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931A -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 Google Patents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931A
KR20220023931A KR1020200105795A KR20200105795A KR20220023931A KR 20220023931 A KR20220023931 A KR 20220023931A KR 1020200105795 A KR1020200105795 A KR 1020200105795A KR 20200105795 A KR20200105795 A KR 20200105795A KR 20220023931 A KR20220023931 A KR 20220023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nit
hood cap
left end
ventilation holes
righ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균
Original Assignee
김청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균 filed Critical 김청균
Priority to KR102020010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931A/ko
Publication of KR2022002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에는 후드캡 유니트를 삽입하여 실내 공간에서 발생한 오염 유동체를 실외로 방출하고 비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고, 스며든 빗물은 배수구를 통해 방출하기 위한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를 끈의 일단에 상하로 매달고 옥상에서 슬리브 위치까지 내린 후 실내에 위치한 작업자가 슬리브의 내경부에 손을 넣고 후드캡 유니트를 잡아당겨 조립할 때 중공원통 원판의 각형반홈 테두리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가 후드캡 유니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점착시켜 밀봉·고정하고,
실내의 오염 유동체를 실외로 방출하기 위해 후드캡 유니트의 통풍구를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건물의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기류가 방출유동을 직접적으로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외부의 비바람 유입을 막기 위해 오목형 환형판을 설치하고 통풍구의 방충망에 눈이 쌓이지 못하도록 중공원통 캡의 외경부를 평행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각형 주름이나 지그재그 형상을 한 경사진 통풍구를 축방향으로 형성한 구조의 후드캡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HOOD CAP UNIT FOR VENTILATION WITH WIND PROTECTOR AND DRAIN HOLE}
본 발명은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에 후드캡 유니트를 삽입하여 주방, 화장실, 욕실, 거실 등에서 발생한 연소가스, 냄새, 습증기,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방출하고 비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고, 스며든 빗물은 배수구를 통해 방출하기 위한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끈의 일단에 상하로 매달은 후드캡 유니트를 옥상에서 슬리브 위치까지 내린 후 실내에 위치한 작업자가 슬리브의 내경부에 손을 넣고 후드캡 유니트를 잡아당겨 조립할 때 중공원통 원판의 각형반홈 테두리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가 후드캡 유니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점착시켜 밀봉·고정하고,
실내의 오염 유동체를 실외로 방출하기 위해 후드캡 유니트의 통풍구를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건물의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기류가 방출유동을 직접적으로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외부의 비바람 유입을 막기 위해 오목형 환형판을 설치하고 통풍구의 방충망에 눈이 쌓이지 못하도록 중공원통 캡의 외경부를 평행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각형 주름이나 지그재그 형상을 한 경사진 통풍구를 축방향으로 형성한 구조의 후드캡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나 냄새, 습증기, 오염된 공기와 같은 각종 오염 유동체가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기류에 의해 방출유속이 느려지고, 또한 비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빗물에 의해 곰팡이 냄새와 역풍에 의한 소음 피해가 있고, 겨울에는 눈이 상하로 뚫은 통풍구에 설치된 방충망에 쌓이면서 구멍을 막아 오염 유동체가 잘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후드캡 유니트는 작업자가 