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20B1 - 환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20B1
KR102033420B1 KR1020190022845A KR20190022845A KR102033420B1 KR 102033420 B1 KR102033420 B1 KR 102033420B1 KR 1020190022845 A KR1020190022845 A KR 1020190022845A KR 20190022845 A KR20190022845 A KR 20190022845A KR 102033420 B1 KR102033420 B1 KR 10203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air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중
Original Assignee
김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중 filed Critical 김완중
Priority to KR102019002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28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재형상으로 천장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씰링이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중공형상의 수직 배출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배출구의 하부에는 고정 플레이트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관; 상기 공기 배출관의 수평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에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공간, 중간 공간, 하부 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하부 고정 케이스;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의 상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하부에 공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이 필터 케이스에 지지되는 필터 지지구, 상기 필터와 필터 지지구의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상부 필터부;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의 중간 공간에 장착되고, 하부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곡면 및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는 배출공 및 경사가이드로 구성된 상부 가이드가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수직 가이드를 기준으로 양측 하부에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로 구성되는 하부 먼지 털이부, 상기 하부 먼지 털이부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로 구성되는 상부 먼지 털이부,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부 가이드에 각각 장착되고 회전작동하는 풀리에 장착된 먼지 털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납공간에 전달하는 이물질 제거기로 구성되는 중간 필터부;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의 하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하부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구 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구조물에 부품 설치가 용이하고 부품간의 손쉬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환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물 실내 천장에는 공기를 환기하도록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니기 위해서 환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환기구는 환기구본체가 건물 실내의 천정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이 환기구본체의 상단에는 덕트가 연결되며, 이 환기구본체의 하부에는 나사체결방식의 개폐판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개폐판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판을 승강조절함으로써 환기구본체의 개폐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구는 건물 실내의 천정플레이트에 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고 힘들어서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환기구는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좋지 않아서 덕트를 환기구본체의 상단에 연결할 때, 환기구본체의 상단이 쉽게 손상되어 새제품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설치상에 어려움이 많았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3-817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8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천장 구조물에 부품 설치가 용이하고, 조립구조로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환기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케이스에 장착되는 상부 필터부, 중간 필터부, 하부 필터부를 통해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환기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구 장치는 판재형상으로 천장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씰링이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중공형상의 수직 배출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배출구의 하부에는 고정 플레이트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관; 상기 공기 배출관의 수평부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에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공간, 중간 공간, 하부 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하부 고정 케이스;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의 상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하부에 공기 배출구와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이 필터 케이스에 지지되는 필터 지지구, 상기 필터와 필터 지지구의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상부 필터부;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의 중간 공간에 장착되고, 하부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곡면 및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는 배출공 및 경사가이드로 구성된 상부 가이드가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수직 가이드를 기준으로 양측 하부에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로 구성되는 하부 먼지 털이부, 상기 하부 먼지 털이부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로 구성되는 상부 먼지 털이부,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부 가이드에 각각 장착되고 회전작동하는 풀리에 장착된 먼지 털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납공간에 전달하는 이물질 제거기로 구성되는 중간 필터부;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의 하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하부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는 천장 구조물에 부품 설치가 용이하고, 조립구조로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는 고정 케이스에 장착되는 상부 필터부, 중간 필터부, 하부 필터부를 통해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공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공기 배출관 및 고정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필터부를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필터부를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필터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포집수단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공기 배출관 및 고정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필터부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필터부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필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원발명인 환기구 장치(100)는 고정 플레이트(200), 공기 배출관(300), 고정 케이스(400), 상부 필터부(500), 중간 필터부(600), 하부 