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119A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119A
KR20220024119A KR1020217041729A KR20217041729A KR20220024119A KR 20220024119 A KR20220024119 A KR 20220024119A KR 1020217041729 A KR1020217041729 A KR 1020217041729A KR 20217041729 A KR20217041729 A KR 20217041729A KR 20220024119 A KR20220024119 A KR 20220024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blower
wind
rotation speed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리즈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즈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즈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다양한 바람을 송풍 가능한 송풍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송풍기(1)는 축류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4)와, 제1 임펠러(5)와 회전축을 정렬시켜 제1 임펠러(4)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제1 임펠러(4)에 대하여 역회전 구동하고, 원심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5)와,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의 회전수 비를 변경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송풍기
본 발명은 이중 반전식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2매의 임펠러를 구비한 이중 반전 송풍기(선풍기)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 5709921호 공보의 이중 반전식 송풍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임펠러와 제2 임펠러를 구비하고 있고, 정류 효과에 의해 바람의 흐름이 축류 방향으로 집중하는 제1 송풍 상태와, 제1 임펠러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제1 송풍 상태보다도 송풍량이 적고 또한 정류 효과가 작은 제2 송풍 상태를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 5709921호 공보의 송풍기에 있어서, 제1 송풍 상태에서 제2 송풍 상태로의 전환은 제2 임펠러의 회전수를 유지한 채 제1 임펠러의 회전수를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정류 효과는 작아지지만 송풍량도 적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질감의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바람을 송풍 가능한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풍기는 축류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와, 상기 제1 임펠러와 회전축을 정렬시켜 상기 제1 임펠러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임펠러에 대하여 역회전 구동하고, 원심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와, 상기 제1 임펠러 및 상기 제2 임펠러의 회전수 비를 변경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바람을 송풍 가능한 송풍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제1 임펠러 및 제2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임펠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도 4의 (a)의 제2 블레이드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임펠러 및 제2 임펠러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송풍기의 송풍 각도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며, (a)는 직진풍을 송풍한 예이며, (b)는 확산풍을 송풍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송풍기(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송풍기(1)는 선풍기 혹은 서큘레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송풍기(1)는 헤드부(2)와, 헤드부(2)를 지지하는 지지부(3)를 갖는다. 헤드부(2)에는 상류측의 임펠러 커버(21)와 하류측의 임펠러 커버(22)에 의해 전체 외형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송풍기(1)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임펠러(4)측을 뒤, 그 반대측을 앞으로 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본 좌측을 왼쪽, 그 반대측을 우측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2)측을 위, 그 반대측을 아래로 한다.
임펠러 커버(21) 및 임펠러 커버(22)는 축선(A) 상에 대략 원형의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부(2) 내부에는 제1 임펠러(4)가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2 임펠러(5)가 하류측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임펠러 커버(21)의 후방부에는, 대략 원환 형상의 영역에 상류 그릴(211)이 형성된다. 또한 임펠러 커버(21)의 원통측면의 만곡 영역에는 측방 그릴(212)이 좌우 각각에 형성된다. 상류 그릴(211)은 상하로 연장 설치된 복수의 정류판에 의해 형성되고, 측방 그릴(212)은 전후의 연장 설치된 복수의 정류판에 의해 형성된다. 상류 그릴(211) 및 측방 그릴(212)은 흡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임펠러 커버(22)의 전방부에도, 대략 원환 형상의 영역에 하류 그릴(221)이 형성된다. 또한 임펠러 커버(22)의 원통측면에는 측방 그릴(222)이 좌우 각각에 형성된다. 하류 그릴(221)은 좌우로 연장 설치된 복수의 정류판에 의해 형성되고, 측방 그릴(222)은 전후로 연장 설치된 복수의 정류판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하류 그릴(221) 및 측방 그릴(222, 212)의 정류판은 축선(A)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류 그릴(211)의 정류판은 축선(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류 그릴(221) 및 측방 그릴(222)은 배기구로서 구성된다.
