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07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073A
KR20220024073A KR1020217041301A KR20217041301A KR20220024073A KR 20220024073 A KR20220024073 A KR 20220024073A KR 1020217041301 A KR1020217041301 A KR 1020217041301A KR 20217041301 A KR20217041301 A KR 20217041301A KR 20220024073 A KR20220024073 A KR 2022002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elastic
skin
absorbent articl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다카하시
링슈앙 젱
이 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3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plant deriva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22) 및, 흡수성 코어(22)보다 두께 방향으로 피부를 향하여 더 멀리 있는 피부측 시트(24a, 24b)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20)를 갖는 흡수성 물품 (1)에 관한 것으로서, 휘발성 물질(26)이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24a, 24b)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길이 방향을 따른 탄성 부재(30)가 흡수성 코어(22)보다 두께 방향으로 피부로부터 더 멀리 제공되며, 탄성 부재(30)가 흡수성 본체(20)를 길이 방향으로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누어 얻은 중앙 부위(MA)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영역(30A)을 형성하며; 휘발성 물질(26)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앙 영역(MA)에서 탄성 영역(30A)과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 및 착용자 등이 느끼는 불편함을 저감시키기 위한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널리 공지된 흡수성 물품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불쾌한 냄새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휘발성 물질로서 후각 자극 향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8-102612호
흡수성 물품에서의 휘발성 물질은 착용자의 체온에 의하여 그의 온도를 상승시켜 그의 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휘발성 물질의 효과는 휘발성 물질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휘발성 물질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 상에 제공되는 경우에서, 흡수성 본체는 중력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지기 쉬우므로 휘발성 물질의 효과는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달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측면은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기재된 측면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전개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피부측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이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탄성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며, 탄성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탄성 부재가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중앙 영역은, 흡수성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3개의 동일한 영역으로 나눌 때 중심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중앙 영역에서,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영역과 중복된다.
상기를 제외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숙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개략 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흡수성 본체(2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포 영역(26p) 및 비도포 영역(26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으로 형성된 탄성 영역(30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장벽 커프스(50) 및 정점부(50S)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포 영역(26p) 및 탄성 영역(30A)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포 영역(26p) 및 장벽 커프스(5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포 영역(26p) 및 힌지(4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어도 하기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전개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피부측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은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탄성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며, 탄성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탄성 부재는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중앙 영역은 흡수성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3개의 동일한 영역으로 나눌 때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중앙 영역에서,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탄성 영역과 중복된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도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적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영역이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되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각각의 복수의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탄성 영역의 길이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복수의 탄성 부재의 2개의 폭 방향 최외측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의 폭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도포 영역이 탄성 중복 영역 및 탄성 비중복 영역을 포함하며, 탄성 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탄성 영역과 중복되는 영역이며, 탄성 비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탄성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은 탄성 중복 영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효과 지속 시간을 추가로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은 탄성 영역의 외측에서 2개의 폭 방향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대퇴부에서 휘발성 물질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영역의 전측 단부보다 전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하복부에서 휘발성 물질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영역의 후측 단부보다 후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천골 영역에서 휘발성 물질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샘방지 벽은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제공되며, 한 쌍의 샘방지 벽의 적어도 일부는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 가능하며, 한 쌍의 샘방지 벽의 정점부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고, 정점부는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된 부분의 정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샘방지 벽 각각은 덮개 역할을 하여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휘발성 물질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폭 방향으로 정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기화된 휘발성 물질은 직접적으로 피부에 도달하여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도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소정의 영역이며, 흡수성 코어는 밀도가 주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압착홈을 가지며, 도포 영역은 압착홈 중복 영역 및 압착홈 비중복 영역을 포함하며, 압착홈 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압착홈과 중복되는 영역이며, 압착홈 비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압착홈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효과 지속 시간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비도포 영역은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되며, 비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질구에 대한 휘발성 물질의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도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영역이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되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각각의 복수의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탄성 영역의 길이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복수의 탄성 부재의 2개의 폭 방향 최외측 탄성 부재는 탄성 영역의 폭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비도포 영역은 탄성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도포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비도포 영역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서 탄성 영역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의 효과는 질구의 주변부에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 시트로서 제1 피부측 시트 및 제2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며, 제1 피부측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며, 제2 피부측 시트는 두께 방향에서 제1 피부측 시트 및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은 제1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은 두께 방향에서 부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물품은 전방부, 후방부 및 가랑이부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팬츠형 흡수성 본체는 착탈형 흡수성 본체보다 신체에 더 쉽게 들어맞으며, 이는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휘발성 물질은 온감제 및 냉감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이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아닌 경우에 비하여 착용자의 온감 효과 또는 냉감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하기에는 하기 기재된 온감제(26)(휘발성 물질에 해당함)를 포함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하, 흡수성 물품(1)으로 약칭함)의 일례인 본 실시양태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하기에 생리용 흡수성 물품(1)이 기재되어 있기는 하나, 본 실시양태의 흡수성 물품(1)은 생리용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성인 또는 유아용 기저귀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개략 투시도이며, 도 2는 전개 상태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팬츠형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다. 도 1에서의 지면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면, 지면 상에서의 상측(하측)이 상하 방향에서 "상"("하")이 되는 한편, 좌우 방향에서 지면 상의 좌측(우측)은 좌우 방향에서 "좌"("우")가 된다. 또한, 전후 방향에서 착용시 착용자의 배쪽에 해당하는 쪽이 "전측"이며, 착용자의 등쪽에 해당하는 쪽이 "후측"이다.
