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334A -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334A
KR20220023334A KR1020217036215A KR20217036215A KR20220023334A KR 20220023334 A KR20220023334 A KR 20220023334A KR 1020217036215 A KR1020217036215 A KR 1020217036215A KR 20217036215 A KR20217036215 A KR 20217036215A KR 20220023334 A KR20220023334 A KR 2022002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support
headrest
adjusting
connec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179B1 (ko
Inventor
지앙 왕
진펑 지
카이 자오
Original Assignee
지앙수 올페이 메디컬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722504.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888982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826452.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83986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722208.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310638U/zh
Application filed by 지앙수 올페이 메디컬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앙수 올페이 메디컬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4700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359A/ko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1/08171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37053A1/zh
Publication of KR2022002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공개하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머리받침부와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조정상태와 하나의 자유상태를 구비하고, 또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 변환하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만 조정될 수 있어 지지되는 해당 머리의 높이 위치가 낮추어 질 수 없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임의로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본 발명은 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은 머리와 신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중량이 비교적 큰 머리는 목을 통해 신체에서 받쳐진다. 목의 도움을 받아 머리는 원활하게 좌우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하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목은 또한 머리에서 유래되는 중량으로 발생되는 압력을 감당한다. 머리가 오랫동안 고정된 자세를 유지할 경우, 목 보조기에게 비교적 큰 부담을 가져오며, 예를 들어, 오랫동안 책상에 앉아 근무하는 사람들은 늘 목이 시큰거리며 아픈 느낌을 받게 된다. 더 심각한 것은, 머리가 오랫동안 좋지 않은 자세를 유지할 경우, 예를 들어, 학생들은 발육과정에서 머리를 책 또는 책상에 너무 가까이하면 근시 등 시력 질환이 발생하는 동시에, 목도 부당한 압력을 감당하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사무실 직원이 오랫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목을 구부리고 업무를 보게 되면 경추가 머리 전부의 중량을 감당하게 되고, 머리로부터 압박을 받게 되고, 오랫동안 지속되면 쉽게 목 근육이 경직되고, 어깨와 목 부위가 불편해 지고, 심각해지면 추골 동맥 또는 목 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고, 더 나아가, 목과 어깨 부위 통증, 팔 통증 등 증상이 나타나고, 심각해지면 심신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머리 자체의 중량이 경추 자체에 대해 압박을 가하고,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고 근무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번거로운 업무 처리, 숙제, 책 보기, 휴대폰 놀이, 게임 등 활동은 사람들이 머리를 숙이는 시간을 연장하고, 아래로 머리를 숙일 때 경추의 부담을 더 가중시키게 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체의 머리와 경추 간의 협각이 0°일 경우, 경추가 감당하게 되는 중량이 10lb 내지 12lb이며, 인체의 머리가 아래로 15°숙일 경우, 경추가 감당하게 되는 중량이 27lb이며, 인체의 머리가 아래로 30°숙일 경우, 경추가 감당하게 되는 중량이 40lb이며, 인체의 머리가 아래로 45°숙일 경우, 경추가 감당하게 되는 중량이 49lb이며, 인체의 머리가 아래로 60°숙일 경우, 경추가 감당하게 되는 중량이 60lb이다.
목 보조기는 목을 하나의 각도로 유지시키고, 또한, 머리의 중량을 신체부로 분산시키고, 이것은 머리를 받쳐주는 데 사용하는 목 보조기 자체가 어깨 부위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목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목 보조기는 늘 목 또는 머리에 질환이 있어 재활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일 측면에서, 부피가 비교적 육중하고, 육중한 부피에 의해 머리를 어깨 부위에서 받쳐주고, 머리 자세가 고정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없게 되며; 다른 일 측면에서, 목 보조기 자체를 조정할 수 없고, 머리와 목의 각도가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목 보조기를 착용한 후, 머리를 숙이거나 머리를 들기 어려워 머리의 활동을 제약해 재활 보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런 유형 목 보조기의 주요 목표 개체군은 목 또는 머리에 이미 질환이 있는 환자이다. 건강한 개체군이 목을 보호하려 할 경우, 이 유형의 목 보조기를 적용하기 어려운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편리하게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상대적 위치가 편리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고, 머리가 목에 상대되게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관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에 의해 정확한 자세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근시를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머리받침부와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지지되고,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는 신체에서 지지되어 머리 중량이 목에 가하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협각이 형성되고, 상기 협각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어 머리가 목에 상대되는 각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관계를 변경할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각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하는 외력을 해제한 후,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는 조정 후의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상기 머리받침부는 하악부에서 지지되고 안마 작용을 하도록 설치되어 하악부에 대해 안마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상기 머리받침부는 접힐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접힐 수 있고,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접혀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하나의 머리 지지장치에 적합하고,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는 목에 착용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 머리가 경추에 대한 압박을 줄여 경추 질환을 예방 또는 경감하는데 이롭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는 하나의 착용 메인바디와 하나의 받침 메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가능 지지장치는 하나의 단일방향 회전 상태와 하나의 양방향 회전 상태 간에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의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 있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과 하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 수요를 만족시켜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원활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에 놓여지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려 할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받침 메인바디를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하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고, 더 나아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상기 받침 메인바디가 줄곧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에 놓여지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상기 착용 설비에 상대되게 상향과 하향으로 회전할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받침 메인바디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기 머리 지지장치를 접는데 편리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접이식 머리 지지장치의 부피를 줄여 사용자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를 수납해 휴대하는 데 편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나의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와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회전기구에 의해 상기 받침 메인바디와 상기 착용 메인바디가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 간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근거해 본 발명은 하나의 경량형 목 보조기를 제공하며, 이는,
상기 머리받침부가 해당 머리를 지지하는 데 적합한 하나의 머리받침부;
상기 지지부가 하나의 제1 서포트 암(support arm)과 하나의 제2 서포트 암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서포트 암과 상기 제2 서포트 암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단부터 외부로 향해 상기 제1 서포트 암과 상기 제2 서포트 암까지 연장해 뻗어나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인 삼각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지지될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해당 신체부위에서 지지되는 데 적합한 하나의 지지부; 및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조정부가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서포트 암, 상기 제2 서포트 암의 연결 지점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머리받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협각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조정상태와 하나의 자유상태를 갖고, 또한, 조작 가능하게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만 조정될 수 있어 지지되는 해당 머리의 높이 위치가 낮추어 질 수 없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임의로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조정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근거해 본 발명은 경량형 목 보조기의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이는,
일 경량형 목 보조기의 하나의 조정부의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와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에 의해, 하나의 조정상태와 하나의 자유상태 사이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하나의 머리받침부와 하나의 지지부를 변환하고,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정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머리받침부는 머리를 지지하는 데 적합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에서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는 신체부에서 지지되는 데 적합하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 끼움 결합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상기 머리지지부는 단일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지지부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를 이탈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상기 자유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머리지지부는 임의로 상기 지지부를 향하거나 또는 등지고 회전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근거해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기구를 제공하는 데, 하나의 머리 지지장치에 적합하고,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는 하나의 착용 메인바디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설치하는 하나의 받침 메인바디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를 연결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조작 가능하게 하나의 단일방향 회전 상태와 하나의 양방향 회전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가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가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구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가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 회전과 하향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경량형 목 보조기의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분해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응용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가 하나의 조정상태에 놓인 경우의 조정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다른일 응용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가 하나의 자유상태에 놓인 경우의 조정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변형 실시방식의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다른 실시방식의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머리 지지장치의 일 상태의 입체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다른 일 상태의 입체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분해도 설명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일부 구조의 단면도 설명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일부 구조의 단면도 설명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하나의 응용도 설명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하나의 응용도 설명도로서, 이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를 상향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였고;
도 15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다른 일응용도 설명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응용도 설명도로서, 이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를 하향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였고;
도 17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다른 일응용도 설명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 지지장치의 응용도 설명도로서, 이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를 하향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이하 기재는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실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게재하는 데 사용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기타 자명한 변형을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기재에서 범주를 확정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기타 실시방안, 변형방안, 개선방안, 균등방안과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기타 기술방안에 응용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기재 중에서 용어“종방향”,“횡방향”,“상”,“하”,“전”,“후”,“좌”,“우”,“수직”,“수평”,“꼭대기”,“바닥”,“내부”,“외부”등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에 기반하고, 본 발명을 편리하게 기재하고 간단히 설명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는 것만 목적으로 하고, 지칭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갖고 특정된 방향에 의해 구성하여 조작되도록 지시 또는 암시하지 않으므로, 상기 용어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용어“일”은“적어도 하나”또는“하나 또는 다수 개”로 이해하여야 하며, 즉,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소자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 소자의 수량은 다수 개일 수 있으며, 용어“일”은 수량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경량형 목 보조기(1)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고,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사용자의 머리를 신체에서 지지해 머리 중량이 목에 가하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 자체는 비교적 가볍고 편리하게 설계되어 사용자의 수요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전의 육중한 일체식 목 보조기에 대비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사용하는 데 아주 편리하다.
