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988A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988A
KR20220022988A KR1020200104345A KR20200104345A KR20220022988A KR 20220022988 A KR20220022988 A KR 20220022988A KR 1020200104345 A KR1020200104345 A KR 1020200104345A KR 20200104345 A KR20200104345 A KR 20200104345A KR 20220022988 A KR20220022988 A KR 2022002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support frame
central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988A/ko
Publication of KR2022002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01B23/043Frames; Drawing-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대의 후단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에 중앙써레판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힌지결합시켜 놓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베이터 또는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장착구조물(1)에 전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대(10); 중앙부에 신축실린더의 결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게 실린더브라켓(21)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외측써레판(25)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20); 상기 로터베이터 또는 장착구조물(1)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신축실린더(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브라켓 고정수단(45)으로 상호 간 폭조절 또는 결합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전면 일측에 상기 연결대(1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 브라켓(4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공(55)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힌지축(57)으로 결합되어 상하회동되게 설치되는 중앙써레판(50);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이상 상방으로 회동되지 않게 제한하는 상부스토퍼(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대의 후단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에 중앙써레판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힌지결합시켜 놓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을 경작하는 경우에는 모내기에 앞서 로터베이터로 경운한 뒤 써레를 이용하여 평탄화작업 즉 써레작업을 통해 무논의 지면(바닥면)을 평탄하게 고르게 된다.
써레는 중앙써레판과 좌우 외측써레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써레작업을 위해 좌우 외측써레판을 펼치게 되면 기다란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이 상태로 무논의 지면에 써레판이 완만한 각도로 접촉되게 하여 트랙터가 전진하면서 무논을 평탄하게 고르게 된다.
한편, 써레작업을 위해 로터베이터에 써레를 설치하게 되는데, 로터베이터의 써레 설치위치에 장애물이 있거나 로터베이터의 구조 및 형태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면 이를 제거한 후 설치하게 된다. 만일 제거하지 못하면 써레를 설치할 수 없어 다른 로터베이터에 설치하거나 설치 자체를 포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연결대의 폭을 설정된 거리 내에서 가변시켜 폭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3311호(써레의 각도 조절장치)와 등록특허공보 제0683424호(트랙터용 써레)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93311호와 특허등록 제0683424호의 써레는 중앙써레판의 써레판프레임(=지지프레임)에 연결대와 신축실린더가 결합되어 있고, 써레판프레임의 양측에 외측프레임이 결합되어 있는 일반적인 써레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며, 써레판프레임에 연결대의 결합을 위한 폭조절부재(폭조절브라켓, 제2브래킷)를 구비하며, 이 폭조절부재에 연결대의 결합위치를 가변시켜 가면서 폭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기술들은 연결대의 폭 조절을 위해 폭조절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여 써레판프레임에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무게가 증가함은 물론 제조원가가 증가되며, 그마저도 폭조절부재의 길이(대략 20㎝)내에서만 제한적으로 폭조절할 수 밖에 없어 로터베이터의 규격, 형태, 제조사에 따라 장애물이나 간섭을 피해서 연결대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폭조절범위를 넘어선 로터베이터의 경우에는 설치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더욱이, 최근에는 로터베이터의 규격이 대형화되고 있으며, 트랙터의 마력상승 및 대형화로 인해 로터베이터의 상부 마스트의 부피를 크게 제작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연결대 간의 폭을 넓게하여 결합하여야 함으로써 종래의 써레구조로는 모든 로터베이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더 많은 로터베이터에 적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써레는 써레판프레임에 신축실린더와 연결대 및 써레날이 결합되는 구조임에 따라 여러 방향에서 가해지는 부하를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사각파이프나 다각형상의 가공자재로 제작함은 물론 부피를 크게 제작하여야 함으로써 원가상승을 가져왔으며, 써레작업 시 무논의 물이 써레판프레임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흙을 함께 이동시키게 되어 평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써레를 이용한 평탄화작업 중 부주의나 운전미숙으로 인해 써레를 상승시키지 않은 상태로 트랙터를 후진이동시키는 경우에 써레판이 무논의 흙에 깊이 박혀 심하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농번기에 많은 차질이 빚어짐은 물론 부품비와 수리비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제0228261호와 같이, 써레판이 논두렁 등에 부딪혔을 경우에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완충동작되도록 한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0228261호는 중앙써레판이 정면충돌한 경우에는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완충시켜 줄 수 있으나, 어느 한쪽이 기울어진 상태로 충돌한 경우에는 충격방향과 완충이동방향이 상이하여 써레가 파손되는 문제가 여전히 많았다.
