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298B1 -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 Google Patents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298B1
KR101031298B1 KR1020090003700A KR20090003700A KR101031298B1 KR 101031298 B1 KR101031298 B1 KR 101031298B1 KR 1020090003700 A KR1020090003700 A KR 1020090003700A KR 20090003700 A KR20090003700 A KR 20090003700A KR 101031298 B1 KR101031298 B1 KR 101031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py
cross
auxiliary
rainwater
ventila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292A (ko
Inventor
김태형
하현철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텍
Priority to KR102009000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2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과 같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하부완충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상부캐노피, 하부캐노피, 보조캐노피, 상부빗물받이통, 하부빗물받이통, 보조빗물받이통, 하부완충판, 보조완충판

Description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Rain Inlet Preventing Open-type Ventilating Window}
본 발명은 공장과 같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하부완충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장과 같은 건물의 외벽에는 환기창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환기창은 공장 내부에 정체되는 유해물질 또는 실내 온도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연환기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빗물이 환기창을 통하여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적절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존의 환기창은 크게 상시 개방형 환기창과 개폐형 환기창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1(c)에 도시된 개폐형 환기창의 경우 필요에 따라 창호를 열수도 있고 닫을 수도 있는 구조인데, 채광효과가 양호하고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개폐장치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창호를 닫는 경우 실내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시 개방형 환기창의 경우 루버(louver)형 환기창과 캐노피(canopy)형 환기창으로 구분된다.
도1(a)에 도시된 루버형 환기창의 경우 환기를 위한 개구면의 면적이 좁아 환기효과가 낮고, 채광효과도 불량하여 적절한 조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개구면의 면적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1(b)에 도시된 캐노피형 환기창의 경우 환기효과 및 채광효과는 우수하나 개구면의 면적이 넓어 실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의 설치 각도를 감소시키게 되면 환기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고, 캐노피의 설치 각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환기효과는 향상되나 빗물의 유입이 증가되고, 특히 용접 작업장의 경우 우수 유입으로 인해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우수의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2(b)와 같이 개구면에 방충망을 설 치한 사례도 있으나 이로 인해 환기량의 급격히 감소하여 작업자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캐노피형 환기창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우수 유입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캐노피형 환기창의 경우 환기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환기창의 개구면적을 가능한 크게 설계하게 되는데, 태풍 등의 기상변화에 따른 외기의 영향을 고려하여 캐노피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이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2단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 환기창을 통한 우수 유입 경로는 (1)바람에 의해 낙하하는 빗물이 직접적으로 환기창 개구면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와 (2)직접 낙하하는 빗물이나 상부 캐노피에 부딪혀 모인 다량의 우수가 낙하하면서 하부 캐노피의 상부면에 부딪혀 물방울이 잘게 부서지면서 바람에 의해 튀어 들어가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2)의 경우가 실내로 유입되는 우수의 주된 경로가 된다.
본 발명은 환기효과가 탁월하고 우수 유입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의 환기창이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환기 성능이 우수하면서 우수유입 방지효과도 탁월하여 우천시에도 상시 개방할 수 있는 개방형 환기창을 제공하여 근로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여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장과 같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하부완충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환기 성능이 우수하면서 우수유입 방지효과도 탁월하여 우천시에도 상시 개방할 수 있는 개방형 환기창을 제공하여 근로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여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빗물 유입의 주된 경로가 되는 하부캐노피(200) 상부면에 하부완충판(220)을 설치하여 잘게 부서진 물방울이 바람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에 상부빗물받이통(110)을 설치하여 별도의 배수관으로 연결하여 상부캐노피(100)를 통하여 하부캐노피(200)로 낙하하는 빗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개구면의 면적을 유지하여 기본적인 환기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구면을 통한 빗물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캐노피형 환기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상부캐노피(100)와 하부캐노피(200)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상부빗물받이통(110), 하부빗물받이통(210), 및 하부완충판(220)이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도5는 하부완충판(220)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부캐노피(100)는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상부캐노피(100)의 상세 구조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외풍에 견딜 수 있는 판재 구조면 충분하다.
하부캐노피(200)는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며, 상부캐노피(100)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하부캐노피(200)의 상세 구조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외풍에 견딜 수 있는 판재 구조면 충분하다.
