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849A - 팬티형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티형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849A
KR20220088849A KR1020227011159A KR20227011159A KR20220088849A KR 20220088849 A KR20220088849 A KR 20220088849A KR 1020227011159 A KR1020227011159 A KR 1020227011159A KR 20227011159 A KR20227011159 A KR 20227011159A KR 20220088849 A KR20220088849 A KR 2022008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agent
waist member
waist
w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다카하시
이 쉬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8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before use, e.g. how are the diapers folded or arranged in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본체(20)와, 몸통 둘레 부재(10)를 갖고, 몸통 둘레 개구(1a)를 구비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몸통 둘레 부재(10)의 상단부(UA)에는, 좌우 방향을 따른 탄성 부재(10gm)가 설치되어 있고, 몸통 둘레 부재(10)에는, 온감제(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 탄성 부재(10gm)보다도 온감제(26)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티형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착용자 등이 느끼는 불쾌감을 저감하기 위한 휘발성 물질이 설치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하, 단지 흡수성 물품이라고도 한다)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대응하는 웨이스트 영역(10)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향료를 설치함으로써, 배설물 유래의 불쾌한 악취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8-102612호 공보
그 외의 휘발성 물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는, 착용자의 온도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의 생리통이나 냉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온감제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나, 착용자의 땀참이나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하기 위한 냉감제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다.
그리고, 온감제 또는 냉감제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대응하는 웨이스트 영역(10)에 온감제 또는 냉감제를 설치하면, 착용자가 하복부에 있어서 온감 또는 냉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하고, 또한, 몸통 둘레 개구로부터 기화한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배출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촉진시키고,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몸통 둘레 부재를 가지며, 몸통 둘레 개구를 구비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보다도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촉진시키고,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서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 및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1)에 설치된 온감제(26)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온감제(26)가 도포된 장소의 특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신장 상태 및 자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리 둘레 개구부(1b)에서의 신축성 시트(12)와 비신축성 시트(14)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접어 개키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몸통 둘레 부재를 가지며, 몸통 둘레 개구를 구비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보다도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온감 또는 냉감 효과가 촉진되고,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탄성 부재는, 개구부 실고무이며, 상기 개구부 실고무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개구부 실고무의 고무 빠짐이 억제되므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흘러내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복수의 시트 중 가장 피부측의 시트에,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우므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보다도 상기 인쇄 영역 쪽이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인쇄 영역에 의해 인쇄 영역보다도 상측으로의 기화한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배출이 억제되므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보다도 상기 인쇄 영역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인쇄 영역이 기화한 온감제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측에 있어서는 개구부 실고무가 기화한 온감제의 외부로의 배출을 억제하므로, 온감제를 도포한 위치에서 온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쇄 영역과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인쇄 영역이 기화한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피부측에서 비(非)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하기(기밀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와,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하복부 중앙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와 흡수성 본체의 2군데의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발휘하므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점재(點在)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는 중복 영역과,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지 않는 비중복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비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상기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이, 상기 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상기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피트성이 향상되어 쾌적한 장착감을 실현하면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3등분했을 때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등측부(背側部)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보다도, 상기 복측부(腹側部)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쪽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하복부 및 둔부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등측부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보다도, 상기 복측부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쪽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하복부 및 둔부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상단부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좌우 방향의 치수가, 상기 몸통 둘레 부재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L0이고, 자연 상태에서 L1이며,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좌우 방향의 치수가, 상기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L0이고, 상기 자연 상태에 있어서 L2이며, 상기 L2보다도 상기 L1 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화한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몸통 둘레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빠지기 어려워져,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어,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우레탄이 혼합된 부직포 시트 및 필름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한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하므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신장시킨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3등분했을 때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 영역을 갖고,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복측부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설치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는, 상기 양측 영역의 좌측의 영역에 설치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및 상기 양측 영역의 우측의 영역에 설치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온감 또는 냉감 효과가 촉진되어, 쾌적한 장착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적어도 1장의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점재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한 온감제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할 수(기밀성을 높일 수) 있어,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좌측단보다도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연출부(延出部)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우측단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연출부를 갖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출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좌측단보다도 우측에 접어 개켜지고, 상기 우측 연출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우측단 보다도 좌측에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좌측 연출부 및 상기 우측 연출부 중 적어도 한쪽과 중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좌측 연출부 및 우측 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이 덮개가 되어, 기화한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다리 둘레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중 가장 비피부측의 시트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비신축성 시트의 단부가 다리 둘레 개구부의 덮개로서 기능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므로,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 제 1 실시형태 ===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휘발성 물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온감제(26)(상세한 것은 후술한다)를 구비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리용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는, 예를 들면, 어른용, 유아용의 기저귀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생리용으로 용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물품(1)의 기본 구성>
도 1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전개 상태에서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 및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상측(하측)을 상하 방향의 「상」(「하」)으로 하고, 가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좌측(우측)을 좌우 방향의 좌(우)로 한다. 또, 전후 방향에 있어서는, 착용할 때에 착용자의 복측이 되는 쪽을 「전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등측이 되는 쪽을 「후측」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의 전개 상태(팬티형 흡수성 물품(1)이 팬티형으로 성형되기 전의 평면상에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의 세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상측(하측)을 길이 방향의 「전(복측)」(「후(등측)」)으로 하고, 길이 방향과 지면(紙面)상에서 직교하는 방향(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좌측(우측)을 폭 방향의 좌(우)로 한다. 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측을 「피부측」, 그 반대측((逆側)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평면도(예를 들면, 도 2)는, 대상물의 신장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신장 상태」란, 흡수성 물품(1)이 구비하는 각 탄성체(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성 시트(12) 등)를 신장시킴으로써, 평면도에 나타내는 부재를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몸통 둘레 부재(10)와 흡수성 본체(20)의 치수가 그 부재 단체(單體)의 치수와 일치 또는 그에 가까운 치수가 될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인 것을 말한다. 그리고, 비신장 상태로서, 각 탄성체가 자연스럽게 수축하여 각 부재 등에 주름 등이 생겨 있는 상태인 것을 「자연 상태」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은, 몸통 둘레 부재(10)와, 흡수성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 둘레 부재(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평면시(平面視)에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하고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고, 이 움푹 들어간 부분은, 팬티형으로 성형되면, 도 1에 나타내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b)를 형성한다.