옥상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가거나 또는 고가 사다리차를 타고 올라가 외벽에서 후드캡 유니트를 손으로 잡고 슬리브에 삽입·고정하기 때문에 밧줄을 타고 작업하는 고도의 숙련도와 추락사고로 인한 산재발생, 실내에서 작업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작업시간으로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 후드캡 유니트가 설치된 건물의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기류와 겨울철 눈에 의해 실내에서 발생한 각종 오염 유동체의 방출유속이 느려져 잘 빠져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중공원통 캡의 상하 양쪽 또는 하측에만 뚫은 원주방향의 통풍구로 인해 비바람이 실내로 잘 유입되기 때문에 습증기에 의한 곰팡이 냄새 및 소음 피해와, 상측의 방충망에 쌓인 눈이 구멍을 막아 실내 오염원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후드캡 유니트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옥상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가 건물의 외벽에서 손으로 후드캡 유니트를 잡고 슬리브 내경부에 삽입·고정하기 때문에 고도의 숙련도와 추락으로 인한 산재발생, 상대적으로 긴 작업시간으로 시공비가 많이 상승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실내의 공기 오염원을 외부로 잘 방출하면서 외부의 비바람에 의한 역류 피해를 차단하고, 실내에서 설치 가능하여 시공비 절감 및 산재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내의 오염 유동체가 외부로 잘 빠져나지 못하는 문제는 콘크리트 외벽에 노출되는 중공원통 캡의 원주방향 상하면에는 통풍구를 설치하지 않고, 실내의 오염 유동체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방출되는 클립형 중공원통 갭이나, 주름형 중공원통 캡, 또는 계단형 중공원통 캡의 구조를 형성하면 외기가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기류에 의해 형성된 부압이 오염 유동체의 유속을 높여 잘 빠져나가고,
또한, 비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중공원통의 내부에 오목형 환형판을 설치하고, 외부의 빗물이 중공원통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흘러나가도록 안내하는 물받이와 유입된 빗물을 모아서 방출할 수 있는 배수구를 각각 설치하고, 중공원통 캡의 우측 축방향에는 각형 주름이나 경사진 지그재그 형상의 계단식 통풍구를 형성하여 비바람 유입에 따른 곰팡이 냄새, 소음, 눈 피해를 차단하고,
또한, 작업자가 옥상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가 외벽에서 손으로 후드캡 유니트를 잡고 슬리브에 삽입·고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추락사고, 긴 작업시간으로 인한 시공비 상승은 후드캡 유니트를 실내에서 슬리브 내경부에 손을 넣고 후드캡 유니트를 단순히 잡아당겨 조립하면 중공원통의 원판에 형성된 각형반홈 테두리를 따라 붙인 실리콘 실런트가 콘크리트 벽체에 점착·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후드캡 유니트를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잘 빠져나가도록 콘크리트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을 활용할 수 있게 축방향의 유출방식을 채택하고,
또한, 중공원통의 내부에는 오목형 환형판을 설치하고, 외부의 빗물이 중공원통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흘러나가도록 물받이와 유입된 빗물을 방출할 수 있는 배수구, 중공원통 캡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각형 주름이나 경사진 지그재그 계단식의 통풍구를 설치하여 비바람 유입에 따른 곰팡이 냄새, 소음, 눈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고,
또한, 작업자가 실내에서 후드캡 유니트를 슬리브에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중공원통의 원판에 형성된 각형반홈 테두리를 따라 붙인 실리콘 실런트가 콘크리트 벽체에 점착되는 구조 채택으로 추락사고 산재예방, 작업시간 단축, 시공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드캡 유니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드캡 유니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립형 후드캡 유니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 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10)에 매립한 슬리브(11)의 우측 끝단부에는 후드캡 유니트(100)를 건물의 외벽에서 내측으로 삽입·고정한 구조의 사시도를 보여준 것으로, 상기 슬리브(11)의 내경부 우측에 조립된 중공원통(12)의 우측 끝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원판 방충망(14)을 조립하고, 또한 중공원통(12)의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원주면에 우측 끝단부가 막힌 중공원통 캡(16)의 좌측 끝단부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고정하고,
