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647A - 발사완구 - Google Patents

발사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647A
KR20220018647A KR1020200098924A KR20200098924A KR20220018647A KR 20220018647 A KR20220018647 A KR 20220018647A KR 1020200098924 A KR1020200098924 A KR 1020200098924A KR 20200098924 A KR20200098924 A KR 20200098924A KR 20220018647 A KR20220018647 A KR 20220018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seating
toy
pressing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474B1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홀딩스
Priority to KR102020009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표적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발사완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표적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놀이용 완구로 쉬운 조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사완구의 조작과 사용을 쉽게 할 수 있어서, 발사체를 이용한 놀이에서 어린이들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한 발사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사완구{MARBLE SHOOTER}
본 발명은 발사완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적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체를 안전하게 발사하는 발사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용 발사장치는 구슬모양의 발사체를 발사장치에 삽입한 다음 표적이 설치된 방향으로 발사장치를 조준하여 발사체가 발사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발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대(10)는 구슬모양의 발사체(20)가 거치되는 발사대 몸체(11)와, 공이를 형성한 손잡이(12)가 상기 발사대 몸체(1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발사대 몸체(11)의 내부에 거치된 발사체(20)가 발사되도록 상기 손잡이(1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발사장치(10)는 발사대 몸체(11)에 발사체(20)를 거치한 다음 상기 발사대 몸체(11)를 표적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손잡이(12)를 후측으로 당긴 후 놓으면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며 상기 손잡이(12)의 선단에 형성된 공이가 상기 발사체(20)를 가압하여 발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발사장치는 발사체를 발사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사람 또는 동물들에게 직접 조준하여 발사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사체의 발사 강도를 높이기 위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거나 발사체의 형상을 변형시켜 더욱 위험하게 놀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서 안전상에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5462호(발명의 명칭: 탄환 발사 완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적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체를 안전하게 발사하는 발사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발사완구로서, 안착된 발사체(200)의 일부가 바닥과 접촉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안착된 발사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하여 상기 발사체가 바닥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상기 안착부와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는 직경이 발사체의 직경보다 작고, 일측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는 발사체가 안착되는 돌기부와의 사이 공간이 증가하도록 개구된 말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 방향으로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는 안착부를 중심으로 수평방향 양측에 대칭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는 안착부의 일측에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는 말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가압부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압부의 수직방향 상측 방향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의 전측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되도록 기울이면 수납된 복수의 발사체가 안착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매거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은 복수의 발사체가 수납되도록 중공을 형성한 장방형상의 매거진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 몸체가 가압부의 전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발사체가 안착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는 매거진의 내측으로 곡률을 갖는 말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매거진이 전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발사체를 밀어 안착부와 돌기부 사이에 안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적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놀이용 완구로 발사체와 발사완구를 바닥에 붙여 안전하게 놀이를 진행할 수 있고, 쉬운 조작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사완구의 조작과 사용을 쉽게 할 수 있어서, 발사체를 이용한 놀이에서 어린이들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사완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완구용 발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도7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0은 도8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도8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돤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12는 도11의 발사완구에서 발사체의 장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l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는 안착부(110)와, 돌기부(120)와, 가압부(130)와, 발사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10)는 발사체(200)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안착부(110)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일부가 통과하여 상기 발사체(200)의 일부가 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는 관통공의 직경(d)이 발사체(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안착부(110)에 발사체(200)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된 발사체(200)의 일부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바닥과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성됨으로써, 안착부(110)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상기 개구된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는 발사체(200)가 발사될 경우,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안착부(110)에 의한 탄성력이 상기 발사체(2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20)는 안착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적어도 일부면과 밀착하여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발사체(200)의 하부와 바닥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120)는 안착부(110)에 형성된 개구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안착부(110)로부터 발사되도록 상기 발사체(200)의 상측면을 가압한다.