또, 몸통 둘레 부재(10)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선(CL)보다 전측인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와 후측인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있어서,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가 나타내는 범위(중심선(CL)에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전측단)(전측의 상단(10et))까지의 복측의 범위)가 복측부이고,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가 나타내는 범위(중심선(CL)에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후측단(후측의 상단(10et))까지의 등측의 범위)가 등측부이다.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는, 전측의 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전단부(10ff)와, 좌우의 양단부에 설치된 길이 방향을 따른 전측 접합부(10fe)(도 2의 우하향 사선부)를 갖고 있고,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는, 후측의 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후단부(10bf)와, 좌우의 양단부에 설치된 길이 방향을 따른 후측 접합부(10be)(도 2의 우하향 사선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측 접합부(10fe)와 후측 접합부(10be)는, 팬티형으로 성형될 때에 접합되어 걸림고정부를 형성한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는,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10)의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전측 접합부(10fe))와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후측 접합부(10be))가 상하 방향을 따라 접합된 걸림고정부를 갖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몸통 둘레 부재(10)는, 몸통 둘레 부재(10)의 형상을 한 좌우 방향으로 거의 신축성이 없는 비신축성 시트(14)와, 비신축성 시트(14)의 피부측면의 일부에 적층되고,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12)(전측 신축성 시트(12f) 및 후측 신축성 시트(1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몸통 둘레 부재(10)는,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의 가장 피부측에 신축성 시트(12) 및 비신축성 시트(14)와는 상이한 완충 시트(15)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완충 시트(15)는, 흡수성 본체(20)의 전측의 외측단(20et)이 착용자의 피부에 강하게 닿는 것을 완화하는 등을 위해 설치된다.
비신축성 시트(14)는,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비신축성 시트(14)의 일부는, 길이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20)의 외측단(20et)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길이 방향의 상단(10et)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내측 또한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되접혀 접합되며, 전측(후측)의 되접힘부는, 전측 단부(후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한 몸통 둘레 전단부(10ff)(몸통 둘레 후단부(10bf))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몸통 둘레 전단부(10ff) 및 몸통 둘레 후단부(10bf)에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개구부 실고무(10gm)(탄성 부재에 상당)가, 각각의 되접힘부의 내측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른 개구부 실고무(10gm)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 실고무(10gm)는, 접착제에 의해 몸통 둘레 부재(10)의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단부」란,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4등분했을 때의 가장 상측의 부분(도 2에 나타내는 UA 부분), 또는, 상하 방향의 상단에서 30mm 정도(착용 시에 좌우 방향으로 늘리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에 있고, 좌우 방향의 신축력(착용자에게로의 조임력)이 몸통 둘레 부재(10)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의 신축력보다도 큰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전단부(10ff) 및 몸통 둘레 후단부(10bf)에 개구부 실고무(10gm)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띠모양의 신축하는 부재인 신축 부직포나 신축 필름 등을 설치해도 상관없다.
신축성 시트(12)는,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에 설치된 전측 신축성 시트(12f)와,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에 설치된 후측 신축성 시트(12b)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성 시트(12)는, 신축 필름(예를 들면,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고, 균일 두께의 시트상으로 한 신축성을 갖는 부재이며, 필름 시트에 상당)이고, 신축 부직포 시트에 비하면, 기밀성이 높게 되어 있다. 즉, 신축 필름은, 신축 부직포나 2장의 비신축 부직포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부재를 끼워 제작한 부재에 비해, 휘발한 온감제(26)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하므로,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기밀성의 관점에서 말하면, 신축성 시트(12)를 가장 피부측에 배치해도 되지만, 신축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축 필름에 직접 온감제(26)를 도포해도, 온감제(26)의 홀딩성이 나쁘고, 또 신체에 신축 필름이 접촉하면 촉감이 좋지 않다. 그 때문에, 신축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피부측에서 순서대로 비신축 부직포-신축 필름-비신축 부직포의 구성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성 시트(12)는, 신축 필름 대신에 우레탄이 혼합된 신축 부직포 시트(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일종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신축성 섬유가 혼합된 신축 부직포 시트)여도 된다. 이러한 시트는, 우레탄이 혼합되어 있지 않은 부직포 시트(예를 들면, 100% 폴리프로필렌의 부직포 시트)에 비해 기밀성이 높으므로, 신축 필름과 동일한 효과(온감 효과의 지속)가 얻어진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는, 우레탄이 혼합된 부직포 시트 및 신축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완충 시트(15)는,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되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장 피부측이며 흡수성 본체(20)의 전측의 외측단(20et)과 중복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 완충 시트(15)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도안(문자, 기호, 화상, 색 등의 그 주위와 외관이 다른 것)이 인쇄된 인쇄 영역(15p)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15p)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쇄 영역(15p)에는, 인쇄할 때에 도안이 번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인쇄하기 쉽도록), 하지(下地) 처리가 되어 있고, 하지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해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기밀성이 높게 되어 있다.
또, 완충 시트(15)에는,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온감제(26)가 피부측에 도포되어 있는 경우, 인쇄 영역(15p)은 비피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온감제(26)의 휘발성 물질에 의해 인쇄 영역(15p)의 인쇄가 녹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용해물이 신체에 접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온감제(26)에 대해서는, 뒤에 항을 마련하여 설명한다.