도 2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1)의 전개 상태에서(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팬츠형 상태로 착용 전 평면 상에 펼쳤을 때),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도 2에서 지면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면 지면의 상측(하측)은 길이 방향에서 "전측"("후측")이 되는 반면, 지면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면 지면의 좌측(우측)은 폭 방향에서 좌(우)가 된다. 또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이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이 되며, 그에 대한 반대측은 "비피부측"이 된다.
본 실시양태의 평면도(예, 도 2)는 대상물을 신장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여기서, "신장된 상태"는 흡수성 물품(1)의 탄성체(예를 들면 하기 기재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 및 신장성 시트)가 평면도에 도시된 부재에서 주름이 더 이상 보이지 않도록 신장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흡수성 물품(1)의 하기 기재된 허리 부재(10) 및 흡수성 본체(20)는 그 자체로 상기 부재의 치수에 부합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하도록 신장된다.
본 개시내용에 의한 흡수성 물품(1)은 허리 부재(10) 및 흡수성 본체(20)를 포함하며, 하기에는 우선 허리 부재(10) 및 흡수성 물품(1)을 팬츠형 상태로 생성하는 과정을 기재한다. 흡수성 본체(20)는 하기 부문에 기재될 것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본체(20)는 온감제(26)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허리 부재(10)는 평면에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길이 방향 중앙부는 폭 방향의 내측으로 좁아지며, 좁은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팬츠형 상태로 한 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형성한다. 또한, 허리 부재(10)는 폭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도록 신축성 시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허리 부재(10)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된다.
게다가, 허리 부재(1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접힘선(CL)의 전측 및 후측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전측 허리 부재(10f) 및 후측 허리 부재(10b)를 갖는다. 전측 허리 부재(10f)(후측 허리 부재(10b))는 전측(후측) 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허리 전단부(10ff)(허리 후단부(10bf)); 및 좌우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측 접합부(10fe)(후측 접합부(10be))(도 2에서 빗금친 부분 참조)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을 팬츠형 상태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우선 흡수성 본체(20)는 전개 상태의 허리 부재(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흡수성 물품(1)을 전개 상태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면을 접합면으로 하면, 접합면은 전개 상태의 허리 부재(10) 상의 소정의 위치 상에서 배치되어 접합된다. 다시 말하면, 허리 부재(10)는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과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전개 상태의 흡수성 본체(20) 및 허리 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접힌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중앙 접힘선(CL)을 접힘부로 사용하면, 전측 허리 부재(10f)의 피부측 및 후측 허리 부재(10b)의 피부측이 서로 대면하도록 흡수성 본체(20) 및 허리 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접힌다.
따라서, 허리 부재(10)의 전측 접합부(10fe) 및 후측 접합부(10be)는 서로 근접하게 되며, 좌우 전측 접합부(10fe)는 좌우 후측 접합부(10be)에 접합된다.
여기서, 허리 부재(10)의 좌우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므로 허리 전단부(10ff) 및 허리 후단부(10bf)는 허리 부재(10)의 상측에서 허리 개구부(1a)를 형성한다.
또한, 허리 부재(10)는 흡수성 본체(20)보다 좌우 방향에서 좌측의 외측(도 2에서 LL로 나타낸 파선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의 외측(도 2에서 RL로 나타낸 파선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연장부(10R)를 포함한다.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의 길이 방향 중앙부는 폭 방향으로 내측으로 좁아지며, 이들 좁은 부분은 흡수성 본체(20)의 좌우 방향의 2개의 외측에서 한 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형성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허리 부재(10)가 착용자의 신체의 전측(배쪽 영역) 및 후측(등쪽 영역)에 접촉하고(착용자의 허리에 접촉하고), 주로 허리 부재(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신장/수축(착용자의 신체의 좌우 압축)에 의하여 사용중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허리 부재(10)에 접합되는 흡수성 본체(20)는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흡수성 본체(20)가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영역이며, 그의 하복부가 그의 가랑이로 연장되어 엉덩이의 천골로 추가로 연장되는 영역)에 접촉하도록 허리 부재(1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은 전방부, 후방부 및 가랑이부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다. 흡수성 물품(1)은 허리 부재의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하여 착용시 벗겨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에 접촉하는"은 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에 접촉하다"는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허리 부재(10)의 신축성 부분이 착용자와는 접하지만, 그의 비신축성 부분은 착용자와 접하지 않을 경우, 허리 부재(10)는 착용자에 접촉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열 시일링, 초음파 시일링 또는 그의 조합을 사용한 공지의 접합 방법은 상기 기재된 흡수성 본체(20), 허리 부재(10) 등을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접합 방법의 예가 된다.