상기 중공원통 캡(16)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뚫은 통풍구(17)의 내측에 방충망(18)을 조립하고, 그리고 상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횡방향의 통풍구(17') 다수 개를 형성한 구조의 후드캡 유니트(100)를 소지한 작업자는 건물의 옥상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가 외벽에 매달린 채로 슬리브(11)에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 벽체(10)와 중공원통 캡(16)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 실런트(19)를 사출하여 접합하고,
주방, 화장실, 주거공간에서 발생한 먼지, 냄새, 연소가스, 습증기, 오염된 공기와 같은 다양한 오염 유동체는 환기배관의 끝단에 연결된 슬리브(11)와, 중공원통(12) 및 통풍구(17,17')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방출되지만, 거꾸로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외부의 비바람이 통풍구(17,17')를 통해 쉽게 실내로 유입되면서 곰팡이 냄새와 소음이 발생하고, 상기 통풍구(17')의 상단부에 눈이 쌓이면서 개구부를 막아 오염 유동체의 배출을 방해하는 구조의 후드캡 유니트(100)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매립한 슬리브(11)의 우측 끝단부에 후드캡 유니트(100')를 실내에서 삽입·고정한 구조로, 상기 슬리브(11)의 내경부 우측 끝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환형 통풍구(20,20')를 구비하고 우측 끝단부가 오목형 환형판(21)에 의해 막힌 구조의 중공원통(12)을 조립하고, 또한 상기 중공원통(12)의 우측 중간부에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2개의 통풍구(17,17')가 구비된 중공원통 캡(16')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하고,
상기 중공원통 캡(16')의 우측 끝단부 2곳을 뚫어서 내측으로 쑥 들어가게 성형한 통풍구(17,17')의 내측에는 방충망(18,18')을 각각 조립하고, 건물의 층수에 맞도록 밧줄에 매달은 여러 개의 후드캡 유니트(100')를 옥상에서 내려 보내 실내에 대기하던 작업자는 슬리브(11)에 손을 넣어 후드캡 유니트(100')를 잡아당기면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과 점착·밀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밧줄을 타는 시공보다는 추락사고 위험성이 없어 산재예방과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고,
또한,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 유동체는 환기배관의 끝단에 연결된 슬리브(11)와, 중공원통(12) 및 통풍구(17,17')를 통해 축방향으로 방출되고, 거꾸로 빗물이 통풍구(17,17')를 통해 벽면에 직각방향으로 유입되어도 상기 오목형 환형판(21)에 의해 차단되어 떨어진 빗물은 상기 중공원통 캡(16')의 최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23)를 통해 방출되고, 또한 상기 중공원통 캡(16')의 우측 끝단 상측부가 내측으로 쑥 들어가게 성형한 경사진 ㄷ형상의 각형채널(24)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하려는 비바람 및 눈이 차단되는 구조의 후드캡 유니트(100')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매립한 슬리브(11)의 우측 끝단부에 클립형 후드캡 유니트(100")를 실내에서 삽입·고정한 구조로, 상기 슬리브(11)의 내경부 우측 끝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환형 통풍구(20,20')를 구비하고 우측 끝단부는 오목형 환형판(21)에 의해 막힌 구조의 중공원통(12')을 조립하고, 또한 상기 중공원통(12')의 좌측 끝단부에는 원형턱(22))과,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클립(25,25')을 일체형으로 이어지도록 각각 사출하고,
또한, 중공원통 캡(16")의 우측 끝단 중심부를 뚫어 형성된 통풍구(17')의 테두리에 돌출되게 형성된 ㄷ형상의 물받이(26) 내경부에는 오목형 방충망(27)을 조립하고, 상기 물받이(26)의 좌상단부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원판(15')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축방향 통풍구(17)를 등간격으로 뚫어 실내의 오염 유동체가 축방향을 따라 방출하는 구조이고,
또한, 상기 중공원통(12')의 우측 중간부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상기 중공원통 캡(16")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하고,