상세하게,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하나의 머리받침부(10)와 하나의 지지부(2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사용자의 머리를 요구하는 위치에 받쳐주는 데 적합하고,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지지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슴, 어깨부 및/또는 복부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사람에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응용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에 대해 적합성 조정만 진행하면 되고, 이런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하나의 착용 통로(100)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사용자의 목은 상기 착용 통로(100)에 유지되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를 착용한다. 상기 착용 통로(100)의 사이즈는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사용자의 머리는 상기 착용 통로(100)에 유지되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를 착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는 하나의 제1 서포트 암(support arm)(21)과 하나의 제2 서포트 암(22)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서포트 암(21)과 상기 제2 서포트 암(22)은 각각 상기 머리받침부(10)부터 외측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일단에서 서로 연결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1 서포트 암(21)의 일단은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지지부(20)의 일단은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서포트 암(21)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2 지지부(20)의 다른 일단에 연결한다.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제1 서포트 암(21), 상기 제2 서포트 암(22)과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안정된 삼각 지지 구조를 형성해 머리가 안정적으로 신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와 상기 머리받침부(10)는 하나의 협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협각의 크기는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세하게,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30)는 상기 지지부(20)와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정부(30)에 의해 상기 지지부(20)와 상기 머리받침부(10) 사이에 형성된 협각에 대해 조정을 진행하고,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가 조정한 후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이 바람직한 예시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두 개의 상기 조정부(3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하나의 상기 조정부(30)는 상기 제1 서포트 암(21)과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부(30)는 상기 제2 서포트 암(22)과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연결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를 향해 합쳐질 수 있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접힐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휴대에 편리하게 된다. 상기 머리받침부(10)가 또한 고정된 각도로 상기 지지부(20)에서 지지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가 머리를 기대하는 각도로 지지할 수있다.
나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근시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책상 또는 컴퓨터 앞에 앉아 있을 경우, 사용자의 머리는 책상 또는 컴퓨터에 가까이하는 경향을 보여주며,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사용자는 근시로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는 일정한 각도로 조정되고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머리가 책상 또는 컴퓨터에 가까이하는 것을 저지해 근시를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는 단일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었을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를 향해 조정될 수 없어 머리를 더 숙일 수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데 이롭도록 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조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와 사용 수요에 부합된다.
무엇보다도,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를 단일방향으로 조정하도록 설치하는 다른 하나의 장점은, 머리가 상기 머리받침부(10)에서 지지되고 아래를 향해 운동하려 할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를 향해 운동할 수 없으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한정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의 연결 강도 부족으로 머리가 자기도 모르게 점차 아래로 이동하는 가능성을 줄인 데 있다.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하나의 조정상태와 하나의 자유상태를 갖는다. 상기 조정상태에서,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조정한 후의 상태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를 향해 이동할 수 없어 머리가 안정적으로 상기 머리받침부(10)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자유상태에서,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를 향해 조정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머리받침부(10)의 회전 방향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 접힐때까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가 단일방향으로 조정하도록 설치되는 것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만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자유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는 조정방향은 한정받지 않는다.
상기 조정부(30)의 조정을 통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외력이 상기 조정부(30)에 가해지지 않을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고, 대응되게, 상기 조정부(3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자유상태로 전환한다.
상세하게,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30)는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31)와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32)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상기 지지부(20)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연결한다.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20)와 상기 머리받침부(10) 사이의 상기 협각의 크기는 조정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지지부(20)에 설치된다.
이어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단부를 갖고,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조정부(30)의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각각 상기 머리받침부(10)의 두 개의 단부에 설치되고, 두 개의 상기 조정부(30)의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각각 상기 제1 서포트 암(21)의 단부와 상기 제2 서포트 암(22)의 단부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각각의 상기 내부 회전부재(31)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각각의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연결하고, 이렇게 상기 머리받침부(10)의 각 단부가 각각의 상기 조정부(30)를 통해 각각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제1 서포트 암(21)의 단부와 상기 제2 서포트 암(22)의 단부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하나의 수납공간(310)이 형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수납공간(310)에 위치한다.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하나의 내벽을 갖고, 여기에서, 상기 내벽의 적어도 일부 오목홈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방향 투스 홈(311)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끼움 결합하는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회전부재(31) 또는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에 작용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단일방향으로 하나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부터 이탈한 다음, 이어서, 다음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원래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하나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해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게 고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 또는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작용력을 가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하나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서 이탈한 다음, 이어서, 다음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진입하도록 하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게 고정된 상태로 다시 돌아오고,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는 위치는 이미 조정된다.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 간의 상기 협각이 확대된다.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하나의 투스 홈 링으로 실시될 수 있고,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내벽에 형성한다.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의 수량은 다수 개이고,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은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암(connecting arm)(321)이 형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암(321)의 수량은 두 개 또는 더 많을 수 있다. 인접한 상기 커넥팅 암(321)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팅 암(321)은 두 개로 실시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각각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중심이 대칭되게 실시된다.
상세하게,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하나의 고정베이스(322)와 상기 커넥팅 암(321)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각각 상기 고정베이스(322)에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고정베이스(322)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고정된다. 상기 커넥팅 암(321)은 하나의 연결단(3211)과 상기 연결단(3211)에 대응되는 하나의 자유단(3212)을 갖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연결단(3211)은 상기 고정베이스(322)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밀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연결단(3211)은 상기 고정베이스(322)부터 일체형으로 외부로 향해 매달리는 방식으로 연장해 뻗어나감으로써, 상기 커넥팅 암(321)이 입력을 받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베이스(322)의 방향을 향해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압력이 취소될 경우에는 초기상태로 돌아오도록 한다.
