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424B1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424B1
KR100683424B1 KR1020060033499A KR20060033499A KR100683424B1 KR 100683424 B1 KR100683424 B1 KR 100683424B1 KR 1020060033499 A KR1020060033499 A KR 1020060033499A KR 20060033499 A KR20060033499 A KR 20060033499A KR 100683424 B1 KR100683424 B1 KR 10068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arrow
tractor
lifting ro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6003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10Lifting or clea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써레판의 제2 브래킷을 비교적 넓은 폭으로 마련함으로써,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여타의 작업기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써레를 장착하고자 할 때 승강로드의 폭을 쉽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베이터 상부의 써레장착용 브래킷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에 형성된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신축실린더와, 상기 써레 장착용 브래킷의 좌우 양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2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그 폭이 상기 승강로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설치 위치가 제2 브래킷의 폭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써레, 브래킷, 광폭, 부싱, 폭 조절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harrow for tractor}
도 1은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트랙터용 써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에서 승강로드가 써레장착용 브래킷에 따라 써레판의 제2 브래킷에 연결 설치된 일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트랙터 B: 로터베이터
10: 써레장착용 브래킷 20: 신축실린더
22: 실린더링크 30: 승강로드
31: 승강로드링크 31c: 핀
31d: 부싱 40: 써레판
41: 중앙 써레판 42: 외측 써레판
43: 써레날 44: 제1 브래킷
45: 제2 브래킷 46 : 폭조절구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여타의 작업기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써레를 장착하고자 할 때 승강로드의 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써레판의 제2 브래킷이 광폭으로 마련되어 있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후방에는 3점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피티오(PTO: power take-off)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경운작업을 하는 로터베이터(rotavator)가 설치되며, 이 로터베이터에는 무논정지작업을 위한 작업기가 설치되는데 이를 트랙터용 써레라 한다. 이러한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가 전진할 때 무논을 평탄하게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근래에는 여기에 트랙터가 후진할 때에도 흙을 밀어 무논을 평탄하게 하는 구성이 부가된 것들도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트랙터용 써레의 제조사를 비롯한 로터베이터의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사양의 제품이 출하되고 있고, 대부분의 로터베이터는 그 상부 횡축 등에 각종 작업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로타베이터 상부에 써레를 설치하는데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킨 것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받은 "써레장착용 구조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98702호에 제시되어 있는 데, 이는 폭 조절로드가 횡축에 평행하면서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로터베이터의 횡축 양쪽에 장착되는 프레임취부용 브래킷과, 상기 폭 조절로드를 센터로드로 감싸거나 삽입하여 고정함은 물론 실린더를 힌지 결합할 수 있는 실린더취부용 브래킷으로 마련된 것이어서 횡축 상의 일체형 브래킷에 다른 작업기를 장착한 경우에도 폭 조절로드의 폭을 조절하여 프레임취부용 브래킷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공보의 써레장착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프레임취부용 브래킷에 연결 결합되는 승강로드가 프레임취부용 브래킷에 설치위치에 따라 그 설치 폭이 가변되는 것이긴 하나, 상기 써레판과 결합되는 승강로드 쪽에서는 써레판 양측의 폭 조절브래킷에서 볼트 등을 풀어 빼고 폭 조절브래킷을 써레판의 내외측 소정위치로 변경한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하므로 승강로드의 조립 폭 조절을 위한 폭 조절브래킷의 위치변경이 번거롭고 그 구성 또한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7571호에는 로터베이터에 써레장착용 브래킷을 장착하고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에 트랙터용 써레를 장착한 후 승강로드의 조립 폭 조절을 위한 폭 조절브래킷의 위치변경이 가능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의 주요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그 특징은 연결대에 스윙조절 볼트와 움직임방지용 너트로 높이조절 브래킷이 결합되고 이 높이조절 브래킷에는 써레판의 양측에 폭 조절브래킷이 마련되며, 이 폭 조절브래킷에 끼움 봉을 끼워 써레판에 설치하되 이 끼움봉의 위치를 이동시켜 설치함으로써 승강로드의 조립 폭 조절을 위한 폭 조절브래킷의 써레판에 대한 위치변경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의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도, 써레판 양측의 폭 조절브래킷에서 끼움 봉을 풀어 빼고 폭 조절브래킷을 소정위치로 변경한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하므로 여전히 승강로드의 조립 폭 조절을 위한 폭 조절브래킷의 위치변경이 번거롭고 그 구성 또한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대와 높이조절브래킷을 체결한 스윙조절볼트와 움직임방지용 너트가 풀려 느슨해지면 써레판이 심하게 유동되고 이로 인하여 심지어는 오작동이 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강로드와 연결되는 제2 브래킷의 폭이 상기 승강로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설치 위치가 제2 브래킷의 폭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과 폭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승강로드가 제2 브래킷에 연결될 때, 그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 