또한, 완충 시트(15)를 설치하지 않고, 비신축성 시트(14)의 되접힘을 연장해도 된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비신축성 시트(14)의 후측의 되접힘과 같이, 전측의 되접힘을 흡수성 본체(20)의 피부측에 겹치도록 하여 되접힘부를 형성하고, 흡수성 본체(20)의 전측의 외측단(20et)이 착용자의 피부에 강하게 닿는 것을 완화 등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되접힘부에 인쇄 영역(15p)이나 온감제(26)를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완충 시트(15)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신축성 시트(12)와 비신축성 시트(14)는,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어 있고, 이러한 접합은, 초음파 진동 및 압력을 가한 초음파 접합(초음파 시일)에 의해, 점재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는 적어도 1장의 부직포 시트(비신축성 시트(14))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시트는,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점재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비신축성 시트(14)의 초음파 접합부는 용융하여 필름상이 되기 때문에, 초음파 접합부가 없는 상태의 비신축성 시트(14)에 비해, 휘발한 온감제(26)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할 수(기밀성을 높일 수) 있어,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초음파 접합부는, 모두 같은 초음파 접합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의 Y부 확대도에 나타내는 초음파 접합부(YS)와, 도 2의 Z부 확대도에 나타내는 초음파 접합부(ZS)에 형성된다.
완충 시트(15)는, 신축성 시트(12) 및 비신축성 시트(14)와 달리,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즉, 완충 시트(15)는, 접착제에 의해 복수의 시트(신축성 시트(12) 및 비신축성 시트(14))의 가장 피부측의 시트(신축성 시트(12))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은, 완충 시트(15)의 비피부측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이고, 단위면적당으로 보면, 초음파 접합부(YS, ZS)의 면적보다도 크다. 즉,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복수의 시트(신축성 시트(12) 및 비신축성 시트(14))의 단위면적당의 초음파 접합부(YS, ZS)의 면적보다도, 완충 시트(15)의 단위면적당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적 쪽이 크다.
완충 시트(15)의 접착제는 굳어서 기밀성이 높은 층을 형성하므로, 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초음파 접합부(YS, ZS)의 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작은 경우에 비해, 휘발한 온감제(26)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어,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초음파 접합부(YS, ZS)는 용융하여 신축성이 낮은 필름상이 되기 때문에, 초음파 접합부(YS, ZS)의 면적을 접착제의 도포 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큰 경우에 비해, 몸통 둘레 부재(10)의 신축력을 크게 하여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쾌적한 장착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신축성 시트(12)는 늘거나 줄거나 하지만, 비신축성 시트(14)는 늘거나 줄거나 하지 않으므로, 비신축성 시트(14)의 비피부측의 면에는, 규칙적인 볼록상이며 내부에 공동(空洞)을 갖는 주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신축성 시트(12)가 신축 부직포(통기성이 있는 부재)인 경우, 기화한 온감제(26)가 신축 부직포를 통과하여 상기한 주름 내부의 공동 부분에 홀딩된다. 그러면, 예를 들면,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주름 내부의 공동 부분이 작아질 때에, 공동 부분에서 홀딩하고 있는 기화한 온감제(26)의 일부가 신축 부직포를 통과하여 내부로 이동한다. 즉, 기화한 온감제(26)가 피부측으로 이동하므로, 온감제(26)를 보다 느끼기 쉽게 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생리용 흡수성 물품이며,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본체(20)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즉 흡수성 본체(20)의 장변 방향)이 흡수성 물품(1)의 상하 방향을 따른 평면시 대략 장방 형상이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20)는,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흡수성 코어(액체 흡수성 소재(예를 들면,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가 함유된 것이며, 액체를 흡수하는 부분)를 갖고 있다. 흡수성 코어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인 피부측 시트와, 배설액의 외부로의 누설을 억제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를 포함한 비피부측 시트로 덮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20)는, 도 2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어 몸통 둘레 부재(10)와 접합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0)의 피부측에는,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다. 온감제(26)에 대해서는, 뒤에 항을 마련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1)을 전개 상태에서 팬티형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1)을 팬티형으로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재를 배치하고 접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생성한다.
그리고, 전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이, 길이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진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CL)을 접는 금으로 하여,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의 피부측과,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의 피부측이 마주보게 되도록, 흡수성 물품(1)이, 길이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진다.
그러면, 몸통 둘레 부재(10)의 전측 접합부(10fe)와 후측 접합부(10be)가 가까워지므로, 좌우의 전측 접합부(10fe)와 후측 접합부(10be)를 각각 접합하여, 걸림고정부를 형성한다.
걸림고정부를 형성하면, 몸통 둘레 부재(10)의 좌우 양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므로, 몸통 둘레 부재(10)의 몸통 둘레 전단부(10ff)와 몸통 둘레 후단부(10bf)가 몸통 둘레 부재(10)의 상측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몸통 둘레 개구를 갖는 부위)를 형성한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의 상단부에는, 몸통 둘레 개구부(1a)가 설치되고, 몸통 둘레 개구부(1a)(몸통 둘레 전단부(10ff)와 몸통 둘레 후단부(10bf))에는 개구부 실고무(10gm)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은, 몸통 둘레 부재(10)가 착용자의 신체의 전측(복부)과 후측(등부)에 맞닿아(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맞닿아), 몸통 둘레 부재(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개구부 실고무(10gm) 및 신축성 시트(12)에 의한 신축)에 의해, 착용 시에 낙하하지 않는(흘러내리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몸통 둘레 부재(10)에 접합된 흡수성 본체(20)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흡수성 본체(20)가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부분이며, 하복부부터 고간부를 개재하여 둔부(엉덩이)의 천골부에 이르는 부분)에 맞닿은 상태에서 몸통 둘레 부재(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맞닿음」이란, 닿아서 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에게 맞닿아 있으면, 당해 부재는 착용자에게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몸통 둘레 부재(10) 중 신축하는 부분이 착용자와 접하고, 신축하지 않는 부분이 착용자와 접하고 있지 않은 상태는, 몸통 둘레 부재(10)가 착용자에게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또, 상기에서는, 접합 방법으로서 초음파 접합, 접착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히트 시일, 공지의 접합의 조합 등을 이용해도 된다.
