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271Y1 -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71Y1
KR200436271Y1 KR2020070005872U KR20070005872U KR200436271Y1 KR 200436271 Y1 KR200436271 Y1 KR 200436271Y1 KR 2020070005872 U KR2020070005872 U KR 2020070005872U KR 20070005872 U KR20070005872 U KR 20070005872U KR 200436271 Y1 KR200436271 Y1 KR 200436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bracket
frame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동
Original Assignee
정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동 filed Critical 정길동
Priority to KR2020070005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ploughs or like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결합되어 써레 또는 배토기 등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 로터베이터의 종류나 써레 또는 배토기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간단히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착대의 양측으로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을 고정시켜 장착대가 횡축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장착대에는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결합시키되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은 장착대를 타고 좌우로 이동하며 고정되게 하며,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에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장착대의 중앙은 상부로 돌출시켜 실린더장착용 브래킷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이동시켜가며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을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써레, 브래킷, 장착대, 프레임

Description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Installation flame for tractor}
도 1은 기존의 장착구조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장착구조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착대를 낮춘 상태의 요부 측면 및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착대를 높인 상태의 요부 측면 및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착대취부용 브래킷과 장착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장착용 이동브래킷과 프레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장착용 이동브래킷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장착용 이동브래킷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장착용 이동브래킷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장착용 이동브래킷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장착용 이동브래킷 또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횡축 15 : 프레임
20 : 장착대취부용 브래킷 25 : 고정구
30 : 장착대 31 : 장착판
40 : 실린더취부용 브래킷 50 : 장착용 이동브래킷
51 : 끼움홈 53 : 고정볼트
55 : 고정판 57 : 결합구
60 : U볼트
본 고안은 트랙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결합되어 써레 또는 배토기 등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 로터베이터의 종류나 써레 또는 배토기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간단히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트랙터에는 땅을 갈고 평탄하게 골라주는 로터베이터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로터베이터의 상부에 위치한 횡축을 이용하여 써레 또는 배토기 장착틀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나, 로터베이터와 써레및 배토기의 제조사가 다를 경우 장착위치가 서로 다름은 물론 횡축에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조물이 있을 경우 이를 피하여 장착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특 허 제 398702호로 등록된 "트랙터용 써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에 장착된 로터베이터 상단의 횡축(1)에 결합된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에는 써레용 프레임(5)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은 횡축(1)의 양쪽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 사이는 실린더취부용 프레임(6)을 연결하되 상기 실린더취부용 프레임(6)의 중앙에는 실린더취부용 브래킷(7)을 고정시키고, 상기 실린더취부용 프레임(6)은 로터베이터의 횡축(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편 센터로드(6a)와 폭조절로드(6b)로 분할 형성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좌우로 이동시켜 가며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에는 써레 프레임(5) 또는 배토기 프레임이 장착 된다.
상기 된 선 등록 특허는 센터로드(6a)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여, 로터베이터의 종류에 따라 로터베이터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기어박스가 높을 경우 센터로드(6a)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로터베이터의 횡축(1)에 결합 고정시키게 되나, 횡축(2)에는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4)이 좌우로 설치되어 있어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이 고정 구조물(4)의 위치에 따라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되나, 이 경우 고정 구조물(4)이 횡축(1)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완전히 분리한 후 재조립 고정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로터베이터의 횡축(2)에 고정시켜 써레용 프레임(5) 또는 배토기용 프레임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으로, 써레 또는 배토기의 제조 회사에 따라 프레임의 폭이 서로 다는 문제가 따르게 되어 이를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의 위치를 프레임의 폭에 따라 변화시켜 주어야 하나, 상기 된 선등록 특허에서는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이동시킬 때 로터베이터의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4)에 걸려 이동이 원활치 않은 경우가 발생하여 횡축(1)에서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일부만 풀어 이동시키지 못하고 전부를 풀어준 후 고정구조물(4)을 건너서 위치를 이동시킨 후 재조립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선 등록 특허는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이용하여 써레를 장착할 수 있으나, 상기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이용하여 배토기용 장착틀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의 위치를 배토기 장착틀의 규격에 따라 이동하여 고정시켜야 하고, 이 과정에서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이 횡축(1)의 고정 구조물(4)과 위치가 서로 같아질 경우 배토기 장착틀을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의 위치가 고정구조물(4)을 넘어서 이동할 경우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완전히 풀어준 후 재 장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이용하여 써레와 배토기의 프레임을 결합시킬 경우 써레와 배토기 제조회사에 따라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이 고정구조물(4)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로터베이터 횡축의 상부에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장착대를 고정시키되 상기 장착대의 양측에서 장착대취 부용 브래킷을 설치하여 횡축에 장착대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장착대에는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결합시켜 장착용 이동브래킷의 위치를 이동시켜가며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착대를 횡축에 결합시킨 후에는 장착용 이동브래킷의 위치를 변화시켜가며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도록 하여 장착용 프레임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착대의 양측으로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을 고정시켜 장착대가 횡축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장착대에는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결합시키되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은 장착대를 타고 좌우로 이동하며 고정되게 하며,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에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장착대의 중앙은 상부로 돌출시켜 실린더장착용 브래킷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이동시켜가며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을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장착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도록 하여 로터베이터의 종류에 따라 간단히 조절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장착대의 중앙은 로터베이터의 기어박스에 걸리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되는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결합되어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로터베이터의 규격과 써레 및 배토기의 규격이 제조회사별로 상이하더라도 간편하게 장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장착대를 결합 고정시키되 상기 횡축의 상측으로 일정높이를 두고 장착대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상기 장착대의 양측에는 장착판을 일정 넓이로 고정시키고, 상기 장착판에는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을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은 횡축에 고정시키며, 상기 장착대에는 장착용 이동 브래킷을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편 장착대의 중앙에는 실린더취부용 브래킷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은 횡축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에는 장착대의 양측에 고정된 장착판을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장착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장착대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한다.