또한, 상기 특허등록 제0228261호와 실용신안등록 제393311호 및 특허등록 제0683424호는 물론 종래의 써레는 중앙써레판에 신축실린더와 연결대 및 외측써레판이 모두 결합되어 있는 구조임에 따라, 써레 작업 중 중앙써레판이 파손될 경우에 신축실린더와 연결대 및 좌우 외측써레판까지 모두 써레를 사실상 대부분 분해한 후 중앙써레판을 교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함으로써 힘이 많이 들 뿐 아니라 부품비와 수리비가 상당히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3311호(2005.08.11.,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등록특허공보 제0683424호(2007.02.09., 트랙터용 써레) 등록특허공보 제0228261호(1999.08.09., 트랙터용 써레)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지프레임에 이격되게 중앙써레판을 힌지결합시켜 줌으로써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대 간 사이거리의 제한없이 폭조절해 줄 수 있어 모든 로터베이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써레작업시 지지프레임과 중앙써레판의 이격공간인 배수공을 통해 무논의 물이 통과되어져 원활한 배수를 달성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써레판이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하회동되는 구조임에 따라 트랙터 후진과정에서 중앙써레판이 무논에 박히는 경우에 충격 방향과 관계 없이 중앙써레판이 하방회동되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중앙써레판을 포함한 써레의 파손을 방지시켜 주며, 중앙써레판의 마모 또는 파손 시 빠른 시간내에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파손된 해당 중앙써레판만을 교체할 수 있어 부품 및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로터베이터 또는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장착구조물(1)에 전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대(10); 중앙부에 신축실린더의 결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게 실린더브라켓(21)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외측써레판(25)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20); 상기 로터베이터 또는 장착구조물(1)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신축실린더(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브라켓 고정수단(45)으로 상호 간 폭조절 또는 결합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전면 일측에 상기 연결대(1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 브라켓(4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공(55)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힌지축(57)으로 결합되어 상하회동되게 설치되는 중앙써레판(50);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이상 상방으로 회동되지 않게 제한하는 상부스토퍼(60);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45)은, U형 또는 ㄷ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연결대 브라켓(40)에 끼워지는 고정볼트(46)와, 상기 고정볼트(46)에 나선결합되어 고정볼트(46)를 연결대 브라켓(4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4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5)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중앙써레판(50)과 연결되어 중앙써레판(50)의 회동을 제한해주기 위한 회동제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중앙써레판(5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외부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상방회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서로 대응되는 일부분에 형성된 브라켓 또는 상기 힌지축(57)이 결합되는 힌지용 브라켓에 결합되고,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전단되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상기 힌지축(57)을 중심으로 하방회동되게 하는 전단볼트(75)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써레판(50)은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에 따르면, 지지프레임과 중앙써레판이 서로 이격되게 구성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대를 거리에
큰 제한 없이 폭 조절할 수 있어 로터베이터의 규격이나 형태 및 제조사에 상관없이 모든 로터베이터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공을 통해 무논의 물이 배수됨으로써 써레작업시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물을 최소화함으로써 무논의 평탄성이 더 좋아지고, 중앙써레판이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하회동되는 구조임에 따라 트랙터의 후진과정에서 중앙써레판이 무논에 박히더라도 중앙써레판의 파손이 방지되며, 파손이 발생된 경우에 다른 부품(신축실린더, 연결대, 외측써레판)의 분해없이 파손된 중앙써레판만을 분해조립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쉬우며, 일부만 교체함에 따라 부품비용과 수리비용을 줄여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에 브라켓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는 연결대 브라켓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연결대 브라켓의 폭조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과 중앙써레판의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제한수단(인장스프링)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중앙써레판이 외부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볼트로 구성된 회동제한수단이 설치된 트랙터용 써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제한수단(전단볼트)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중앙써레판이 외부가압력에 의해 전단되면서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는 로터베이이터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로터베이터 또는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장착구조물(1)에 연결대(10)와 신축실린더(30)를 매개로 하여 분리결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써레판을 이루는 중앙써레판과 외측써레판 중에서 중앙써레판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종래에는 중앙써레판을 교체할 경우에 연결대와 신축실린더는 물론 외측써레판을 중앙써레판에서 분리한 후 교체작업을 진행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결대와 신축실린더 및 외측써레판의 분리없이 그대로 둔 상태에서 중앙써레판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는 전단이 상기 로터베이터 또는 