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947B1 -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 Google Patents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947B1
KR101082947B1 KR1020100009238A KR20100009238A KR101082947B1 KR 101082947 B1 KR101082947 B1 KR 101082947B1 KR 1020100009238 A KR1020100009238 A KR 1020100009238A KR 20100009238 A KR20100009238 A KR 20100009238A KR 101082947 B1 KR101082947 B1 KR 10108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py
inflow prevention
rainwater inflow
rainwater
open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719A (ko
Inventor
김태형
하현철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텍
Priority to KR102010000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8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 G21C19/3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with continuous purification of circulating fluent material, e.g. by extraction of fission products deterioration or corrosion products, impurities, e.g. by cold traps
    • G21C19/307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with continuous purification of circulating fluent material, e.g. by extraction of fission products deterioration or corrosion products, impurities, e.g. by cold trap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와 상기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공간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캐노피(100)와 상기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하부캐노피(200) 하부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Rain Inlet Preventing Variable Ventilating Window}
본 발명은 공장과 같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회동식으로 설치되는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강풍을 동반한 우천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장과 같은 건물의 외벽에는 환기창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환기창은 공장 내부에 정체되는 유해물질 또는 실내 온도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연환기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빗물이 환기창을 통하여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적절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존의 환기창은 크게 상시 개방형 환기창과 개폐형 환기창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1(c)에 도시된 개폐형 환기창의 경우 필요에 따라 창호를 열수도 있고 닫을 수도 있는 구조인데, 채광효과가 양호하고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개폐장치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창호를 닫는 경우 실내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시 개방형 환기창의 경우 루버(louver)형 환기창과 캐노피(canopy)형 환기창으로 구분된다.
도1(a)에 도시된 루버형 환기창의 경우 환기를 위한 개구면의 면적이 좁아 환기효과가 낮고, 채광효과도 불량하여 적절한 조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개구면의 면적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1(b)에 도시된 캐노피형 환기창의 경우 환기효과 및 채광효과는 우수하나 개구면의 면적이 넓어 실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의 설치 각도를 감소시키게 되면 환기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고, 캐노피의 설치 각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환기효과는 향상되나 빗물의 유입이 증가되고, 특히 용접 작업장의 경우 우수 유입으로 인해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우수의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2(b)와 같이 개구면에 방충망을 설치한 사례도 있으나 이로 인해 환기량의 급격히 감소하여 작업자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캐노피형 환기창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우수 유입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캐노피형 환기창의 경우 환기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환기창의 개구면적을 가능한 크게 설계하게 되는데, 태풍 등의 기상변화에 따른 외기의 영향을 고려하여 캐노피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이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2단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 환기창을 통한 우수 유입 경로는 (1)바람에 의해 낙하하는 빗물이 직접적으로 환기창 개구면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와 (2)직접 낙하하는 빗물이나 상부 캐노피에 부딪혀 모인 다량의 우수가 낙하하면서 하부 캐노피의 상부면에 부딪혀 물방울이 잘게 부서지면서 바람에 의해 튀어 들어가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2)의 경우가 실내로 유입되는 우수의 주된 경로가 된다.
본 발명은 환기효과가 탁월하고 우수 유입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의 환기창이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환기 성능이 우수하면서 우수유입 방지효과도 탁월하여 우천시에도 상시 개방할 수 있는 개방형 환기창을 제공하여 근로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여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와 상기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공간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캐노피(100)와 상기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하부캐노피(200) 하부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환기 성능이 우수하면서 우수유입 방지효과도 탁월하여 우천시에도 상시 개방할 수 있는 개방형 환기창을 제공하여 근로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여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구면(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이나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을 평상시에는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절하여 자연환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강풍을 동반한 우천시에는 회동 각도를 적절히 조절(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하여 개구면(11)을 통한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이나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망사판으로 구성하여 빗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빗물 유입의 주된 경로가 되는 하부캐노피(200) 상부면에 하부완충판(220)을 설치하여 잘게 부서진 물방울이 바람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에 상부빗물받이통(110)을 설치하여 별도의 배수관으로 연결하여 상부캐노피(100)를 통하여 하부캐노피(200)로 낙하하는 빗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개구면을 통한 기본적인 환기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구면을 통한 빗물의 실내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캐노피형 환기창을 제공하게 된다.
