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493B1 - 목 보조기 - Google Patents

목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493B1
KR101920493B1 KR1020180050443A KR20180050443A KR101920493B1 KR 101920493 B1 KR101920493 B1 KR 101920493B1 KR 1020180050443 A KR1020180050443 A KR 1020180050443A KR 20180050443 A KR20180050443 A KR 20180050443A KR 101920493 B1 KR101920493 B1 KR 10192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user
support
present
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경
오미순
Original Assignee
김상경
오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경, 오미순 filed Critical 김상경
Priority to KR102018005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목 보조기는,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상기 사용자의 전방으로 개방된 링형태의 하측지지대(110); 상기 하측지지대(110)의 상기 개방된 양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120);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측 끝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받침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 보조기{Neck Collar}
본 발명(Disclosure)은, 목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착용이 간편하고 외관상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변형 가능한 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목 디스크로 불리는 경추추간판탈출증(ruptured cervical disk, 頸椎椎間板脫出症)은, 경추의 추간판(디스크)이 충격 또는 반복적인 압력으로 튀어나옴으로써, 척수나 신경근을 압박하여 발생한다. 이럴 경우, 물리치료, 견인치료, 수술치료등과 함께, 수 개월간 목 보조기를 착용하여 치료하는 질병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목 보조기는, 이러한 중증의 목 디스크 환자용으로서, 경추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착용이 불편하고 부피가 크다.
한편, 최근에는 이와 같은 목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는 생활 및 업무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60대 이상의 100명중 12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라는 실태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성인 대부분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이들 모바일 기기의 장기간 사용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신체적 질병이 거북목과 일자목이다.
또한, 현대의 대부분의 사무환경은, 한 대 이상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업무에 집중하다 보면, 목을 앞으로 내미는 등의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무의식적으로 취하는 경우가 많다.
고개를 과도하게 숙이거나, 목을 빼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악화되는 거북목과 일자목 증상이 나타난다. 거북목과 일자목은, 목뼈 주변의 근육과 인대에도 무리를 줘서 목 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목 보조기는, 중증 목 디스크 환자를 위한, 치료용 목 보조기이다. 경추에 일정한 압력과 견인을 위해서, 재질이 견고하고 크기 때문에 착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도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즉, 교통사고 등과 같은 특별한 일시적 사고로 인한 상해가 아닌, 생활 및 업무환경과 습관에 따른 목 디스크 유발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과 업무 환경에서 목 디스크 발생을 예방하거나 위험을 감소시키고, 올바른 자세를 취하는 습관을 익히며, 경증의 목디스크를 위한 목 보조기가 필요하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66415
본 발명(Disclosure)은, 착용이 간편하며 외관상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목 보조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변형 가능한 목 보조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목 보조기는,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상기 사용자의 전방으로 개방된 링형태의 하측지지대(110); 상기 하측지지대(110)의 상기 개방된 양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120);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측 끝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받침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목 보조기는, 상기 하측지지대(110) 및 상기 턱받침대(130)는, 상기 사용자가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목 보조기는, 상기 수직지지대(120)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부(121)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부(122)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부(121) 및 상기 상측부(122)가 서로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상기 턱받침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목 보조기는, 상기 하측지지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 사이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회전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목 보조기는, 상기 하측지지대(1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과 가슴 및 턱에 밀착되는 선형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며 외관상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재질을 적용하고, 회전부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변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1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목 보조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2실시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3실시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목 보조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4실시 형태의 사용자 착용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목 보조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목 보조기는, 하측 지지대와 수직지지대(120) 및 턱받침대(130)로 구성된다.
하측지지대(110)는,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사용자 전방으로 개방된 링 형태의 구조이다. 수직지지대(120)는, 하측지지대(110)의 개방된 양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턱받침대(130)는, 수직지지대(120)의 상측 끝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턱을 지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목 보조기는, 하측지지대(110)가 사용자의 양쪽 어깨의 상면에 안착 되어 착용 될 수 있다.
하측지지대(110)와 수직지지대(120) 및 턱받침대(130)는, 링 형태 또는 막대 형상으로써, 외관상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형상과 부피가 단순하여, 일상복 착용시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측지지대(110) 및 턱받침대(130)는 사용자가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체형과 신체 부위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착용시 하측지지대(110)와 턱받침대(130)를 사용자 스스로 본인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측지지대(110)의 개방된 양끝단을 벌여 착용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반복적으로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상생활이나 사무공간에서 업무할 때, 손쉽게 착용하여, 무의식적으로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형상을 단순화하고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상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목과 턱의 각도를 유지시켜줌으로써, 특히 모바일 기기나 책이 특별한 거치대가 없는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 사용시, 자세교정에 유용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목 보조기의 수직지지대(120)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부(121)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부(122)로 구성되고, 하측부(121) 및 상기 상측부(122)가 서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목과 머리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마다 다른 목 길이에 따라서 수직지지대(120)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2실시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목 보조기는, 하측지지대(110)와 수직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40)는, 수직지지재와 하측지지대(110)로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수직지지대(120)를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부(140)는, 수직지지대(120)와 턱받침대(130) 사이에 더 구비됨으로써, 턱 받침대와 수직지지대(120) 사이의 각도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3실시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목 보조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목 보조기의 하측지지대(1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턱받침대(130)는 사용자의 턱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한다. 하측지지대(110)의 전방이 하측방향으로 가압되면, 하측지지대(110) 후방이 사용자 목의 후방에 걸림으로써, 압력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굴곡된 하측지지대(110)의 전방은 사용자의 가슴 상부에 밀착되어 거치됨으로써, 또한 수직지지대(120)로 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조기의 제4실시 형태의 사용자 착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목 보조기는, 턱받침이 사용자의 얼굴 양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턱과 뺨을 감싸도록 상방향으로 굴곡된, 측면가이드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자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오침과 같은 짧은시간의 취침을 취할때, 머리가 돌아가서 불편한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상기 사용자의 전방으로 개방된 링형태의 하측지지대(110);
    상기 하측지지대(110)의 상기 개방된 양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120);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측 끝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받침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지지대(110) 및 상기 턱받침대(130)는, 상기 사용자가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20)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부(121)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부(122)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부(121) 및 상기 상측부(122)가 서로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상기 턱받침대(130)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하측지지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 사이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회전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지지대(1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50443A 2018-05-02 2018-05-02 목 보조기 KR10192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43A KR101920493B1 (ko) 2018-05-02 2018-05-02 목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43A KR101920493B1 (ko) 2018-05-02 2018-05-02 목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493B1 true KR101920493B1 (ko) 2018-11-21