장착구조물(1)에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대(10)와,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20)과, 이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는 신축실린더(30)와, 연결대 브라켓(40)과, 지지프레임(20)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중앙써레판(50) 및 상부스토퍼(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대(10)는 일정 길이의 프레임으로서, 2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대(11)는 '∥'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중간부분을 횡대로 연결시킨 'H'형태나 후단을 횡대로 연결한 '∪'형태로 폭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신축실린더(30)의 결합을 위해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실린더브라켓(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의 양측 단부에는 외측써레판(25)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게 마련된다. 외측써레판(25)의 힌지결합을 위해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외측써레판의 일측이 끼워져 핀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도록 고정축(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외측써레판(25)은 공지된 구조와 같이 신축실린더(30)의 동작으로 지지프레임(20)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연결링크(26)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외측써레판(25)이 힌지결합되고, 후방에 중앙써레판(50)이 힌지결합되는 구조임에 따라 중앙써레판과 외측써레판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신축실린더(30)는 로터베이터 또는 장착구조물(1)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1)에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로드가 신축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승하강동작시키게 된다.
연결대 브라켓(4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브라켓 고정수단(45)으로 고정되는 것이며, 전면 일측에 상기 연결대(1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어 진다.
상기 연결대 브라켓(40)이 연결대(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대 브라켓(40)을 지지프레임(20)에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 연결대(10) 상호간의 폭을 조절해 줄 수 있게 됨은 물론 동일 폭을 유지한 채로 지지프레임(20)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로터베이터의 규격이나 형태 또는 제조사에 따라 연결대의 전단 결합위치나 장착구조물의 결합위치가 바뀌더라도 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연결대의 후단 결합위치를 변경시켜 줄 수 있게 되며, 모든 로터베이터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45)은 연결대 브라켓(40)을 지지프레임(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모두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45)은 고정볼트(46)와, 이 고정볼트(46)에 나선결합되어 고정볼트(46)를 연결대 브라켓(4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4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46)는 U형 또는 ㄷ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연결대 브라켓(40)에 끼워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대 브라켓(40)에는 상기 고정볼트(46)가 끼워지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써레판(50)은 지지프레임(20)의 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공(55)을 형성하도록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힌지축(57)으로 결합되어 상하회동되게 설치된다.
중앙써레판(50)은 지지프레임(20)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써레판프레임(51)과, 이 써레판프레임(51)의 후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써레날(5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사이에 배수공(55)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써레작업시 무논의 물이 배수공(55)을 통해 후방으로 배수되어 지며, 따라서 종래 제대로 배수가 되지 않은 물이 외측으로 밀려나가 물과 함께 흙이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평탄성 저하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써레판(50)은 1개로 형성되거나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2개로 분할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2개로 분할된 상태에서는 파손발생시 해당부분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부품비용은 물론 수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외측써레판(25)도 지지프레임과 중앙써레판의 사이에 배수공(55)이 형성되게 힌지결합된 구조와 같이, 별도로 외측프레임을 구비하여 지지프레임에 외측프레임을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접혀지게 힌지결합하고, 이 외측프레임에 이격되게 외측써레판을 구비하여 그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스토퍼(60)는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이상 상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해주기 위한 구비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부스토퍼(60)를 중앙써레판(50)의 양측 전단에 위치되게 각각 하나씩 형성하였다.
따라서, 중앙써레판(50)이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일정 각도에서 상기 상부스토퍼(60)가 지지프레임(20)에 지지되면서 중앙써레판의 상방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는 하부스토퍼(65)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스토퍼(65)는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해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는 하부스토퍼(65)를 지지프레임(20)의 후단 양측 하부에 위치되게 각각 하나씩 형성하였다.
따라서, 중앙써레판(50)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일정 각도에서 중앙써레판의 써레판프레임이 상기 하부스토퍼(65)에 지지되면서 중앙써레판의 하방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스토퍼(65)의 전단은 이물질 등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외부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중앙써레판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동제한수단이 구비된다.