상기 커넥팅 암(321)은 하나의 지지면(3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3213)은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에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지지면(3213)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213)은 하나의 경사면일 수 있고, 상기 지지면(3213)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의 경사진 표면과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장착되고, 상기 커넥팅 암(321)은 압착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내벽에 밀착된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까지 회전될 수 있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진일보 상대적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회전될 수 있어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다음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암(321)은 연장해 뻗어나가는 방향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내벽을 따르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연장해 뻗어나가는 방향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회전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커넥팅 암(321)이 위치하는 방향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회전방향을 따르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상기 커넥팅 암(321)이 받는 작용력은 주로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의 압착으로 이루어진 효과로 발생되며, 단, 상기 커넥팅 암(321)과 상기 고정베이스(322)이 연결 지점에 가하는 작용력이 비교적 작아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과 상기 고정베이스(322)의 연결 지점에 발생되는 마손을 줄이는 데 이롭고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회전에 이로워 저항력을 줄인다.
사용자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까지 회전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맞추어질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안정적으로 조정 후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는 상기 지지부(20)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는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진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압착되므로,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자유롭게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의 방향을 따라서만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상대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의 방향을 따라 회전할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까지 회전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할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 고정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0)도 상기 지지부(20)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없다.
이어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322)는 하나의 제1 단부(3221)와 상기 제1 단부(3221)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2 단부(3222)를 갖고, 여기에서, 하나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제1 단부(3221)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단부(3222)를 향해 매달리는 방식으로 연장되어 뻗고, 다른 하나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제1 단부(3221)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단부(3222)를 향해 매달리는 방식으로 연장되어 뻗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단부(3221)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단부(3222)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암(321)이 압력을 받을 때 상기 고정베이스(322)의 방향을 향해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연결단(3211)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부(3221)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암(321)이 압력을 받을 때 상기 고정베이스(322)의 방향을 향해 변형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부터 상기 고정베이스(322)의 거리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내벽에 형성된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압착되고, 또한, 하나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서 이탈해 다음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끼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과 상기 고정베이스(322)의 거리는 변환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에 상대되게 회전할 경우,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가하는 작용력은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에 대해 내측으로 향하는 압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 암(321)은 일정한 탄성을 가져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의 부착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커넥팅 암(321)은 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또한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회전방향으로 연장하여 뻗으므로, 상기 커넥팅 암(321)이 주로 받는 힘은 상기 자유단(3212)에서 제공되어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연결단(3211)에 대한 작용력을 줄인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각도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연결단(3211)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회전과정에서 너무 많은 저항력을 가져다 주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를 회전시키는 데도 이롭다.
더 나아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받는 힘의 균일성과 회전의 원활성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중심이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에 상대되게 회전할 경우,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이 받는 힘은 동일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제어 가능하게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변환한다. 상기 조정부(30)는 하나의 조정부재(33)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전환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은 상기 조정부재(33)에 위치가 한정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단단히 눌려지는 상태를 유지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을 해제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조정부재(33)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한정 홈(330)을 갖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조정부재(33)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에 위치가 한정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서 이탈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팅 암(321)의 수량이 두 개이고, 상기 위치한정 홈(330)의 수량도 두 개일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암(321)은 외부로 향해 돌출되어 하나의 위치한정 기둥(3214)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은 축 방향의 방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간다.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은 상기 조정부재(33)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에 위치가 한정된다.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축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는 데, 대응되게, 상기 조정부재(33)의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도 축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중심이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이 내부를 향해 이동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을 이탈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은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을 동기적으로 이동시켜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를 동기적으로 이탈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자유상태까지 조정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조정부재(33)는 하나의 제1 위치한정 블레이드(331)와 하나의 제2 위치한정 블레이드(332)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위치한정 블레이드(331)는 하나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한정 블레이드(332)는 다른 하나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부재(33)는 하나의 장착베이스(333)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위치한정 블레이드(331)와 상기 제2 위치한정 블레이드(332)는 각각 상기 장착베이스(333)의 양측으로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장착베이스(333)는 상기 머리받침부(10)의 단부에 장착되는 데 적합하다.
상기 제1 위치한정 블레이드(331)는 상기 제2 위치한정 블레이드(332)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장착베이스(333)는 상기 제1 위치한정 블레이드(331)와 상기 제2 위치한정 블레이드(332)의 일측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머리받침부(10)를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외부로 향해 상기 머리받침부(10)를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조정부재(33)를 움직여 이동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부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위치한정 홈(330)은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의해 움직여 이동할 경우, 상기 조정부재(33)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이 내부로 향해 이동하도록 제약하고, 더 나아가,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이 내부로 향해 가까이 접근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3213)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서 이탈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한정 홈(330)이 연장해 뻗어나가는 방향과 상기 조정부재(33)가 이동 가능한 방향은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33)는 하나의 제1 위치와 하나의 제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단단히 눌려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정부재(33)에 의해 위치가 한정되며,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해제되도록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압착된다.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제1 위치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 경사진 상기 위치한정 홈(330)은 상기 커넥팅 암(321)에 대한 위치한정을 유지하고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자유단(3212)을 당겨 이동시켜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서 멀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위치가 한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1 위치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위치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지만, 기타 방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이동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상세하게,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은 각각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의 동일 단에 위치하고,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이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이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의 다른 일단에 위치가 한정될 경우,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이며,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멀어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이 각각 상기 위치한정 홈(330)의 양단에 위치가 한정되었을 경우,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의 상대적 위치가 변해 상기 커넥팅 암(321)의 위치가 변하고, 더 나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자유상태와 상기 조정상태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은 서로 가까이 접근하게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고정베이스를 향해 가까이 접근하여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서 멀어지고, 상기 커넥팅 암(321)의 상기 지지면은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부터 해제되고, 더 나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자유상태에 놓여진다.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이 서로 멀어질 경우, 두 개의 상기 커넥팅 암(321)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를 향해 가까이 접근해 상기 지지면(3213)이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을 가까이하고, 더 나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조정상태에 놓인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위치한정 기둥(3214)은 축 방향의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조정부재(33)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은“八”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330) 사이의 거리는 일단부터 다른 일단까지 점차 멀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조정부(30)는 하나의 탄성 연결부재(3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장착되어 탄성있게 상기 탄성 연결부재(34)에서 지지된다.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는 상기 조정부재(33)가 이동 가능한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1 위치부터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는 진일보 압착된다.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제2 위치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는 이전보다 받는 압착력이 약해진다.
상기 탄성 연결부재(34)에 의해, 상기 조정부재(33)는 탄성있게 상기 제1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작용력을 가해 상기 머리받침부(10)를 외측으로 당겨 이동시킬 경우,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2 위치까지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을 놓은 후, 상기 탄성 연결부재(34)의 작용하에, 상기 조정부재(33)는 자동으로 상기 제1 위치까지 다시 돌아올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상기 조정부(30)는 하나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35)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은 하나의 장착공간(350)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의 상기 장착공간(350)에 수납되고, 상기 머리받침부(10)의 단부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에 삽입해 연결한다.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고정베이스(322)는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에 고정해 장착됨으로써,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에 의해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연결된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와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3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장착된다.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머리받침부(10)에 의해 이동되어 동기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는 하나의 제1 연결단(341)과 상기 제1 연결단(341)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2 연결단(342)을 갖고, 여기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재(34)의 상기 제1 연결단(341)은 상기 조정부재(33)의 상기 장착베이스(333)에 밀착되거나 또는 상기 조정부재(33)의 상기 장착베이스(333)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연결부재(34)의 상기 제2 연결단(342)은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35)에 밀착되는 데 적합하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는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35)과 상기 조정부재(3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를 이동시켜 함께 운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로 향해 운동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조정부재(33)와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35)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어 상기 탄성 연결부재(34)가 압착되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0)가 다시 상기 조정부재(33)를 개재하고 외부로 향해 운동하지 않을 경우, 압착된 상기 탄성 연결부재(34)는 자연스럽게 연장해 펼쳐질 수 있어 상기 조정부재(33)를 원래 위치로 돌려보낸다.
