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204A - 트랙터용 배토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배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204A
KR20140131204A KR20130050258A KR20130050258A KR20140131204A KR 20140131204 A KR20140131204 A KR 20140131204A KR 20130050258 A KR20130050258 A KR 20130050258A KR 20130050258 A KR20130050258 A KR 20130050258A KR 20140131204 A KR20140131204 A KR 2014013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charger
support
tra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612B1 (ko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트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6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1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with wheel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01B63/163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with wheel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laterally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배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지지되게 배토기를 구비함으로써 로타리에 배토기의 탈부착과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배토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프레임과, 그 힌지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되는 배토기프레임과, 그 배토기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배토기와, 상기 단위배토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양단부에 상부가 끼움결합되게 설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배토기받침대와, 그 배토기받침대의 하부 일측에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배토기{RIDGING PL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배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지지되게 배토기를 구비함으로써 로타리에 배토기의 탈부착과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배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참외 참깨 등 각종 밭작물은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두둑을 형성하고, 그 위에 비닐의 씌운 후 씨앗이나 어린 묘목을 식재하는 방법으로 재배된다.
두둑을 형성하기 위해 현재는 트랙터 등에 연결하여 두둑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배토기가 보급되고 있다.
트랙터용 배토기의 일 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6631호(2004.07.07,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장치가 결합된 트랙터용 로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은 로타리에 두둑 성형과 비닐을 피복할 수 있는 장치를 결합하여 놓은 기술로서, 로타리 본체 상부에 배토기 프레임이 고정 부착되고, 그 배토기 프레임에 배토판이 부착되며, 배토판의 후방으로 비닐피복장치가 부착되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로타리에 배토판 및 비닐피복장치를 결합시키는 경우, 여러명의 작업자가 배토기 프레임을 포함하여 배토판 및 비닐피복장치를 들어 로타리와 결합시켜야 함에 따라 탈부착작업이 불편함과 아울러 번거롭고, 특히 작업자 혼자서는 탈부착작업이 어려워 작업상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분리된 상태에서 배토기를 보관하다가 다시 위치를 이동 보관하는 경우에도 배토기의 중량으로 인해 지게차나 로더를 이용하여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큰 트랙터가 창고 등 좁은 실내로 진입하기 어려워 배토기를 실외에서 분리하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눈이나 비바람에 노출됨으로써 배토기의 제품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비닐피복기의 특성상 바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바퀴는 비닐피복작업시 이동을 원활히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피복되는 비닐의 상측을 눌러주도록 하여 비닐피복작업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배토기 및 피복장치를 지지하는 역할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에는 배토기를 지지하여 로타리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토기받침대 및 캐스터의 설치로 인해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배토기의 탈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배토기받침대를 배토기프레임의 양단부에 끼움결합하여 설치함에 따라 배토기에 간섭받지 않은 채 배토기받침대의 탈부착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배토기의 분리 후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토기받침대를 배토기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회동동작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배토기의 탈부착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휨 등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하부지지대의 길이조절을 통해 캐스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배토기의 규격 및 무게중심의 변경 또는 현장여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트랙터용 배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프레임과, 그 힌지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되는 배토기프레임과, 그 배토기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배토기와, 상기 단위배토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양단부에 상부가 끼움결합되게 설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배토기받침대와, 그 배토기받침대의 하부 일측에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토기받침대는,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는 결합대와, 그 결합대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대와, 그 상부지지대의 하단에 지면과 수평 또는 일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캐스터는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토기프레임은 상기 결합대가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거나 양단부에 중공의 프레임브라켓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대는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단부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토기프레임과 결합대는 일정 유격을 갖도록 서로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대에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배토기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회동되도록 장방형의 결합대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의 결합형상은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 '┗', '┛', '
