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946A -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946A
KR20170113946A KR1020160038073A KR20160038073A KR20170113946A KR 20170113946 A KR20170113946 A KR 20170113946A KR 1020160038073 A KR1020160038073 A KR 1020160038073A KR 20160038073 A KR20160038073 A KR 20160038073A KR 20170113946 A KR20170113946 A KR 20170113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boundary
displayed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연재
서영상
김응곤
Original Assignee
오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연재 filed Critical 오연재
Priority to KR102016003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3946A/ko
Publication of KR2017011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방법은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의 화면상에서 그리기 영역(Drawing Area)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그리기 영역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Instru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림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지속되어 온 예술 분야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그림을 잘 그린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욱이 독학으로 그림을 배우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그림을 배우기 위해 레슨을 받는 경우에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본 발명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미술을 배울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방법은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의 화면상에서 그리기 영역(Drawing Area)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그리기 영역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영상은 투명도(Transparency)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부(Camera Part)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및 상기 영상에서 경계표시를 인식하는 인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상기 경계표시에 대응되는 영역을 그리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표시는 그리기 가능(Drawable)한 면(Surface)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기 가능한 면은 도화지, 캔버스 또는 화이트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표시가 표시된 부분의 깨끗한 정도(clarity)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그리기 가능한 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영상은 그리는 방향, 그리는 순서 또는 컬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유도 영상의 제 1 부분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 및 상기 제 1 표시단계 이후에 상기 유도 영상의 제 2 부분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정확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 영상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을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에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요청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지도 장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및 제어부(Contro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그리기 영역(Drawing Area)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그리기 영역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Camera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경계표시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상기 경계표시에 대응되는 영역을 그리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은 증강현실을 이용해 화면상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미술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8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는 다양한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는 PC, Laptop, 방송신호 수신기 등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고,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휴대폰(Mobile Phone) 뿐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10)는 통신부(800), 출력부(230), 사용자입력부(500), 인터페이스부(600), 메모리부(400), 전원공급부(700), 카메라부(30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미술 지도 장치(1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부(300)는 주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300)는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카메라(Camera), 스캐너(Scann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부(800)는 다른 단말기 등과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00)는 도시하지 않은 서버(Server)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800)는 서버로 신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체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900은 안테나이다.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가 미술 지도 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또는 조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00), 음성 출력부(210) 및 진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미술 지도 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0)는 화면상에 지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도 영상을 따라 그림을 그리면서 그림 그리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10)는 미술 지도 장치(1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부(400)는 제어부(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400)는 미술 지도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400)는 다양한 유도 영상에 대한 정보, 평가 기준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00)는 미술 지도 장치(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0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미술 지도 장치(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미술 지도 장치(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0)는 미술 지도 장치(1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미술 지도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상에 그리기 영역(Drawing Area)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하여 그리기 영역에 유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카메라부(300)를 제어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영상에서 경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경계표시가 표시되는 그리기 가능(Drawable)한 면(Surface)을 인식할 수 있고, 그리기 가능한 면의 깨끗한 정보(Clarity)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도 영상에 따라 그림이 정확하게 그려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려진 그림의 정확도를 판단하여 점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미술 지도 장치(10)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분이 추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지도 장치(10)는 도 2의 경우와 같이 테블릿(Tablet)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미술 지도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카메라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지도 장치(10)에서 카메라부(300)는 듀얼(Dual)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경우와 같이, 카메라부(300)는 소정 거리 이격된 제 1 카메라(310)와 제 2 카메라(3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카메라부(300)가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깊이 데이터(Depth Data)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강 현실을 보다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4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지도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카메라부(30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디스플레이부(200)가 모니터(Monitor), 텔레비전(TV) 등인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지도 장치(10)는 안경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경의 렌즈 부분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해당될 수 있다.
아울러, 좌우 렌즈의 사이에 카메라부(3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미술 지도 장치(10)를 안경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사용자는 안경 형태의 미술 지도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미술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미술 지도 장치(10)를 이용한 미술 지도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8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이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먼저 카메라부(300)가 영상을 촬영(S100)할 수 있다. 카메라부(300)의 촬영 이전에 증강현실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일반적으로 가상 환경 및 가상현실에서 파생한 용어로서, 실제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 영상 등을 삽입하여 실세계 영상과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증강 현실은 실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카메라부(300)가 촬영한 영상에서 경계표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200)할 수 있다.
판단결과, 경계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S210)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을 수행(S220)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기능은 영상의 촬영, 영상의 편집 등 다양할 수 있다.