또한, 건물의 층수에 맞도록 밧줄에 매달은 여러 개의 후드캡 유니트(100")를 옥상에서 내려 보내 실내에 대기하던 작업자는 슬리브(11)에 손을 넣어 후드캡 유니트(100")를 잡아당기면 클립(25,25')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에 점착·밀봉된 구조의 클립형 후드캡 유니트(100")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매립된 슬리브(11)의 우측 끝단부에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200,200')를 실내에서 삽입·고정한 구조로, 상기 슬리브(11)의 내경부 우측 끝단부에 삽입된 중공원통(12)의 좌측 끝단에는 원형턱(22), 그리고 우측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우측 끝단 하단부에는 원판 방충망(14)을 수용하기 위한 각형반홈(1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가 막힌 주름형 중공원통 캡(28,28')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하고, 상기 주름형 중공원통 캡(28)은 중간부에 경사지게 단이진 우측 끝단부가 반경방향을 따라 좌측 축방향을 향한 통풍구(17)가 구비된 원판(15')이 돌출되면서 1개 형성된 각형 주름(29)의 우측 연장선 끝단면(30)에 의해 막힌 구조의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200)의 사례가 있고, 또한 상기 주름형 중공원통 캡(28')을 중간부에 평행하게 단이진 우측 끝단부가 반경방향을 따라 우측을 향한 축방향의 경사진 통풍구(17',17")가 구비된 경사진 원판(15",15'") 2개가 연달아 돌출되면서 형성된 각형 주름(29',29")의 우측 연장선 끝단면(30')에 의해 막힌 구조에 의해 대체 가능한 또 다른 사례를 제시한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200')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층수에 맞도록 밧줄에 매달은 여러 개의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200,200')를 옥상에서 내려 보내 실내에 대기하던 작업자는 슬리브(11)에 손을 넣어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200,200')를 잡아당기면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에 점착·밀봉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밧줄을 타는 시공보다는 추락사고 위험성이 없어 산재예방과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고,
또한,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 유동체는 슬리브(11)와, 중공원통(12) 및 통풍구(17,17',17")를 통해 축방향으로 방출되지만, 거꾸로 외부의 비바람이 통풍구(17,17',17")를 통해 실내로 유입하려는 경우는 상기 각형 주름(29)의 역방향 또는 각형 주름(29',29")의 경사진 주름 형상 때문에 유입하기 어려운 구조이고, 만약 빗물이 유입된 경우는 상기 각형 주름(29,29',29")의 최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23,23',23")를 통해 방출되는 구조의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200,200')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매립된 슬리브(11)의 우측 끝단부에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300,300')를 실내에서 삽입·고정한 구조로, 상기 슬리브(11)의 내경부 우측 끝단부에 삽입된 중공원통(12)의 좌측 끝단에는 원형턱(22), 그리고 우측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우측 끝단 하단부에는 원판 방충망(14)을 수용하기 위한 각형반홈(1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가 내측을 향해 계단식으로 쑥 들어가도록 방충망(18,18')이 구비된 다수개의 통풍구(17,17')를 형성한 계단형 중공원통 캡(31)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한 구조의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300,300') 사례가 있고, 또한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가 외측을 향해 계단식으로 쑥 돌출되도록 경사진 방충망(18",18'")이 구비된 다수개의 경사진 통풍구(17",17'")를 형성한 계단형 중공원통 캡(31')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한 구조에 의해 대체 가능한 또 다른 사례를 제시한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300')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층수에 맞도록 밧줄에 매달은 여러 개의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300,300')를 옥상에서 내려 보내 실내에 대기하던 작업자는 슬리브(11)에 손을 넣어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300,300')를 잡아당기면 상기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에 점착·밀봉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밧줄을 타는 시공보다는 추락사고 위험성이 없어 산재예방과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고,