헤드부(2) 내에서,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는 회전축을 정렬시켜 배치된다.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축과, 상류 그릴(211) 및 하류 그릴(221)의 중심은, 축선(A) 상이 되도록 대략 일치하고 있다.
지지부(3)는 헤드부(2)와 접속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리부(31)와, 다리부(31)의 하단부측에 접속되어 송풍기(1) 전체를 지지하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적재부(32)를 갖는다.
도 3은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는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5)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임펠러(4)는 축선(A) 방향으로 본 송풍기(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인 제1 방향(R1)으로 회전한다. 제1 임펠러(4)는 바닥이 있는 원형 통형상의 허브(41)의 외주에 7매의 제1 블레이드(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임펠러(4)는 주로, 축선(A)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흡기한 공기를 전방측을 향하여 배기하는 축류팬으로서 기능한다.
도 4의 (a)는 제2 임펠러(5)의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제2 블레이드(52)를 축선(A) 둘레 방향으로 절단한 IV-IV 단면도이다.
제2 임펠러(5)는 제1 방향(R1)과 반대인 시계 방향인 제2 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2 임펠러(5)는 바닥이 있는 원형 통형상의 허브(51)의 외주에 9매의 제2 블레이드(52)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제2 블레이드(52)의 기초부(521)측은 축선(A)측으로부터 직경 방향(R3) 외측으로 연장 설치된다. 제2 블레이드(52) 전체는 제1 방향(R1)측으로 구부러진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블레이드(52)의 단부(522)는 제2 방향(R2)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임펠러(5)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형상은 원심팬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제2 블레이드(52)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52)는 제2 방향(R2)측의 면이 제2 임펠러(5)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이 제2 블레이드(52)의 경사 각도는 축선(A)(회전축)에 대하여 작은 각도 (예를 들어 45도 이하)로 설정된다. 제1 임펠러(4)측으로부터 공기의 공급을 받는 제2 블레이드(52)의 상류단(523)측은 제2 방향(R2)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52)의 하류단(524)측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임펠러(5)의 단부면을 보았을 ‹š에 있어서의 형상은 축류팬으로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임펠러(4)의 하류측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2 임펠러(5)는 주로, 후방의 제1 임펠러(4)로부터 보내진 바람을 흡기하여 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R3) 외측을 향하여 배기하도록 원심 방향 성분의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임펠러(5)는 축선(A)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에, 원심 방향 성분보다도 비교적 적지만, 축류 방향(축선(A) 방향) 성분의 바람도 출력할 수 있다.
이어, 도 5를 사용하여 송풍기(1)의 블록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비를 변경 제어한다. 송풍기(1)는 제어부(11), 구동부(12), 통신부(13) 및 기억부(14)를 갖는다. 구동부(12)는 송풍기(1)의 제1 임펠러(4)나 제2 임펠러(5) 등의 모터를 구동한다. 통신부(13)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1)의 리모콘과 적외선 등을 사용한 무선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부(14)에는 풍량(141) 및 풍질(風質)(142), 및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5)의 각 회전수를 정한 회전수 테이블(143)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14)는 리듬풍 플래그(144)로서 "ON"또는 "OFF"의 설정값을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풍량(141) 및 풍질(142)로서, 각각 "1"에서 "9" 중 어느 하나의 값이 설정된다. 풍량(141) 및 풍질(142)의 설정값은 리모콘의 지시에 의해 설정된다.
회전수 테이블(143)은 풍량(141) 및 풍질(142)의 설정값의 조합에 대응하여,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각 회전수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11)는 풍량(141) 및 풍질(142)의 설정값에 대응하는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를, 회전수 테이블(143)을 참조하여 구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구한 회전수로 구동부(12)에 의해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를 구동시킨다.
리듬풍 플래그(144)는 통신부(13)에 의해 리모콘으로부터 변경 지시를 수신하여 "ON(유효)" 또는 "OFF(무효)"의 값을 기억한다. 리듬풍 플래그(144)가 "OFF"일 때,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는 풍량(141) 및 풍질(142)의 설정값에 대응한 회전수에 의해 정상 상태로 구동한다. 한편, 리듬풍 플래그(144)가 "ON"일 때, 제어부(11)는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하면서,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를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동한다.