<온감제(26)에 대해서>
다음으로, 온감제(26)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감제(26)는, 착용자의 생리통이나 냉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착용자의 온도 감각에 자극을 줌으로써, 자극을 받은 착용자가 따뜻하게 느끼는 온감 자극제를 포함하고, 온감 자극제는 휘발성을 갖는 용매와 혼합되어 있다(또는, 온감 자극제가 휘발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부재(10)와 흡수성 본체(20)에 온감제(26)가 설치되어 있다.
온감 자극제는,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 자극제로는, 예를 들면, 캡시코시드, 캡사이신(LD50: 47mg/kg, 분자량: 305),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 벤질(LD50: 2,188mg/kg, 분자량: 213),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 바닐아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 바닐릴 에테르, 바닐릴 알코올 알킬 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LD50: 4,900mg/kg, 분자량: 210),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이소바닐릴 알코올 알킬 에테르, 에틸 바닐릴 알코올 알킬 에테르, 베라트릴 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 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 알코올 알킬 에테르,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에틸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LD50: 250mg/kg, 분자량: 294),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온감 자극제는,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의 하나인 TRPV1을 자극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이며, 캡사이신, 바닐릴 부틸 에테르 등이다. 즉, 착용자의 TRPV1을 활성화하여, 교감신경계를 매개로 착용자에게 산열(産熱)(착용자가 체내에서 열을 만들어 냄)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휴대용 일회용 손난로와 같이 그 자신이 고온이 되어 착용자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캡사이신 등과 같이 그 자신이 고온이 되는 일 없이 착용자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저온 화상이나 화상을 입는 일 없이, 차가움이나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용매는, 온감 자극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용매는, 온감 자극제를, 예를 들면, 용해, 분산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온감 자극제가 휘발성 물질인 경우, 용매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온감 자극제만을 이용해도 된다.
친유성 용매로는, 유지(油脂), 예를 들면, 천연유(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아마인유,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등), 탄화수소(예를 들면, 파라핀,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용매는, 물 및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저급 알코올, 카프릴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지 않으면,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즉, 예를 들면, 향료와 같은 휘발성 물질은, 기체가 되면 주변의 악취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온감제(26)는 기화한 후에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아, 그 주된 효과를 발휘한다. 그 때문에, 온감제(26)가 부직포 등을 매개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착용자는, 서서히 온감제(26)의 효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온감제(26)의 구체적인 배치에 대해서>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1)의 온감제(26)의 구체적인 배치(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흡수성 물품(1)에 설치된 온감제(26)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신장시킨 상태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3등분했을 때의 중앙 영역(MA)과, 중앙 영역(MA)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 영역(SA)을 갖고 있다.
온감제(26)는, 몸통 둘레 부재(10)와 흡수성 본체(20)에 도포되어 설치되어 있고, 어느 쪽 부재에 있어서도 소정의 도포 영역을 갖고 있다.
몸통 둘레 부재(10)의 도포 영역(26p1)(도 3의 우상향 사선부)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치수를 갖고, 좌우 방향을 따른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이며, 완충 시트(15)의 피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포 영역(26p1)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개구부 실고무(10gm)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온감 효과가 촉진되고, 온감 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와 동일하게,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대응하는 웨이스트 영역(10)에 온감제(26)를 설치하면, 착용자가 하복부에 있어서 온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하고, 또한,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기화한 온감제(26)가 배출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웨이스트 영역(10)(본 실시형태에서의 상단부)의 탄성 부재(개구부 실고무(10gm))가 흡수성 물품(1)에서 가장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력(착용자에게로의 조임력)이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가장 착용자의 신체와 긴밀히 피트한다. 그리고, 장시간 긴밀히 피트하는 부분에 온감제(26)를 설치하면, 온감제(26)가 너무 꽉 눌러져 버려, 가려움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부분보다도 하측에 온감제(2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상단부에 설치된 개구부 실고무(10gm)보다도 온감제(26)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 때문에, 피하지방이 많은 하복부에서의 온감 효과가 촉진되고, 또한,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기화한 온감제(26)가 배출되기 어려워지므로, 온감 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부 실고무(10gm)는, 접착제에 의해 몸통 둘레 부재(20)의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즉, 온감제(26)가 개구부 실고무(10gm)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온감제(26)에 의해 개구부 실고무(10gm)의 접착제가 용융되기 어려워, 개구부 실고무(10gm)의 고무 빠짐이 억제되므로,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흘러내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포 영역(26p1)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완충 시트(15)의 인쇄 영역(15p)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온감제(26)보다도 인쇄 영역(15p) 쪽이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쇄 영역(15p)에 의해 인쇄 영역(15p)보다도 상측으로의 기화한 온감제(26)의 배출이 억제되므로,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영역(26p1)은,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복측)에 있고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등측)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등측에도 설치해도 된다. 단, 등측보다도 복측 쪽이 온감제(26)의 양이 많아지도록 도포 영역(26p1)을 설치한다. 즉,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3등분했을 때의 중앙 영역(MA)에 있어서, 팬티형 흡수성 물품(1)(몸통 둘레 부재(10))의 등측부에서의 온감제(26)의 양의 합계보다도, 복측부에서의 온감제(26)의 양의 합계 쪽이 많아지도록 온감제(26)를 설치한다.
그러면, 후측 몸통 둘레 부재(10b)의 중앙 영역(MA)은, 수면 자세 시에 체중이 실리기 쉬워 온감 효과가 발현되기 쉬우므로, 착용자가 온감 효과를 느끼기 쉽고,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의 중앙 영역(MA)은, 온감제(26)가 많으므로 착용자가 온감 효과를 느끼기 쉽다. 즉, 착용자의 하복부 및 둔부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온감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포 영역(26p1)은,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영역(MA)에 설치되어 있고, 중앙 영역(MA)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 영역(SA)에는, 좌우 방향의 외단에서부터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26n)이 설치되어 있다.