즉, 상기 돌기부(120)는 바닥과 접촉된 상태의 발사체(200) 상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돌기부(120)와 바닥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로부터 발사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130)는 안착부(110)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안착부(110)에 의한 탄성력과 돌기부(120)와 바닥면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발사되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안착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 가압부(130)를 통해 발사완구(100)가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착부(110)를 중심으로 가압부(130)를 양측에 설치한 구성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착부(110)의 일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기 쉽게 가압부(130)의 상면에 홈부를 구성한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압부(130)의 상면에 임의의 캐릭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결합홈(미도시)을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장치와 연동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링크(미도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발사체(200)는 안착부(110)에 안착되어 발사되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발사완구(100)의 안착부(110)에 발사체(200)를 안착시킨다.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하측 일부는 바닥과 접촉되고, 상기 발사체(200)의 상측 일부는 돌기부(1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사체(200)로 인해 안착부(110)와 돌기부(120)와 가압부(130)는 안착부(110)에서 가압부(130)의 말단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양측으로 배치된 가압부(130)를 눌러 가압하면, 그 가압력이 안착부(110)와 돌기부(120)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안착부(110)와 돌기부(120)의 형상 변화 및 바닥면과의 작용을 이용하여 발사체(2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발사체(200)가 상기 안착부(110)에서 발사된다.
(제2 실시 예)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a)를 설명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a)는 안착부(110a)와, 돌기부(120a)와, 가압부(130a)와, 삽입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10a)는 발사체(200)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안착부(110a)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일부가 통과하여 상기 발사체(200)의 일부가 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a)는 관통공의 직경이 발사체(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a)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a)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성됨으로써, 안착부(110a)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상기 개구된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20a)는 안착부(110a)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안착부(110a)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적어도 일부면과 밀착하여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a)에 안착된 상태에서 발사체(200)의 하부와 바닥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120a)는 안착부(110a)에 형성된 개구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10a)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안착부(110a)로부터 발사되도록 상기 발사체(200)의 상측면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부(130a)는 안착부(110a)의 일측에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힘이 안착부(110a)와 돌기부(120a)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130a)의 말단부에는 사용자가 발사완구(100a)의 쉬운 가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기 쉽게 가압부(130a)와 상기 가압부(130a)의 상면에 삽입홈(140)을 구성한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압부(130a)의 상면에 임의의 캐릭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결합홈(미도시)을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장치와 연동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링크(미도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a)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발사완구(100a)의 안착부(110a)에 발사체(200)를 안착시킨다.
상기 안착부(110a)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하측 일부는 바닥과 접촉되고, 상기 발사체(200)의 상측 일부는 돌기부(120a)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사체(200)로 인해 안착부(110a)와 돌기부(120a)와 가압부(130a)는 안착부(110a)에서 가압부(130a)의 말단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삽입홈(140)에 손가락을 삽입한 다음 가압부(130a)를 눌러 가압하면, 그 가압력이 안착부(110a)와 돌기부(120a)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안착부(110a)와 돌기부(120a)의 형상 변화에 따른 탄성력이 발사체(2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발사체(200)가 상기 안착부(110a)에서 발사된다.