장착대에는 중앙이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실린더취부용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한편 장착대에는 좌우로 이동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장착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 프레임을 장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착대(30)는 중앙이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로터베이터의 중앙에 위치한 기어박스(11)의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한편 장착대(30)의 중앙 상부에는 실린더취부용 브래킷(40)을 설치하여 써레 또는 배토기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들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대(30)의 양쪽에는 일정 넓이의 장착판(31)을 고정시키고, 상기 장 착판(31)에는 양측으로 동일 높이를 갖고 고정볼트(33)가 끼워지는 볼트구멍(32)을 다단으로 형성하며, 상기 장착판(31)에는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을 고정볼트(33)로 고정시키되 상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에도 고정볼트(33)가 끼워지는 볼트구멍(21)을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착판(31)과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의 볼트구멍(32)(21) 위치를 조절하여 장착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은 횡축(10)의 하부를 감싸는 고정구(25)에 결합구(22)가 끼워지게 한 후 너트(23)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에 장착판(31)의 높이를 조절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장착대(30)에는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을 설치하되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50)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장착대(30)가 일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51)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양측에는 고정파이프(52)를 상하로 위치하게 용접 고정한 후 상기 고정파이프(52)에는 고정볼트(53)를 끼워주며, 상기 고정볼트(53)는 장착대(50)의 후방에 대주는 고정판(55)을 관통하여 너트(54)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양측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파이프(52)는 고정볼트(53)가 장착대(30)의 상부와 하부에 근접되어 끼워지게 하며, 상기 고정볼트(53)에 고정판(55)을 끼워 너트(54)로 고정시키면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이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50)에는 전방으로 결합구(57)를 형성시켜 써레 프레임(15)이나 배토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장착용 이동브래킷(50)에는 고정파이프(52)를 고정시키지 않고, 양측에 U볼트(60)를 고정하거나, 몸체는 사각 형태를 갖는 사각볼트(70)를 용접 고정시켜도 무방한 것으로, 상기 U볼트(60)나 사각볼트(70)는 장착용 이동브래킷(50)에서 장착대(30)의 상부와 하부가 근접되게 고정된 후 고정판(55)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은 로터베이터의 횡축(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횡축(10)에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구조물(12)을 피하여 횡축(10)에 고정구(25)를 끼워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구조물(12)은 로터베이터의 커버(13)를 횡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인 것으로, 고정구조물(12)에 의하여 이동에 방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
즉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은 횡축(10)에 고정되는 것으로, 횡축(10)에 고정되어 커버(13)를 고정시키는 장착용 브래킷(12)을 피하여 고정되게 하며, 본 고안의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은 한 번 고정시킨 후에는 써레 또는 배토기를 장착시킴에 관계없이 그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게 된다.