흡수성 본체(20)
그 다음, 흡수성 본체(20)는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흡수성 본체(2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7은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수성 본체(20)는 생리용 흡수성 본체(20)이며, 이른바 생리대이다. 즉, 흡수성 본체(20)는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22)를 포함하며, 흡수성 코어(22)의 외주면은 코어 랩핑 시트(22a)로 덮힌다.
흡수성 코어(22)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양태에서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도 3에서 빗금친 부분)이며, 단면에서 돌출된 부분 형상(도 4에서 빗금친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례로서, 액체 흡수성 물질은 액 흡수성 섬유(예컨대 펄프 섬유), 고 흡수성 중합체(이른바 SAP) 등을 함유한다. 일례로서, 코어 랩핑 시트(22a)는 티슈 페이퍼, 부직포 등으로 생성된 액체 투과성 시트이다. 코어 랩핑 시트(22a)는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22) 이외에, 흡수성 본체(20)는 흡수성 코어(22)에 대한 피부측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 제2 피부측 시트(24b) 및 온감제(26)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코어(22)에 대하여 비피부측에는 흡수성 본체(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탄성 부재에 해당) 및 비피부측 시트(24c)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20)는 사이드 시트(24d)를 포함한다. 사이드 시트(24d)는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의 피부측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서 가장 먼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비피부측으로 다시 접히도록 제공된다. 피부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시트(24d)의 위치는 하기 기재된 장벽 커프스(50)(샘방지 벽에 해당)를 형성한다. 즉,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사이드 시트(24d)에 의하여 형성된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가 제공된다.
외부로의 온감제(26)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점으로부터 정점까지의 장벽 커프스(50)의 일부는 동일한 수의 부직포 시트,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복수의 힌지(40)(압착홈에 해당)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의 피부측에 형성된다.
제1 피부측 시트(24a)는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접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친수성 에어쓰루(air-through)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피부측 시트(24b)는 제1 피부측 시트(2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시트 부재이며,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면에 적층된다.
다시 말하면, 흡수성 본체(20)는 피부측 시트로서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두께 방향으로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흡수성 코어(2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부측 시트(24b)를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20)는 제2 피부측 시트(24b)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한다.
비피부측 시트(24c)는 단지 액체 불투과성 시트인 것이 요구되며,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비피부측 시트(24c)는 흡수성 코어(22)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부분적으로 접하게 되므로 사이드 시트(24d)는 에어쓰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착용자가 느끼는 생리통 및 한기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온감제(26)는 착용자의 온각을 자극시킴으로 인하여 착용자가 온기를 느끼게 하는 온감 자극제를 포함하며, 휘발성 물질인 용매와 혼합된다.
온감제(26)는 두께 방향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 사이에서(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24b)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본 실시양태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에서) 도포되며(도 4에서 검은색 부분),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위치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본 실시양태의 온감제(26)는 기화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도달시 그의 주요 온감 효과를 나타낸다. 온감제(26)의 기화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온감제(26)는 흡수성 코어(22)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온감제(26)는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이 충분하다.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온감 자극제는 식물 유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 자극제의 예는 캅시코시드, 캡사이신(LD50: 47 ㎎/㎏, 분자량: 305), 캡사이시노이드(예컨대 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및 노니바미드), 캡사틴, 벤질 니코티네이트(LD50: 2,188 ㎎/㎏, 분자량: 213), 베타-부톡시에틸 니코티네이트, N-아실 바닐라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폴리알콜, 캡시쿰 분말, 캡시쿰 틴크제, 캡시쿰 추출물, 노난산 바닐릴 에테르,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유도체(예컨대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LD50: 4,900 ㎎/㎏, 분자량: 210),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이소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에틸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베라트릴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알킬 에테르,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에틸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생강 추출물, 생강 오일, 진저롤(LD50: 250 ㎎/㎏, 분자량: 294),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매가 온감 자극제를 함유한다면 용매는 특정 용매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의 예는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는 예를 들면 온감 자극제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친유성 용매의 예는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천연 오일(예를 들면 지방 에스테르, 예컨대 트리글리세리드, 코코넛 오일, 아마인유,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에를 들면 파라핀, 예컨대 액체 파리핀)를 포함한다.
친수성 용매의 예는 물 및 알콜을 포함한다. 알콜의 예는 저급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및 고급 알콜, 예컨대 카프릴 알콜, 라우릴 알콜 및 미리스틸 알콜을 포함한다.
도 5는 온감제(26)에 대한 도포 영역(26p) 및 비도포 영역(26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감제(26)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도포 영역(26p)(도 5의 빗금친 부분)에 도포된다. 따라서, 온감제(26)가 도포되지 않은 비도포 영역(26n)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비도포 영역(26n)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15 ㎜의 폭을 가지며, 폭 방향에서 비도포 영역(26n)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도포 영역(26p)은 25 ㎜의 폭을 갖는다. 또한, 도포 영역(26p) 및 비도포 영역(26n)은 길이 방향에서 흡수성 본체(20)의 전측 단부로부터 그의 후측 단부까지 연속적인 영역이다.