회동제한수단은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을 서로 연결하여 중앙써레판(50)의 회동을 제한해주는 것이며, 예로서 스프링이나 전단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앙써레판이 2개로 분할되어 구비될 경우에 회동제한수단은 각각의 중앙써레판의 다소 외측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트랙터가 후진할 때 써레판이 어느 한쪽으로 쳐진 상태에서 무논에 박히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때 박히는 쪽에 충격이 집중되게 되는데 충격이 집중된 쪽에 회동제한수단이 있지 않고 반대편에 있다면 원활하게 중앙써레판이 하방회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프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7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70)은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써레판프레임(51)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중앙써레판(50)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되며, 중앙써레판(50)에 외부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인장력에 의해 중앙써레판(50)이 상방회동된 상태로 하방회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장스프링(70)은 트랙터가 후진과정에서 부주의 등으로 인해 중앙써레판이 무논에 박히는 경우에 그 충격에 의해 신장되면서 중앙써레판이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고, 충격이나 압력이 해소되었을 때 중앙써레판이 다시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70)의 연결을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에는 각각 스프링브라켓(23,53)이 형성되며, 각 스프링브라켓에는 인장스프링의 연결을 위해 고리 또는 구멍이 형성된다.
첨부 도면에서는 중앙써레판(50)에 형성된 스프링브라켓(53)에는 스프링고정홀(54)을 형성하여 인장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였고,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스프링브라켓(23)에는 걸림고리(24)를 형성하여 인장스프링의 타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중앙써레판(50)의 스프링브라켓(53)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홀(54)은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인장스프링(70)의 일단부 연결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장공에서 상기 인장스프링(70)의 일단부 연결위치가 가변되면, 상기 인장스프링(70)이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아 그만큼 탄성한도를 넘지 않게 되어 인장스프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중앙써레판(50)의 상하방향 회동동작시 인장스프링(70)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장스프링 외에도 토션스프링이나 비틀림스프링을 적용하여 회동을 제한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이나 비틀림스프링은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힌지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하여 중앙써레판에 외부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중앙써레판이 상방회동된 상태로 유지시켜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게 제한시켜 주면 된다.
도 8 및 도 9는 회동제한수단으로서 전단볼트(75)가 설치된 도면이다.
전단볼트(75)는 힌지축(57)이 결합되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힌지용 브라켓에 결합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써레판(50)의 상부와 지지프레임(20)의 대응되는 일부분에 별도로 브라켓을 구비하여 전단볼트를 결합할 수 있다.,
전단볼트(75)는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전단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전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단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중앙써레판(50)의 회전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고, 외부압력에 의해 전단볼트가 전단된 경우에는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중앙써레판(50)이 힌지축(57)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전단볼트(75)와 같이 전단되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방식외에도 공지의 R핀을 이용하여 끼움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R핀이 빠져나오면서 끼움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힌지축(57)을 중심으로 하방회동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는 지지프레임과 중앙써레판이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써레작업시 무논의 물이 배수공을 통해 후방으로 배수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물을 최소화시켜주어 물과 함께 휩쓸려나가는 흙의 이동을 줄여주어 평탄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특히, 지지프레임이 중앙써레판과 이격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에는 별도의 구조물이나 부품의 부착없이 연결대만이 고정됨에 따라 연결대의 결합위치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지지프레임 상의 어디에도 결합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연결대 간의 폭조절은 물론 위치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로터베이터의 제조사나 규격 또는 형태에 따라 연결대의 결합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모든 로터베이터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써레판이 외부가압력 발생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트랙터의 후진과정에서 중앙써레판이 무논에 박히게 되는 등 외부압력 발생시에도 후진 충격 방향에 관계 없이 중앙써레판의 파손이 방지되며, 파손된 경우에는 다른 부품(신축실린더, 연결대, 외측써레판)의 분해없이 파손된 중앙써레판만을 분해조립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쉬우며, 특히 종래에는 써레전체를 로터베이터에서 분리한 후 신축실린더나 연결대의 분리는 물론 외측써레판의 분리작업 등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파손이 발생된 중앙써레판만 교체하는 것임에 따라 부품비용과 수리비용을 대폭 줄여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 장착구조물
10: 연결대 20: 지지프레임
21: 실린더브라켓 22: 고정축
23: 스프링브라켓 24: 걸림고리
25: 외측써레판 26: 연결링크
30: 신축실린더 40: 연결대 브라켓
45: 브라켓 고정수단 46: 고정볼트
47: 고정너트 50: 중앙써레판
51: 써레판프레임 52: 써레날
53: 스프링브라켓 54: 스프링고정홀
55: 배수공 57: 힌지축
60: 상부스토퍼 65: 하부스토퍼
70: 인장스프링 75: 전단볼트