유의해야 할 것은, 원래 위치로 돌아온 상기 조정부재(33)는 계속 상기 머리받침부(10)를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돌려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설명되었고,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는 상기 지지부(20)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조정부재(33) 또한 상기 지지부(20)와 연동하는 것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를 당겨 이동시키면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전환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33)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10)는 하나의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재(33)의 상기 장착베이스(333)는 상기 가이드 홈(101)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조정부재(33)의 운동방향을 유도할 수 있어 상기 조정부재(33)가 외부로 향해 상기 제2 위치까지 운동하였을 경우에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조정부재(33)가 내부로 향해 상기 제1 위치까지 운동하였을 경우에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다시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단단히 눌려질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조정부재(33)는 전기로 구동하는 것으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한 후, 상기 조정부재(33)는 자동으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간에서 변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변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머리받침부(10)는 하나의 제1 받침 암(arm)(11)과 하나의 제2 받침 암(12)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받침 암(11)은 하나의 상기 조정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제1 서포트 암(2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받침 암(12)은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제2 서포트 암(22)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받침 암(11)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제2 받침 암(12)에 연결된다. 사익 제1 서포트 암(21)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제2 서포트 암(22)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잠시 상기 제1 받침 암(11)이 상기 제2 받침 암(12)을 향해 접힐 수 있는 것을 예시하지 않았으니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상기 지지부(20)를 향해 접힐 경우, 상기 제1 받침 암(11)은 상기 제2 받침 암(12)을 향해 접힐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서포트 암(21)은 상기 제2 서포트 암(22)을 향해 접힐 수 있어 전체의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하나의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수납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서포트 암(21)과 상기 제2 서포트 암(22) 사이에 협각을 형성하고, 또한, 협각은 조정한 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받침 암(11)과 상기 제2 받침 암(12)사이에 협각을 형성하고, 또한, 협각은 조정한 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다양한 사이즈, 예를 들면 머리 크기가 다른 사용자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계속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시피,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하나의 고정부(4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설치되고, 따라서 상기 머리받침부(10)의 고정을 도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10)는 머리의 하나의 하악 위치에서 지지되고,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10)는 해당 머리를 완전히 에워싸지 않고 일부 공간을 남겨두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데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두 개의 단부 사이로 연장해 뻗어나감으로써, 상기 머리받침부(10)를 해당 머리에 더 잘 고정시킨다.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고정부(40)는 크기 조정이 가능한 하나의 상기 착용 통로(100)를 공동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를 머리 크기가 다른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벨트, 벨크로(velcro)를 갖는 띠 또는 끈 등 고정부(40) 부재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도록 실시된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조정부(3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0)가 사용되어야 할 경우,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조정부(30)에서 당겨져 나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하나의 기능부(5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기능부(50)는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사용자의 하악부에서 지지될 경우, 상기 기능부(50)는 사용자의 하악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하악부에 대해 지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기능부(50)는 하악부에 대해 안마 역할을 하고, 상기 기능부(50)는 돌기 또는 입자를 가져 안마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기능부(50) 또한 진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관련되는 전원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능부(50)는 탄성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한 미세 조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중량이 비교적 클 경우, 상기 기능부(50)는 비교적 큰 변형이 발생하며, 사용자의 머리 중량이 비교적 작을 경우, 상기 기능부(50)에 발생되는 변형은 비교적 작다. 상기 기능부(50)는 플라스틱, 스펀지, 입자성 물질이 충진된 천주머니 등 형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다른 실시방식이 예시되었다. 본 실시예와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주로 상기 조정부(30)에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정부(30)는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으로 실시될 수 있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각각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에 연결한다.
성가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조정부(30)를 통해 상기 지지부(20)에 지지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이 펼쳐진 두 개의 연장 암을 가지므로, 자체 탄성의 작용하에 두 개의 상기 연장 암 간의 협각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계속 축소될 수 없다. 사용자는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를 착용할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를 통해 각각 상기 조정부(30)에 작용력을 가하며, 예를 들어, 머리의 중력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두 개의 상기 연장 암 사이의 협각이 축소되도록 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두 개의 상기 연장 암이 일정한 범위로 축소된 경우, 사용자는 계속 아래로 머리를 이동할 수 없으며, 다시 말해, 사용자는 머리를 숙일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를 조정하려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을 상향으로만 조정할 수 있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두 개의 상기 연장 암이 크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지지부(20)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 조정될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단일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근거해, 본 발명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조정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조정부(30)의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에 의해,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를 변환하고,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조정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머리를 지지하는 데 적합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20)에서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20)는 신체부에서 지지되는 데 적합하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끼움 결합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지지부(20)는 단일방향으로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지지부(20)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를 이탈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자유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머리지지부(20)는 임의로 상기 지지부(20)를 향하거나 또는 등지고 회전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조정부재(33)를 통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위치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조정부재(33)를 당겨 이동시키면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가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자유상태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조정부재(33)를 통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조정부재(33)가 해제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자동으로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조정상태로 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머리받침부(10)에 의해 머리를 안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머리받침부(10)의 상기제1 받침 암(11)과 상기 제2 받침 암(12)이 형성한 협각을 변경해 크기가 다른 머리에 부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조정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조정부(30)의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에 의해,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를 변환하고,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받침부(10)와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조정부(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머리를 지지하는 데 적합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20)에서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20)는 신체부에서 지지되는 데 적합하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 끼움 결합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의 상기 머리지지부(20)는 단일방향으로 상기 지지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지지부(20)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를 이탈할 경우,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1)는 상기 자유상태에 놓여지고, 상기 머리지지부(20)는 임의로 상기 지지부(20)를 향하거나 또는 등지고 회전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조정부재(33)에 의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을 제어하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단일방향(行)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 압착해 결합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단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암(321)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311)에서 이탈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3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조정부재(33)의 위치를 변경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를 제어하며,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제1 위치에 놓여질 경우에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며, 상기 조정부재(33)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내부 회전부재(32)의 상기 커넥팅 암(321)이 이동되고 상기 외부 회전부재(31)에서 이탈해 상기 자유상태에 놓여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머리받침부(10)를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정부재(33)를 제어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를 제어하며, 상기 머리받침부(10)가 외부로 향해 당겨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되어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며, 상기 머리받침부(10)는 상기 조정부재(33)에 가하는 작용력이 약해지거나 사라지고,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1 위치까지 돌아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상기 지지부(20)를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정부재(33)를 제어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32)를 제어하며, 상기 지지부(20)가 외부로 향해 당겨져 이동되었을 경우,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되어 상기 조정상태에 놓여지며,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조정부재(33)에 가하는 작용력이 약해지거나 사라지고, 상기 조정부재(33)는 상기 제1 위치까지 돌아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조정부재(33)가 자동으로 상기 제2 위치까지 돌아올 수 있어 상기 머리받침부(10)를 이동시켜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명세서의 도 9 내지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머리 지지장치(9100)는 아래의 설명에서 기재될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사용자의 어깨와 목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경추에 가하는 압박을 줄여 경추 질환을 예방 또는 경감하는 데 이롭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하나의 착용 메인바디(910)와 하나의 받침 메인바디(920)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연결되고,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하나의 단일방향 회전 상태와 하나의 양방향 회전 상태 간에서 전환하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가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상대되게 상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상대되게 상향과 하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사용해 머리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가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짐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하향으로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힘을 가할 때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상대되게 하향으로 회전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줄곧 상향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착용 각도를 조절해야 하거나 또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접으려 하는 경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까지 전환시키고, 더 나아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착용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접는다. 이런 방식을 통해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원활성과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다용한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두 개의 회전기구(930)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각각의 상기 회전기구(93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구(930)에 의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장착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 간에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930)는 하나의 조립소자(931), 하나의 회전소자(932), 하나의 구동소자(933), 하나의 유지소자(934), 하나의 위치한정소자(935)와 하나의 조작소자(936)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립소자(931)는 하나의 장착 통로(93101)와 상기 장착 통로(93101)에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장착 홈(93102)을 갖는다. 상기 회전소자(932)는 하나의 수납공간(93201)과 상기 수납공간(93201)에 연통되는 하나의 조립 개구(93202)를 갖는다. 상기 구동소자(933)는 가늘고 긴 두 개의 이동공간(93311)을 갖는다. 상기 유지소자(934)는 두 개의 변형공간(93401)과 두 개의 위치고정 홈(93402)을 갖는다.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은 하나의 장착공간(93501)과 상기 장착공간(93501)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그룹의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을 갖는다.
