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122A -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122A
KR20220019122A KR1020200098290A KR20200098290A KR20220019122A KR 20220019122 A KR20220019122 A KR 20220019122A KR 1020200098290 A KR1020200098290 A KR 1020200098290A KR 20200098290 A KR20200098290 A KR 20200098290A KR 20220019122 A KR20220019122 A KR 2022001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quin
release agent
polyuretha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환
Original Assignee
우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동환 filed Critical 우동환
Priority to KR102020009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122A/ko
Publication of KR2022001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 B29L2009/006Layered products coated pa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이형제 도포공정과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고체상태의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20~200uM 두께로 압출방식의 T다이 코팅하여 지름이 800~1000mm의 냉각롤러로 냉각시키는 핫멜트 코팅 공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분리공정을 포함하고,
일면에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광안료를 도포 건조하는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이형제 도포공정과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폴리우레탄접착제(5)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접착제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접착제(5)에 섬유를 접착하는 섬유 접착공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폴리우레탄접착제(5), 섬유(6)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분리공정을 포함하고,
일면에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광안료를 도포 건조하는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을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P :Plyproplene)중 어느 하나로 대체 선택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광변색 염료는 적색 염료 2 ~ 6 중량%, 청색 염료 2 ~ 6 중량%, 자색 염료 2 ~ 6 중량%, 적색 염료 1 ~ 3중량%와 노란색 염료 1 ~ 3 중량%의 혼합염료 또는 노란색 염료 4 ~ 12 중량%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시광안료는,
폴리옥시메틸렌멜라민(Polyoxymethylenemelamine) 35 중량%, 스타이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모노메틸-말리에이트 폴리머(Styrene maleic anhydride monomethyl-maleate polymer) 7 중량%, 및 4-(1-페닐에틸)-o-자일렌(4-(1-phenylethyl)-o-xylen) 58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변색가능한 스팽글"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Discolorable spang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팽글 원단이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료의 얇은 스팽글 필름을 원형, 다각형, 꽃모양, 잎모양 등과 같은 형상으로 재단한 스팽글 피스를 직물 원단에 고정시킨 것으로, 스팽글의 난반사로 인한 시각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연예인은 물론이고 일반인 사이에도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의류나 가방 등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원단의 실용적인 효용성과 더불어, 시각적으로도 다양한 변화를 도모하여 쉽게 싫증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팽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의류나 가방 등에 사용되는 원단은 대부분 첨가되는 염료 또는 안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는 있지만 다양한 색상이라고 하더라도 다변화되고 개성이 강한 오늘날에서는 식상함과 진부함을 느낄 수 있고 있게 된다.
한편, 시광안료는 태양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안료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면 색깔이 나타나고, 자외선을 차단하게 되면 색상이 사라지며, 인체에 무해하다.
상기 시광안료는 다양한 용제성이 있어서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케톤(keto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내열도는 시광안료 칼라별로 차이가 있는데, 옐로우(yellow) YL-10은 240℃, 레드(red) RL-30은 222℃, 블루(blue) BL-60은 256℃, 바이올렛(violet) VL-70은 236℃이다.