도1은 기존 환기창들을 도시하는데, (a)루버형 환기창, (b)캐노피형 환기창, 및 (c)개폐형 환기창을 각각 도시한다.
도2는 기존 캐노피형 환기창의 문제점을 도시하는데, (a)설치 각도의 증감을 보여주고, (b)방충망 설치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도3은 기존 캐노피형 환기창의 우수 유입 경로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상부캐노피(100)와 하부캐노피(200)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 상부빗물받이통(110), 하부빗물받이통(210), 및 하부완충판(220)이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5는 하부완충판(220)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6은 상부캐노피(100) 및 하부캐노피(200)가 외측으로 완만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하부빗물받이통(210)이 외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도7은 하부캐노피(200) 하부에 보조캐노피(300)가 추가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상부캐노피(100)와 하부캐노피(200)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 상부빗물받이통(110), 하부빗물받이통(210), 및 하부완충판(220)이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도5는 하부완충판(220)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부캐노피(100)는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상부캐노피(100)의 상세 구조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외풍에 견딜 수 있는 판재 구조면 충분하다.
하부캐노피(200)는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며, 상부캐노피(100)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하부캐노피(200)의 상세 구조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외풍에 견딜 수 있는 판재 구조면 충분하다.
상부빗물받이통(110)은 상부캐노피(100)의 내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고, 별도로 설치되는 배수관으로 유도하여 상부캐노피(100)의 빗물이 하부캐노피(20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빗물받이통(11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태의 단면을 하고 있으며, 상부빗물받이통(110)과 연결되는 배수관은 일반적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유사한 바 별도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하부빗물받이통(210)은 하부캐노피(200)의 내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하부캐노피(2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고, 별도로 설치되는 배수관으로 유도하여 하부캐노피(200)의 빗물이 그 아래에 있는 보조캐노피(300)로 낙하하거나 하부캐노피(200) 하부의 개구면(11)을 통하여 바람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빗물받이통(210)도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태의 단면을 하고 있으며, 하부빗물받이통(210)과 연결되는 배수관은 일반적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유사한 바 별도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하부완충판(220)은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데, 하부완충판(220)의 형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형, 부직포형, 또는 망사형 가운데 어느 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하부완충판(220)의 재질은 합성섬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 등이 자유롭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들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직포형 또는 다공성 스폰지형과 같은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낙하하는 빗물이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고 빗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 및 형태이면 충분하고 특별히 그 재질이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하부완충판(220)은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딪혀 작은 물방울로 깨지면서 바람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은 상부캐노피(100)와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공간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고,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부캐노피(100)와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된다.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은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고,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하부캐노피(200) 하부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망사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평상시에는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여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강풍을 동반한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을 회동시켜 개구면(11)의 개도를 줄이게 되더라도 망사판을 통과하는 환기가 이루어져 양호한 환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빗물의 경우에는 망사판을 통과하지 못하고 표면에 부착되었다가 아래로 서서히 흘러 내리게 되어 대부분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하부빗물받이통(210)을 통하여 배수된다.
이러한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은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으나, 모터나 실린더(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회동 각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모터나 실린더를 이용한 회동 장치는 이미 일반화된 기술에 불과한 바 별도의 도면으로 자세히 도시하는 것은 생략한다.
도6은 상부캐노피(100) 및 하부캐노피(200)가 외측으로 완만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캐노피의 경사 방향에 따라 빗물이 흘러 내리는 방향이 결정되는 바, 이 경우에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하부빗물받이통(210)이 외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 나머지 구조는 도4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보조캐노피(300)가 추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조빗물받이통(310)도 보조캐노피(300)의 외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도7은 하부캐노피(200) 하부에 보조캐노피(300)가 추가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보조캐노피(300)는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위치(하부캐노피(200)와 개구면(11)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며, 상부캐노피(100)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보조캐노피(300)의 상세 구조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외풍에 견딜 수 있는 판재 구조면 충분하다.
보조완충판(320)은 보조캐노피(3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데, 그 형태, 재질 및 기능은 하부완충판(220)과 동일하다.