그 다음, 온감제(26)의 기화를 기재할 것이다. 온감제(26)의 용매는 온감 자극제를 함유한 상태로 기화된다. 구체적으로, 온감 자극제를 함유하는 용매는 기화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도달하며, 그 후, 온감 자극제는 착용자의 온감을 자극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온감제(26)는 기화되며, 기화된 상태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착용자의 체온의 전달 등에 의하여 야기되는 온감제(26)의 온도 변화에 의존하여 및, 또한 온감제(26)가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20)의 신장/수축의 양(즉, 다량의 신장/수축이 존재할 경우 온감제(26)는 또한 다량으로 이동하며, 기화율이 증가됨)에 의존하여 용매의 기화율은 증가/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온감제(26)로의 체온의 전달 정도(예, 온감제(26)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 또는 온감제(26)가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20)의 신장/수축의 정도(예, 탄성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조정하여 기화율을 조정할 수 있다. 착용자가 느끼는 온감 강도 및, 온감제의 효과가 나타나는 지속 시간(용매가 기화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에 의하여 형성된 탄성 영역(30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흡수성 본체(20)를 신장/수축시켜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흡수성 본체(20)가 적어도 들어맞도록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가 길이 방향으로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눌 경우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중앙 영역(MA)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영역(30A)(도 6에서 빗금친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인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주로 하복부에 접촉하는 전측 영역(FA)으로부터, 주로 엉덩이에 접촉하는 후측 영역(BA)까지, 주로 가랑이부에 접촉하는 중앙 영역(MA)를 통하여 흡수성 본체(20) 내에서 제공되며; 흡수성 본체(20)가 길이 방향으로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눌 경우 전측 영역(FA), 후측 영역(BA) 및 중앙 영역(MA)은 각각 전면, 후측 및 중앙에 위치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 의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4개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12 ㎜ 피치의 등간격으로 나란히 제공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랑이 탄성 스트링(31), 제2 가랑이 탄성 스트링(32), 제3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3) 및 제4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4)은 좌측으로부터 상기 순서로 배열된다.
4개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제1 내지 제4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1 내지 34))은 탄성 영역(30A)을 구성하며; 탄성 영역(30A)의 길이 방향 외연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의 길이 방향 양단부(30e)이며, 그의 폭 방향 외연은 폭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다(제1 가랑이 탄성 스트링(31)은 좌측 외연의 역할을 하며, 제4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4)은 우측 외연의 역할을 한다).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비피부측 시트(24c)에 연속 및 신장된 상태로 접합된 후, 각각의 흡수성 물품(1)을 위하여 절단된다. 그러므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의 비접합 부분은 절단 후 접합 부분을 향하여 수축하여 신장되지 않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을 얻는다. 다시 말하면,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그의 전측 단부에서 신장되지 않는다.
상기 부분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흡수성 본체(20)는 컵 형상(팬츠형 상태로 좌우 방향에서 보아 U 형상)으로 변형되며, 흡수성 본체(20)는 상기 형상을 상실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서, 흡수성 본체(20)는 상하 방향에서 위로부터 변형력이 가해지는 경우, 신장되지 않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된 부분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보다 강성이 더 크므로 변형되지 않으며, 그리하여 흡수성 본체(20)는 그의 형상을 상실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의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흡수성 코어(22)보다 비피부측에 있는 비피부측 시트(24c)의 비피부측에 제공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비피부측 시트(24c)의 피부측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22)의 비피부측 및 피부측 둘다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20)가 신장 및 수축되게 하는 부재는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에 한정되지 않으며, 신축성 부직포 또는 신축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을 착용시, 힌지(40)는 흡수성 본체(20)가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을 따르도록(즉 힌지(40)는 변형 접힘선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40)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의 피부측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한 힌지(40)의 함몰부는 온감제(26)가 도포되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를 피부측으로부터 압축시켜 형성된다. 즉, 힌지(40)는 흡수성 코어(22)의 밀도가 주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압착홈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 방향 길이를 갖는 전측 힌지(41)는 흡수성 물품 착용시 주로 하복부가 접촉하는 흡수성 코어(22)의 길이 방향 전측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전측 힌지(41)는 주로 흡수성 본체(20)가 하복부에 부합되도록 제공된다.
게다가, 복수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힌지(42)는 전측 힌지(41)의 길이 방향으로 후측 상에 소정 간격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힌지(42)는 주로 흡수성 본체(20)가 가랑이부 및 엉덩이 부분에 부합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40)는 일정한 함몰 깊이를 갖지 않지만, 얕은 부분 및 깊은 부분을 가지며, 힌지(40)의 함몰 깊이를 조정하여 흡수성 본체(20)의 변형 정도를 조정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7은 장벽 커프스(50) 및 정점부(50S)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착용자의 대퇴부 주위에 접촉하여 내측으로부터 액체 누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장벽 커프스(50)가 제공된다. 즉, 장벽 커프스(50)는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착용자의 다리에 해당하는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로서 제공된다
게다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전개 상태의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폭 방향에서 접힌 상태로 제공된다.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착용시 그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전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쓰러진 상태에 있으며, 착용시(팬티 형상으로 만든 후) 기립하여 착용자의 대퇴부에 접촉한다.