Figure pat00001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캐스터가 구비된 제1지지대와, 그 제1지지대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인출길이가 조절되게 고정되고 타단에 캐스터가 구비된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배토기프레임에 대해 직교 또는 전단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토기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너트와, 그 고정너트에 나사결합되어 배토기프레임을 통해 배토기받침대의 내부로 인입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트랙터용 배토기에 따르면, 작업자 혼자서도 배토기를 이동시킨 후 로타리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되고, 배토기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쉽게 이동 보관할 수 있게 되고, 탈부착작업시 로타리와의 결합오차로 인해 설치각도가 변경되더라도 배토기받침대가 배토기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회동됨으로써 캐스터 및 배토기받침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가 캐스터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배토기의 규격 및 현장여건에 따라 배토기를 용이하게 지지한 후 로타리에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배토기프레임과 배토기받침대의 결합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배토기프레임과 배토기받침대의 다른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길이조절되는 하부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배토기프레임에 결합된 배토기받침대의 설치각도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배토기프레임과 배토기받침대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배토기프레임과 배토기받침대의 다른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길이조절되는 하부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에서 배토기프레임에 결합된 배토기받침대의 설치각도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배토기는 트랙터용 로타리(100) 상부에 전단이 힌지결합되고 서로 나란하게 마련된 한쌍의 힌지프레임(200)과, 그 힌지프레임(200)의 후단에 결합되는 배토기프레임(250)과, 그 배토기프레임(25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배토기(300)와, 상기 단위배토기(3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프레임(200)은 트랙터용 로타리(100)의 상부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조물(150)을 매개로 하여 로타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구조물(150)은 종래에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작업기를 탈부착하는 경우, 작업의 용이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작업기(써레, 배토기 등)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로타리(100)의 횡축에 결합되는 한쌍의 횡축결합부(152)와, 그 횡축결합부(152)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마련되는 수평프레임(154)와, 수평프레임(154)의 중앙에 로타리(100)와 지지로드(160)로 연결되는 브라켓(15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장착구조물(150)은 상기 로타리(100)와 배토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승강실린더(350)는 전단이 상기 로타리(100) 상부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구조물(150)이 설치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350)의 전단이 브라켓(156)에 결합되어져 배토기를 승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은 힌지프레임(200)의 후단이 연결되도록 지면과 수평으로 마련된 것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그 배토기프레임(250) 상에 상기 단위배토기(300)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다.
상기 단위배토기(300)는 통상 3개의 단위배토기가 설치되고, 각각의 단위배토기의 이격간격은 두둑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두둑의 깔끔한 성형을 위해 각각의 단위배토기(300) 간에는 형성판(310)이 설치된다.
상기 단위배토기(300)는 구체적으로,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브라켓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302)과, 그 수직프레임(302)의 하부에 두둑을 형성하도록 양쪽으로 흙을 파헤치고 단단하게 다지는 배토판(30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토판(304)의 세부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토기는 승강실린더(350)의 승강동작을 통해 상기 단위배토기(300)가 상승하거나 하강동작하게 되는 것으로, 트랙터의 이동과 함께 원하는 위치에 두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토기는 로타리(1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토기를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양단부에는 배토기받침대(400)가 설치되고, 그 배토기받침대(400)의 하부에는 캐스터(4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토기받침대(400)에 의해 배토기를 지면에 지지한 채로 상기 로타리(100)에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캐스터(450)에 의해 배토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보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토기받침대(40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위배토기(300)에 간섭받지 않은 채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배토기받침대(40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끼워지거나 배토기프레임(250)의 단부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결합되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그 세부구성은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양단부에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는 결합대(410)와, 그 결합대(410)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대(420)와, 그 상부지지대(420)의 하단에 지면과 수평 또는 일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대(41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결합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420)에 대해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지지대(4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결합대(41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거나 배토기프레임(250)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그 배토기프레임의 외부에 끼워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대(410)를 배토기프레임(250)의 내부에 끼워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거나 그 배토기프레임(250)의 양단부에 중공의 프레임브라켓(260)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단부가 상기 결합대(410)의 내부로 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대(4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430)에 설치되는 캐스터(450)는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터를 여러 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캐스터(4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힌지프레임(200)이나 장착구조물(150) 등에 별도의 캐스터가 더 설치되어야 할 것이고, 두 개의 캐스터(4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지지대(43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 총 4개의 캐스터가 안정적으로 배토기를 받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 캐스터(450)가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토기받침대(400)의 상부지지대(420)와 하부지지대(430)의 결합형상이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 '┗', '┛', '
