에 포함된 제1외국문자를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한국단어의 한국어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외국어단어에 포함된 제2외국문자를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컴퓨팅장치 및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한국어 교육플랫폼에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로그인하여 접속한 것을 식별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수신하는 요청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허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강사단말기 중 상기 관심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강사단말기에 매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강사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입력을 하는 전자펜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1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터치패널 상에 제1한국단어에 대한 제1텍스트정보를 입력하는 제1사용자입력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1한국단어에 대한 한국어발음을 포함한 음성데이터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2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터치패널 상에 제1외국단어에 대한 제2텍스트정보를 입력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1외국단어에 대응하는 상기 제1한국단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1버튼은 하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양측에 제1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버튼은 하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양측에 제2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튼 및 제2버튼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에서 각각 근접한 상기 제1버튼 및 제2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센서의 오작동의 가능성을 저감하도록 상기 제1버튼의 제1센서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이 돌출되어 상기 제1버튼이 상기 제1센서의 돌출된 영역에 먼저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버튼의 제2센서는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이 돌출되어 상기 제2버튼이 상기 제2센서의 돌출된 영역에 먼저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91167A 2022-12-30 2022-12-30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65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1167A KR102657932B1 (ko) 2022-12-30 2022-12-30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1167A KR102657932B1 (ko) 2022-12-30 2022-12-30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932B1 true KR102657932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1167A KR102657932B1 (ko) 2022-12-30 2022-12-30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9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72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48906B1 (ko) * 2015-09-07 2016-08-17 주식회사 파라다이스팩토리 학습자 로그정보에 기반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정보 생성방법
KR20190024558A (ko) * 2016-04-28 2019-03-08 광동 종후아 터치 컨트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KR20210090537A (ko) * 2020-01-10 2021-07-20 정영훈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02436184B1 (ko) * 2021-11-23 2022-08-25 (주)붐코커뮤니케이션 콘텐츠 기반의 개인 맞춤형 한국어 교육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72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스크린의 필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48906B1 (ko) * 2015-09-07 2016-08-17 주식회사 파라다이스팩토리 학습자 로그정보에 기반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정보 생성방법
KR20190024558A (ko) * 2016-04-28 2019-03-08 광동 종후아 터치 컨트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KR20210090537A (ko) * 2020-01-10 2021-07-20 정영훈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02436184B1 (ko) * 2021-11-23 2022-08-25 (주)붐코커뮤니케이션 콘텐츠 기반의 개인 맞춤형 한국어 교육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dwin-Jones Smartphones and language learning
US11900069B2 (en) Translation model training method, sentence transl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Light et al. The changing fac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Lu et al. Learning Chinese characters via mobile technology in a primary school classroom
Light et al.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tate of the science and future research priorities
Choi et al. Touch or watch to learn? Toddlers’ object retrieval using contingent and noncontingent video
Pindeh et al. User acceptance on mobile apps as an effective medium to learn Kadazandusun language
Darmi et al. A Review of Integrating Mobile Phones for Language Learning.
US20170017642A1 (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Jarvis From PPP and CALL/MALL to a Praxis of Task-Based Teaching and Mobile Assisted Language Use.
JP2020507855A (ja) 画像分類出力分布のフィルタリングを伴う画像認識
Rasmusson et al. “It’s easier to read on the Internet—you just click on what you want to read…” Abilities and skills needed for reading on the Internet
CN110796911A (zh) 一种自动产生测试题目的语言学习系统及其语言学习方法
US201900954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fit et al. Malaysian sign languag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A recommendation app to communicate with hearing-impaired communities
Nahar et al. “Bangla Braille learning application” in smartphone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Bangladesh
Hasnine et al. Wordhyve: A context-aware language learning app for vocabulary enhancement through images and learning contexts
Wong et al. Mobile-assisted vocabulary learning in real-life setting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wo case studies
KR102260222B1 (ko)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657932B1 (ko) 한국어 교육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50117985A (ko)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동시통역 학습 및 교육 방법
Hennig Selecting and evaluating the best mobile apps for library services
KR20210044328A (ko) 게임 기반의 외국어 단어 학습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Gleason Mobile technologies for every library
Yang et al. Review of research on technologies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