보조빗물받이통(310)은 보조캐노피(300)의 내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보조캐노피(3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고 별도로 설치된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하부빗물받이통(210)과 그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다.
이러한 상부캐노피(100), 하부캐노피(200) 및 보조캐노피(300)는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개구면(11)에 적절히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캐노피(100), 하부캐노피(200) 및 보조캐노피(300)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면(11)의 높이를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캐노피(300)가 2개 이상 추가될 수도 있다. 즉 캐노피가 4단, 5단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캐노피(100), 하부캐노피(200) 및 보조캐노피(300)의 설치 각도는 개구면(11)의 면적과 건물 주변의 환경 및 기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각도를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상부캐노피
110:상부빗물받이통
150:상부빗물유입방지판
200:하부캐노피
210:하부빗물받이통
220:하부완충판
250:하부빗물유입방지판
300:보조캐노피
310:보조빗물받이통
320:보조완충판
350:보조빗물유입방지판
11:개구면

Claims (7)

  1.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와 상기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공간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캐노피(100)와 상기 하부캐노피(200) 사이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하부캐노피(200) 하부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상기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망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빗물유입방지판(150)과 상기 하부빗물유입방지판(250)은 모터나 실린더에 의하여 회동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하부캐노피(2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하부빗물받이통(21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5.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부딪히는 빗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하부완충판(22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6. 제5항에서,
    상기 하부완충판(220)의 형태는,
    인조잔디형, 부직포형, 직포형, 망사형 또는 다공성 스폰지형이고,
    상기 하부완충판(220)의 재질은,
    합성섬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7.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보조캐노피(300);
    상기 보조캐노피(30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부딪히는 빗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조완충판(320);
    상기 보조캐노피(3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보조캐노피(3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보조빗물받이통(310); 및,
    상기 보조캐노피(300)의 하부에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보조빗물유입방지판(3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빗물유입방지판(35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보조캐노피(300) 하부의 개구면(11)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KR1020100009238A 2010-02-01 2010-02-01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KR10108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38A KR101082947B1 (ko) 2010-02-01 2010-02-01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38A KR101082947B1 (ko) 2010-02-01 2010-02-01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19A KR20110089719A (ko) 2011-08-09
KR101082947B1 true KR101082947B1 (ko) 2011-11-11

Family

ID=4492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238A KR101082947B1 (ko) 2010-02-01 2010-02-01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155B1 (ko) 2012-01-09 2014-02-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여과막 오염 지수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962A (ja) 2001-08-30 2003-03-05 Nitto Electric Works Ltd 盤用換気装置
KR100588073B1 (ko) 2006-02-17 2006-06-14 김규용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962A (ja) 2001-08-30 2003-03-05 Nitto Electric Works Ltd 盤用換気装置
KR100588073B1 (ko) 2006-02-17 2006-06-14 김규용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19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58060U (zh) 通风采光排烟天窗
CN201276799Y (zh) 百叶窗式防雨通风天窗
KR101031298B1 (ko)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US9334685B1 (en) Environmental barrier
CN103206762A (zh) 结构防水型并列风道式自然通风器
KR101082947B1 (ko)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0955875B1 (ko) 에너지 절약을 위한 외벽용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구조 시스템
JP2006274666A (ja) 屋根
KR100933382B1 (ko) 복합기능 방충망
CN203177396U (zh) 结构防水型并列风道式自然通风器
KR20120136778A (ko) 창틀 새시
KR200447519Y1 (ko)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CN105421642B (zh) 一种错位式通风散热气楼屋顶
KR200418432Y1 (ko) 수배전반의 차양도어 장치
CN204152102U (zh) 一种能悬挂吊车的通风装置
KR20100008157U (ko) 창호용 빗물 차단판
CN207268152U (zh) 一种折叠式窗户雨挡
JP6190097B2 (ja) 換気ユニット
CN220081249U (zh) 一种层叠式防雨百叶
CN202850368U (zh) 防雨采光自然通风天窗
KR101004449B1 (ko) 필터 부착형 루버
KR101183561B1 (ko)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Roulet et al. Specific devices for natural ventilation
CN106703303B (zh) 一种可回收水的房屋天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