이어서,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설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풍량(141)에 대하여 "8"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풍질(142)를 "1"에서 "9"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종축은 회전수(단위는 분당 회전rpm)를 나타내고, 횡축은 풍질(142)의 설정값을 나타내고 있다.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는 풍질 "1"에서 풍질 "9"에 걸쳐 단조 감소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풍질 “1”에서 풍질 “2"로 변경했을 때의 회전수 감소량은 풍질 "2" 내지 풍질 "5"로 설정값을 하나 증가시켰을 때의 회전수 감소량보다 크다. 또한, 풍질 "2" 내지 풍질 "5"로 설정값을 하나 증가시켰을 때의 회전수 감소량은 풍질 "5" 내지 풍질 "9"로 설정값을 하나 증가시켰을 때의 회전수 감소량보다 크다. 이와 같이, 풍질 “1”에서 풍질 “9"에 걸쳐 제1 임펠러(4)에 의한 축류 방향의 송풍량은 감소한다.
한편,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는 풍질 “1”에서 풍질 “2"로 변경한 경우에는 약간 감소하고, 풍질 "2"에서 풍질 "5"에서는 같은 설정값이다. 또한,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는 풍질 "5"에서 풍질 "9"에 걸쳐 증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풍질 “1”에서 풍질 “2"로 변화시킨 경우, 제1 임펠러(4)보다도 제2 임펠러(5)의 감소폭 쪽이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풍질 "1" 내지 풍질 "4"에서는 제1 임펠러(4)의 회전수 쪽이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보다 크다. 풍질 "6" 내지 풍질 "9"에서는 제1 임펠러(4)의 회전수 쪽이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보다 크다.
이와 같이, 제1 임펠러(4)의 제2 임펠러(5)에 대한 회전수 비는 풍질 “1”에서 풍질 “9"에 걸쳐 단조 감소한다. 이에 의해, 풍질 “1”에서 풍질 “9"로 변화함에 따라, 송풍기(1)로부터 출력되는 바람은 축류 방향으로의 성분이 감소함과 함께 원심 방향으로의 성분이 증가하여, 지향성이 높고 멀리까지 도달 가능한 직진풍에서 송풍 범위가 넓은 확산풍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1)는 풍질(142)을 변경함으로써 확산 각도를 다단계에 걸쳐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풍량(141)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전체를 증감시킬 수 있다. 풍량(141)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경우에는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5)의 양쪽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일한 확산 각도로 한 채 송풍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각각 송풍기(1)가 직진풍을 출력했을 경우 및 확산풍을 출력했을 경우의 평면 방향에서 본 송풍 각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의 (a)의 직진풍에서는 예를 들어 풍질(142)을 "1"로 설정하고 있다. 도 7의 (b)의 확산풍에서는 예를 들어 풍질 "9"에 있어서 송풍 각도를 12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풍질 "5"는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5)의 회전수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축류 방향의 성분과 원심 방향의 성분이 동일 정도로 양존하고 있는 상태이며(도 6의 (a) 참조), 송풍기(1)의 바람은 풍질 "1"과 풍질 "9"의 중간의 도달거리 및 각도 범위로 출력된다.