즉, 온감제(26)가 중앙 영역(MA)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고, 전측 몸통 둘레 부재(10f)에 있어서, 중앙 영역(MA)에 설치된 온감제(26)의 양의 합계는, 양측 영역(SA)의 좌측의 영역에 설치된 온감제(26)의 양의 합계, 및 양측 영역(SA)의 우측의 영역에 설치된 온감제(26)의 양의 합계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많다.
그러면, 복측의 중앙부에 있어서 온감 효과가 크기 때문에, 피하지방이 많은 하복부(하복부 중앙)에 온감제(26)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착용자의 편안함이 촉진되고, 복측의 양단부에서는 온감 효과가 작기 때문에, 피하지방이 적은 요골(腰骨) 등의 가려움이 억제된다. 즉, 착용자의 적절한 부분에 온감 효과가 작용하므로, 온감 효과가 촉진되어, 쾌적한 장착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온감제(26)는, 몸통 둘레 부재(10)의 복수의 시트 중, 완충 시트(15)에 설치되어 있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의 복수의 시트 중, 가장 피부측의 시트에 온감제(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온감제(26)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우므로, 온감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흡수성 본체(20)의 도포 영역(26p2)(도 3의 우하향 사선부)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짧은쪽 방향)으로 소정의 치수를 갖고, 흡수성 본체(20)의 길이 방향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속한 길이 방향을 따른 한 쌍의 도포 영역(26p2)으로서 도포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 영역(26p1)은, 흡수성 본체(20)의 전측의 외측단(20et)과 중복되어 있으므로,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포 영역(26p1)과 도포 영역(26p2)이 중복된다(도 3의 도포 영역(26p3)). 즉,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흡수성 본체(20)의 온감제(26)와, 몸통 둘레 부재(10)의 온감제(26)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다.
즉, 하복부 중앙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10)와 흡수성 본체(20)의 2군데의 온감제(26)가 온감 효과를 발휘하므로, 온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온감제(26)의 도포 부재 및 도포 위치의 특정 방법에 대해서>
다음으로,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는 부재 및 위치의 특정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능 검사에 의해 이러한 특정을 행한다. 도 4는, 온감제(26)가 도포된 장소의 특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몸통 둘레 부재(10)는, 복수의 시트 부재(신축성 시트(12), 비신축성 시트(14) 및 완충 시트(15))를 갖고 있는 것은 이미 기술했지만, 이와 같이 복수의 시트 부재가 적층되어 있는 경우, 어느 시트 부재의 어느 위치에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특정할 수 있다.
우선, 몸통 둘레 부재(10)를 전개 상태에서 구획 나누기하고, 구획마다 몸통 둘레 부재(10)를 잘라낸다(스텝 S1). 예를 들면, 전개 상태의 몸통 둘레 부재(10)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10등분하여 잘라낸다.
다음으로, 구획 나누기하여 잘라낸 몸통 둘레 부재(10)를 소정의 사이즈로 여러 장 잘라낸다.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전단에서 2번째, 또한, 폭 방향의 좌단에서 5번째의 구획의 부재를 약 3×3cm의 동일 사이즈로 4장 잘라낸다.
그리고, 잘라낸 적층 시트 부재를 1장씩, 예를 들면 콜드 스프레이로 벗겨서 각 샘플 시트(분해된 신축성 시트(12), 비신축성 시트(14) 및 완충 시트(15))를 제작한다(스텝 S2). 예를 들면, 4장 잘라낸 적층 시트를 1장씩 벗겨서, 4장×3층=12장의 샘플 시트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샘플 시트와 동일 사이즈의 PE 시트(폴리에틸렌 시트. 일례로서, 기밀성이 높은 시트이면 된다)를 샘플 시트만큼 준비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약 3×3cm의 PE 시트를 12장 준비한다.
계속해서, 1장째의 샘플 시트에 PE 시트를 겹치고, 1장째의 샘플 시트를 관능 검사에서의 검사자의 위팔(upper arm)의 내측에 댄다(스텝 S4). 예를 들면, 12장 중의 1장의 샘플 시트(예를 들면, 완충 시트(15))와 PE 시트를 겹쳐서, 관능 검사에서의 검사자의 위팔의 내측에 댄다.
그런 다음, 당해 검사자는, 1장째의 샘플 시트의 온감제(26)의 온감 효과를 느끼기까지의 시간 T1을 계측하여 기록한다(스텝 S5).
그리고, 이러한 관능 시험(S4, S5)을 모든 샘플 시트에서 실행한다. 즉, 2, 3, …, 12장째의 샘플 시트의 각각에 PE 시트를 겹쳐서 관능 검사를 행하고, 모든 샘플 시트에 대해서 시간 T2∼T12를 계측하여 기록한다(스텝 S6).
그런 다음, 구획 나누기한 전구획에 있어서 상기의 관능 시험(S2∼S6)을 행하고, 모든 샘플 시트에 대한 시간 T를 계측하여 기록한다(스텝 S7). 예를 들면, 10×10=100의 구획(다리 둘레 개구부(1b) 등의 몸통 둘레 부재(10)가 없는 부분은 제외한다)의 각각의 12장의 샘플 시트(완충 시트(15) 등이 없는 구획에서는 매수가 줄어든다)에 대해, 관능 시험을 실시하고 시간 T를 계측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각각의 샘플 시트의 시간 T를 비교함으로써,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었던 샘플 시트를 특정할 수 있다(스텝 S8). 예를 들면, 길이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가 인쇄 영역(15p)의 후측(하측)이고, 또한, 폭 방향(좌우 방향)의 위치가 중앙의 샘플 시트이며, 분해된 신축성 시트(12), 비신축성 시트(14) 및 완충 시트(15) 중 가장 시간 T가 짧은 샘플 시트가 완충 시트(15)이면,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인쇄 영역(15p)의 하측의 중앙 영역(MA)에,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다고 특정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샘플 시트의 특정은, 관능 시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헤드스페이스 고상(固相) 마이크로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계(시마즈 세이사쿠쇼의 GCMS-QP2010 Plus)를 이용하고, 캐리어 가스로서 헬륨을 사용하며, 측정 모드를 주사법으로 하여, 전자 충격 이온화법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각 샘플 시트는, 접어 개켜 작게 만 상태로 하여 비이커 내에 넣는다. 비이커의 상부를 알루미늄박으로 덮고, 추가로 그 상부에서 플라스틱 파라핀 필름으로 덮어, 비이커 내를 밀봉한 비이커를 37도의 항온 수조에 넣는다. SPME 파이버(시그마 알드리치 50/39㎛ DVB/CAR/PDMS, Stableflex 2cm)를, 알루미늄박을 관통하여 비이커에 삽입시켜, 각 샘플 시트의 향기 성분을 추출한다. 그 후, 비이커에서 꺼낸 SPME 파이버를, 바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계로 측정한다. 이것에 의해 얻어진 각 질량을 샘플 시트의 면적으로 각각 나눈 값을 산출한다. 이 나눈 값을 비교함으로써, 온감제(26)가 도포되어 있었던 샘플 시트를 특정할 수 있다.