도 4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정점 탄성 스트링(52)을 갖는다. 정점 탄성 스트링(52)은 전개 상태에서 신장되어 제공된다. 팬츠형 상태에서, 정점 탄성 스트링은 수축되어 정점부(50S)가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정점 탄성 스트링(52)을 갖는 정점부(50S)를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시킨다. 즉,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정점부(50S)는 흡수성 물품(1)의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며; 정점부(50S)는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는 부분의 정점이 되는 부분이다.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길이 방향 전측 단부 및 후측 단부에서, 장벽 커프스(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는 이에 해당하는 소정의 접착제 영역(54)에 도포되고, 접착제 영역(54)에서의 장벽 커프스(50)는 기립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정점 탄성 스트링(52)이 제공되는 폭 방향 내측 단부는 흡수성 물품 착용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점부(50S)의 범위에서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도포 영역(26p)의 배치
그 다음, 도포 영역(26p)(온감제(26))의 배치를 기재할 것이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느끼는 온감 강도 또는 온감제(26)의 효과 지속 시간은 흡수성 본체(20)에서 온감제(26)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경된다.
이하, 도포 영역(26p) 및,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에 의하여 형성된 탄성 영역(30A) 사이의 위치 관계, 도포 영역(26p) 및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 사이의 위치 관계 및 도포 영역(26p) 및 힌지(40) 사이의 위치 관계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8은 도포 영역(26p) 및 탄성 영역(30A)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포 영역(26p) 및 장벽 커프스(5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포 영역(26p) 및 힌지(4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 영역(26p) 및 탄성 영역(30A)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복 영역 및 비중복 영역으로 나뉜다. 다시 말하면, 도포 영역(26p)은 탄성 중복 영역(26pa)(도 8에서 빗금친 부분) 및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을 포함하며; 탄성 중복 영역(26pa)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이 탄성 영역(30A)과 중복되는 영역이며,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이 탄성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탄성 중복 영역(26pa)보다 더 크다.
도포 영역(26p)은 흡수성 본체(20)를 길이 방향에서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MA)에서 탄성 중복 영역(26pa)을 포함한다. 즉, 중앙 영역(MA)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탄성 영역(30A)과 중복된다.
또한,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영역(30A)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 탄성 영역(30A)의 전측 단부보다 전측에 및 탄성 영역(30A)의 후측 단부보다 후측에 각각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탄성 영역(30A)의 4개의 변의 외측에 존재한다.
게다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온감제(26)가 도포되지 않은 비도포 영역(26n)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비도포 영역(26n)은 탄성 영역(30A)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도포 영역(26p)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비도포 영역(26n)의 2개의 폭 방향 외측 상에서 탄성 영역(30A)과 중복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 영역(26p) 및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경우,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온감제(26))은 폭 방향으로 한 쌍의 정점부(50S)의 내측에 위치한다.
게다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은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와 중복되지 않는다. 기립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장벽 커프스(50)(예, 접착제 영역(54))가 온감제(26)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위치할 경우, 온감제(26)는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위치한다. 또한, 접착제 영역(54) 등은 착용자의 체온의 전달 및 기화된 온감제(26)의 피부로의 도달을 방해한다.
즉, 접착제 영역(54) 등은 온감제(26)가 제공되더라도 온감제(26)의 효과가 낮은 영역이다. 따라서, 온감제(26)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와 중복되지 않으며, 이는 온감제(26)의 효과가 낮은 영역을 피하도록 온감제(26)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장벽 커프스(50)의 접착제 영역(54)에 도포된 접착제와 온감제(26)가 혼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 영역(26p) 및 힌지(40)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는 중복 영역 및,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지 않는 비중복 영역으로 나뉜다. 즉, 도포 영역(26p) 각각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힌지(40)와 중복되는 힌지 중복 영역(26pc)(도 10에서 검은색 부분) 및,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힌지와 중복되지 않는 힌지 비중복 영역(26pd)을 포함한다. 힌지 중복 영역(26pc)에서, 온감제(26)는 힌지(40)의 함몰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 도포된다.
본 실시양태의 유효성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1)은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를 포함하며, 피부측 시트가 흡수성 코어(22)보다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20)를 포함하며, 온감제(26)는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흡수성 코어(22)보다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 제공되며,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중앙 영역(MA)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영역(30A)을 형성하며, 중앙 영역(MA)은 흡수성 본체(20)를 길이 방향으로 3개의 동일한 영역으로 나눌 때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탄성 영역(30A)과 중복된다. 이는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 중의 휘발성 물질은 착용자의 체온에 의하여 그의 온도를 증가시켜 그의 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휘발성 물질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휘발성 물질의 효과는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휘발성 물질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 상에 제공되는 경우에서, 흡수성 본체는 중력에 의하여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휘발성 물질의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본 실시양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1)에서, 흡수성 본체(20)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하복부로부터 가랑이부를 통하여 엉덩이로 연장되는 탄성 영역(30A)을 형성하며,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온감제(26) 및 탄성 영역(30A)은 중복된다.