Family

ID=6460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43A KR101920493B1 (ko) 2018-05-02 2018-05-02 목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64A1 (ko) * 2022-02-23 2023-08-31 김태훈 턱관절 질환으로 인한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4802A1 (en) 2008-04-16 2009-10-22 Jyi Feng Chen Cervical collar
JP2015536198A (ja) * 2012-11-15 2015-12-21 サービカル チナッ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頸部固定器
KR101616119B1 (ko) 2015-02-04 2016-04-28 김현성 로도시스를 형성하는 경추 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4802A1 (en) 2008-04-16 2009-10-22 Jyi Feng Chen Cervical collar
JP2015536198A (ja) * 2012-11-15 2015-12-21 サービカル チナッ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頸部固定器
KR101616119B1 (ko) 2015-02-04 2016-04-28 김현성 로도시스를 형성하는 경추 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64A1 (ko) * 2022-02-23 2023-08-31 김태훈 턱관절 질환으로 인한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374B2 (en) Cervical brace
US5528784A (en) Adjustable support pillow for comfortable repose
US20210052412A1 (en) Auxiliary Support Apparatus and Application Thereof
US755964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articles to face or head
EA03448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шеи
US20210007876A1 (en) Neck collar
AU2021201983B2 (en) A nasal splint
US10018852B2 (en) Eyeglass positioning device
KR101920493B1 (ko) 목 보조기
CN210642700U (zh) 一种智能穿戴设备
US20100168628A1 (en) Head flexion support device
US20210212483A1 (en) Pillow supporting alternate regions of a user's hea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ser's recumbent position
US5933862A (en) Articulating visor apparatus
KR200368706Y1 (ko) 목 디스크 예방 및 치료용 보호구
KR102651179B1 (ko)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US3695257A (en) Face lifting device
EP3449777A1 (en) Pillow
KR200383241Y1 (ko) 자세 교정 보조구
CN209152941U (zh) 一种斜靠平卧等多角度护脖护脸枕
TW406019B (en) Nose-shaping device
AU2015202914B2 (en) Cervical Brace
US20050133042A1 (en) Neck collars for relieving neck pains
CN212630997U (zh) 一种颈托
US20230363974A1 (en) Mobility Aid
WO2022037053A1 (zh) 旋转机构、轻型颈托及其调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