상부빗물받이통(110)은 상부캐노피(100)의 외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고, 별도로 설치되는 배수관으로 유도하여 상부캐노피(100)의 빗물이 하부캐노피(20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빗물받이통(11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태의 단면을 하고 있으며, 상부빗물받이통(110)과 연결되는 배수관은 일반적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유사한 바 별도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하부완충판(220)은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데, 하부완충판(220)의 형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형, 부직포형, 또는 망사형 가운데 어느 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하부완충판(220)의 재질은 합성섬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 등이 자유롭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들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직포형 또는 다공성 스폰지형과 같은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낙하하는 빗물이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하고 빗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 및 형태이면 충분하고 특별히 그 재질이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하부완충판(220)은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딪혀 작은 물방울로 깨지면서 바람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하부빗물받이통(210)은 하부캐노피(200)의 외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하부캐노피(2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고, 별도로 설치되는 배수관으로 유도하여 하부캐노피(200)의 빗물이 그 아래에 있는 보조캐노피(300)로 낙하하거나 하부캐노피(200) 하부의 개구면(11)을 통하여 바람과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빗물받이통(210)도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태의 단면을 하고 있으며, 하부빗물받이통(210)과 연결되는 배수관은 일반적인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유사한 바 별도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도6은 하부캐노피(200) 하부에 보조캐노피(300)가 추가된 실시예를 보여준 다.
보조캐노피(300)는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위치(하부캐노피(200)와 개구면(11)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며, 상부캐노피(100)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금속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 또는 함석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데, 보조캐노피(300)의 상세 구조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외풍에 견딜 수 있는 판재 구조면 충분하다.
보조완충판(320)은 보조캐노피(3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데, 그 형태, 재질 및 기능은 하부완충판(220)과 동일하다.
보조빗물받이통(310)은 보조캐노피(300)의 외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보조캐노피(3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고 별도로 설치된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하부빗물받이통(210)과 그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다.
이러한 상부캐노피(100), 하부캐노피(200) 및 보조캐노피(300)는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개구면(11)에 적절히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캐노피(100), 하부캐노피(200) 및 보조캐노피(300)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면(11)의 높이를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캐노피(300)가 2개 이상 추가될 수도 있다. 즉 캐노피가 4단, 5단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캐노피(100), 하부캐노피(200) 및 보조캐노피(300)의 설치 각도는 개구 면(11)의 면적과 건물 주변의 환경 및 기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각도를 결정한다.
도7은 하부캐노피(200)에 설치되는 우수차단판(230), 풍압판(240), 및 스토퍼(250)를 도시한다.
우수차단판(230)은 하부캐노피(200)의 좌우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어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 일부를 덮게된다.
풍압판(240)은 우수차단판(230)의 상부면으로 상향돌출되어 바람에 의한 풍압으로 우수차단판(230)을 상향 회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일단 우수차단판(230)이 상향 회동을 하게되면 바람에 의한 풍압이 우수차단판(230)의 하부면에 직접 작용하여 우수차단판(230)을 상향 회동시키거나 상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바람의 힘이 약해져 풍압이 우수차단판(230) 자체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는 경우 우수차단판(230)은 자체의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 일부를 덮개된다.
이와 같이 우수차단판(230)이 자체 중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상향 회동 각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바, 우수차단판(230)의 상향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50)를 별도로 설치한다.
스토퍼(250)의 형태나 설치 위치는 도7에 도시된 것으로 특별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우수차단판(230)의 회동 각도를 일정 각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우수차단판(230)은 바람의 풍속이 일정 한계 이상에 도달할 경우에만 상향 회동을 하여 바람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개구면(11)의 단면적이 감소되나 풍속이 일정 한계 이상에 도달할 경우에만 우수차단판(230)이 상향 회동하는 바, 증가된 풍속에 의하여 환기량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이 잦아들어 풍속이 일정 한계 이하로 내려가면 우수차단판(23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개구면(11)의 단면적이 원래의 크기로 회복되는 바, 이 경우에도 환기량의 부족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바람의 풍속에 따라 개구면(11)의 단면적을 자동 조절하여 적절한 환기량 확보와 함께 빗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8은 상부캐노피(100) 및 하부캐노피(200)가 내측으로 완만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캐노피의 경사 방향에 따라 빗물이 흘러 내리는 방향이 결정되는 바, 이 경우에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하부빗물받이통(210)이 내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 나머지 구조는 도6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보조캐노피(300)가 추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조빗물받이통(310)도 보조캐노피(300)의 내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 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기존 환기창들을 도시하는데, (a)루버형 환기창, (b)캐노피형 환기창, 및 (c)개폐형 환기창을 각각 도시한다.
도2는 기존 캐노피형 환기창의 문제점을 도시하는데, (a)설치 각도의 증감을 보여주고, (b)방충망 설치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도3은 기존 캐노피형 환기창의 우수 유입 경로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상부캐노피(100)와 하부캐노피(200)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상부빗물받이통(110), 하부빗물받이통(210), 및 하부완충판(220)이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5는 하부완충판(220)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6은 하부캐노피(200) 하부에 보조캐노피(300)가 추가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7은 하부캐노피(200)에 설치되는 우수차단판(230), 풍압판(240), 및 스토퍼(250)를 도시한다.
도8은 상부캐노피(100) 및 하부캐노피(200)가 내측으로 완만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부빗물받이통(110) 및 하부빗물받이통(210)이 내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상부캐노피
110:상부빗물받이통
200:하부캐노피
210:하부빗물받이통
220:하부완충판
230:우수차단판
240:풍압판
250:스토퍼
300:보조캐노피
310:보조빗물받이통
320:보조완충판
11:개구면