또한,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 유동체는 슬리브(11)와, 중공원통(12) 및 통풍구(17,17',17",17'")를 통해 축방향으로 방출되지만, 거꾸로 외부의 빗물이 통풍구(17,17',17",17'")를 통해 실내로 유입하려는 경우는 상기 계단형 중공원통 캡(31,31')의 지그재그 계단형상 때문에 유입하기 어려운 구조이고, 만약 빗물이 유입된 경우는 계단형 중공원통 캡(31,31')의 최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23,23')를 통해 방출되는 구조의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300,300')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10 : 콘크리트 벽체 11 : 슬리브
12,12' : 중공원통 13,13' : 각형반홈
14 : 원판 방충망 15,15',15",15'" : 원판
16,16',16" : 중공원통 캡 17,17',17",17'" : 통풍구
18,18',18",18'" : 방충망 19 : 실리콘 실런트
20,20' : 환형 통풍구 21 : 오목형 환형판
22 : 원형턱 23,23',23" : 배수구
24 : 각형채널 25,25' : 클립
26 : 물받이 27 : 오목형 방충망
28,28' : 주름형 중공원통 캡 29,29',29" : 각형 주름
30,30' : 끝단면 31,31' : 계단형 중공원통 캡
100,100',100" : 후드캡 유니트 200,200' :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
300,300' :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

Claims (4)

  1. 중공원통(12)의 중간부 반경방향을 따라 성형한 원판(15)의 우측에는 원주방향 등간격을 따라 다수개의 환형 통풍구(20,20'), 그리고 끝단부가 오목형 환형판(21)에 의해 막힌 구조를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2곳을 뚫어 내측으로 쑥 들어간 ㄷ형상의 각형채널(24)을 성형하면서 형성된 2개의 통풍구(17,17')가 구비된 중공원통 캡(16')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하고, 또한 상기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과 점착·밀봉하고,
    상기 통풍구(17,17')의 내측에 조립된 방충망(18,18')을 통해 빗물이 축방향을 따라 거꾸로 유입될 경우는 상기 오목형 환형판(21)에 의해 차단된 후 떨어져 배수구(23)를 통해 방출되는 구조의 후드캡 유니트.
  2. 좌측 끝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클립(25,25')을 구비한 중공원통(12')의 중간부에 반경방향으로 성형한 원판(15)의 우측에는 원주방향 등간격을 따라 다수개의 환형 통풍구(20,20'), 그리고 끝단부가 오목형 환형판(21)에 의해 막힌 구조를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중공원통 캡(16")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하고, 또한 슬리브(11)에 클립형 후드캡 유니트(100")를 실내에서 조립하면, 상기 클립(25,25')의 탄성력과 상기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과 점착·밀봉하고,
    또한, 상기 중공원통 캡(16")의 우측 끝단 중심부를 뚫어 형성된 통풍구(17')의 테두리에 돌출되게 형성된 ㄷ형상의 물받이(26) 내경부에는 오목형 방충망(27)을 조립하고, 상기 물받이(26)의 좌상단부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원판(15')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축방향 통풍구(17)를 등간격으로 뚫어 실내의 오염 유동체가 방출하는 구조의 클립형 후드캡 유니트.
  3. 중공원통(12)의 우측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우측 끝단 하단부에는 원판 방충망(14)을 수용하기 위한 각형반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가 막힌 주름형 중공원통 캡(28,28')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하고, 또한 상기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과 점착·밀봉하고,
    상기 주름형 중공원통 캡(28)은 중간부에 경사지게 단이진 우측 끝단부가 반경방향을 따라 좌측 축방향을 향한 통풍구(17)가 구비된 원판(15')이 돌출되면서 1개 형성된 각형 주름(29)의 우측 연장선 끝단면(30)에 의해 막힌 구조 사례이고, 또한 상기 주름형 중공원통 캡(28')은 중간부에 평행하게 단이진 우측 끝단부가 반경방향을 따라 우측을 향한 축방향의 경사진 통풍구(17',17")가 구비된 경사진 원판(15",15'") 2개가 연달아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각형 주름(29',29")의 우측 연장선 끝단면(30')에 의해 막힌 구조에 의해 대체 가능한 또 다른 사례이고,
    또한, 외부 빗물이 통풍구(17,17',17")를 통해 실내로 유입하려 해도 상기 각형 주름(29)의 역방향이나 경사진 각형 주름(29',29")의 주름형상 때문에 어렵지만, 만약 빗물이 유입된다면 상기 각형 주름(29,29',29")의 최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배수구(23,23',23")를 통해 방출되는 구조의 주름형 후드캡 유니트.