Claims (9)

  1. 로터베이터 또는 이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장착구조물(1)에 전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대(10);
    중앙부에 신축실린더의 결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되게 실린더브라켓(21)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외측써레판(25)이 힌지결합되어 접혀지게 마련된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20);
    상기 로터베이터 또는 장착구조물(1)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승하강동작시키는 신축실린더(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브라켓 고정수단(45)으로 상호 간 폭조절 또는 결합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전면 일측에 상기 연결대(1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 브라켓(4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배수공(55)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힌지축(57)으로 결합되어 상하회동되게 설치되는 중앙써레판(50);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이상 상방으로 회동되지 않게 제한하는 상부스토퍼(6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수단(45)은, U형 또는 ㄷ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연결대 브라켓(40)에 끼워지는 고정볼트(46)와, 상기 고정볼트(46)에 나선결합되어 고정볼트(46)를 연결대 브라켓(4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4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 또는 중앙써레판(50)의 복수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65)의 전단 하부는 써레작업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완만하게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중앙써레판(50)과 연결되어 중앙써레판(50)의 회동을 제한해주기 위한 회동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중앙써레판(5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외부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상방회동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에 양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에는 상기 인장스프링(70)의 연결을 위해 각각 스프링브라켓(23,53)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써레판(50)에 형성된 스프링브라켓(53)에는 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스프링고정홀(54)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중앙써레판(50)의 상하방향 회동동작시 상기 인장스프링(70)의 일단부의 연결위치가 가변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중앙써레판(50)의 서로 대응되는 일부분에 형성된 브라켓 또는 상기 힌지축(57)이 결합되는 힌지용 브라켓에 결합되고,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전단되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중앙써레판(50)이 상기 힌지축(57)을 중심으로 하방회동되게 하는 전단볼트(7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써레판(50)은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1020200104345A 2020-08-20 2020-08-20 트랙터용 써레 KR20220022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45A KR20220022988A (ko) 2020-08-20 2020-08-20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345A KR20220022988A (ko) 2020-08-20 2020-08-20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88A true KR20220022988A (ko) 2022-03-02

Family

ID=8081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345A KR20220022988A (ko) 2020-08-20 2020-08-20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98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100393311B1 (ko) 1998-06-12 2003-08-02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디아자-스피로[4.5]데칸 유도체 또는 트리아자-스피로[4.5]데칸 유도체
KR100683424B1 (ko) 2006-04-13 2007-02-22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261B1 (ko) 1997-08-14 1999-11-01 김대호 트랙터용 써레
KR100393311B1 (ko) 1998-06-12 2003-08-02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디아자-스피로[4.5]데칸 유도체 또는 트리아자-스피로[4.5]데칸 유도체
KR100683424B1 (ko) 2006-04-13 2007-02-22 대호 (주) 트랙터용 써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72572B2 (en) Agricultural machine
KR100742099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019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US10687454B2 (en) Carrier arm assembly and agricultural machine including carrier arm assembly
KR101623386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220022988A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37390B1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0398597B1 (ko) 자동절첩식 광폭 써레
US5538086A (en) Variable orientation attachment implement
KR20130081110A (ko) 트랙터용 써레
KR100228261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368466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써레
US2793577A (en) Tractor-attached tool bar-support mechanism
CN220768107U (zh) 建筑基坑支护可调节锚杆
KR101398588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CN1274519A (zh) 农业用耙机
KR101035539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지지장치
KR20190127340A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0448965B1 (ko) 트랙터용 쟁기
KR102555574B1 (ko) 로터베이터용 흙 이동장치
CN215912448U (zh) 一种安全性能较高的旋耕机的自平衡装置
KR200280331Y1 (ko) 써레판 연결구조
KR20110083173A (ko) 트랙터용 써래
KR20240014693A (ko) 트랙터용 써레
JP2003325004A (ja) 農作業機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