Claims (5)

  1. 공장과 같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시 개방형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의 개구면(11) 상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캐노피(1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하부캐노피(200);
    상기 상부캐노피(1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부캐노피(1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상부빗물받이통(110);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하부완충판(220);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좌우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어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우수차단판(230);
    상기 우수차단판(230)의 상부면으로 상향돌출되어 바람에 의한 풍압으로 상기 우수차단판(230)을 상향 회동시키는 풍압판(240); 및,
    상기 우수차단판(230)의 상향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5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하부캐노피(2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하부빗물받이통(21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3. 제1항에서,
    상기 하부완충판(220)의 형태는,
    인조잔디형, 부직포형, 직포형, 망사형 또는 다공성 스폰지형이고,
    상기 하부완충판(220)의 재질은,
    합성섬유,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부캐노피(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건물 외벽의 개구면(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캐노피(300);
    상기 보조캐노피(30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보조완충판(320); 및,
    상기 보조캐노피(300)의 일측 하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보조캐노피(300) 상부면을 타고 내려온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보조빗물받이통(31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5. 삭제
KR1020090003700A 2009-01-16 2009-01-16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KR101031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00A KR101031298B1 (ko) 2009-01-16 2009-01-16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00A KR101031298B1 (ko) 2009-01-16 2009-01-16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92A KR20100084292A (ko) 2010-07-26
KR101031298B1 true KR101031298B1 (ko) 2011-04-29

Family

ID=4264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700A KR101031298B1 (ko) 2009-01-16 2009-01-16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423B1 (ko) 2018-10-11 2019-02-11 박진형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889B1 (ko) 2015-08-24 2016-02-17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루버형 환기창
CN109653638B (zh) * 2019-01-11 2020-01-14 江山市皇朝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抗裂修复的免漆门pvc门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05A (ko) * 1999-01-23 1999-05-25 조준희 방충창에설치되는빗물유입방지장치
KR200344368Y1 (ko) * 2003-11-12 2004-03-10 정환남 돌출형 방범창
KR20070029517A (ko) * 2005-09-10 2007-03-14 김재균 능동소음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05A (ko) * 1999-01-23 1999-05-25 조준희 방충창에설치되는빗물유입방지장치
KR200344368Y1 (ko) * 2003-11-12 2004-03-10 정환남 돌출형 방범창
KR20070029517A (ko) * 2005-09-10 2007-03-14 김재균 능동소음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423B1 (ko) 2018-10-11 2019-02-11 박진형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92A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298B1 (ko) 빗물유입방지 개방형 환기창
JP5379557B2 (ja) 通気見切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CN201276799Y (zh) 百叶窗式防雨通风天窗
CN103206762A (zh) 结构防水型并列风道式自然通风器
KR101082947B1 (ko) 빗물유입방지 가변형 환기창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0955875B1 (ko) 에너지 절약을 위한 외벽용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구조 시스템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0933382B1 (ko) 복합기능 방충망
KR101594889B1 (ko) 루버형 환기창
KR200418432Y1 (ko) 수배전반의 차양도어 장치
JP5102651B2 (ja) ガラリ
KR200447519Y1 (ko)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JP3713029B2 (ja) 換気棟構造
KR20100008157U (ko) 창호용 빗물 차단판
KR101183561B1 (ko)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JP6190097B2 (ja) 換気ユニット
CN202850368U (zh) 防雨采光自然通风天窗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Roulet et al. Specific devices for natural ventilation
KR101623921B1 (ko) 지붕 벤틸레이터
CN220081249U (zh) 一种层叠式防雨百叶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CN105484474B (zh) 设有防雨百叶的通风井结构
KR200399124Y1 (ko) 환기구용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