또는 폭 조절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승강로드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써레판과 승강로드가 핀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써레판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터베이터 상부의 써레장착용 브래킷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에 형성된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신축실린더와, 상기 써레 장착용 브래킷의 좌우 양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2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그 폭이 상기 승강로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설치 위치가 제2 브래킷의 폭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로드와 제2 브래킷이 힌지 결합된 경우 그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브래킷과 승강로드 사이에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로드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2 브래킷의 힌지 핀과 힌지 결합된 승강로드링크를 더 구비한 경우, 상기 제2 브래킷의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링크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싱이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한쪽 또 는 양쪽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이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그 길이가 동일한 것이거나 그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브래킷에 적어도 3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브래킷과 승강로드 사이에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로드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2 브래킷의 힌지 핀과 힌지 결합된 승강로드링크를 더 구비한 경우, 상기 제2 브래킷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로터베이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트랙터용 써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에서 승강로드가 써레장착용 브래킷에 따라 써레판의 제2 브래킷에 연결 설치된 일예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A)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베이터(B)의 횡축(B1)에 장착된 써레장착용 브래킷(10)에 설치되고,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10)과 그 중앙에 신축실린더(20)(여기에서 신축실린 더가 2개일 경우 좌우로 배치된다)를, 좌우에 복수 개의 승강로드(30)를 구비하여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축실린더(20)의 타단과 상기 승강로드(30)의 타단은 각각 제1 브래킷(44) 및 제2 브래킷(45)을 통하여 써레판(40)과 힌지 결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는 로터베이터(B)의 횡축(B1)에 장착된 써레장착용 브래킷(10)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40)에 형성된 제1 브래킷(44)과 힌지 결합된 신축실린더(20)와,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좌우 양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4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2 브래킷(45)과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로드(30)로 기본적인 구성을 이룬다. 상기 써레판(40)은 중앙에 위치한 중앙 써레판(41)과, 이 중앙 써레판(41)의 좌우측에는 외측 써레판(4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써레판(41,42)들에는 후방으로 써레날(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써레판(40)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1 브래킷(44)과 신축실린더(20)의 사이에는 실린더링크(22)가 구비되어 있고, 이 실린더링크(22)는 3개의 연결점, 즉 제1 내지 제3의 연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각 연결점에는 핀 또는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점은 상기 실린더링크(22)의 상부에서 상기 신축실린더(20)의 일단부와 힌지 핀(23)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이고, 제2 연결점은 상기 실린더링크(22)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브래킷(44)의 일단부와 힌지 핀(24)을 통해 힌지 결합된 것이며, 제3 연결점은 상기 실린더링크(22)의 측판(32) 중간 위치의 측면에 스토퍼 핀(25)으로 연결되어지되 이 스토퍼 핀(25)이 상기 제1 브래킷(44)에 형성된 호형의 장홀(44a)과 결합되어 제3 연결점의 스토퍼 핀(25)이 장홀(44a)의 홈 형상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장홀(44a)의 양단부에서 그 이동이 제한받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링크(22)가 상기 장홀(44a)이 형성된 제1 브래킷(44)에서 작동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45)과 승강로드(30) 사이에는 승강로드링크(3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승강로드링크(31)는 양측에 대략 'ㄱ'자 형상으로 된 측판(32)과, 양측의 측판(32)을 사이에 두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힌지 핀(31a, 31b)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힌지 핀(31b)은 승강로드(30)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단부의 힌지 핀(31a)은 제2 브래킷(45)과 핀(31c)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드링크(31)는 그 하단부가 승강로드(30)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2 브래킷(45)과 핀(31c)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ㄱ'자 형상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래킷(45)에는 승강로드링크(3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승강로드(30)에 대하여 써레판(40)과 승강로드링크(31)가 상부로 꺾임을 제한하기 위한 상한스토퍼(45b)가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로드링크(31)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2 브래킷(45)에 신축실린더가 신장될 때 상기 써레판(40)의 세움 각도가 어느 정도에 이르면 상기 승강로드(3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긴 홈의 형상으로 된 승강로드 