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202A -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202A
KR20220140202A KR1020210046393A KR20210046393A KR20220140202A KR 20220140202 A KR20220140202 A KR 20220140202A KR 1020210046393 A KR1020210046393 A KR 1020210046393A KR 20210046393 A KR20210046393 A KR 20210046393A KR 20220140202 A KR20220140202 A KR 2022014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ractor
connection
coupl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1004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202A/ko
Publication of KR2022014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기의 종류 및 규격에 대응될 수 있도록, 즉 다양한 폭을 가지는 작업기들을 손쉽고 간단한 조작으로 트랙터에 장착하고자 하는,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T)의 후방에서 상부 링크(T1)와 한 쌍의 하부 링크(T2)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어태치먼트(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T1)에 결합되는 상부 링크 결합부(11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링크(T2)에 결합되는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좌, 우측의 수직 연결부(130))와, 상기 수직 연결부(130)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를 좌, 우로 입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연결부(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Quick attachment for connecting the worker to the 3-point link on the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기의 종류 및 규격에 대응될 수 있도록, 즉 다양한 폭을 가지는 작업기들을 손쉽고 간단한 조작으로 트랙터에 장착하고자 하는,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에는 다양한 작업기를 장착하여 농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기는 트랙터의 후방에 PTO 축과 작업기의 입력 구동축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어 트랙터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트랙터에 맞추어 한정된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작업기를 장착하여햐 한다.
상기 어태치먼트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10-1532596호(2015. 6. 24. 등록)의 트랙터 후방에 작업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장치에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연결부(5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슬라이더(41)의 내부에 슬라이더 실린더(41a)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41)가 상기 슬라이더 실린더(41a)의 신축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안내 레일(32)의 좌우측에서 삽입된 슬라이더(41)가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41)의 단부에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결합된 수직 연결바(42)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 연결부(5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좌우측 슬라이더(41)은 동일 변위로 신축 동작을 하게 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하부 연결부(50)가 동일변위로 이동하게 하는 기술이 개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20-441686호(2008. 08. 27. 등록)의 트랙터의 히치 멤버에는, 기저요소(20)의 하부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 요소들(32)은 사각 또는 원형의 봉형상을 가지고 하측 걸이 요소들(22)이 암.수의 형상 결합 구조로 끼워 맞춤 결합되어 그 수평 가이드 요소들(32)을 타고 수평 방향에서 내.외로 이동하면서 하측 걸이 요소들(22) 사이의 간격을 작업기(12)의 하측 종연결대들의 너비에 따라 맞출 수 있게 한 것으로, 수평가이드요소(32)는 상, 하측에서 병렬로 배치되어 하측 걸이 요소(22)의 이동을 안내하게 할 수 도 있도록 하며, 이렇게 수평 가이드 요소들(32)에서 간격이 조절된 하측 걸이 요소(22)는 볼트 등의 결속요소(40)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보 평7-46924호(1995. 5. 24. 공고)의 트랙터 작업기의 장착 장치에는, 볼트(21, 21)를 풀면 탑 브래킷(15)은 회전 가능해지며 작업기의 탑 핀에 대해 감합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볼트(23, 23)를 풀면 사이드 브래킷(16L, 16R)이 접동 가능해져 작업기에 대해 너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볼트(22, 22)를 풀면 톱 브래킷(15)을 접동할 수 있어 작업기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10-1532596호(2015. 6. 24. 등록)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공보 20-441686호(2008. 08. 27. 등록)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보 평7-46924호(1995. 5. 24. 공고)
본 발명은 트랙터의 카테고리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는 퀵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퀵 어태치먼트의 중앙 연결부에 수평 입출 파이프가 좌, 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작업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을 제공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무거운 하중의 유니버셜조인트를 쉽게 작업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1] 트랙터(T)의 후방에서 상부 링크(T1)와 한 쌍의 하부 링크(T2)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T1)에 결합되는 상부 링크 결합부(11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링크(T2)에 결합되는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좌, 우측의 수직 연결부(130))와, 상기 수직 연결부(130)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를 좌, 우로 입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연결부(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 결합부(110)의 후면부에는, 작업기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상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111)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링크 결합부(120)의 후면부에는, 작업기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하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12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140)는, 중앙 파이프(141)를 가지며, 상기 중앙 파이프(141)의 중간부를 상, 하로 관통하는 핀볼트(1415)와, 상기 핀볼트(1415)에 결합되는 상부 연결링크판(1413)과, 상기 상부 연결링크판(1413)의 좌, 우측에 형성되는 상부 연결링크(1412)를 가지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개구부 상측에는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개구부 하측에는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하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연결링크(1321)를 가지며,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과 