상기 회전소자(932)는 상기 수납공간(93201)의 개구가 상기 조립소자(931)를 향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조립소자(931)의 상기 장착 통로(93101)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조립 개구(93202)는 상기 조립소자(931)의 일측에 노출된다. 상기 구동소자(933)는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수납공간(93201)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소자(936)는 상기 구동소자(933)에 연결되는 방식에 의해,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조립 개구(93202)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소자(932)가 상기 조립소자(931)와 분리되는 것을 피한다. 나아가, 상기 조작소자(936)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구동소자(933)가 상기 조립소자(931)에 상대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지소자(934)는 상기 구동소자(933)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는 상기 조립소자(931)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와 상기 유지소자(934)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와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호 매칭에 의해 상기 조작소자(936)는 상기 조립소자(931)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에 상대되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조작소자(936)는 고정된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각각 상기 조립소자(931)와 상기 조작소자(936)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힘을 가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조작소자(936)를 조작하고, 더 나아가, 상기 조작소자(936)와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의 상대적 각도를 조절한다.
상세하게,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지소자(934)는 하나의 장착부(9341), 두 개의 캔틸레버(cantilever)(9342)와 두 개의 위치한정 베벨 투스(bevel tooth)(9343)를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캔틸레버(9342)는 상기 장착부(9341)의 상부와 하부부터 각각 굴곡되게 상향과 하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간다. 상기 캔틸레버(9342)의 고정단은 상기 장착부(9341)에 연결되고, 상기 캔틸레버(9342)의 자유단은 매달려서 상기 장착부(9341)의 일측에 유지되고, 각각의 상기 캔틸레버(9342)와 상기 장착부(9341) 사이에 상기 변형공간(93401)을 형성해 상기 캔틸레버(9342)가 변형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장착부(9341)에 가까이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상기 캔틸레버(9342)부터 외부로 향해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는 상기 유지소자(934)의 회전을 한정할 수 있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고정된 착용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한정소자(935)는 하나의 위치한정부(9351)와 상기 위치한정부(9351)에서 연장해 뻗어나가는 적어도 두 개의 장착 돌기(9352)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93501)은 상기 위치한정부(9351)에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93501)의 상기 위치한정부(9351)의 내벽이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을 형성하도록 정의한다.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장착 돌기(9352)는 상기 조립소자(931)의 상기 장착 홈(93102)에 고정되어 상기 위치한정소자(935)가 상기 조립소자(93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유지소자(934)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 어느 한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에 장착하고,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부(9351)는 서로 맞물리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부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2a 내지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부에 한정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이 내벽은 하나의 긴 경사면과 하나의 짧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긴 경사면과 상기 짧은 경사면은 서로 연결하여 예각을 갖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을 형성하도록 정의한다. 인접한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긴 경사면과 짧은 경사면은 서로 연결하고, 상기 짧은 경사면은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상기 긴 경사면을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연속되게 시계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연속 분포하고, 또한 시계 방향을 따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부에 위치하는 첫번째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상기 짧은 경사면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가까이하도록 정의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부에 위치하는 첫번째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상기 긴 경사면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서 멀어지도록 정의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하부에 위치하는 마지막 하나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상기 긴 경사면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가까이하도록 정의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하부에 위치하는 마지막 하나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상기 짧은 경사면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서 멀어지도록 정의한다. 이런 방식을 통해,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시계 방향을 따라서만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진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시계 방향을 따라서만 회전하도록 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분포방식이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의 단일방향 회전을 한정할 수만 있다면 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착용한 후,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상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유지소자(934)가 구동되어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에 상대되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인접한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 내부까지 시계 반대로 이동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하향으로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힘을 가할 때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상대되게 하향으로 회전해 사용자의 머리가 저도 모르게 숙여지는 것을 피하고, 더 나아가, 근시를 예방하는 데 이롭다. 다시 말해,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진다.
바람직하게, 두 개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되게 분포된다. 선택 가능하게, 두 개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대칭되게 분포한다. 선택 가능하게, 두 개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비대칭으로 분포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또한 하나의 그룹 또는 다수 개의 그룹으로 실시될 수 있고, 대응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하나 또는 다수 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각각의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구체적인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a와 도 1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은 5개가 연속 분포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을 포함하여 상기 탑재 메인바디(20)가 5개의 다른 높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기재된 머리 지지장치(9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상향으로 지지해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지 각도를 조절해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는 각도를 한정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경추에 가하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60°까지 숙여질 수 없도록 한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45°까지 숙여질 수 없도록 한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30°까지 숙여질 수 없도록 한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15°까지 숙여질 수 없도록 한정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의 구체적인 실시방식과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은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는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데 불과하고, 본 발명에 기재된 머리 지지장치(9100)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작용하지 말아야 한다.
나아가, 상기 회전소자(932)는 하나의 회전부(9321)와 상기 회전부(9321)부터 외측으로 연장해 뻗어나가는 두 개의 조립 기둥(9322)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93201)과 상기 조립 개구(93202)는 상기 회전부(9321)에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조립 기둥(9322)은 상기 회전부(9321)의 양측에 분포한다. 상기 구동소자(933)는 상기 조작소자(936)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상기 수납공간(93201) 내부에 유지된다. 상기 유지소자(934)는 상기 장착부(9341)의 양측에 형성하는 두 개의 상기 위치고정 홈(93402)이 각각 두 개의 상기 조립 기둥에 대응되는 방식에 의해 상기 회전소자(932)에 고정된다. 상기 조작소자(936)가 상기 회전소자(932)를 구동해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와 상기 조립소자(931)에 상대되게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소자(932)의 두 개의 상기 조립 기둥(9322)은 상기 유지소자(934)를 밀어 이동시켜 동기적으로 회전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한정이 해제된 후, 즉,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을 이탈한 후, 상기 유지소자(934)는 싱기 위치한정소자(935)와 상기 조립소자(931)에 상대되게 상향 회전과 하향 회전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소자(936)는 하나의 장착 홈(93601)을 갖고,상기 장착 홈(93601)은 상기 조작소자(936)의 외측에 형성하고, 상기 조작소자(936)은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조립 개구(93202)부터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수납공간(93201)에 진입하고, 상기 조작소자(936)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조립 개구(93202)에 유지되고, 상기 조작소자(936)은 상기 회전소자(932)에 상대되게 전후로 운동할 수있다.