안내장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30)와 제2 브래킷(45)의 힌지 결합점에는 써레각도를 제한하는 써레각도제한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써레각도 제한 스토퍼는 상기 승강로드(30) 상에 고정 설치된 제한브래킷(33)과, 상기 제한브래킷(33)을 관통하여 제2 브래킷(45)의 힌지 핀 상에 그 일단이 결합된 제한로드(34)와, 상기 제한로드(34)의 타단에는 상기 제한로드(34)의 이동을 제한하고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수단(35)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브래킷(45)은 그 폭이 상기 승강로드(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30)의 설치 위치가 제2 브래킷(45)의 폭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브래킷(45)의 폭은 상기 승강로드(30)의 장착 폭의 가변 범위에 따라 정할 수 있으나, 대략 승강로드 폭의 대략 2-4배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브래킷(45)에 상기 승강로드(3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2 브래킷(45)과 승강로드(30) 사이에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로드(30)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2 브래킷(45)의 힌지 핀과 힌지 결합된 승강로드링크(31)를 더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브래킷(45)의 힌지 결합점인 핀(31c)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링크(31)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31d)을 설치하여 연결하면 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30)가 제2 브래킷(45)에 직접 힌지 결합된 경우 그 힌지 결합점인 핀(31c)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30)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31d)을 설치하여 연결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장착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승 강로드(30)를 그 장착 폭에 따라 상기 로터베이터(B)의 횡축(B1)에 형성된 써레장착용 브래킷(10)에 장착하고 상기 승강로드(30)의 타단을 써레판(40)에 결합하면 되는데,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이 써레 장착 폭을 가변할 수 없는 구조일 경우 우선 상기 복수개의 승강로드(30)를 그 장착 폭에 따라 상기 로터베이터(B)의 횡축(B1)에 형성된 써레장착용 브래킷(10)에 장착하고, 그 뒤 상기 장착 폭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30)의 타단을 상기 써레판(40)에 결합하기 위하여 제2 브래킷(45)의 힌지 결합점인 핀(31c)의 중심선방향으로 부싱(31d) 등을 사용하여 장착 폭을 조절하면 된다. 한편,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이 써레 장착 폭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일 경우 상기 승강로드(30)를 순서에 관계없이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10)과 제2 브래킷(45)의 장착 폭을 조절하면 된다.
상기 제2 브래킷(45)의 힌지 결합점인 핀(31c)의 중심선방향으로 부싱 등을 사용하여 장착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핀(31c)에는 써레판(40)과 승강로드(30)가 핀(31c)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31d)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4,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31d)은 2개로 되어 있고 그 부싱(31d)들은 동일한 길이로 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2개의 부싱을 설치할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로터베이터(B) 상부의 횡축(B1)에 도 4와 같이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이 넓게 장착될 경우, 상기 승강로드(30)와 제2 브래킷(45)이 연결되는 핀(31c)에는 2개의 부싱(31d)이 상기 승강로드(30)가 위치한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끼워 조립하면 되며, 이로 인하여 승강로드(30)와 써레판(40)은 핀(31c)의 중심선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로터베이터(B) 상부의 횡축(B1)에 도 5a와 같이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이 좁게 장착될 경우, 승강로드(30)와 제2 브래킷(45)이 연결되는 핀(31c)에는 2개의 모든 부싱(31d)이 상기 승강로드(30)가 위치한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끼워 조립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베이터(B) 상부의 횡축(B1)에 도 5b와 같이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이 넓지도 좁지도 않게 장착될 경우, 승강로드(30)와 제2 브래킷(45)이 연결되는 핀(31c)에는 상기 승강로드(30)가 위치한 양쪽에 각각 하나의 부싱(31d)을 끼워 조립하면 된다.
위와 같이 부싱(31d)이 그 길이가 동일한 2개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2개의 부싱 길이를 다르게 마련하거나 길이가 동일한 3개의 부싱(31d)으로 설치하면 상기 승강로드(30)의 장착 폭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핀(31a)은 제2 브래킷(45)과 연결을 위하여 힌지 결합점인 핀(31c)을 관통시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공의 핀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부싱(31d)은 큰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그 소재에 대한 구애받음 없이 강재, 비철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파이프로 되는 것이면 좋고, 또한 상기 부싱(31d)은 상기 핀(31a)이 힌지결합점인 핀(31c)과 함께 상기 핀(31a)에 끼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핀(31a)이 힌지결합점인 핀(31c)과 끼워 결합된 뒤, 그 일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부싱(31d)을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핀(31a)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의 단면은 용이하게 끼워지고 잘 빠지지 않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로터베이터(B)의 써레장착용 브래킷(10)에 장착 가능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A) 후방에 연결 설치된 로터베이터(B)의 써레장착용 브래킷(10)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로터베이터(B) 상부의 횡축(B1)에 장착된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 넓이에 따라 승강로드(30)와 제2 브래킷(45)이 연결되는 핀(31c)에 설치되는 2개의 부싱(31d)을 적합하게 배열하여 조립하면 된다.