상부 연결링크(1412)는 연결링크(133)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와 상기 상부 연결링크(1412)에는 링크핀(1323)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핀볼트(1415)를 좌, 우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부 연결링크(1412)와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연결링크(1412)와 상기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결링크(133)에 고정 결합된 하부 연결 링크(1321)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좌, 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파이프(141)의 상측에는, 체인 걸림구(1414)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 걸림구(1414)에는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150)이 설치되어, 트랙터(T)에 작업기(W)를 설치하는 경우에 유니버셜 조인트 지지 체인(150)이 유니버셜조인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하여, 트랙터의 카테고리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퀵 어태치먼트의 중앙 변연결부에 수평 입출 파이프가 좌, 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작업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무거운 하중의 유니버셜조인트를 쉽게 작업기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가 부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가 부착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앙 연결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중앙 연결부를 분해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앙 연결부에 수평 입출 파이프가 가장 접근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중앙 연결부에 수평 입출 파이프가 중간 정도 접근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앙 연결부에 수평 입출 파이프가 멀리 떨어진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수평 입출 파이프가 중앙 연결부로 부터 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랙터(T)의 후방에서 상부 링크(T1)와 한 쌍의 하부 링크(T2)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상부 링크(T1)에 결합되는 상부 링크 결합부(11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링크(T2)에 결합되는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좌, 우측의 수직 연결부(130))와, 상기 수직 연결부(130)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를 좌, 우로 입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연결부(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는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 링크 결합부(110), 좌, 우측 하부 링크 결합부(120)의 구성은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은 것이다.
[수직 연결부(130)]
본 발명의 수직 연결부(130)는, 도 1, 도 4 등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수직부(131)와 수평 입출 파이프(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연결부(130)의 하측에는 수직부(131)를 설치한다. 상기 수직부(131)는, 하측 전방에서 상기 좌, 우측 하부 링크 결합부(120)를 좌, 우측에서 지지하며, 하측 후방에서 작업기(W)를 하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121)으로 고정 지지한다.
또한, 상기 수직 연결부(130)의 상측에는 수평 입출 파이프(132)를 설치한다.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부 연결링크(1321),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 링크핀(1323) 및 연결링크(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개구부측 하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와 연결링크(133)에 의하여 결합되며,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중앙 연결부(140)의 상부 연결링크(1412)와 링크핀(1323)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하여,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링크핀(1323)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와 상부 연결링크(1412)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결링크(133)에 의하여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와 고정 결합되는 수평 입출 파이프(132)도 중앙 연결부(140)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역으로, 상기 링크핀(1323)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와 상부 연결링크(1412)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결링크(133)에 의하여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와 고정 결합되는 수평 입출 파이프(132)도 중앙 연결부(140)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앙 연결부(140)]
본 발명의 중앙 연결부(140)는, 도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수직 연결부(130)를 좌, 우측에서 지지하면서, 수직 연결부(130)가 중앙 연결부(140)의 내부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 연결부(140)는, 외측으로 중앙 파이프(141)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각의 파이프로 한정하였지만, 반드시 4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중앙 파이프(141)에는 상부 연결링크(1412), 상부 연결링크판(1413), 체인 걸림구(1414) 및 핀볼트(1415)가 유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8(a)는 중앙 연결부(140) 내부 구성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중앙 연결부(140) 내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상기 핀볼트(1415)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중앙 파이프(141)의 중간부를 상, 하로 관통하는 형식으로 결합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핀볼트(1415)의 상측에는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연결링크판(1413)의 좌, 우측에는 상부 연결링크(1412)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연결링크(1412)는 상기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에 조립된 상태에서 링크핀(1323)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핀볼트(1415)를 좌, 우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부 연결링크(1412)와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연결링크(1412)와 상기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결링크(133)에 고정 결합된 하부 연결 링크(1321)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중앙 파이프(141)에 대해서 좌, 우로 이동하게 된다.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150)]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150)은, 중앙 파이프(141)의 상측에 설치된 체인 걸림구(1414)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인 걸림구(1414)를 중앙 파이프(141)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설치 위치는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상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니버셜조인트 지지체인(150)을 더 갖는 것에 의하여 종래 작업자가 트랙터(T)에 작업기(W)를 설치한 상태에서 유니버셜조인트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150)으로 유니버셜조인트를 지지한 상태에서 결합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훨씬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T : 트랙터