Figure pat00002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는 결합대(41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볼트(500)가 끼워지도록 볼트고정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브라켓(26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는 볼트고정공(252)이 형성되지 않고 프레임브라켓(260)에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대(410)에도 상기 고정볼트(500)가 인입되도록 결합대고정공(4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500)는 볼트고정공(252)을 통해 결합대고정공(412)으로 인입되어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결합대(410)를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500)의 고정을 위해 상기 볼트고정공(252)이 형성된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외면에는 고정너트(510)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볼트(500)와 고정너트(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고, 일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고정볼트로 배토기프레임(250)과 결합대(410)를 관통하여 너트로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배토기프레임(250)과 결합대(410)를 관통하되 너트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니라 R핀 등의 핀고정부재(530)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핀(5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토기받침대(400)를 이용하여 배토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로타리에 탈부착하는 경우, 승강실린더(350)의 정밀제어가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따라 배토기받침대(400) 또는 캐스터(4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토기받침대(400)가 일정 각도 회동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승강실린더(350)의 하강동작으로 캐스터(450)가 지면에 닿은 경우, 승강실린더(350)가 즉각 하강동작이 정지되지 못하고 더 하강동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토기프레임(250)과 결합대(410)는 일정 유격을 갖도록 서로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대고정공(412)을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배토기받침대(400)의 회동시 고정볼트(500)의 위치가 결합대고정공(412) 안에서 이동되면서 변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토기받침대(400)를 회동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분리해놓은 배토기를 로타리에 부착하는 경우, 배토기에 결합되어 있는 장착구조물의 높이가 로타리(정확하게는 로타리의 상부 횡축)에 정확하게 맞지 않음으로써 장착구조물을 살짝 들어주거나 내려주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배토기받침대(400)의 전방쪽 또는 후방쪽에 장착된 캐스터가 들릴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배토기받침대(400)에 대해 배토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약간 회동되어 지도록 하여 들림현상이나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토기프레임(250)과 결합대(410)는 단면이 각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단위배토기(3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의 도면에서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결합대(410)가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배토기받침대(400)가 회동되게 하였으나, 회동구조는 상기한 구조외에도 배토기받침대(400)를 이루는 하부지지대(430)를 상부지지대(420)에 대해 일정 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하여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하부지지대(430)는 그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하여 캐스터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배토기의 규격이나 지면의 상황 및 현장여건에 따라 배토기의 무게중심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원활한 지지와 함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거나 로타리 기종에 따라 로타리 문짝이 배토기 쪽으로 길게 연장된 경우에 캐스터와 닿지 않도록 캐스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지지대(430)는 일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420)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캐스터(450)가 구비된 제1지지대(432)와, 그 제1지지대(432)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어 길이조절수단(440)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고 타단에 캐스터(450)가 구비된 제2지지대(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440)은 일 예로 나비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수단(440)을 해제하여 제2지지대(434)를 제1지지대(432)에서 이동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제2지지대(434)를 제1지지대(432)에서 인출 또는 제1지지대(432)의 내부로 인입시켜 캐스터(450)의 위치를 변경시킨 후 해제상태의 길이조절수단(440)을 다시 고정하여 제1지지대(432)에 제2지지대(434)를 고정하면 된다.
상기한 구조 외에도 두 개 이상의 다른 사이즈(규격)를 갖는 지지대를 중첩되게 하여 하부지지대(4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대(430)의 전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대(43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대해 직교되게 설치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430)의 전단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43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토기를 로타리(100)에 장착하는 경우, 로타리(100)의 규격에 따라 로타리(100)의 뒷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토기프레임(25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캐스터(450)는 배토기의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는 회전이 가능한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배토기는 지면에 지지한 채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로타리에 탈부착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 혼자서도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탈부착작업시 승강실린더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의 각도내에서 배토기가 회동될 수 있음으로써 캐스터 등의 부품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된 상태의 배토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그동안 실외에 많이 방치되었던 배토기를 창고 등 실내로 이동하여 보관하기가 쉬우므로 배토기의 제품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100: 로타리 150: 장착구조물