즉, 탄성 영역(30A)은 착용자의 신체에 들어맞도록 신장 및 수축되므로, 탄성 영역(30A)과 중복되는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울 수 있어서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영역(30A)의 신장/수축은 온감제(26)의 기화를 촉진시키며, 기화율을 증가시켜 온감제(26)의 효과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은 도포 영역(26p)을 추가로 포함하며, 도포 영역(26p)은 온감제(26)가 도포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영역이다. 복수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된다. 복수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탄성 영역(30A)을 형성하며, 각각의 복수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의 길이 방향 양단부(30e)는 탄성 영역(30A)의 길이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2개의 폭 방향 최외측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폭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한다. 도포 영역(26p)은 탄성 중복 영역(26pa) 및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을 포함하며, 탄성 중복 영역(26pa)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이 탄성 영역(30A)과 중복되는 영역이며,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이 탄성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다.
신장 및 수축되는 탄성 중복 영역(26pa)의 온감제(26)는 신체에 들어맞으며, 기화를 촉진시켜서 온감 효과가 착용 후 조기 단계에서 발생된다. 반대로, 신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의 온감제(26)는 탄성 중복 영역(26pa)의 온감제(26)에 비하여 신체에 들어맞지 않아서(신체로부터 떨어져 위치하여) 기화를 촉진시키지 못한다. 그러므로, 온감 효과는 착용후 잠시 발생되며, 장시간 지속된다.
다시 말하면, 탄성 중복 영역(26pa)의 온감제(26)는 착용 후 신속하게 효과를 나타내며,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의 온감제(26)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 후 소정 기간 후 효과를 나타낸다. 즉, 온감제(26)가 효과를 나타내기 전 상이한 기간을 갖는 2개의 영역에 온감제(26)가 제공되어 온감제(26)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탄성 중복 영역(26pa)보다 더 크다.
즉, 온감 효과를 장기간 나타내는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탄성 중복 영역(26pa)보다 더 크므로, 온감제(26)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은 탄성 영역(30A)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 제공된다.
즉, 탄성 영역(30A)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좌측 및 우측 대퇴부에서,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키며, 그의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퇴부에서 서혜부의 림프절을 따뜻하게 할 수 있어서 림프의 흐름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영역(30A)의 전측 단부보다 전측 상에 제공된다.
즉, 탄성 영역(30A)의 전측 단부보다 전측 상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하복부에서,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키고, 그의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복부를 따뜻하게 할 수 있어서 생리통의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탄성 비중복 영역(26pb)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영역(30A)의 후측 단부보다 후측 상에 제공된다.
즉, 탄성 영역(30A)의 후측 단부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천골 영역에서,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의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골 영역을 따뜻하게 할 수 있어서 생리통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 제공되며,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적어도 일부는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 가능하며,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정점부(50S)는 흡수성 물품(1)의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며, 정점부(50S) 각각은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된 부분의 정점인 부분이다.
즉,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액체 누설을 방지하는 다리 개구부(1b)의 덮개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내측의 따뜻한 공기 등을 위한 다리 개구부(1b)의 덮개의 역할을 한다. 그래서, 한 쌍의 장벽 커프스(50)는 가랑이부에서 기화된 온감제(26)를 밀폐시키는 밀봉된 공간을 형성하여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는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폭 방향에서 정점부(50S)의 내측에 위치한다.
온감제(26)가 정점부(50S)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할 경우, 장벽 커프스(50)는 기화된 온감제(26)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도달하게 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온감제(26)가 정점부(50S)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할 경우, 기화된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도달하게 되어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코어(22)는 밀도가 주변 부위에서의 밀도보다 더 높은 힌지(40)를 가지며, 도포 영역(26p) 각각은 힌지 중복 영역(26pc) 및 힌지 비중복 영역(26pd)를 포함하며, 힌지 중복 영역(26pc) 각각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이 힌지(40)와 중복되는 영역이며, 힌지 비중복 영역(26pd) 각각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이 어떠한 힌지(40)와도 중복되지 않는 영역이다.
힌지 중복 영역(26pc)은 힌지 비중복 영역(26pd)보다 신체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여 체온을 이에 전달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힌지 중복 영역(26pc)(힌지 비중복 영역(26pd))에서, 온감 효과는 힌지 비중복 영역(26pd)(힌지 중복 영역(26pc))에 비하여 흡수성 물품 착용 후 장시간(단시간)에 생성된다. 즉, 온감제(26)가 효과를 나타내기 전 온감제(26)는 상이한 기간을 갖는 2개의 영역에 제공되어 온감제(26)의 효과 지속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비도포 영역(26n)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되며, 비도포 영역(26n)은 온감제(26)가 도포되지 않는 영역이다.
온감제(26)와 같은 자극제가 생리 중에 민감해지는 질구를 자극하는 경우, 착용자는 온감제(26)의 자극을 통증으로 느끼기 쉽다.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질구에 접촉한다.
즉,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를 비도포 영역(26n)으로 하여 질구에 대한 온감제(26)의 자극을 억제하여 온감제(26)에 의하여 야기되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질구에 접촉하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의 부분에 온감제(26)가 도포되는 경우, 도포된 층은 생리혈의 흡수를 방해하여 흡수 용량을 감소시킨다. 즉, 질구에 접촉하는 부분을 비도포 영역(26n)으로 하여 흡수 용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26p)은 비도포 영역(26n)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서 탄성 영역(30A)과 중복된다.