<신축력의 차이와 그 효과에 대해서>
이하에서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생성할 때의 처치나 부재 등에 의해 발생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좌우 방향에서의 신축력의 차이와 그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위면적당의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의 차이에 따른 신축력의 차이와 그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 시트(12)와 비신축성 시트(14)는,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 및 압력을 가한 초음파 접합으로 접합되어 있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신축성 시트(12))가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복수의 시트는,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점재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시트의 접합은, 그 시트의 접합 범위의 전부가 초음파 접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점재하는 초음파 접합부와 비초음파 접합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음파 접합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흡수성 본체(20)와 중복되는 영역인지 아닌지에 따라, 이러한 일정한 간격이 상위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몸통 둘레 부재(10)는, 신축성 시트(12)를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흡수성 본체(20)와 중복되는 중복 영역(도 2에서 X로 나타내는 우상향 사선의 영역)과, 흡수성 본체(20)와 중복되지 않는 비중복 영역(신축성 시트(12) 중의 X로 나타내는 우상향 사선의 영역 이외의 영역)을 갖고, 중복 영역과 비중복 영역에서 초음파 접합부의 간격이 다르다.
중복 영역에 있어서는, 도 2의 Y부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음파 접합부(YS)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대략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에 대해 당해 대략 장방 형상을 45도 기울인 것과, -45도 기울인 것이 규칙적으로 각각 대략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중복 영역에 있어서는, 도 2의 Z부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음파 접합부(ZS)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초음파 접합부(YS)보다도 큰 간격으로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복 영역과 비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을 비교하면, 비중복 영역 쪽이 작아진다. 즉, 비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초음파 접합부(ZS)의 면적이, 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초음파 접합부(YS)의 면적보다도 작다.
그리고, 초음파 접합부는 용융하여 신축성이 낮은 필름상이 되기 때문에 신축력에 영향을 준다. 즉, 단위면적당의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이 작은 쪽이 신축력은 크다. 따라서, 비중복 영역의 신축력이 중복 영역의 신축력보다 커져, 비중복 영역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10)와 피부와의 공간이 줄어들므로, 피트성이 향상되어 쾌적한 장착감을 실현하면서, 하복부 중앙부(중복 영역)에 있어서 신축력이 억제되므로, 피부와의 공간이 많아져 온감제(26)가 모이기 쉬워져, 온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개구부 실고무(10gm)와 신축성 시트(12)의 신축력의 차이와 그 효과를 설명한다. 도 5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신장 상태 및 자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좌도가 신장 상태, 우도가 자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신축성 시트(12)의 신축력보다도 개구부 실고무(10gm)의 신축력 쪽이 크다. 즉, 상단부(개구부 실고무(10gm)의 설치부)에서의 몸통 둘레 부재(10)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몸통 둘레 부재(10)를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L0이고, 자연 상태에서 L1이며, 상단부(개구부 실고무(10gm)의 설치부)보다도 하측의 영역에서의 몸통 둘레 부재(10)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신장 상태에 있어서 L0이고, 자연 상태에 있어서 L2이며, L2보다도 L1 쪽이 작다.
그러면, 몸통 둘레 부재(10)에 있어서 상단부(개구부 실고무(10gm)의 설치부)의 신축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요부(腰部)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10)가 제대로 밀착하여 피트한다. 즉, 흡수성 물품(1) 내부에서의 기화한 온감제(26)가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 외부로 빠지기 어려워져,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어,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비신축성 시트(14)와 신축성 시트(12)의 신축력의 차이와 그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A-A의 단면(矢視)이고, 다리 둘레 개구부(1b)에서의 신축성 시트(12)와 비신축성 시트(14)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1b)에 있어서는, 비신축성 시트(14)가 신축성 시트(12)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있고, 단부(14e)가 피부측으로 말려들어 가도록 컬되어 있다. 즉,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의 다리 둘레 개구부(1b)에 있어서, 복수의 시트 중 가장 비피부측의 시트(비신축성 시트(14))의 단부(14e)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착용 시에 있어서, 비신축성 시트(14)의 단부(14e)가 다리 둘레 개구부(1b)의 덮개로서 기능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므로,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의 포장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은, 팬티형으로 생성된 후에 접어 개켜지고, 하나의 흡수성 물품(1)이 하나의 포장 용기에 넣어져 포장된다. 즉, 흡수성 물품(1)은, 개별 포장이고, 포장 상태에 있어서는, 접어 개켜진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포장 시의 흡수성 물품(1)을 접어 개키는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을 접어 개키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좌도는 흡수성 물품(1)을 접어 개키기 전의 상태, 중앙도는 좌측 연출부(10L)와 우측 연출부(10R)를 접어 개킨 상태, 우도는 흡수성 물품(1)을 접음선(BL)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어 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은, 도 7의 좌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의 좌측단(20Le)보다도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연출부(10L)와, 흡수성 본체(20)의 우측단(20Re)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연출부(10R)를 갖고 있다. 그리고, 먼저, 도 7의 중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연출부(10L)가 흡수성 본체(20)의 좌측단(20Le)보다도 우측에 접어 개켜지고, 우측 연출부(10R)가 흡수성 본체(20)의 우측단(20Re)보다도 좌측에 접어 개켜진다. 다음으로, 도 7의 우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선(BL)을 따라 흡수성 물품(1)이 상하 방향으로 접어 개켜지고, 이러한 상태로 포장된다.