반면에, 경계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경계표시를 인식(S300)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상에서 경계표시에 대응되는 영역을 그리기 영역으로 설정(S400)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표시는 그리기 가능(Drawable)한 면(Surface)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기 가능한 면은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기에 적당한 면으로서 가능한 깨끗한 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그리기 가능한 면은 단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그리기 가능한 면은 도화지, 캔버스 또는 화이트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기 가능한 면은 표면의 깨끗한 정도(Clarity)에 따라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카메라부(300)가 영상을 촬영하면 촬영한 영상을 제어부(100)가 영상분석(S110)할 수 있다.
영상분석 결과 해당 영상에 포함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서 깨끗한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깨끗한 정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해당 영역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함께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제어부(100)는 카메라부(300)가 촬영한 영상에서 기준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표면의 깨끗한 정보가 기준 깨끗한 정보 이상인 영역을 검출(S130)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역을 그리기 가능한 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그리기 가능한 면을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기 가능한 면이 크기에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메라를 줌-인 하면 그리기 가능한 면이 인식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카메라를 줌-아웃하면 그리기 가능한 면의 인식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그리기 가능한 면에 경계표시가 표시되는 경우에 해당 영역을 그리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경계표시가 표시된 부분의 깨끗한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 영역이 그리기 가능한 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300)가 도 8과 같은 영상(PIC)을 촬영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의 영상을 제 1 영상(PIC)이라 칭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제 1 영상(PIC)에는 상대적으로 표면이 깨끗하고 크기도 충분한 영역(PAS)이 존재한다. 이 부분은 실제 캔버스 혹은 도화지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을 그리기 가능한 면(PAS)이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러한 그리기 가능한 면(PAS)을 인식하고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리기 가능한 면(PAS)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그리기 가능한 면(PAS)이 인식되면, 미술 지도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는, 그리기 가능한 면(PAS)이 평면인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그리기 가능한 면(PAS)은 도 9의 경우와 같이 곡면인 경우도 가능하다. 즉, 곡면에 그림을 그리는 경우에도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미술 지도가 가능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그리기 가능한 면(PAS)은 도화지, 캔버스 등의 실제 그림 그리기가 가능한 면일 수 있고, 그리기 영역(DA)은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상에 가상으로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이후, 도 1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그리기 가능한 면(PAS)에 경계표시(MK)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표시한 경계표시(MK)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도 11의 경우와 같이 경계표시(MK)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DA)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계표시(MK)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DA)을 그리기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캔버스, 도화지 등의 표면에 소정의 컬러로 경계표시(MK)를 하면 제어부(100)를 이를 인식하여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우 용이하게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미술을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경계표시(MK)가 "ㄱ"자 형태를 갖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경계표시(MK)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원 또는 점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경계표시(MK)의 형태 및/또는 컬러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는, 경계표시(MK)를 경계로 하여 그리기 영역(DA)을 설정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경계표시(MK)를 그리기 영역(DA)의 꼭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3의 경우와 같이, 그리기 가능한 면(PAS)의 중앙부분에 경계표시(MK)를 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그리기 영역(DA)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 그리고 영역(DA)을 설정한 단계(S400) 이후에 그리기 영역(DA)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S50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상에 설정된 그리기 영역(DA)에 미술 지도를 위한 유도 영상(INM)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펜, 붓, 크레용 등의 다양한 미술 도구(1000)를 이용하여 유도 영상을 모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S600).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도 영상(INM)이 사각뿔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유도 영상(INM)의 형태, 크기, 컬러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영상(INM)은 사용자가 따라 그리기 용이하도록 투명도(Transparency)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유도 영상(INM)은 그리는 방향, 그리는 순서 또는 컬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처음에는 (A)와 같은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토끼의 귀를 그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귀를 그리는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B)와 같이 토끼의 얼굴을 화면사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유도 영상을 따라 그림을 순서대로 그리도록 할 수 있다.
(E)를 보면, 사용자에게 토끼 얼굴에 컬러를 입히도록 유도하는 유도 영상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유도 영상(INM)을 표시할 때, 단계별로 유도 영상을 일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제 1 표시단계에서는 유도 영상(INM)의 일부, 예컨대 제 1 부분(INMP1, 머리부분, 사각뿔 부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17의 경우와 같이, 제 1 표시단계 이후의 제 2 표시단계에서는 유도 영상(INM)의 일부, 예컨대 제 2 부분(INMP2, 받침부분, 사각기둥 부분)을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유도 영상(INM) 전체를 화면상에 표시하지 않고, 나누어서 단계별로 표시하면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 사용자가 유도 영상의 제 1 부분(INMP1)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그리는 경우에 도 17과 같은 다음 단계의 유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에서 제 1 부분(INMP1)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정확도 이상인 경우에 도 17과 같이 제 2 부분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계별로 그리기의 정확도를 클리어해야만 다음 단계의 그림 그리기를 배울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가 표시된 유도 영상에 따라 그림을 완성한 이후에, 도 18의 경우와 같이, 유도 영상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을 평가(S700)할 수 있다.