(제3 실시 예)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9는 도7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10은 도8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11은 도8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12는 도11의 발사완구에서 발사체의 장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b)를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b)는 안착부(110b)와, 돌기부(120b)와, 가압부(130b)와, 매거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10b)는 발사체(200)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일부가 통과하여 상기 발사체(200)의 일부가 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b)는 관통공의 직경이 발사체(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b)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b)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성됨으로써,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상기 개구된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b)는 개구된 일측이 바닥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10b)는 발사체(200)가 안착되는 돌기부(120b)와의 사이에 공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안착부(110b)의 전측 개구된 말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바닥 방향으로 밴딩함으로써, 안착부(110b)의 앞쪽과 돌기부(120b)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켜 발사체(200)가 더욱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밴딩된 안착부(110b)의 구성을 통해 후술되는 매거진(150)을 이용한 발사체(200, 200a, 200b, 200c)의 장전시 상기 매거진(150)을 기울여 상기 발사체(200, 200a, 200b, 200c)가 신속하게 상기 안착부(110b)에 삽입 및 안착시킴으로써, 연속 발사를 위한 발사체(200a, 200b, 200c)의 장전(또는 안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20b)는 안착부(110b)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의 적어도 일부면과 밀착하여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b)에 안착된 상태에서 발사체(200)의 하부와 바닥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120b)는 안착부(110b)에 형성된 개구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안착부(110b)로부터 발사되도록 상기 발사체(200)의 상측면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부(130b)는 안착부(110b)의 일측에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힘이 안착부(110b)와 돌기부(120b)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130b)는 상부에 설치되는 매거진(15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부(13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거진(150)은 가압부(130b)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150)을 통해 가압부(130b)를 가압하면 발사체(200)가 안착부(110b)로부터 발사되도록 동작하거나 또는, 내재된 발사체(200a, 200b, 200c)를 안착부(110b)에 공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매거진(150)은 가압부(130b)의 수직방향 상측 방향에서 상기 매거진(150)을 이용하여 가압부(130b)를 가압하면,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매거진(150)은 상기 가압부(130b)의 전측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되도록 기울인 후 다시 세워 원위치 시키면 상기 매거진(150)에 수납된 복수의 발사체(200a, 200b, 200c)가 안착부(110b)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매거진(150)은 복수의 발사체(200a, 200b, 200c)가 수납되도록 중공을 형성한 장방형상의 매거진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회전축(151)을 형성하여 가압부(130b)의 힌지부(131)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매거진(150)은 회전축(151)의 전측에 가이드부(152)를 설치하여, 상기 매거진 몸체가 가압부(130b)의 전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발사체(200a, 200b, 200c)가 안착부(110b)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52)는 매거진 몸체와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52)는 말단부에 매거진 몸체의 내측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거진 몸체가 전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동작중에 곡률을 형성한 가이드부(152)의 말단부가 발사체(200a, 200b, 200c)를 밀어 가압함으로써, 상기 발사체(200a, 200b, 200c)가 안착부(110b)와 돌기부(120b) 사이에 더욱 쉽게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매거진(150)의 몸체를 중공을 형성한 장방형상의 원통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캐릭터 몸체 형상, 손잡이, 다수의 발사체를 수납한 보관함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사완구(100b)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매거진(150)에 다수의 발사체(200, 200a, 200b, 200c)가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발사체(200, 200a, 200b, 200c)의 수납이 완료되면, 가이드부(152)는 발사체(200)를 안착부(110b)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계속해서, 발사체(200)를 안착부(110b)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매거진(150)을 가압부(130b)의 전측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되도록 기울이면 상기 가이드부(152)와 안착부(110b)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고, 이때 매거진(150)에 수납된 발사체(200)가 안착부(110b)로 이동하여 공급된다.
상기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는 하측 일부가 바닥과 접촉되고, 상기 발사체(200)의 상측 일부는 돌기부(120b)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발사체(200)로 인해 안착부(110b)와 돌기부(120b)와 가압부(130b)는 안착부(110b)에서 가압부(130a)의 말단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상기 발사체(200)가 안착부(110b)에 안착되면, 매거진(150)을 가압부(130b)와 수직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키고,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상기 매거진(15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부(130b)를 가압한다.
즉, 상기 매거진(150)을 가압부(130b)의 수직방향 상측 방향에 배치한 다음, 상기 매거진(150)을 이용하여 가압부(130b)를 가압하면, 안착부(110b)에 안착된 발사체(200)가 발사된다.