상기 구동소자(933)는 하나의 구동부(9331)와 하나의 조립부(9332)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립부(9332)는 상기 구동부(933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조립부(9332)는 상기 조작소자(936)의 상기 장착 홈(93601)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소자(933)는 상기 조작소자(936)의 운동을 따라 운동하며, 즉, 상기 구동소자(933)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소자(932)의 상기 수납공간(93201) 내에 유지되고, 상기 구동소자(933)는 상기 회전소자(932)에 상대되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이동공간(93311)은 상기 구동부(933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이동공간(93311)은 각각 상기 조립부(9332)의 상방과 하방에 위치한다. 대응되게, 상기 유지소자(934)는 두 개의 구동 기둥(93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둥(9344)은 상기 캔틸레버(9342)의 단부부터 외부로 향해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구동 기둥(9344)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유지소자(934)의 두 개의 상기 구동 기둥(9344)은 각각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이동공간(93311)에 유지된다. 상기 구동소자(933)는 상기 조작소자(936)를 따라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 소자에 상대되게 전후로 이동한다.
나아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이동공간(93311)은 하나의 제1 단(933111)과 하나의 제2 단(933112)을 갖고, 상기 이동공간(93311)의 상기 제1 단(933111)과 상기 제2 단(933112)은 고도 차가 존재하며, 즉,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이동공간(93311)는 경사지게 연장해 뻗어나간다. 나아가, 두 개의 상기 이동공간(93311)은“八”자형으로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구동부(9331)에 분포하며, 즉, 두 개의 상기 이동공간(93311)의 상기 제2 단(933112)은 서로 가까이하고, 상기 제1 단(933111)은 서로 멀리한다.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구동 기둥(9344)는 상기 이동공간(93311)의 상기 제1 단(933111)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진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외부로 향해 당겨 이동시키고,상기 조작소자(936)와 상기 구동소자(933)는 상기 유지소자(934)에 상대되게 외부로 향해 운동하고, 상기 유지소자(934)의 두 개의 상기 구동 기둥(9344)은 점차 상기 이동공간(93311)의 상기 제1 단(933111)에서 상기 제2 단(933112)를 향해 운동하고, 두 개의 상기 구동 기둥(9344)은 서로 가까이하고,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캔틸레버(cantilever)(9342)는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장착부(9341)에 가까이하고,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bevel tooth)(9343)는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을 이탈하고,상기 회전소자(932)는 상기 조립소자(931)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에 상대되게 상향으로 회전하고 하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 경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까지 전환된다. 사용자는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사용 완료한 후,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까지 조절하고, 나아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하향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전체 면적을 줄여 수납하고 휴대하는 데 편리하다.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적합한 각도로 조절된 후,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상기 조작소자(936)와 상기 구동소자(933)를 내부로 향해 이동시켜 상기 유지소자(934)에 상대되게 내부로 향해 운동하고, 상기 유지소자의 두 개의 상기 구동 기둥(9344)은 점차 상기 이동공간(93311)의 상기 제2 단(933112)에서 상기 제1 단(933111)을 향해 이동하고, 두 개의 상기 구동 기둥(9344)은 서로 멀리하고,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캔틸레버(9342)는 점차 초기 위치로 돌아오고, 상기 유지소자(934)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9343)는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93502) 내에 진입하고, 상기 회전소자(932)는 상기 조립소자(931)와 상기 위치한정소자(935)에 상대되게 상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서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까지 전환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머리 지지장치(9100)의 이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회전기구(930)의 상기 구동소자(933)는 하나의 유지 기둥(9333)과 하나의 탄성재(9334)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유지 기둥(9333)은 상기 구동부(9331)와 상기 조립부(9332)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재(9334)는 상기 유지 기둥(9333)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유지 기둥(9333)과 상기 탄성재(9334)는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수납공간(93201)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재(9334)의 양단은 각각 상기 구동부(9331)와 상기 구동소자(933)의 내벽에 밀착한다.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외측으로 당겨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구동부(9331)와 상기 조립부(9332)는 상기 조작소자(936)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소자(933)의 상기 구동부(9331)와 상기 조립부(9332)는 상기 탄성재(9334)를 압착한다.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적합한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대한 외부 작용력을 해제하고, 상기 탄성재(9334)의 초기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려는 작용력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신속히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나아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신속히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서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까지 전환되며, 예를 들어, 상기 탄성재(9334)는 스프링으로 실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기재된 머리 지지장치(9100)의 이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는 두 개의 서라운드 소자(surround part)(911)와 두 개의 지지소자(912)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서라운드 소자(911)의 연결단은 각각 두 개의 상기 회전기구(930)의 상기 조립소자(931)의 측부에 설치되고, 두 개의 상기 지지소자(912)는 각각 두 개의 상기 회전기구(930)의 상기 조립소자(931)의 하방에서 하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간다.
두 개의 상기 서라운드 소자(911)의 이동단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는 데 편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기 서라운드 소자(911)는 버클 연결, 접착 연결 등 방식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며,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라운드 소자(911)는 사용자의 목에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하방에 유지되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턱에 부착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머리를 상향으로 지지하는 데 이롭다. 두 개의 상기 지지소자(912)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V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소자(912)는 사용자의 가슴 또는 등에 지지되는 데 적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라운드 소자(911)와 상기 지지소자(912)는 서로 매칭하여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머리 하방에 유지되도록 한다.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하나의 받침소자(921), 하나의 하우징(922)과 다수 개의 매칭소자(92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922)은 상기 받침소자(921)의 하방에 장착되고, 다수 개의 상기 매칭소자(923)는 상기 받침소자(921)부터 간격을 두고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간다. 상기 받침소자(921)는 상기 회전기구(930)의 상기 조작소자(936)에 설치된다. 상기 매칭소자(923)는 재질이 부드럽고 탄성을 갖고 있고,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근거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턱 윤곽에 부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턱 윤곽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데 이로워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원활성과 적합성을 향상시킨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매칭소자(923)에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매칭소자(923)는 변형이 발생하고 초기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려는 탄성 작용력이 발생하며, 사용자의 머리를 상향으로 밀어 사용자의 머리가 아래로 숙여지는 것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 근시를 방지하는 데 이롭다.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에 장착되고,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와 하나의 목표 물체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와 책상, 책, 모니터, 텔레비전 등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해 이후에 사용자의 머리와 상기 목표 물체 간이 하나의 건강 거리가 유지되도록 보장하며,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에서,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는 촬영장치, 마이크로파식 검지기, 거리 센서 또는 기타의 본 기술분야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기타 거리 측정 설비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하나의 알림 메인바디(9300)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는 통신 가능하게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에 연결하고,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와 상기 목표 물체 간의 거리가 상기 건강 거리보다 짧다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가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앉은 자세를 적시 시정하는 데 이롭다. 이런 방식을 통해 근시, 곱사등이 등과 같은 좋지 않은 습관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는 두 개로 실시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는 각각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의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한다. 사용자의 머리 하방에 착용된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의 두 개의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는 사용자 턱의 양측에 위치하고, 두 개의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는 각각 사용자의 턱 양측부터 상기 목표 물체 간의 거리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를 사용할 경우, 두 개의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에 의해 사용자부터 상기 목표 물체까지의 거리가 일치한다는 것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앉은 자세가 단정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경추가 일측을 향해 기울었을 경우, 머리도 일측으로 기울게 되고, 두 개의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터 상기 목표 물체까지의 거리에 편차가 나타나면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가 적시 사용자에게 앉은 자세를 시정할 것을 알려 오랫동안 좋지 않은 자세로 앉아 발생되는 척추 변형을 피하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한정받지 않으며,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는 조명 알림, 음성 알림, 진동 알림 또는 기타의 본 기술분야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알림 설비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와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기재된 머리 지지장치(9100)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머리 지지장치(9100)는 하나의 전원 메인바디(940)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전원 메인바디(940)는 상기 받침소자(921)와 상기 하우징(922) 사이에 은폐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원 메인바디(940)는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와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거리 측정 메인바디(9200)와 상기 알림 메인바디(93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무엇보다도, 도 9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기구(930)의 수량은 두 개로 실시될 수 있으며, 하지만, 본 발명의 기타 예시에서, 상기 회전기구(930)의 수량 또한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나의 상기 회전기구(93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받침 메인바디(10)의 다른 일단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연결하고,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의 일단은 단일방향 회전과 양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의 다른 일단은 양방향 회전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기 회전기구(93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의 다른 일단은 기어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기구(930)가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상대되게 상향으로 회전하고, 이 경우,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연결하는 기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기구(930)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에 상대되게 상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하향으로 회전하고, 이 경우,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를 연결하는 기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와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 간의 협각은 조절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받침 메인바디(920)와 상기 착용 메인바디(910) 간의 협각은 고정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설명과 도면 중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로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전면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되었다. 본 발명의 기능과 구조 원리는 이미 실시예 중에서 시현되고 설명되었으며, 상기 원리에 위배되지 않는 전제 하에,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임의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Claims (30)