152: 횡축결합부 154: 수평프레임
156: 브라켓 160: 지지로드
200: 힌지프레임 250: 배토기프레임
252: 볼트고정공 260: 프레임브라켓
300: 단위배토기 302: 수직프레임
304: 배토판 310: 형성판
350: 승강실린더 400: 배토기받침대
410: 결합대 412: 결합대고정공
420: 상부지지대 430: 하부지지대
432: 제1지지대 434: 제2지지대
440: 길이조절수단 450: 캐스터
500: 고정볼트 510: 고정너트
520: 고정핀 530: 핀고정부재

Claims (10)

  1. 트랙터용 로타리(100) 상부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프레임(200)과, 그 힌지프레임(200)의 후단에 결합되는 배토기프레임(250)과, 그 배토기프레임(25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배토기(300)와, 상기 단위배토기(3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배토기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양단부에 상부가 끼움결합되게 설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배토기받침대(400)와, 그 배토기받침대(400)의 하부 일측에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캐스터(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받침대(40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양단부에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는 결합대(410)와, 그 결합대(410)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대(420)와, 그 상부지지대(420)의 하단에 지면과 수평 또는 일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하부지지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캐스터(450)는 상기 하부지지대(430)에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은 상기 결합대(410)가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거나 양단부에 중공의 프레임브라켓(260)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대(41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의 단부가 내부로 끼워지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프레임(250)과 결합대(410)는 일정 유격을 갖도록 서로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대(410)에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배토기프레임(250)에 대해 일정 각도 회동되도록 장방형의 결합대고정공(4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420)와 하부지지대(430)의 결합형상은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 '┗', '┛', '
    Figure pat00003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430)는, 상기 상부지지대(420)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캐스터(450)가 구비된 제1지지대(432)와, 그 제1지지대(432)의 일측에 일단이 삽입되어 길이조절수단(440)에 의해 길이조절되게 고정되고 타단에 캐스터(450)가 구비된 제2지지대(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43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대해 직교 또는 전단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토기프레임(25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너트(510)와, 그 고정너트(510)에 나사결합되어 배토기프레임(250)을 통해 배토기받침대(4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고정볼트(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토기프레임(250)과 배토기받침대(400)를 관통하여 핀고정부재(530)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핀(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배토기.
KR20130050258A 2013-05-03 2013-05-03 트랙터용 배토기 KR10149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258A KR101492612B1 (ko) 2013-05-03 2013-05-03 트랙터용 배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258A KR101492612B1 (ko) 2013-05-03 2013-05-03 트랙터용 배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04A true KR20140131204A (ko) 2014-11-12
KR101492612B1 KR101492612B1 (ko) 2015-02-11

Family

ID=5245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0258A KR101492612B1 (ko) 2013-05-03 2013-05-03 트랙터용 배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867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세형아마존 무동력 디스크 해로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298B1 (ko) 2017-07-03 2019-12-05 트랙터월드 주식회사 로타리 커버 일체형 배토기
KR101971129B1 (ko) 2017-10-31 2019-04-22 주식회사 그린맥스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884B2 (ja) * 1996-12-30 2005-08-10 徹 五十嵐 農用トラクタの耕耘部支持台
KR100865762B1 (ko) * 2008-04-17 2008-10-29 권혁상 배토기 조절장치
KR101056401B1 (ko) * 2008-10-23 2011-08-12 박재현 트랙터용 쟁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867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세형아마존 무동력 디스크 해로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612B1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12B1 (ko) 트랙터용 배토기
CN207226958U (zh) 一种小型履带式多功能果园作业平台
KR101378529B1 (ko) 트랙터용 배토기
CN204994230U (zh) 耕整机仿形装置
KR20110101950A (ko) 로터리용 배토기
CN110685427B (zh) 一种数控铺砖机
KR200450177Y1 (ko) 경사지 이동이 용이한 손수레
KR101460333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326143B1 (ko) 진공흡착기 작업용 이동대차
JP2011032083A (ja) 高所作業車用荷積み金具
KR20130085789A (ko) 트랙터용 써레
CN211493787U (zh) 一种履带式拖拉机的液压提升缸拆卸装置
CN209411693U (zh) 一种地下障碍顶撑装置
KR20110126405A (ko) 접이식 진압장치
CN209807558U (zh) 一种便于移动的鞋架
CN210366885U (zh) 一种可提高稳定性的电力检修架用支撑装置
KR100874959B1 (ko) 트랙터용 써레
CN201365436Y (zh) 果树苗起苗机
CN206462634U (zh) 多功能测绘平台
CN211928259U (zh) 一种配线箱可调节底座
CN220708434U (zh) 一种市政工程粉尘、噪声监测装置
JPS5831725Y2 (ja) 単輪型歩行用トラクタにおけるスタンド
CN216430943U (zh) 一种工程质量管理监控装置
CN214531994U (zh) 一种建筑施工卸料平台
CN210173553U (zh) 一种轻质隔墙板自动抓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