그러면, 흡수성 물품(1)의 포장 상태에 있어서, 온감제(26)(도포 영역(26p1, 26p2)에 좌측 연출부(10L) 및 우측 연출부(10R)가 전후 방향으로 중복된 상태로 포장되게 된다. 즉,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가, 좌측 연출부(10L) 및 우측 연출부(10R) 중 적어도 한쪽과 중복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의(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기화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서는, 좌측 연출부(10L)가 우측으로 접어 개켜지고 나서, 우측 연출부(10R)가 좌측으로 접어 개켜지고, 접음선(BL)을 따라 흡수성 물품(1)이 상하 방향으로 접어 개켜져 있지만, 이 순번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우측 연출부(10R)를 최초로 접어 개켜도 된다. 또, 접어 개킴의 방향은, 모두 복측(전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접어 개켜져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접음선(BL)을 따라 흡수성 물품(1)의 등측(후측)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어 개켜도 된다.
=== 제 2 실시형태 ===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부재(10)를 좌우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부재로서 신축성 시트(12)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축 부재로서 몸통 둘레 실고무(16)를 신축성 시트(12) 대신에, 또는 동시에 이용해도 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이며, 신축성 시트(12) 대신에 몸통 둘레 실고무(16)를 이용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의 전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은, 레그 개더(LG)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몸통 둘레 실고무(16)와 레그 개더(LG)는, 비신축성 시트(14)와 비신축성 시트(14a)에 의해, 피부측과 비피부측으로부터 끼인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완충 시트(15)의 접착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개구부 실고무(10gm)보다 하측이고, 레그 개더(LG)보다 상측이다. 즉, 개구부 실고무(10gm)와 레그 개더(LG)의 접착제는, 완충 시트(15)의 접착제에 의해 용해되기 어렵게 되어 있고, 개구부 실고무(10gm)와 레그 개더(LG)의 고무 빠짐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즉, 개구부 실고무(10gm)와 레그 개더(LG)가 제대로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을 착용자에게 밀착시키므로,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의 흘러내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팬티형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복 영역(도 2에 나타내는 X 영역)에 있어서, 몸통 둘레 실고무(16)와 몸통 둘레 부재(10)를 비접착 상태로 하여 중복 영역의 몸통 둘레 실고무(16)를 절단함으로써, 몸통 둘레 실고무(16)의 일부를 비신장 상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의하면, 몸통 둘레 실고무(16)가 절단 개소로부터 중복 영역의 좌우 방향의 양단으로 수축하므로, 중복 영역에 있어서, 몸통 둘레 실고무(16)가 비신장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비중복 영역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실고무(16)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접합된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중복 영역과 비중복 영역의 신축력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위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의 비중복 영역의 신축력을 크게 함으로써, 몸통 둘레 부재(10)와 피부와의 공간을 줄여 피트성을 향상시켜 쾌적한 장착감을 실현하고, 중복 영역의 신축력을 작게 함으로써, 복측 중앙부(하복부 중앙)에 있어서 피부와의 공간을 많게 해서 온감제(26)를 모이기 쉽게 하여, 온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구부 실고무(10gm)의 신축력보다도, 몸통 둘레 실고무(16)의 신축력 쪽이 작다(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된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개구부 실고무(10gm)와 신축성 시트(12)의 신축력의 차이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몸통 둘레 부재(10)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1a)의 신축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몸통 둘레 개구부(1a)로부터의 기화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어(기밀성이 높아져),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 그 외의 실시형태 ===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온감제(26)보다도 인쇄 영역(15p) 쪽이 상측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온감제(26)보다도 인쇄 영역(15p)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인쇄 영역(15p)과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온감제(26)보다도 인쇄 영역(15p)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인쇄 영역(15p)이 기화한 온감제(26)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측에 있어서는 개구부 실고무(10gm)가 기화한 온감제(26)의 외부로의 배출을 억제하므로, 온감제(26)를 도포한 위치에서 온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착용자가 따뜻하게 하고 싶은 장소에 대응하는 흡수성 물품의 장소에 온감제(26)를 도포함으로써, 온감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쇄 영역(15p)과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인쇄 영역(15p)이 기화한 온감제(26)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의 배출을 억제하기(기밀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온감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인쇄 영역(15p)으로 온감제(26)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포 영역(26p1)은,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흡수성 본체(20)의 전측의 외측단(20et)과 중복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흡수성 본체(20)의 전측의 외측단(20et)보다도 더욱 전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20)에 도포된 온감제(26)와 몸통 둘레 부재(10)에 도포된 온감제(26)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으므로, 온감제(26)가 도포된 영역이 넓어져, 보다 넓은 범위에서 온감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몸통 둘레 부재(10)의 부재에 의해 팬티형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는 구성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추가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며, 몸통 둘레 부재를 패스닝 테이프로 고정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로부터 더욱 흘러내리기 어렵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휘발성 물질의 일례로서, 온감제(26)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온감제(26)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냉감제를 이용해도 된다. 냉감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땀참이나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냉감제의 예로는, 멘톨(예를 들면, l-멘톨)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유산 멘틸), 살리실산 메틸, 캄퍼, 식물(예를 들면, 민트, 유칼립투스) 유래의 정유(精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냉감제는, 온감제(26)와 마찬가지로,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감제에 있어서는, 따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차갑게 식힌다는 관점에서, 복측의 도포량보다도 등측의 도포량 쪽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면자세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장 땀이 차기 쉬운 둔부에 냉감제를 많게 함으로써, 땀참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온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온감제(26) 내에 미량의 냉감제를 혼합하거나, 냉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냉감제 내에 미량의 온감제(26)를 혼합하거나 하여, 온감 또는 냉감 효과를 높여도 된다.