또한, 송풍기(1)로부터의 출력풍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정류판을 갖는 하류 그릴(221) 및 측방 그릴(222)로부터 배출되므로, 상하 방향의 확산이 억제된다. 따라서, 송풍기(1)는 풍질(142)의 변경에 의해, 주로 축선(A)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의 확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임펠러(5)는 제1 임펠러(4)와 역회전 구동한다. 그로 인해, 제2 임펠러(5)는 제1 임펠러(4)에 의해 발생한 선회 방향(축선(A) 둘레의 회전 방향)의 성분을 상쇄하고, 송풍기(1)로부터의 출력풍으로서 축류 방향의 성분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직진풍을 발생시키는 풍질 "1"이라 하더라도, 제2 임펠러(5)는 낮은 회전수로 구동하기 때문에, 제1 임펠러(4)에서 발생한 선회 방향 성분을 상쇄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풍량(141)을 증감시킨 경우,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 중 한쪽 회전수를 증감시켜도 좋고, 양쪽 회전수를 증감시켜도 좋지만, 제1 임펠러(4) 또는 제2 임펠러(5) 중 적어도 회전수가 높은 한쪽을 제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송풍 거리나 확산 각도의 변화를 느끼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6의 풍량 "8"의 예에 있어서, 제2 임펠러(5)는 풍질 "1"의 회전수를 풍질 "2"보다도 약간 크게 하였으므로, 제1 임펠러(4)로부터 출력된 바람이 저회전의 제2 임펠러(5)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리듬풍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풍기(1)의 리듬풍 플래그(144)가 "ON"으로 전환되면, 송풍기(1)는 흔들림 생성 처리에 의해 산출된 회전수에 의해 제1 임펠러(4) 또는 제2 임펠러(5)를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는 리듬풍 모드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리듬풍 모드에서, 간결 카오스법에 의해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를 경시 변화시켜 제어할 수 있다. 리듬풍 모드에서의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는, 예를 들어 풍질 "3" 및 풍질 "8"의 증감폭(W1, W2)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의 풍량(141) 및 풍질(142)의 설정값에 대응하는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를 중심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듬풍 모드에서의 제1 임펠러(4)의 회전수 증감폭은 풍질(142)을 "1"에서 "9"로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수의 최댓값(N1)과 최솟값(N2)의 폭(W0)보다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임펠러(4)의 회전수의 증감폭은 폭(W0) 이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1)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를 중심으로 바람의 강도를 변화시켜 자연스러운 바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리듬풍 모드에서는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를 증감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양쪽 회전수를 증감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축류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와, 제1 임펠러(4)와 회전축을 정렬시켜 제1 임펠러(4)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제1 임펠러(4)에 대하여 역회전 구동하고, 원심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5)와, 제1 임펠러(4)와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비를 변경 제어하는 제어부(11)를 구비하는 송풍기(1)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임펠러를 사용한 송풍기에 비하여, 상류측의 제1 임펠러(4)에 의해 발생한 하류측의 제2 임펠러(5)에서 상쇄하여 선회 성분을 저감시키고, 정압을 높임과 함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류측의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하류측의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직진풍의 도달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임펠러(4)의 회전수를 내려서 선회 성분을 저감시키고, 제2 임펠러(5)의 회전수를 올림으로써 원심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고, 주로 확산풍을 발생시키는 송풍기(1)를 구성시킬 수 있다.
제2 임펠러(5)의 형상을 원심팬으로서 기능하는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제1 임펠러(4)와 아울러 직진 및 확산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송풍기(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중 반전식 회전수 비를 시계열로 변화시킴으로써, 직진풍 및 확산풍을 변화시킨 리듬풍을 송풍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으나,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조작에 의해 풍질 및 풍량의 설정값 "1" 내지 "9"를 송신하여 직접 수치로 제어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송풍 범위에 대응한 풍질(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비), 풍량(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좌우 회전 설정을 기억부(14) 등에 미리 기억해 두고, 사용자가 송풍 범위를 지정하면, 송풍기(1)가 제1 임펠러(4) 및 제2 임펠러(5)의 회전수 및 헤드부(2)의 좌우 회전 설정을 판독하여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송풍 범위의 지정은 사용자가 송풍기(1)와 통신 가능한 리모콘 등의 통신 단말기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회전 설정으로서, 송풍기(1)는 헤드부(2)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조합하여 회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는 헤드부(2)의 좌우 회전 각도나 좌우 회전의 중심각도를 송풍 범위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범위에 바람을 보내도록 자동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존재 범위는, 예를 들어 송풍기(1)나 송풍기(1)와 접속된 외부 기기가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 등의 검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송풍기(1)가 그 검출 수단에 의해 송풍기(1)에 대한 사용자의 존재 범위(예를 들어 각도나 거리 등)를 구할 수 있다. 혹은 송풍기(1)는 사용자가 갖고 다니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존재 범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송풍기(1)는 구한 사용자의 존재 범위를 송풍 범위로서 설정하여 풍량, 풍질, 좌우 회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의 기억부(14)에 설정되는 풍량(141) 및 풍질(142)은 각각 10단계 이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송풍기(1)는 보다 다양한 바람을 보낼 수 있다.