따라서, 표적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발사체를 발사하는 놀이용 완구로 쉬운 조작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발사완구의 조작과 사용을 쉽게 할 수 있어서, 발사체를 이용한 놀이에서 어린이들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한 발사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100a, 100b : 발사완구
110, 110a, 110b : 안착부
120, 120a, 120b : 돌기부
130, 130a, 130b : 가압부
131 : 힌지부
140 : 삽입홈
150 : 매거진
151 : 회전축
152 : 가이드부
200, 200a, 200b, 200c : 발사체

Claims (9)

  1. 안착된 발사체(200)의 일부가 바닥과 접촉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안착부(110, 110a, 110b);
    상기 안착부(100, 110a, 110b)의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안착된 발사체(200)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하여 상기 발사체(200)가 바닥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돌기부(120, 120a, 120b); 및
    상기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상기 안착부(110, 110a, 110b)와 돌기부(120, 120a, 120b)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부(130, 130a, 130b);를 포함하는 발사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0, 110a, 110b)는 직경(d)이 발사체(200)의 직경보다 작고, 일측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0b)는 발사체(200)가 안착되는 돌기부(120b)와의 사이 공간이 증가하도록 개구된 말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 방향으로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는 안착부(1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a, 130b)는 안착부(110a, 110b)의 일측에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a)는 말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홈(140)이 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b)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압부(130b)의 수직방향 상측 방향에서 상기 가압부(130b)를 가압하면 발사체(200)가 발사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130b)의 전측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되도록 기울이면 수납된 복수의 발사체(200a, 200b, 200c)가 안착부(110b)에 공급되도록 하는 매거진(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150)은 복수의 발사체(200a, 200b, 200c)가 수납되도록 중공을 형성한 장방형상의 매거진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 몸체가 가압부(130b)의 전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발사체(200a, 200b, 200c)가 안착부(120b)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52)는 매거진(150)의 내측으로 곡률을 갖는 말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매거진(150)이 전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발사체(200a, 200b, 200c)를 밀어 안착부(110b)와 돌기부(120b) 사이에 안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완구.
KR1020200098924A 2020-08-07 2020-08-07 발사완구 KR10242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24A KR102421474B1 (ko) 2020-08-07 2020-08-07 발사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24A KR102421474B1 (ko) 2020-08-07 2020-08-07 발사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647A true KR20220018647A (ko) 2022-02-15
KR102421474B1 KR102421474B1 (ko) 2022-07-15

Family

ID=8032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24A KR102421474B1 (ko) 2020-08-07 2020-08-07 발사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73A (ja) * 1994-05-17 1996-02-06 Takara Co Ltd 玩具における弾丸の発射装置
KR200150936Y1 (ko) * 1997-08-26 1999-07-15 최신규 완구용 발사장치
KR20140125462A (ko) 2012-01-30 2014-10-29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탄환 발사 완구
US9200862B1 (en) * 2014-10-20 2015-12-01 Dallas Turner Projectile launching wristband slingshot
KR20170067116A (ko) * 2015-12-07 2017-06-15 최종일 발사형 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73A (ja) * 1994-05-17 1996-02-06 Takara Co Ltd 玩具における弾丸の発射装置
KR200150936Y1 (ko) * 1997-08-26 1999-07-15 최신규 완구용 발사장치
KR20140125462A (ko) 2012-01-30 2014-10-29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탄환 발사 완구
US9200862B1 (en) * 2014-10-20 2015-12-01 Dallas Turner Projectile launching wristband slingshot
KR20170067116A (ko) * 2015-12-07 2017-06-15 최종일 발사형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474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817B1 (en) Toy top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020134366A1 (en) Toy projectile launcher
JP2014501903A (ja) リアリティが向上したエアソフトガン構造及び圧縮ガスカートリッジ用の安全なガス化システム
US7565866B1 (en) Paintball grenade
US5334079A (en) Toy having flexible shell for launching projectiles
KR102421474B1 (ko) 발사완구
TWM615344U (zh) 玩具槍
JPH02156979A (ja) おもちゃ用こまの発射装置
CN217593833U (zh) 一种装备玩具子弹球弹夹的连弩装置
JP3131548B2 (ja) 球体の発射玩具
US4054287A (en) Toy amusement arcade
JP3160233U (ja) 球体発射玩具
KR101965495B1 (ko) 런처를 이용한 발사완구
JP3382459B2 (ja) 発射玩具
JP3113822U (ja) 球体発射玩具
KR200150936Y1 (ko) 완구용 발사장치
JP3145920B2 (ja) 球体発射玩具
JP3114867U (ja) 球体発射玩具
EP3583376B1 (en) Pawn launching game
JP3016927U (ja) 球体の発射玩具
US20160348999A1 (en) Projectile Launching Device
CA2284652C (en) Ring airfoil launcher
KR950002473Y1 (ko) 대포 완구
KR101189610B1 (ko) 놀이용 쌍열식 샷건
JP2000061168A (ja) 発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