필터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케이스(400)를 구성하는 하부 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에 장착되는 하부 필터부(7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제거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는 천장구조물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는 판재형상으로 중앙에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0)에는 씰링(220)이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게 되고, 중앙 또는 일측에는 공기 배출관(300)의 수직 배출구(320)와 결합을 위한 관통공(2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기 배출관(300)은 천장구조물에 결합되면서 고정 플레이트(20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관(300)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의 관통공(210)에 끼움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수직 배출구(320)와 상기 수직 배출구(320)의 하부에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플레이트(200)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3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기 배출관(300)은 수직 배출구(320)와 수평부(310)가 " ㅛ "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와 연결된 배관에 안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배출관(300)을 구성하는 수직 배출구(320)의 도중으로 외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출공(33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330)에는 역류 방지부(8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역류 방지부(800)는 외부에서 역류하는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800)는 상기 배출공(330)의 외면에는 외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역류 방지 배출관(820)이 장착되며, 상기 배출공(330)의 내면에는 역류하는 공기를 배출공(330)으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81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케이스(400)는 공기 배출관(30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케이스(400)는 하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구(4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300)에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배출구(4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공간(430), 중간 공간(440), 하부 공간(450)이 구획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케이스(4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부 공간(430), 중간 공간(440), 하부 공간(450)이 형성되며, 양측은 좌우측 마감판(402, 404)으로 마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공간(430), 중간 공간(440), 하부 공간(450)의 공간 크기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상부 필터부(500)는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상부 공간(43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상부 필터부(500)는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상부 공간(430)에 장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필터부(500)는 상하부에 공기 배출구(512)와 공기 유입구(514)가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공간(516)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510), 상기 필터 케이스(510)의 장착공간(516)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520), 상기 필터(5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이 필터 케이스(510)에 지지되는 필터 지지구(530), 상기 필터(520)와 필터 지지구(530)의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5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필터부(500)는 필터 케이스(510), 필터(520), 필터 지지구(530), 스프링(540)으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필터(520)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중간 필터부(600)는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중간 공간(44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중간 필터부(600)는 하부 필터부(70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필터부(600)는 하부에 공기 유입구(6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61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곡면 및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613)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수납공간(614)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614)의 상부에는 배출공(615a) 및 경사가이드(615b)로 구성된 상부 가이드(615)가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610), 상기 필터 케이스(610)의 수직 가이드(613)를 기준으로 양측 하부에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621), 상기 모터(621)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622) 및 상기 풀리(622)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623)로 구성되는 하부 먼지 털이부(620), 상기 하부 먼지 털이부(62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631), 상기 모터(631)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632) 및 상기 풀리(632)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633)로 구성되는 상부 먼지 털이부(630), 상기 필터 케이스(610)와 상부 가이드(615)에 각각 장착되고 회전작동하는 풀리(622, 632)에 장착된 먼지 털이(623, 63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납공간(614)에 전달하는 이물질 제거기(6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중간 필터부(600)는 수직 가이드(613)를 기준을 양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회전작동하는 하부 먼저 털이부(620)와 상부 먼지 털이부(630)를 통해 상부 필터부(500)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먼저 털이부(620)와 상부 먼지 털이부(630)에 장착된 먼지 털이(623, 633)는 회전작동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거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610)와 상부 가이드(615)에 장착되는 이물질 제거기(640)는 먼지 털이(623, 633)에 묻은 이물질을 마찰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상기 수납공간(614)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공간(614)에는 수납된 이물질을 수납 및 포집할 수 있도록 포집수단(65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수단(65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652)이 형성되면서 일 측에 통로(653)가 형성되는 포집 케이스(651), 상기 포집 케이스(651)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55)이 형성되는 격벽(654), 상기 격벽(654)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컨베이어(656), 상기 관통공(655)과 관통공(655)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654)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656)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수직 제거기(657), 상기 포집 케이스(651)의 일 측에 장착되는 포집기(658)로 구성된다.
즉, 상기 포집수단(650)은 회전작동하는 컨베이어(656)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수직 제거기(657)를 통해 제거하고, 낙하되는 이물질은 수용공간(652)과 연결된 포집기(658)를 통해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 필터부(700)는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하부 공간(450)에 장착된다.