또한, 두 가지 시광안료를 조합하거나 시광안료와 일반안료를 조합하여 다른 칼라를 얻을 수도 있으며, 3가지 시광안료를 조합하여 또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등 개발하기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요구에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광안료를 의류나 가방 등에 부착하는 스팽글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높임과 더불어, 시각적으로도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팽글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66965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7388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것으로서,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이형제 도포공정과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고체상태의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20~200uM 두께로 압출방식의 T다이 코팅하여 지름이 800~1000mm의 냉각롤러로 냉각시키는 핫멜트 코팅 공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분리공정을 포함하고,
일면에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광안료를 도포 건조하는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이형제 도포공정과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폴리우레탄접착제(5)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접착제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접착제(5)에 섬유를 접착하는 섬유 접착공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폴리우레탄접착제(5), 섬유(6)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분리공정을 포함하고,
일면에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광안료를 도포 건조하는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을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P :Plyproplene)중 어느 하나로 대체 선택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광변색 염료는 적색 염료 2 ~ 6 중량%, 청색 염료 2 ~ 6 중량%, 자색 염료 2 ~ 6 중량%, 적색 염료 1 ~ 3중량%와 노란색 염료 1 ~ 3 중량%의 혼합염료 또는 노란색 염료 4 ~ 12 중량%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시광안료는,
폴리옥시메틸렌멜라민(Polyoxymethylenemelamine) 35 중량%, 스타이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모노메틸-말리에이트 폴리머(Styrene maleic anhydride monomethyl-maleate polymer) 7 중량%, 및 4-(1-페닐에틸)-o-자일렌(4-(1-phenylethyl)-o-xylen) 58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변색가능한 스팽글"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분리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제조과정에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2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분리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2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에 시광안료를 도포 및 건조한 상태의 최종공정인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2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에 시광안료를 도포 및 건조한 상태의 최종공정인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분리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제조과정에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2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분리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2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의 분리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에 시광안료를 도포 및 건조한 상태의 최종공정인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중 도 2에 의해 제조되는 스팽글 필름에 시광안료를 도포 및 건조한 상태의 최종공정인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1]
[이형제 도포공정]----- S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공정을 지칭한다.
[폴리우레탄 도포공정]----- S2
상기 이형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공정을 말하는 것이다.
[핫멜트 코팅공정]----- S3
본 공정은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고체상태 즉, 칩이나 분말 등의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20~200uM 두께로 압출방식의 T다이 코팅하여 지름이 800~1000mm의 냉각롤러로 냉각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분리공정]----- S4
상기 이전 공정을 거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이형제(2), 폴리우레탄 수지(3),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팽글 무늬면(10)의 스팽글 무늬가 이형제(2)에 재현되고 이와 더불어 폴리우레탄 수지(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팽글 무늬가 재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마친 상태가 S1 내지 S3까지의 공정이다.
본 공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모두 거치면 폴리우레탄 수지의 일면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를 그대로 재현 가능한 것이다.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 S5
본 공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공정(S4)에서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표면에 시광안료(7)을 도포함으로서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시광안료(7)은,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광변색 염료는 적색 염료 2 ~ 6 중량%, 청색 염료 2 ~ 6 중량%, 자색 염료 2 ~ 6 중량%, 적색 염료 1 ~ 3중량%와 노란색 염료 1 ~ 3 중량%의 혼합염료 또는 노란색 염료 4 ~ 12 중량%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광안료는, 폴리옥시메틸렌멜라민(Polyoxymethylenemelamine) 35 중량%, 스타이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모노메틸-말리에이트 폴리머(Styrene maleic anhydride monomethyl-maleate polymer) 7 중량%, 및 4-(1-페닐에틸)-o-자일렌(4-(1-phenylethyl)-o-xylen) 58 중량%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스팽글 필름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옷이나 가방, 신발등의 로고, 상표, 캐릭터 등으로 사용 적합토록 부드러운 질감과 내마모성, 신축성이 우수하고 비중이 가볍고 열에 의하여 부착부위에 굴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휘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며, 장시간을 사용함에 따른 주위환경으로부터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로 인한 반사성능의 저하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표면에 시광안료(7)을 도포함으로서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을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P :Plyproplene)중 어느 하나로 대체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스팽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변색가능한 스팽글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이형제 도포공정]------ S10
본 실시예에서의 본 공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이형제 도포공정(S1)과 동일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공정을 지칭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도포공정]----- S20
본 공정 또한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도포공정(S2)와 동일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50~4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공정을 지칭하는 것이다.
[우레탄 접착제 도포공정]----- S30
본 공정은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폴리우레탄접착제(5)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공정으로서 그 재질적인 측면에서 실시예 1의 경우는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코팅공정(S3)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우레탄 접착제(5)를 이용한 폴리우레탄접착제 도포공정인 것이다.