  4. 중공원통(12)의 우측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사출한 원판(15)의 우측 끝단 하단부에는 원판 방충망(14)을 수용하기 위한 각형반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가 내측을 향해 계단식으로 쑥 들어가도록 방충망(18,18')이 구비된 다수개의 통풍구(17,17')를 형성한 계단형 중공원통 캡(31)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한 구조 사례이고, 또한 상기 원판(15)의 좌측 끝단 상단부에 형성된 각형반홈(13')에는 우측 끝단부가 외측을 향해 계단식으로 쑥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방충망(18",18'")이 구비된 다수개의 경사진 통풍구(17",17'")를 형성한 계단형 중공원통 캡(31')의 좌측 끝단부를 ㄷ형상으로 소성 가공하여 씌워 압접한 구조에 의해 대체 가능한 또 다른 사례가 있고,
    또한, 콘크리트 벽체(10)의 우측면은 상기 각형반홈(13')에 붙인 실리콘 실런트(19)에 의해 점착·밀봉되고,
    또한, 외부 빗물이 통풍구(17,17',17",17'")를 통해 실내로 유입하려 해도 내측으로 쑥 들어간 계단식의 통풍구(17,17'), 또는 내측으로 쑥 들어가게 경사진 계단식의 통풍구(17",17'")에 의해 어려운 구조이지만, 만약 빗물이 유입된다면 상기 계단형 중공원통 캡(31,31')의 최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23,23')를 통해 방출되는 구조의 계단형 후드캡 유니트.
KR1020200105795A 2020-08-23 2020-08-23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KR20220023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795A KR20220023931A (ko) 2020-08-23 2020-08-23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795A KR20220023931A (ko) 2020-08-23 2020-08-23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931A true KR20220023931A (ko) 2022-03-03

Family

ID=8081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795A KR20220023931A (ko) 2020-08-23 2020-08-23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3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7B1 (ko) * 2022-11-17 2023-11-29 허성일 손쉬운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7B1 (ko) * 2022-11-17 2023-11-29 허성일 손쉬운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환기구 후드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4182B2 (en) Kit providing means for mitigating radon from a dwelling
WO2015152472A1 (ko) 배수트랩
KR20220023931A (ko) 방풍 및 배수구를 구비한 후드캡 유니트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N209782774U (zh) 住宅烟道专用油烟清洁装置
CA2147297A1 (en) Ventilateur de toits
KR102033420B1 (ko) 환기구 장치
KR101099016B1 (ko) 소음 저감형 관성 필터
JP2020029758A (ja) 樋排水システム及びオーバーフロー樋
KR101031298B1 (ko)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KR102418022B1 (ko) 환기구용 스마트 댐퍼 내장형 후드캡 유니트 및 시공용 윈치
CN109252623B (zh) 综合性能的建筑盖板的材料构造改善
DK200601575A (da) Skorsten
TWM559345U (zh) 通風屋頂之改良構造
KR20220080290A (ko) 역풍방지 후드캡
KR100783936B1 (ko) 옥상용 배수관 조립체
KR101004449B1 (ko) 필터 부착형 루버
KR101082947B1 (ko)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KR101589141B1 (ko) 배수지용 염소가스 환기구
KR20150003359U (ko) 흡배기 덕트 삽입형 루버 구조물
US20100243546A1 (en) Back-water trap for a floor drain system
CN105201156B (zh) 落水头防阻塞的方法、止挡片构造、具有该止挡片构造的落水头
CN107975840B (zh) 一种自密封防倒烟串味的吸油烟机出风罩
CN107975841B (zh) 一种防倒烟串味的吸油烟机出风罩
JP6798807B2 (ja) 空気抜き排水管カバー及び雨水排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