즉, 상기 하부 필터부(700)는 고정 케이스(4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일 먼저 여과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필터부(7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필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환기구 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재형상으로 중앙에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0)에는 씰링(220)이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200)를 천장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에 고정 플레이트(200)의 관통공(210)에 중공형상의 수직 배출구(320)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배출구(320)의 하부에는 고정 플레이트(200)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310)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관(3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배출관(300)의 하부에 상기 공기 배출관(300)의 수평부(31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구(4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300)에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배출구(4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공간(430), 중간 공간(440), 하부 공간(450)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하부 고정 케이스(4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상부 공간(430)으로 상하부에 공기 배출구(512)와 공기 유입구(514)가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공간(516)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510), 상기 필터 케이스(510)의 장착공간(516)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520), 상기 필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이 필터 케이스(510)에 지지되는 필터 지지구(530), 상기 필터(520)와 필터 지지구(530)의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540)으로 구성되는 상부 필터부(5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중간 공간(440)으로 하부에 공기 유입구(6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61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곡면 및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613)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수납공간(614)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614)의 상부에는 배출공(615a) 및 경사가이드(615b)로 구성된 상부 가이드(615)가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610), 상기 필터 케이스(610)의 수직 가이드(613)를 기준으로 양측 하부에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621), 상기 모터(621)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622) 및 상기 풀리(622)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623)로 구성되는 하부 먼지 털이부(620), 상기 하부 먼지 털이부(62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631), 상기 모터(631)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632) 및 상기 풀리(632)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633)로 구성되는 상부 먼지 털이부(630), 상기 필터 케이스(610)와 상부 가이드(615)에 각각 장착되고 회전작동하는 풀리(622, 632)에 장착된 먼지 털이(623, 63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납공간(614)에 전달하는 이물질 제거기(640)로 구성되는 중간 필터부(6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하부 공간(450)에 상기 고정 케이스(4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하부 필터부(700)를 장착한 후 상기 고정 케이스(400)의 양측으로 좌우측 마감판(402, 404)를 장착하면, 환기구 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구 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 장치(100)는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하부 필터부(700)를 통해 일차적으로 여과된다.
이후, 상기 하부 필터부(700)를 통과한 공기는 중간 필터부(600)를 통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중간 필터부(600)는 수직 가이드(613)를 기준을 양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회전작동하는 하부 먼저 털이부(620)와 상부 먼지 털이부(630)를 통해 상부 필터부(500)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상기 먼지 털이(623, 633)는 회전작동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거하며, 상기 필터 케이스(610)와 상부 가이드(615)에 장착되는 이물질 제거기(640)는 먼지 털이(623, 633)에 묻은 이물질을 마찰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상기 수납공간(614)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필터부(600)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 필터부(700)를 통과한 후 공기 배출관(300)의 수직 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환기구 장치(100)는 조립구조로 구성됨으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환기구 장치 200 : 고정 플레이트
210 : 관통공 220 : 씰링
300 : 공기 배출관 310 : 수평부
320 : 수직 배출구 330 : 배출공
400 : 고정 케이스 410 : 케이스 유입구
420 : 케이스 배출구 430 : 상부 공간
440 : 중간 공간 450 : 하부 공간
500 : 상부 필터부 510 : 필터 케이스
512 : 공기 배출구 514 : 공기 유입구
516 : 장착공간 520 : 필터
530 : 필터 지지구 540 : 스프링
600 : 중간 필터부 610 : 필터 케이스
611 : 공기 유입구 612 : 공기 배출구
613 : 수직 가이드 614 : 수납공간
615 : 상부 가이드 620 : 하부 먼지 털이부
621 : 모터 622 : 풀리
623 : 먼지 털이 630 : 상부 먼지 털이부
631 : 모터 632 : 풀리
633 : 먼지 털이 640 : 이물질 제거기
700 : 하부 필터부

Claims (3)

  1. 판재형상으로 천장구조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중앙에는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0)에는 씰링(220)이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200);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의 관통공(210)에 중공형상의 수직 배출구(320)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배출구(320)의 하부에는 고정 플레이트(200)와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부(310)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관(300);
    상기 공기 배출관(300)의 수평부(31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케이스 유입구(4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300)에 공기를 배출하는 케이스 배출구(4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공간(430), 중간 공간(440), 하부 공간(450)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하부 고정 케이스(400);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상부 공간(430)에 장착되고,