즉, 질구의 주변부의 온감제(26)는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으로 인하여 신장 및 수축되며, 그리하여 상기 부분에서의 온감제(26)는 신체에 들어맞아서 기화를 촉진한다. 즉, 질구의 주변부에서의 온감제(26)의 효과는 증가되면서 질구에 대한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본체(20)는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를 피부측 시트로서 포함하며, 제1 피부측 시트(24a)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며, 제2 피부측 시트(24b)는 두께 방향으로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흡수성 코어(22) 사이에 위치한다. 온감제(26)는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24b)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다.
온감제(26)가 흡수성 물품(1)의 내면 상에 제공될 경우, 온감제(26)는 착용자와 직접 접하게 되며, 착용자를 심하게 자극하여 착용자 피부에 피부 트러블, 예컨대 홍조, 가려움 또는 발진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온감제(26)가 흡수성 물품(1)의 외면 상에 제공될 경우, 비피부측 시트가 기체 투과성이더라도,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너무 멀게 되어 온감제(26)의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반대로, 본 실시양태에서, 온감제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에 도포되며,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온감제(26)는 두께 방향으로 부적절한 위치(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위치하지 않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워서 온감제(26)의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1)은 전방부, 후방부 및 가랑이부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1a)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1b)가 형성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다.
즉,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예를 들면 착탈형 흡수성 물품(착용하기 위하여 연결시킨 형태)에 비하여 흡수성 본체(20)가 착용자의 신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착용되며, 이는 온감제(26)의 효과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양태
상기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되지만, 본 발명을 제한된 방식으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그의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그의 등가예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1)은 팬츠형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패드, 착탈형 생리대, 이른바 팬티 라이너, 흡수성 패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는 휘발성 물질의 일례로서 사용되지만, 온감제(26)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감제 사용의 경우, 축축함 또는 끈적임에 의하여 유발되는 착용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감제(온감제(26))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하면 착용자에게 냉감(온감)을 주는 효과는 휘발성 물질이 냉감제(온감제(26))가 아닌 경우에서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온감제(26)가 기화하여 그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의한 상기 기재된 메카니즘은 냉감제 및 하기 기재되는 향료의 경우에서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하여서는 기재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냉감제의 예는 멘톨(예컨대 l-멘톨)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멘틸 락테이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캄포르, 식물(예컨대 민트 및 유칼립투스)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는 휘발성 물질의 일례로서 사용되지만, 온감제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향료는 온감제(26) 대신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온감제(26)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향료가 그린 허브형 향료(그린 허브 유사 향기)인 경우, 향료는 신체에 물리적 자극을 주지 않거나 또는 경구 투여하지 않고도 정신적 불쾌 증상을 안전하게 편리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향료는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는 그린 유사 향기(그린 노트) 또는 허브 유사 향기(허발 노트)를 포함한 향기 타입이다. 그린 유사 향기는 예를 들면 풀 및 어린 잎의 상쾌한 향기를 나타낸다. 허발 유사 향기(허발 노트)는 허브를 사용한 천연 및 허발 노트의 특징을 갖는 향기 유형이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시스-3-헥세놀, 시스-3-헥세닐 포르메이트,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시스-3-헥세닐 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세닐 부티레이트, 트랜스-2-헥세날, 트랜스-2-헥세닐 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테이트,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메틸-3-(3,4-메틸렌디옥스페닐)-프로판알(IFF 회사명: 헬리오날(Helional)), 3(4)-(5-에틸비시클로[2,2,1]헵틸-2)-시클로헥사놀, 알릴 2-펜틸옥시글리콜레이트(IFF 회사명: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4-메틸-3-데센-5-올(기바우단(Givaudan) 회사명: 운데카베르톨(Undecavertol)), 헥실알데히드, 2,4-디메틸-3-시클로헥세닐카르복시알데히드(IFF 회사명: 트립랄(Tripral)) 및 페닐아세트알데히드로부터 선택된 향료 중 1종 또는 향료 중 2종 이상을 함유한다. 시판 중인 제품은 또한 상기 향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향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향료는 주로 그린 유사 향기를 생성한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l-멘톨, 1,8-시네올, 메틸 살리실레이트, 시트로넬랄, 캄포르, 보르네올,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터피닐 아세테이트, 유게놀, 아네톨, 4-메톡시벤질 알콜 및 에스트라골로부터 선택된 향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제시된 향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향료는 주로 허발 유사 향기를 생성한다.