[섬유 접착공정]------ S40
본 공정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없는 공정으로서 본 공정을 추가한 것은 일반적인 옷이나 기타 부드러운 섬유 자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추가한 것으로서, 상기 폴리우레탄접착제(5)에 섬유를 접착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섬유에 접착토록 함으로서 본 실시예 자체로 합성피혁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
[분리공정]----- S50
본 공정은 실시예 1의 분리공정(S4)와 대동소이하나 공정 절차상으로 그 차이점이 있지만 거의 유사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 의 이전 공정 즉, S10 내지 S40의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된 도면을 생략하였으나 실시예 1의 도4와 같은 결합이 당연히 존재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폴리우레탄접착제(5), 섬유(6)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것으로서, 즉,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이형제(2), 폴리우레탄 수지(3), 우레탄 접착제(5), 섬유(6)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하면 스팽글 무늬면(10)의 스팽글 무늬가 이형제(2)에 재현되고 이와 더불어 폴리우레탄 수지(3)에도 스팽글 무늬가 재현토록 함으로서 실시예 1과 달리 우레탄 접착제(5)에 섬유(6)가 구비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 자체가 하나의 합성피혁이 되어 옷이나 가방, 신발 등을 자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마친 상태가 S10 내지 S40까지의 공정이다.
본 공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우레탄 접착제(5), 섬유(6)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함으로서 본 실시예는 그 자체가 합성피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방, 신발, 옷 등을 본 실시예에 의해 자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모두 거치면 폴리우레탄 수지의 일면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를 그대로 재현 가능한 것이다.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 S60
본 공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공정(S50)에서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표면에 시광안료(7)을 도포함으로서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시광안료(7)은,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광변색 염료는 적색 염료 2 ~ 6 중량%, 청색 염료 2 ~ 6 중량%, 자색 염료 2 ~ 6 중량%, 적색 염료 1 ~ 3중량%와 노란색 염료 1 ~ 3 중량%의 혼합염료 또는 노란색 염료 4 ~ 12 중량%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광안료는, 폴리옥시메틸렌멜라민(Polyoxymethylenemelamine) 35 중량%, 스타이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모노메틸-말리에이트 폴리머(Styrene maleic anhydride monomethyl-maleate polymer) 7 중량%, 및 4-(1-페닐에틸)-o-자일렌(4-(1-phenylethyl)-o-xylen) 58 중량%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스팽글 필름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옷이나 가방, 신발등의 로고, 상표, 캐릭터 등으로 사용 적합토록 부드러운 질감과 내마모성, 신축성이 우수하고 비중이 가볍고 열에 의하여 부착부위에 굴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휘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며, 장시간을 사용함에 따른 주위환경으로부터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로 인한 반사성능의 저하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표면에 시광안료(7)을 도포함으로서 자외선 조사시 특정색으로 이루어진 스팽글이 다른 색상으로 변색되어 표출됨으로서 특정색의 스팽글에 대한 식상함을 해소하고 시각적으로 청량감이나 신비감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을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P :Plyproplene)중 어느 하나로 대체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스팽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변색가능한 스팽글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팽글 필름
2 : 이형제
3 : 폴리우레탄수지
4 :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5 : 폴리우레탄접착제
6 : 섬유
7 : 시광안료
10 : 스팽글 무늬면
S1 : 이형제 도포공정
S2 : 폴리우레탄 도포공정
S3 : 핫멜트 코팅공정
S4 : 분리공정
S5 :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
S10 : 이형제 도포공정
S20 : 폴리우레탄 도포공정
S30 : 폴리우레탄접착제 도포공정
S40 : 섬유 접착공정
S50 : 분리공정
S60 :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

Claims (6)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이형제 도포공정과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고체상태의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20~200uM 두께로 압출방식의 T다이 코팅하여 지름이 800~1000mm의 냉각롤러로 냉각시키는 핫멜트 코팅 공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우레탄 또는 폴리아마이드 핫멜트(4)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분리공정을 포함하고,
    일면에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광안료를 도포 건조하는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이형제(2)인 실리콘 또는 불소를 02~5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이형제 도포공정과 상기 스팽글 무늬면(10)에 도포된 이형제(2)에 폴리우레탄 수지(3)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폴리우레탄접착제(5)를 20~200uM 두께로 도포하여 온도 80~220℃로 유지되는 15~50m의 열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접착제 도포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접착제(5)에 섬유를 접착하는 섬유 접착공정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의 스팽글 무늬면(10)인 일면에 형성된 이형제(2)를 기준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와 폴리우레탄접착제(5), 섬유(6)를 분리토록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의 일면에 스팽글무늬가 재현토록 하는 분리공정을 포함하고,