    상하부에 공기 배출구(512)와 공기 유입구(514)가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공간(516)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510), 상기 필터 케이스(510)의 장착공간(516)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520), 상기 필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측이 필터 케이스(510)에 지지되는 필터 지지구(530), 상기 필터(520)와 필터 지지구(530)의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링(540)으로 구성되는 상부 필터부(500);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중간 공간(440)에 장착되고,
    하부에 공기 유입구(6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61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곡면 및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613)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수납공간(614)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614)의 상부에는 배출공(615a) 및 경사가이드(615b)로 구성된 상부 가이드(615)가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610), 상기 필터 케이스(610)의 수직 가이드(613)를 기준으로 양측 하부에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621), 상기 모터(621)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622) 및 상기 풀리(622)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623)로 구성되는 하부 먼지 털이부(620), 상기 하부 먼지 털이부(62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면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모터(631), 상기 모터(631)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풀리(632) 및 상기 풀리(632)의 외면에 장착되는 먼지 털이(633)로 구성되는 상부 먼지 털이부(630), 상기 필터 케이스(610)와 상부 가이드(615)에 각각 장착되고 회전작동하는 풀리(622, 632)에 장착된 먼지 털이(623, 633)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납공간(614)에 전달하는 이물질 제거기(640)로 구성되는 중간 필터부(600);
    상기 하부 고정 케이스(400)의 하부 공간(450)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4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하부 필터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614)에는 수납된 이물질을 수납 및 포집할 수 있도록 포집수단(650)이 장착되되,
    상기 포집수단(65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652)이 형성되면서 일 측에 통로(653)가 형성되는 포집 케이스(651);
    상기 포집 케이스(651)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55)이 형성되는 격벽(654);
    상기 격벽(654)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컨베이어(656);
    상기 관통공(655)과 관통공(655)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654)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656)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수직 제거기(657); 및
    상기 포집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포집기(6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관(300)을 구성하는 수직 배출구(320)의 도중으로 외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출공(33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330)의 외면에는 외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역류 방지 배출관(820)이 장착되며, 상기 배출공(330)의 내면에는 역류하는 공기를 배출공(330)으로 안내하는 경사가이드(810)로 구성되는 역류 방지부(8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장치.
KR1020190022845A 2019-02-27 2019-02-27 환기구 장치 KR10203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45A KR102033420B1 (ko) 2019-02-27 2019-02-27 환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45A KR102033420B1 (ko) 2019-02-27 2019-02-27 환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20B1 true KR102033420B1 (ko) 2019-10-17

Family

ID=6842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45A KR102033420B1 (ko) 2019-02-27 2019-02-27 환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0315A (zh) * 2020-07-17 2020-10-16 龚雪 一种可基于新能源辅助供能的通风暖通空调设备
CN114234425A (zh) * 2021-12-21 2022-03-25 苏州国立洁净技术有限公司 高效静压送风口
CN114963393A (zh) * 2022-05-12 2022-08-30 四川环科美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除味模块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22B1 (ko) * 2007-05-21 2009-03-04 동 규 김 천정형 공기정화장치
KR100973837B1 (ko) 2010-04-30 2010-08-04 주식회사 헤럴드 공동구의 환기구 커버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70128853A (ko) * 2016-05-16 2017-11-24 김말숙 유압 자가대응이 가능한 기능성 역류방지 댐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22B1 (ko) * 2007-05-21 2009-03-04 동 규 김 천정형 공기정화장치
KR100973837B1 (ko) 2010-04-30 2010-08-04 주식회사 헤럴드 공동구의 환기구 커버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70128853A (ko) * 2016-05-16 2017-11-24 김말숙 유압 자가대응이 가능한 기능성 역류방지 댐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0315A (zh) * 2020-07-17 2020-10-16 龚雪 一种可基于新能源辅助供能的通风暖通空调设备
CN114234425A (zh) * 2021-12-21 2022-03-25 苏州国立洁净技术有限公司 高效静压送风口
CN114963393A (zh) * 2022-05-12 2022-08-30 四川环科美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除味模块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867B2 (en) Ventilation system
KR102033420B1 (ko) 환기구 장치
KR101461168B1 (ko) 창문형 공기청정장치
US9043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ean air to animal enclosures
CN100383464C (zh) 通风系统
CN100370187C (zh) 通风系统
CN207035409U (zh) 一种可以自动清洗过滤装置的新风机组
CN108488981A (zh) 单风口新风机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982135B1 (ko) 길이 조절형 환기 장치
KR10091772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RU2559551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на
KR101962854B1 (ko)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CN105444278A (zh) 机电装置及其维护方法
KR20190068869A (ko)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CN204987299U (zh) 能装配在集成设备带中的空气净化装置以及集成设备带
CN108825559B (zh) 一种具有过滤净化功能的风机
CN107655070A (zh) 一种集空调器与净化器于一体的风管机
CN201203231Y (zh) 一种滤毒通风装置
KR102318416B1 (ko)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CN209900882U (zh) 一种门窗用空气净化装置
KR20190109040A (ko) 창문형 공기 청정기
KR102200728B1 (ko) 흡기 및 배기 혼합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CN204534954U (zh) 窗式通风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