또한, 배기구로서 구성되는 하류 그릴(221)은 좌우로 복수의 정류판을 갖는 원환 형상의 영역으로 형성되는 예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그 원환 형상의 영역의 내측 축선(A) 상에 정류판의 방향을 변형시킨 원 형상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원 형상 영역의 정류판은 예를 들어 방사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송풍기(1)는 이하의 (1) 내지(5)에 나타내는 각 사용 상황에 대응시켜 사용자가 원할 가능성이 높은 풍질, 풍량, 좌우 회전 동작을 미리 설정해 두고, 자동 제어할 수도 있다. 자동 제어를 행한 후, 사용자가 풍질, 풍량, 좌우 회전 동작의 설정 중 어느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한 경우, 제어부(11)는 그 변경한 설정을 기억부(14) 등에 기억해 두고, 다음에 동일한 사용 상황이 되었을 때의 자동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송풍기(1)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의 USB 전원으로부터 급전하여 사용하는 경우, USB 전원 근방에 사용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협역의 바람을 원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송풍기(1)는 실내 등의 근방의 한 사람 또는 복수인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협역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한편, 송풍기(1)를 충전지(이차 전지)에 의해 급전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송풍기(1)를 전원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등에 의해 광역의 바람을 원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송풍기(1)는 먼 곳의 한 사람 또는 복수인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광역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협역 혹은 광역의 설정은 풍질, 풍량, 좌우 회전 동작의 범위에 의해 정할 수 있다.
(2) 송풍기(1)는 임펠러 커버(21, 22)의 전방, 후방 혹은 측방 또는 상방의 정상부, 혹은 지지부(3) 등의 적절한 부위에, 휴대용의 착탈 가능한 핸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 핸들을 장착하여 송풍기(1)를 사용하는 경우, 협역의 바람을 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송풍기(1)는 실내 등의 근방의 한 사람 또는 복수인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협역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핸들을 제거하여 송풍기(1)를 사용하는 경우, 광역의 바람을 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송풍기(1)는 먼 곳의 한 사람 또는 복수인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광역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3) 송풍기(1)는 명암 센서를 탑재하여 주위의 밝기를 판정하고, 그 밝기에 따라서 송풍하는 바람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침 중의 사용자는 광역 또한 약풍의 바람을 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명암 센서가 검출하는 수광 신호 레벨이 낮은 경우, 송풍기(1)는 사용자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도록 광역 또한 약풍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4) 송풍기(1)는 통신부(13)에 의해 동일 실내의 에어컨이나 가습기 등의 외부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접속하여 가동 상황을 취득하고, 이 가동 상황에 따라서 송풍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송풍기(1)를 실내의 공기의 순환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강풍을 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송풍기(1)는 통신부(13)에 의해 동일 실내의 외부 기기가 가동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강풍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5) 송풍기(1)는 주위 환경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체감 온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풍기(1)는 온도계, 습도계, 풍속계 및 일조계(일사계) 등을 내부에 구비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접속하여, 검출한 기온, 습도, 풍속 및 일조량 등에 기초하여 체감 온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는 체감 온도를 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온, 습도, 풍속 및 일조량 등의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체감 온도가 높은 환경에 있으면 강풍을 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송풍기(1)는 구한 주위 환경의 체감 온도가 높은 경우에 강풍의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다양한 바람을 송풍 가능한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송풍기
2: 헤드부
3: 지지부
4: 제1 임펠러
5: 제2 임펠러
11: 제어부
12: 구동부
13: 통신부
14: 기억부
21: 임펠러 커버