  1. 경량형 목 보조기에 있어서,
    신체에서 머리를 지지하는 데 적합하고,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상기 머리받침부가 해당 머리를 받쳐주는 데 적합한 하나의 머리받침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머리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해당 신체에서 지지되는 데 적합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해당 신체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조정부가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연결 지점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기 머리받침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접혀 연결되어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협각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조정상태와 하나의 자유상태를 갖고,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단일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자유상태를 갖고, 또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조작 가능하게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변환되고,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과 상기 지지부를 가까이하는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와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은 에워싸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 오목홈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방향 투스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암(connecting arm)과 하나의 고정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상기 고정베이스부터 일체형으로 외부로 향해 매달려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커넥팅 암이 힘을 받은 후 변형되고, 압력이 해제된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하나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에 밀착해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를 잠글 수 있으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압력을 받고, 또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 중 하나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와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은 에워싸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 오목홈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방향 투스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암과 하나의 고정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상기 고정베이스부터 일체형으로 외부로 향해 매달려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커넥팅 암이 힘을 받은 후 변형되고, 압력이 해제된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하나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에 밀착해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를 잠글 수 있으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압력을 받고, 또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 중 하나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며,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커넥팅 암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부터 해제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와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은 에워싸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 오목홈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방향 투스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암과 하나의 고정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상기 고정베이스부터 일체형으로 외부로 향해 매달려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커넥팅 암이 힘을 받은 후 변형되고, 압력이 해제된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하나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에 밀착해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를 잠글 수 있으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압력을 받고, 또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 중 하나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와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은 에워싸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여기에서,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내벽 오목홈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방향 투스 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회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암과 하나의 고정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상기 고정베이스부터 일체형으로 외부로 향해 매달려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커넥팅 암이 힘을 받은 후 변형되고, 압력이 해제된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하나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에 밀착해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를 잠글 수 있으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압력을 받고, 또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 중 하나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 상대되게 단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가 한정되고,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커넥팅 암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부터 해제되어 상기 내부 회전부재와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커넥팅 암의 수량이 두 개이고, 중심이 대칭되게 상기 고정베이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조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한정 홈을 갖고, 여기에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커넥팅 암은 하나의 위치한정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한정 기둥은 상기 조정부재의 상기 위치한정 홈까지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위치를 한정하며,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위치한정부재는 상기 커넥팅 암의 상기 지지면을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에 압착해 결합시켜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단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정하며, 상기 자유상태에서, 상기 위치한정부재는 상기 커넥팅 암의 위치를 한정해 상기 지지면과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조정부재를 조정해 상기 조정상태와 상기 자유상태 간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각각의 상기 커넥팅 암은 하나의위치한정 기둥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조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대칭되게 배치한 두 개의 위치한정 홈을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 간의 거리는 일단부터 다른 일단까지 점차 커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암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은 상기 조정부재의 상기 위치한정 홈에 위치가 한정되며,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내부 회전부재에 상대되게 이동하고, 또한, 상기 위치한정 기둥이 상기 조정부재의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 간 거리가 가장 큰 일단부터 거리가 가장 작은 일단을 향해 이동할 경우,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기둥 간 거리는 상기 조정부재의 두 개의 상기 위치한정 홈에 의해 제약되어 줄어들며, 상기 커넥팅 암이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고정베이스를 가까이하고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기 단일방향 투스 홈에서 멀어짐으로써,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가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자유상태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하나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과 하나의 탄성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은 하나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장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상기 조정부재와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머리받침부는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에 삽입해 연결하며, 상기 머리받침부가 외부로 향해 당겨 이동될 경우,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의해 이동되어 외부로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탄성 연결부재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커넥팅 암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서 해제되어 상기 자유상태로 변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받침부에 가하는 작용력이 사라질 경우, 상기 조정부재가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원래 상태로 돌아와 상기 조정상태로 변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 하나의 조정부 장착 하우징과 하나의 탄성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은 하나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장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상기 조정부재와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머리받침부는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조정부 장착 하우징에 삽입해 연결하며, 상기 머리받침부가 외부로 향해 당겨 이동될 경우,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의해 이동되어 외부로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 연결부재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커넥팅 암이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서 해제되어 상기 자유상태로 변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받침부에 가하는 작용력이 사라질 경우, 상기 조정부재가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원래 상태로 돌아와 상기 조정상태로 변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기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는 각각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단 사이로 연장해 뻗어나가 크기 조정이 가능한 하나의 착용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는 하나의 기능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기능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설치되고 탄성을 가져 상기 머리받침부와 머리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하나의 제1 받침 암(arm)과 하나의 제2 받침 암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받침 암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제2 받침 암에 연결하여 상기 제2 받침 암을 향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제1 서포트 암(support arm)과 하나의 제2 서포트 암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서포트 암과 상기 제2 서포트 암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단부터 외부로 향해 상기 제1 서포트 암과 상기 제2 서포트 암까지 연장해 뻗어나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인 삼각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조정부의 수량은 각각 두 개이고, 두 개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서포트 암, 상기 제2 서포트 암의 연결 지점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서포트 암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제2 서포트 암에 연결하여 상기 제2 서포트 암을 향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
  16. 경량형 목 보조기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정방법은,
    하나의 경량형 목 보조기의 하나의 조정부를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가 하나의 조정상태에서 이탈하도록 하고, 상기 조정상태에서, 상기 경량형 목 보조기의 하나의 머리받침부가 하나의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단일방향으로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머리받침부는 머리에서 지지하는 데 적합하고, 상기 지지부는 신체에서 지지되는데 적합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목 보조기의 조정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가 해제된 후, 상기 조정부가 자동으로 원래 상태로 돌아오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가 단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의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해 단일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머리가 상기 머리받침부에 밀착한 후, 하나의 기능부의 변형에 의해 머리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고, 여기에서, 상기 기능부가 상기 머리받침부에 설치되어 머리를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조정부를 당겨 이동시켜 상기 조정부의 하나의 외부 회전부재에서 상기 조정부의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를 해제함으로써, 원래 상기 내부 회전부재가 단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에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상기 외부 회전부재와 상기 내부 회전부재에 연결하는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협각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상기 조정부의 하나의 조정부재를 당겨 이동시켜 하나의 내부 회전부재의 하나의 커넥팅 암과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암은 단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외부 회전부재의 하나의 단일방향 투스 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방법.