평가는 유도 영상과 그려진 그림과의 유사성의 관점에서 실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그린 그림이 유도 영상과 비슷할수록 평가 점수는 높게 나올 수 있다.
평가결과, 사용자가 그린 그림의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에 미치지 못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80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사용자 그림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는 또 다른 기능을 수행(S1000)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그림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정요청(S900)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 요청은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및/또는 진동 정보로 전달될 수 있다. 음성 정보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부(210)가 이를 출력하고, 진동 정보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진동부(220)가 이를 출력하고, 영상 정보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수정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정이 필요한 부분의 색, 농도 등을 다른 부분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의 화면상에서 그리기 영역(Drawing Area)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그리기 영역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상은 투명도(Transparency)를 갖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부(Camera Part)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및
    상기 영상에서 경계표시를 인식하는 인식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상기 경계표시에 대응되는 영역을 그리기 영역으로 설정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는 그리기 가능(Drawable)한 면(Surface)에 표시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기 가능한 면은 도화지, 캔버스 또는 화이트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가 표시된 부분의 깨끗한 정도(clarity)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그리기 가능한 면으로 인식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상은 그리는 방향, 그리는 순서 또는 컬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유도 영상의 제 1 부분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 및
    상기 제 1 표시단계 이후에 상기 유도 영상의 제 2 부분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정확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분이 표시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상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을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에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및
    제어부(Control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그리기 영역(Drawing Area)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그리기 영역에 유도 영상(Instruction Image)을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상은 투명도(Transparency)를 갖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Camera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경계표시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상기 경계표시에 대응되는 영역을 그리기 영역으로 설정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는 그리기 가능(Drawable)한 면(Surface)에 표시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기 가능한 면은 도화지, 캔버스 또는 화이트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시가 표시된 부분의 깨끗한 정도(clarity)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그리기 가능한 면으로 인식되는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상은 그리는 방향, 그리는 순서 또는 컬러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유도 영상의 제 1 부분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표시 이후에 상기 유도 영상의 제 2 부분을 표시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정확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분이 표시되는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영상에 대응하여 그려진 그림을 평가하고, 평가한 평가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하인 경우에 수정 요청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KR1020160038073A 2016-03-30 2016-03-30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KR20170113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73A KR20170113946A (ko) 2016-03-30 2016-03-30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73A KR20170113946A (ko) 2016-03-30 2016-03-30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46A true KR20170113946A (ko) 2017-10-13

Family

ID=6013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73A KR20170113946A (ko) 2016-03-30 2016-03-30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39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54A (ko) * 2020-01-16 2021-07-26 한국건설교육원 주식회사 건축도장기능시험 자동평가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건축도장기능시험 자동평가 방법
KR102301548B1 (ko) * 2021-03-09 2021-09-13 박현정 비대면 작품 지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20026067A (ko) * 2020-08-25 2022-03-04 배영민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KR102396004B1 (ko) * 2021-08-06 2022-05-11 주식회사 메타랩 인공지능 예술 튜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06650A1 (en) * 2022-06-28 2024-01-04 Snap Inc. Augmented reality image reproduction assista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54A (ko) * 2020-01-16 2021-07-26 한국건설교육원 주식회사 건축도장기능시험 자동평가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건축도장기능시험 자동평가 방법
KR20220026067A (ko) * 2020-08-25 2022-03-04 배영민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KR102301548B1 (ko) * 2021-03-09 2021-09-13 박현정 비대면 작품 지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96004B1 (ko) * 2021-08-06 2022-05-11 주식회사 메타랩 인공지능 예술 튜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06650A1 (en) * 2022-06-28 2024-01-04 Snap Inc. Augmented reality image reproduction assist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028B2 (e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70113946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미술 지도 장치 및 방법
US9613286B2 (en) Method for correcting user's gaze direction in imag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10019849B2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system
US10698475B2 (e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8491775B (zh) 一种图像修正方法及移动终端
CN109684980B (zh) 自动阅卷方法及装置
CN110557575B (zh) 消除炫光的方法和电子设备
US9979946B2 (en) I/O device, I/O program, and I/O method
JP2006523067A (ja) 物体上に出力画像を表示する方法
US10853651B2 (e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70103572A1 (en) Head mounted device and guiding method
TWI608428B (zh) 利用影像辨識產生相對應資訊之影像處理系統及其相關方法
CN110796005A (zh) 在线教学监控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3038165B (zh) 确定编码参数组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4077585A (zh) 图像校正方法、装置及终端
CN108388339B (zh) 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252828A (zh) 保护视力的显示方法、显示装置和终端设备
CN110602389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23077A (ko) 화상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CN112381749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和电子设备
KR201400905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5049372A (ja) 外国語学習支援装置及び外国語学習支援プログラム
CN111445439B (zh) 图像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9257543B (zh) 拍摄模式控制方法及移动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