22: 임펠러 커버
31: 다리부
32: 적재부
41: 허브
42: 제1 블레이드
51: 허브
52: 제2 블레이드
141: 풍량
142: 풍질
143: 회전수 테이블
144: 리듬풍 플래그
211: 상류 그릴
212: 측방 그릴
221: 하류 그릴
222: 측방 그릴
521: 기초부
522: 단부
523: 상류단
524: 하류단
A: 축선
N1: 최댓값
N2: 최솟값
R1: 제1 방향
R2: 제2 방향
R3: 직경 방향
W0: 폭
W1, W2: 증감폭

Claims (5)

  1. 축류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1 임펠러와,
    상기 제1 임펠러와 회전축인 축선을 정렬시켜 상기 제1 임펠러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임펠러에 대하여 역회전 구동하고, 원심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제2 임펠러와,
    상기 제1 임펠러와 상기 제2 임펠러의 회전수 비를 변경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풍량을 증감시킬 때, 상기 제1 임펠러 및 상기 제2 임펠러 중 회전수가 높은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펠러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임펠러의 허브 외주에 설치되고, 단부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체가 상기 제1 임펠러의 회전 방향인 제1 방향측으로 만곡되고, 단부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측의 상류단은 상기 제2 임펠러의 회전 방향인 제2 방향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임펠러의 회전수를 고정시켜 상기 제1 임펠러의 회전수를 흔들림 생성 처리에 의해 산출된 회전수에 의해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KR1020217041729A 2019-07-01 2020-04-15 송풍기 KR20220024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2652 2019-07-01
JP2019122652A JP7004687B2 (ja) 2019-07-01 2019-07-01 送風機
PCT/JP2020/016563 WO2021002082A1 (ja) 2019-07-01 2020-04-15 送風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119A true KR20220024119A (ko) 2022-03-03

Family

ID=7410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729A KR20220024119A (ko) 2019-07-01 2020-04-15 송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04687B2 (ko)
KR (1) KR20220024119A (ko)
CN (1) CN114072585A (ko)
WO (1) WO20210020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1102A (en) * 1978-12-15 1980-06-18 Kikukawa Iron Works Device for sending out lumber end or like in lumbering machine
CN101832283B (zh) 2010-05-06 2012-10-03 杭州小尔科技有限公司 地铁牵引电机制动冷却系统三叶轮轴流风机
JP5709921B2 (ja) 2013-03-29 2015-04-30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二重反転式送風機
JP6488612B2 (ja) * 2014-09-29 2019-03-27 日本電産株式会社 静翼ユニットおよび送風機
JP6436923B2 (ja) 2016-01-28 2018-12-12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二重反転式扇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2780A (zh) 2021-01-16
JP2021008849A (ja) 2021-01-28
CN114072585A (zh) 2022-02-18
WO2021002082A1 (ja) 2021-01-07
JP7004687B2 (ja)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5571B2 (ja) 空調システム
JP5396223B2 (ja) 空気調和機
US20140044558A1 (en) Air bl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870427B (zh) 风扇的控制方法及人体感应风扇
JP2015224603A (ja) 扇風機
CN114352560B (zh) 塔扇
ES2649754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corriente de aire de un aire acondicionado en modo sueño
JP5372671B2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吹出気流制御方法
JP2016176481A (ja) 扇風機
JP2015155693A (ja) 扇風機
KR20220024119A (ko) 송풍기
US20170343240A1 (en) Combination cooling and heating fan structure
JP2010138865A (ja) シーリングファン
CN111306726B (zh)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电子设备
JPH06288387A (ja) 天井扇風機
JPH01222135A (ja) 空気調和装置
CN108019944B (zh) 一种集气罩以及应用有该集气罩的燃气热水器
CN108105122B (zh) 一种双扇叶换气扇
JP2021139296A (ja) 送風装置
WO2020010807A1 (zh) 风扇
JP5877924B1 (ja) 扇風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21146642U (zh) 一种空调设备
JP3225881U (ja) 手持ち携帯扇風機
CN115950086B (zh) 双风机导风装置、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JP2014125885A (ja) 天井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