  21. 회전기구에 있어서,
    하나의 머리 지지장치에 적합하고, 여기에서, 상기 머리 지지장치는 하나의 착용 메인바디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설치하는 하나의 받침 메인바디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착용 메인바디와 상기 받침 메인바디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조작 가능하게 하나의 단일방향 회전 상태와 하나의 양방향 회전 상태 간에서 전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기구가 상기 단일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가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기구가 상기 양방향 회전 상태에 놓여질 경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받침 메인바디가 상기 착용 메인바디에 상대되게 상향 회전과 하향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하나의 조립소자, 하나의 회전소자, 하나의 유지소자, 하나의 위치한정소자와 하나의 조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소자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조립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유지소자는 상기 회전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유지소자는 상기 회전소자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는 상기 조립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는 상기 유지소자와 상기 회전소자의 회전을 한정할 수 있고, 상기 조작소자는 상기 회전소자에 설치되고, 상기 착용 메인바디는 상기 조립소자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상기 조작소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소자는 하나의 장착부,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cantilever),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해 뻗어나가는 하나의 위치한정 베벨 투스(bevel tooth)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장착부에서 외측으로 굴곡되게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한정소자는 적어도 하나 그룹의 위치한정 베벨(bevel) 홈을 갖고, 상기 위치한정소자와 상기 캔틸레버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는 서로 맞물리고, 상기 위치한정소자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하나의 구동소자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구동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공간을 갖고, 상기 구동소자는 하나의 구동부와 하나의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공간은 상기 구동부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조립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소자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조작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소자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소자는 상기 조작소자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유지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둥은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로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구동 기둥은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소자의 상기 이동공간에 유지되고, 상기 캔틸레버는 탄성을 갖고, 상기 구동 기둥이 상기 구동소자에 상대되게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소자는 상기 캔틸레버에 변화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소자의 상기 이동공간은 하나의 제1 단과 하나의 제2 단을 갖고, 상기 이동공간의 상기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은 고도 차가 존재하며, 상기 유지소자의 상기 구동 기둥이 상기 이동공간의 상기 제1 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는 상기 위치한정소자의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에 위치하며, 상기 유지소자의 상기 구동 기둥이 상기 이동공간의 상기 제2 단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한정 베벨 투스는 상기 위치한정 베벨 홈을 떠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소자는 하나의 탄성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재는 상기 회전소자의 내벽과 상기 구동소자의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소자는 하나의 유지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기둥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재는 상기 유지 기둥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메인바디는 두 개의 서라운드 소자(surround part)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서라운드 소자의 일단은 상기 회전기구의 상기 조립소자에 설치되고, 두 개의 상기 서라운드 소자의 다른 일단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메인바디는 두 개의 지지소자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지지소자는 상기 회전기구의 상기 조립소자부터 하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고, 두 개의 상기 지지소자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V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메인바디는 하나의 받침소자, 하나의 하우징과 다수 개의 매칭소자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받침소자의 하방에 장착되고, 상기 매칭소자는 상기 받침소자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매칭소자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구.
KR1020217036215A 2020-08-17 2021-03-19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KR10265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8022A KR20240037359A (ko) 2020-08-17 2021-03-19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26452.0 2020-08-17
CN202021722504.1 2020-08-17
CN202021722504.1U CN218889826U (zh) 2020-08-17 2020-08-17 轻型颈托
CN202010826452.0A CN111839868B (zh) 2020-08-17 2020-08-17 轻型颈托和应用
CN202021722208.1 2020-08-17
CN202021722208.1U CN213310638U (zh) 2020-08-17 2020-08-17 旋转机构
PCT/CN2021/081712 WO2022037053A1 (zh) 2020-08-17 2021-03-19 旋转机构、轻型颈托及其调整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022A Division KR20240037359A (ko) 2020-08-17 2021-03-19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34A true KR20220023334A (ko) 2022-03-02
KR102651179B1 KR102651179B1 (ko) 2024-03-25

Family

ID=790262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022A KR20240037359A (ko) 2020-08-17 2021-03-19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KR1020217036215A KR102651179B1 (ko) 2020-08-17 2021-03-19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022A KR20240037359A (ko) 2020-08-17 2021-03-19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40037359A (ko)
CN (1) CN113905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12236A (zh) * 2020-08-17 2023-09-08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轻型颈托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225A (ko) 2007-06-06 2008-12-10 이철희 경부척추견인장치
CN109089182A (zh) * 2018-09-19 2018-12-25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颈部可穿戴设备
CN109124850A (zh) * 2018-09-19 2019-01-04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辅助支撑装置及其应用
CN208863020U (zh) * 2018-09-19 2019-05-14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颈部可穿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9288B2 (en) * 2006-05-22 2008-07-15 Richard Chao Adjustable neck brace
CN208299964U (zh) * 2018-06-04 2018-12-28 广东理工职业学院 一种微小型麦克风支架关节机构
CN209359776U (zh) * 2018-09-26 2019-09-10 深圳市菲特奥科技有限公司 绳带调整装置及绳带组件
CN109846589A (zh) * 2019-04-09 2019-06-07 王嘉熙 一种可实现个性化调节的颈椎病牵引颈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225A (ko) 2007-06-06 2008-12-10 이철희 경부척추견인장치
CN109089182A (zh) * 2018-09-19 2018-12-25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颈部可穿戴设备
CN109124850A (zh) * 2018-09-19 2019-01-04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辅助支撑装置及其应用
CN208863020U (zh) * 2018-09-19 2019-05-14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颈部可穿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05693B (zh) 2023-10-24
CN113905693A (zh) 2022-01-07
KR20240037359A (ko) 2024-03-21
KR102651179B1 (ko)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1971T3 (es) Sistemas de soporte de brazo adaptativos y métodos de uso
US20180360637A1 (en) Adaptive arm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CN102284178B (zh) 倒立健身装置
JP2015536198A (ja) 頸部固定器
US9873361B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JP4642127B1 (ja) 首整体器具
CN108378972B (zh) 一种便携穿戴式颈椎及腰椎保护装置
KR20220023334A (ko)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CN111839868B (zh) 轻型颈托和应用
CN201603040U (zh) 新型的体位固定装置
WO2013063323A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WO2023153497A1 (ja) 姿勢矯正器具
KR101647439B1 (ko)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JP2018033878A (ja) 姿勢保持装置
JP2021058376A (ja) 首部運動補助具
SE1051296A1 (sv) Nackavlastningsanordning samt därtill avsedd huvudbonad
CN213310638U (zh) 旋转机构
CN205459688U (zh) 一种脊椎保健装置
WO2022037053A1 (zh) 旋转机构、轻型颈托及其调整方法
KR20070087268A (ko) 허리,목보호 사무용의자
KR101920493B1 (ko) 목 보조기
CN218889826U (zh) 轻型颈托
JP6230035B2 (ja) 美容具
KR101485364B1 (ko) 뒤통수 밑 근육 운동 장치
CN215460043U (zh) 一种便携式颈椎康复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