상기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이 넓게 장착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써레판(40)의 중앙 쪽에 위치되도록 승강로드링크(31)의 한쪽에 끼워 조립하면 되고,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이 좁게 장착된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2개의 모든 부싱(31d)이 써레판(40)의 양쪽단부에 위치되도록 승강로드링크(31)의 한쪽에 끼워 조립하면 되며, 써레장착용 브래킷(10)의 폭이 넓지도 좁지도 않게 장착된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승강로드링크(31)의 양쪽에 각각 하나의 부싱(31d)을 끼워 조립하면 된다. 이렇게 승강로드(30)와 제2 브래킷(45)이 연결되는 핀(31c)에 부싱(31d)을 조립함으로써 승강로드(30)와 써레판(40)은 핀(31c)의 중심선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의 상단부에 여러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구(46)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로드(30)의 장착 폭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폭조절구(46)는 여러 개의 홈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2 브래킷(45)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드(30)의 장착 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승강로드(30)를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에 두고, 상기 승강로드(30)와 결합된 상기 승강로드링크(31)의 상단부를 상기 폭조절구(46)에 형성된 홈에 끼워 고정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30)와 결합된 상기 승강로드링크(31)의 상단부를 상기 폭조절구(46)에 형성된 임의의 홈에 끼워 고정 결합하게 함으로써 상기 승강로드(30)의 장착 폭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폭조절구(46)에 형성된 홈은 상기 제2 브래킷(45)의 폭 및 상기 승강로드의 폭 조절 가변 범위에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그 개수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30)가 제2 브래킷(45)에 직접 힌지 결합된 경우, 제2 브래킷에 여러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구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로드(30)의 장착 폭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는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여타의 작업기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써레를 장착하고자 할 때 승강로드의 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로터베이터(B)에 장착한 뒤 트랙터(A)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트랙터용 써레에 의하여 정지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 의하면, 승강로드와 결합되는 제2 브래킷의 폭을 상기 승강로드의 폭 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제2 브래킷에 연결될 때 제2 브래킷의 폭 범위 내에서 가변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로터베이터에 설치된 여타의 작업기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써레를 장착하고자 할 때 승강로드의 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로드가 제2 브래킷에 연결될 때, 그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 또는 폭조절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승강로드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써레판과 승강로드가 핀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써레판의 연결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로터베이터 상부의 써레장착용 브래킷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에 형성된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신축실린더와, 상기 써레 장착용 브래킷의 좌우 양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써레판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2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그 폭이 상기 승강로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설치 위치가 제2 브래킷의 폭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와 제2 브래킷이 힌지 결합된 경우 그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이 설치되는 것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과 승강로드 사이에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로드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2 브래킷의 힌지 핀과 힌지 결합된 승강로드링크를 더 구비한 경우, 상기 제2 브래킷의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방향에 대하여 상기 승강로드링크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힌지 결합점의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이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그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6.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이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그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과 승강로드 사이에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로드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제2 브래킷의 힌지 핀과 힌지 결합된 승강로드링크를 더 구비한 경우, 상기 제2 브래킷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1020060033499A 2006-04-13 2006-04-13 트랙터용 써레 KR10068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99A KR100683424B1 (ko) 2006-04-13 2006-04-13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99A KR100683424B1 (ko) 2006-04-13 2006-04-13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424B1 true KR100683424B1 (ko) 2007-02-22

Family

ID=3810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99A KR100683424B1 (ko) 2006-04-13 2006-04-13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4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86Y1 (ko) 2008-03-11 2009-07-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CN102007833A (zh) * 2010-09-20 2011-04-13 杨汉钦 手扶拖拉机耙田装置
KR101163849B1 (ko) 2009-11-27 2012-07-09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
CN110121958A (zh) * 2019-06-25 2019-08-16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农耕用组合设备连接架
KR20220022988A (ko) 2020-08-20 2022-03-02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86Y1 (ko) 2008-03-11 2009-07-07 김필수 트랙터용 써레
KR101163849B1 (ko) 2009-11-27 2012-07-09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
CN102007833A (zh) * 2010-09-20 2011-04-13 杨汉钦 手扶拖拉机耙田装置
CN102007833B (zh) * 2010-09-20 2014-01-08 杨汉钦 手扶拖拉机耙田装置
CN110121958A (zh) * 2019-06-25 2019-08-16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农耕用组合设备连接架
KR20220022988A (ko) 2020-08-20 2022-03-02 제트스타 주식회사 트랙터용 써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424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42099B1 (ko) 트랙터용 써레
US7784558B2 (en) Three point hitch
KR200413756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유압식 연결장치
US20050095104A1 (en) Quick attachment system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398702B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007323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KR101107200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450099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0737390B1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WO2002011518A3 (en) Harrow for tractor
KR101482546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638015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US4054177A (en) Trip beam linkage
US4487267A (en) Agricultural apparatus with tool supported thereon and wheel adjustment structure therefor
CN113795632A (zh) 作业机
KR200436271Y1 (ko)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KR101687192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AU761144B2 (en) Spring trip standard with positive stop
KR20220140202A (ko)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JP4417126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作業機連結装置
KR200224960Y1 (ko) 써레장치용 써레날 연결대
KR101914364B1 (ko) 트랙터용 작업기 결속장치
KR20130093386A (ko) 트랙터용 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