T 1 : 상부 링크
T 2 : 하부 링크
W : 작업기
100 : 퀵 어태치먼트
110 : 상부 링크 결합부
111 : 상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
120 : 하부 링크 결합부
121 : 하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
130 : 수직 연결부
131 : 수직부
132 : 수평 입출 파이프
1321 : 하부 연결링크
1322 :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
1323 : 링크핀
133 : 연결링크
140 : 중앙 연결부
141 : 중앙 파이프
1412 : 상부 연결링크
1413 : 상부 연결링크판
1414 : 체인 걸림구
1415 : 핀볼트
150 :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

Claims (4)

  1. 트랙터(T)의 후방에서 상부 링크(T1)와 한 쌍의 하부 링크(T2)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T1)에 결합되는 상부 링크 결합부(110)와,
    상기 한 쌍의 하부 링크(T2)에 결합되는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 링크 결합부(120)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좌, 우측의 수직 연결부(130))와,
    상기 수직 연결부(130)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를 좌, 우로 입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연결부(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 결합부(110)의 후면부에는, 작업기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상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111)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링크 결합부(120)의 후면부에는, 작업기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하부 작업기 결합 브라켓(12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140)는,
    중앙 파이프(141)를 가지며,
    상기 중앙 파이프(141)의 중간부를 상, 하로 관통하는 핀볼트(1415)와,
    상기 핀볼트(1415)에 결합되는 상부 연결링크판(1413)과,
    상기 상부 연결링크판(1413)의 좌, 우측에 형성되는 상부 연결링크(1412)를 가지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개구부 상측에는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개구부 하측에는 수평 입출 파이프(132)의 하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연결링크(1321)를 가지며,
    상기 하부 연결링크(1321)과 상부 연결링크(1412)는 연결링크(133)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상부 연결링크 삽입부(1322)와 상기 상부 연결링크(1412)에는 링크핀(1323)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핀볼트(1415)를 좌, 우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부 연결링크(1412)와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연결링크(1412)와 상기 상부 연결링크판(1413)이 상, 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결링크(133)에 고정 결합된 하부 연결 링크(1321)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 입출 파이프(132)가 좌, 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파이프(141)의 상측에는, 체인 걸림구(1414)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 걸림구(1414)에는 유니버셜조인트 지지 체인(150)이 설치되어,
    트랙터(T)에 작업기(W)를 설치하는 경우에 유니버셜 조인트 지지 체인(150)이 유니버셜조인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3점 링크에 작업기(W)를 연결하기 위한 퀵 어태치먼트(100).
KR1020210046393A 2021-04-09 2021-04-09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KR20220140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93A KR20220140202A (ko) 2021-04-09 2021-04-09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93A KR20220140202A (ko) 2021-04-09 2021-04-09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02A true KR20220140202A (ko) 2022-10-18

Family

ID=8380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93A KR20220140202A (ko) 2021-04-09 2021-04-09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020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924A (ja) 1993-08-05 1995-02-21 Kubota Corp フロントマウント型乗用芝刈機
KR200441686Y1 (ko) 2007-03-22 2008-09-02 김종언 트랙터의 히치멤버
KR101532596B1 (ko) 2013-07-10 2015-07-01 대호 (주) 트랙터 후방에 작업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924A (ja) 1993-08-05 1995-02-21 Kubota Corp フロントマウント型乗用芝刈機
KR200441686Y1 (ko) 2007-03-22 2008-09-02 김종언 트랙터의 히치멤버
KR101532596B1 (ko) 2013-07-10 2015-07-01 대호 (주) 트랙터 후방에 작업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7951A (en) Automatic coupling mechanism for snow-plows and the like
US6684962B1 (en) Folding agricultural implement
KR101007323B1 (ko) 트랙터용 작업기의 연결 장치
KR101973947B1 (ko)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1532596B1 (ko) 트랙터 후방에 작업기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장치
KR200402081Y1 (ko) 트랙터 로더용 작업기 연결장치
KR20220140202A (ko) 트랙터의 퀵 어태치먼트
KR101450099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0849175B1 (ko)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CN109577405B (zh) 一种属具用液压快换机构
EP0186384B1 (en) Tractor mountable hitch part and coupling device and attachment mountable hitch part and coupling device and a combination thereof
KR100849176B1 (ko)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KR101482546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0961612B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KR200441686Y1 (ko) 트랙터의 히치멤버
JPH078014A (ja) クイックヒッチの自在継手位置変更装置
US3940000A (en) Universal hydraulic lift attachment for tractors
KR102023389B1 (ko) 트랙터용 3점 히치장치
KR102650285B1 (ko) 작업기 연결유닛
KR102520899B1 (ko) 수평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트랙터용 3점식 퀵히치 어댑터
KR200436271Y1 (ko) 트랙터용 후부 작업기 장착대
KR20120137334A (ko)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JPH0316411Y2 (ko)
CN212463960U (zh) 独立式三点悬挂装置
KR101074289B1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