1: 팬티형 흡수성 물품 1a: 몸통 둘레 개구부
1b: 다리 둘레 개구부 10: 몸통 둘레 부재
10f: 전측 몸통 둘레 부재 10fe: 전측 접합부
10ff: 몸통 둘레 전단부 10b: 후측 몸통 둘레 부재
10be: 후측 접합부 10bf: 몸통 둘레 후단부
10et: 상단 10gm: 개구부 실고무(탄성 부재)
10L: 좌측 연출부 10R: 우측 연출부
12: 신축성 시트(필름 시트) 12f: 전측 신축성 시트
12b: 후측 신축성 시트 14: 비신축성 시트
14e: 단부 15: 완충 시트
15p: 인쇄 영역 16: 몸통 둘레 실고무
20: 흡수성 본체 20et: 외측단
20Le: 좌측단 20Re: 우측단
26: 온감제 26p1: 도포 영역
26p2: 도포 영역 26p3: 도포 영역
26n: 비도포 영역 100: 팬티형 흡수성 물품
CL: 중심선 YS: 초음파 접합부
ZS: 초음파 접합부 UA: 상단부
MA: 중앙 영역 SA: 양측 영역
LG: 레그 개더 BL: 접음선

Claims (16)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흡수성 본체와, 몸통 둘레 부재를 가지며, 몸통 둘레 개구를 구비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온감제 또는 냉감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보다도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개구부 실고무이고,
    상기 개구부 실고무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복수의 시트 중 가장 피부측의 시트에,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보다도 상기 인쇄 영역 쪽이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보다도 상기 인쇄 영역 쪽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에는, 도안이 인쇄된 인쇄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인쇄 영역과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와,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점재(點在)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는 중복 영역과, 상기 흡수성 본체와 중복되지 않는 비(非)중복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비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상기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이, 상기 중복 영역의 단위면적당의 상기 초음파 접합부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3등분했을 때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등측부(背側部)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보다도,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복측부((腹側部)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쪽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등측부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보다도,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복측부에서의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쪽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좌우 방향의 치수가, 상기 몸통 둘레 부재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L0이고, 자연 상태에서 L1이며,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측의 영역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좌우 방향의 치수가, 상기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L0이고, 상기 자연 상태에 있어서 L2이며,
    상기 L2보다도 상기 L1 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우레탄이 혼합된 부직포 시트 및 필름 시트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신장시킨 상태의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3등분했을 때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 영역을 갖고,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가, 상기 몸통 둘레 부재의 상기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복측부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 설치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는, 상기 양측 영역의 좌측의 영역에 설치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 및 상기 양측 영역의 우측의 영역에 설치된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양의 합계의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적어도 1장의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점재하는 복수의 초음파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좌측단보다도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연출부(延出部)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우측단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연출부를 갖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출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좌측단보다도 우측에 개켜지고, 상기 우측 연출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우측단 보다도 좌측에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포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온감제 또는 상기 냉감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좌측 연출부 및 상기 우측 연출부 중 적어도 한쪽과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복수의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다리 둘레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중 가장 비피부측의 시트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
KR1020227011159A 2019-10-30 2020-08-19 팬티형 흡수성 물품 KR20220088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45416.4 2019-10-30
CN201911045416.4A CN112741729A (zh) 2019-10-30 2019-10-30 短裤型吸收性物品
PCT/JP2020/031231 WO2021084851A1 (ja) 2019-10-30 2020-08-19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849A true KR20220088849A (ko) 2022-06-28

Family

ID=7564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159A KR20220088849A (ko) 2019-10-30 2020-08-19 팬티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88849A (ko)
CN (1) CN112741729A (ko)
WO (1) WO20210848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612A (ja) 2016-12-27 2018-07-0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398A (ja) * 1981-10-30 1983-05-04 武藤工業株式会社 自在平行定規装置
JP4994957B2 (ja) * 2006-05-31 2012-08-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1006142A (ja) * 2009-05-29 2011-01-13 Kao Corp パンツ型着用物品の包装体
JP5898285B1 (ja) * 2014-09-19 2016-04-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ョーツ型ナプキン
WO2016093035A1 (ja) * 2014-12-12 2016-06-16 山田 菊夫 使い捨て衣類
JP5980367B1 (ja) * 2015-03-31 2016-08-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6154654A (ja) * 2015-02-24 2016-09-0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636855B2 (ja) * 2016-05-06 2020-01-2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65356B2 (ja) * 2017-09-01 2020-10-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温感物品
JP6715811B2 (ja) * 2017-10-06 2020-07-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07940980U (zh) * 2017-11-03 2018-10-09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吸收性物品
JP7085836B2 (ja) * 2017-12-28 2022-06-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用の温感部材、及び温感部材の吸収性物品に貼付しての使用
JP3215313U (ja) * 2017-12-28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9124891A (zh) * 2018-09-18 2019-01-04 安庆市恒昌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的卫生用品产品及生产装置和工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612A (ja) 2016-12-27 2018-07-0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41729A (zh) 2021-05-04
WO2021084851A1 (ja)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55533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12107431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KR20220088849A (ko) 팬티형 흡수성 물품
WO2021084850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200453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878711B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製造方法
WO2020255521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製造方法
CN112107427B (zh) 吸收性物品
TWI837356B (zh) 短褲型吸收性物品
CN111787894B (zh) 吸收性物品
JP7254653B2 (ja) 吸収性物品
WO2021235254A1 (ja) 吸収性物品包装体
JP7089040B2 (ja) 吸収性物品
WO2022137868A1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製造方法
CN111902113A (zh)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