로터베이터의 횡축(10)에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을 고정시킨 후에는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에 장착대(30)의 양쪽에 고정된 고정판(31)을 대고 고정볼트(33)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에 고정되는 고정판(31)의 위치를 달리하여 고정시킬 경우 장착대(3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이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을 고정시킨 후 장착대(30)를 고정시키지 않고, 반대로 장착대(30)의 고정판(31)에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을 고정시킨 후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을 횡축(10)에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장착대(30)가 횡축(10)의 상부에 장착되면 써레 프레임(15)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을 상하로 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에는 실린더취부용 브래킷(40)과 써레 또는 배토기 장착틀과의 사이에 설치하도록 하고, 유압실린더의 설치가 완료되면 써레 프레임(15)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한 좌우 위치가 결정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착대(30)에 느슨하게 결합된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고정볼트(53)를 이용하여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좌우 이동이 방지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결합구(57)에 프레임(15)을 결합시킴으로써 써레 프레임(15)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장착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대신에 장착대(30)에 결합되는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위치를 이동시켜 써레 프레임(15)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써레 또는 배토기의 제조회사에 따라 프레임(15)의 좌우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써레 또는 배토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로터베이터의 횡축(10)에 프레임(15)의 위치를 달리하여 결합시켜 주어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장착대(30)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위치를 변화시켜 규격이 다른 프레임(15)을 간단히 장착시키는 것이다.
특히 고정볼트(53)를 풀어 장착용 이동브래킷(50)과 고정판(55) 사이의 간격을 느슨하게 하면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은 자유롭게 장착대(30)를 타고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써레 프레임(15)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 규격에 따라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위치를 이동시켜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써레나 배토기의 종류에 따라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20)을 이동시키지 않고 장착용 이동브래킷(50)의 이동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횡축(1)에서 프레임취부용 브래킷(2)을 이동시킬 경우 로터베이터의 커버를 횡축(1)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물(4)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본 고안은 로터베이터의 횡축을 이용하여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횡축의 상부에 장착대를 고정시킨 후 장착대에 끼워진 채로 수평 이동하는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이용하여 써레 프레임 또는 배토기의 프레임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써레 또는 배토기의 규격에 따라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이동시킬 때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아 작업이 간편한 이점이 있고, 또한 어느 종류의 후부 작업기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수평이동 시킬 때 자유로운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 간편한 이점과 함께 장착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로터베이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한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로터베이터의 횡축 양쪽에 수직 방향으로 볼트구멍이 형성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을 고정시키고, 상기 장착대 취부용 브래킷 사이에는 장착대의 양측을 볼트로 결합 고정시키되 상기 장착대 취부용 브래킷에 결합되는 장착대의 볼트구멍을 상하 이동시켜 볼트로 고정되게 하며, 상기 장착대에는 전방에서 끼움홈이 형성된 장착용 이동브래킷을 결합시키되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은 장착대에 끼워진 채로 장착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판에 볼트로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에 형성된 결합구에는 프레임을 결합시키며, 상기 장착대의 중앙은 상부로 돌출시킨 후 실린더취부용 브래킷을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2. 제1항에 있어서,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에는 수 개의 볼트구멍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에 결합되고 장착대의 양측에 고정된 장착판에는 수 개의 볼트구멍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장착대취부용 브래킷에 장착판을 결합시킬 때 볼트구멍의 위치를 변화시켜 장착대의 높낮이가 변화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3. 제1항에 있어서, 장착용 이동브래킷에는 단면이 사각인 장착대가 후방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의 전방에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용 이동브래킷의 양측에는 고정파이프를 상하로 위치하게 고정하고, 상기 고정파이프에는 고정볼트를 끼워주며, 상기 고정볼트는 장착대의 후방에 대주는 고정판을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KR2020070005872U 2007-04-10 2007-04-10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KR200436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72U KR200436271Y1 (ko) 2007-04-10 2007-04-10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72U KR200436271Y1 (ko) 2007-04-10 2007-04-10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71Y1 true KR200436271Y1 (ko) 2007-07-13

Family

ID=4163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872U KR200436271Y1 (ko) 2007-04-10 2007-04-10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323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KR200436271Y1 (ko)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KR100683424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37390B1 (ko) 써레 승강 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
KR101450099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WO2012074209A3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1482546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035539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지지장치
KR200445187Y1 (ko) 설치효율이 우수한 써레 장착장치
KR101668674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638015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00044365A (ko)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US7717454B2 (en) Adaptable drawbar support assembly
KR200393311Y1 (ko) 써레의 각도 조절장치
KR102292388B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EP2989882B1 (en) Feederhouse arrangement for mounting a header to a combine
KR20120007007U (ko) 작업기구조물 지지장치
KR200469953Y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20140131204A (ko) 트랙터용 배토기
KR200426488Y1 (ko) 써레 안전장치
KR200347642Y1 (ko) 농용트랙터 로타베이터의 다기능 프래임 구조
KR101687192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20005740A (ko) 트랙터용 써레의 각도 제한장치
EP2614697A3 (en) Agricultural machine having an impact protection
JP4201277B2 (ja) 機器の転倒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