    일면에 스팽글 무늬가 재현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3)에 멜라민 코폴리머 20 ~ 30 중량%와, 스티렌 5 ~ 10 중량%와, 오일 왁스 45 ~ 50 중량%와, 산화방지제 10 ~ 15중량% 및 광변색 염료 1 ~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광안료를 도포 건조하는 시광안료 도포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스팽글 필름(1)을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P :Plyproplene)중 어느 하나로 대체 선택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염료는 적색 염료 2 ~ 6 중량%, 청색 염료 2 ~ 6 중량%, 자색 염료 2 ~ 6 중량%, 적색 염료 1 ~ 3중량%와 노란색 염료 1 ~ 3 중량%의 혼합염료 또는 노란색 염료 4 ~ 12 중량%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광안료는,
    폴리옥시메틸렌멜라민(Polyoxymethylenemelamine) 35 중량%, 스타이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모노메틸-말리에이트 폴리머(Styrene maleic anhydride monomethyl-maleate polymer) 7 중량%, 및 4-(1-페닐에틸)-o-자일렌(4-(1-phenylethyl)-o-xylen) 58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색가능한 스팽글 및 그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변색가능한 스팽글.

KR1020200098290A 2020-08-06 2020-08-06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KR20220019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290A KR20220019122A (ko) 2020-08-06 2020-08-06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290A KR20220019122A (ko) 2020-08-06 2020-08-06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122A true KR20220019122A (ko) 2022-02-16

Family

ID=8047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290A KR20220019122A (ko) 2020-08-06 2020-08-06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16B1 (ko) * 2022-04-01 2023-01-10 주식회사 휴먼소재 장식용 전사필름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82B1 (ko) 2015-07-20 2015-12-02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가변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KR101966965B1 (ko) 2017-06-28 2019-04-08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의류용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82B1 (ko) 2015-07-20 2015-12-02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가변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
KR101966965B1 (ko) 2017-06-28 2019-04-08 주식회사 이앤씨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의류용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16B1 (ko) * 2022-04-01 2023-01-10 주식회사 휴먼소재 장식용 전사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628E1 (en) Thermochromic water proof apparel
JP6835500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それを貼り付けた物品
FR2624035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transfert de flocons multicolores et articles textiles obtenus par ce procede
TW201625990A (zh) 反光著色物品
KR100276007B1 (ko) 투과성 재귀반사 시이팅 및 그 제조 방법
US8905044B2 (en) Multi-layered color-enhancing nail applique
ES2791895T3 (es) Proceso de fabricación de un producto polimérico laminado
KR20220019122A (ko) 변색가능한 스팽글 제조방법
US20090074994A1 (en) Kit for Decorating A Car
KR101563253B1 (ko) 스포츠 의류용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CA2066978A1 (en) Fabric, molded, or coated articles exhibiting color change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KR101572523B1 (ko)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스팽글필름 제조방법
KR102447633B1 (ko) 색상 가변형 장식용 전사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필름
KR200421169Y1 (ko) 핫픽스
JPH10323930A (ja) 光輝性熱変色性積層体
CN101295049A (zh) 一种反光材料的制作工序
KR10226396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29862B1 (ko) 칼라 스팽글필름 제조방법
FR2494191A1 (fr) Articles de revetements de surfaces decoratifs
WO2008123687A1 (en) Decoration sheet made by using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ecoration sheet
JP2002127288A (ja) 光輝性熱変色性積層体
KR100536164B1 (ko) 글리터 함유 신축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60184A (ja) 装飾付シールシートの製造方法
CN209514112U (zh) 反光结构及包含该反光结构的反光物品
JPH10230557A (ja) 光輝性熱変色性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人形用衣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