냉감제 및 온감제(26)는 온도 민감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저온 화상 또는 화상을 입지 않고 냉감 또는 온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1: 흡수성 물품, 1a: 허리 개구부, 1b: 다리 개구부
10: 허리 부재, 10f: 전측 허리 부재, 10fe: 전측 접합부
10ff: 허리 전단부, 10b: 후측 허리 부재, 10b: 후측 접합부
10bf: 허리 후단부, 10L: 좌측 연장부, 10R: 우측 연장부
20: 흡수성 본체, 22: 흡수성 코어, 22a: 코어 랩핑 시트
24a: 제1 피부측 시트, 24b: 제2 피부측 시트
24c: 비피부측 시트, 24d: 사이드 시트
26: 온감제(휘발성 물질), 26p: 도포 영역, 26n: 비도포 영역
26pa: 탄성 중복 영역, 26pb: 탄성 비중복 영역
26pc: 힌지 중복 영역(압착홈 중복 영역)
26pd: 힌지 비중복 영역(압착홈 비중복 영역)
30: 가랑이 탄성 스트링(탄성 부재), 30A: 탄성 영역, 30e: 양단부
31: 제1 가랑이 탄성 스트링, 32: 제2 가랑이 탄성 스트링
33: 제3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 34: 제4의 가랑이 탄성 스트링
40: 힌지(압착홈), 41: 전측 힌지, 42: 한 쌍의 힌지
50: 장벽 커프스(샘방지 벽), 50S: 정점부, 52: 정점 탄성 스트링, 54: 접착제 영역
CL: 중앙 접힘선, FA: 전측 영역, MA: 중앙 영역, BA: 후측 영역

Claims (14)

  1. 전개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피부측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이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탄성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며,
    탄성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탄성 부재가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중앙 영역은, 흡수성 본체를 길이 방향에서 3개의 동일한 영역으로 나눌 때 중심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중앙 영역에서,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영역과 중복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도포 영역을 더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영역이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되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각각의 복수의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탄성 영역의 길이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복수의 탄성 부재의 2개의 폭 방향 최외측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의 폭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도포 영역은 탄성 중복 영역 및 탄성 비중복 영역을 포함하며,
    탄성 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탄성 영역과 중복되는 영역이며,
    탄성 비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탄성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비중복 영역이 탄성 중복 영역보다 더 큰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성 비중복 영역이 탄성 영역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탄성 비중복 영역의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탄성 영역의 전측 단부보다 전측에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탄성 비중복 영역의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탄성 영역의 후측 단부보다 후측에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샘방지 벽이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제공되며,
    한 쌍의 샘방지 벽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 가능하며,
    한 쌍의 샘방지 벽의 정점부가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며,
    정점부는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된 부분의 정점이 되는 부분인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휘발성 물질이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폭 방향으로 정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도포 영역을 더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영역이며,
    흡수성 코어는 밀도가 주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압착홈을 가지며,
    도포 영역은 압착홈 중복 영역 및 압착홈 비중복 영역을 포함하며,
    압착홈 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압착홈과 중복되는 영역이며,
    압착홈 비중복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포 영역이 압착홈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인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도포 영역이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되며,
    비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인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도포 영역을 더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영역이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되며,
    복수의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을 형성하며,
    각각의 복수의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탄성 영역의 길이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복수의 탄성 부재의 2개의 폭 방향 최외측 탄성 부재가 탄성 영역의 폭 방향 외연의 역할을 하며,
    비도포 영역은 탄성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며,
    도포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비도포 영역의 2개의 폭 방향 외측에서 탄성 영역과 중복되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 시트로서 제1 피부측 시트 및 제2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며,
    제1 피부측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며,
    제2 피부측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제1 피부측 시트와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이 제1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전방부, 후방부 및 가랑이부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인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발성 물질이 온감제 및 냉감제 중 어느 하나인 흡수성 물품.
KR1020217041301A 2019-06-20 2020-04-03 흡수성 물품 KR20220024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35887.7 2019-06-20
CN201910535887.7A CN112107427B (zh) 2019-06-20 2019-06-20 吸收性物品
PCT/JP2020/015404 WO2020255532A1 (ja) 2019-06-20 2020-04-03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073A true KR20220024073A (ko) 2022-03-03

Family

ID=7379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301A KR20220024073A (ko) 2019-06-20 2020-04-0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024073A (ko)
CN (1) CN112107427B (ko)
TW (1) TW202106267A (ko)
WO (1) WO20202555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612A (ko) 2016-01-08 2018-09-17 블루 다뉴브 시스템스, 인크. 안테나 맵핑 및 다이버시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4957B2 (ja) * 2006-05-31 2012-08-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1078545A (ja) * 2009-10-06 2011-04-21 Kao Corp 吸収性物品
JP5396243B2 (ja) * 2009-11-12 2014-01-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96236B2 (ja) * 2012-03-30 2016-09-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675191B2 (en) * 2012-09-24 2020-06-09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impermeable surface sheet portion
JP6186136B2 (ja) * 2013-02-28 2017-08-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14581B2 (ja) * 2014-06-27 2016-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77611B1 (ja) * 2014-06-30 2015-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78886A1 (ja) * 2016-10-31 2018-05-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82736B1 (ja) * 2017-11-08 2019-03-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684880B2 (ja) * 2018-10-04 2020-04-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612A (ko) 2016-01-08 2018-09-17 블루 다뉴브 시스템스, 인크. 안테나 맵핑 및 다이버시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5532A1 (ja) 2020-12-24
CN112107427B (zh) 2023-05-12
TW202106267A (zh) 2021-02-16
CN112107427A (zh)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36273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821103B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20220024039A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WO2020179881A1 (ja) 吸収性物品
KR20220024073A (ko) 흡수성 물품
TWI837356B (zh) 短褲型吸收性物品
WO2020255521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製造方法
WO202200453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878711B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製造方法
WO2022137818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JP6510329B2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748360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WO2021084850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0179886A1 (ja) 吸収性物品
KR20220088849A (ko) 팬티형 흡수성 물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