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738A -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38A
KR20220016738A KR1020200097066A KR20200097066A KR20220016738A KR 20220016738 A KR20220016738 A KR 20220016738A KR 1020200097066 A KR1020200097066 A KR 1020200097066A KR 20200097066 A KR20200097066 A KR 20200097066A KR 20220016738 A KR20220016738 A KR 2022001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giblets
glutinou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봉호
Original Assignee
(주)곱창114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곱창114 filed Critical (주)곱창114
Priority to KR102020009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738A/ko
Publication of KR2022001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껍질을 제거한 마늘을 세척한 뒤 건조시키는, 제 1 단계; 건조된 상기 마늘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마늘 분말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마늘 분말과 후추 분말을 혼합하여 잡내 제거용 조성물을 완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 분말 및 후추 분말을 포함하여 곱창의 원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곱창의 풍미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removing giblets containing garlic powder}
본 발명은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늘 분말 및 후추 분말을 포함하여 곱창의 원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곱창의 풍미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곱창은 소의 소장을 말하는 것으로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같은 탄력섬유가 많아 고단백 저콜레스테롤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곱창은 씹는 맛도 쫄깃쫄깃하며 소화효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어떻게 요리해도 소화분해작용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으며 다른 살코기에 비해 철분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가격도 저렴하며 맛도 독특해서 허약한 사람이나 환자의 병후 회복식 및 보신요리에 이용하면 좋다. 또한, 곱창은 굽거나 볶거나 고아서 시식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조리될 수 있으며, 구이, 탕, 볶음 등 다양한 요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곱창은 단백질과 효소가 많아 특유의 냄새가 나며 이는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잡내를 제거하기 위해 곱창을 물에 담가 핏물을 빼는 등의 과정이 요구된다.
이때, 곱창의 잡내 제거를 위한 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811795호(발명의 명칭 : 홍마늘의 제조방법 및 홍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곱창용 홍마늘소스 조성물)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조성물의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페이스트 상태의 홍마늘 0.1~10중량부, 고추장 30~35중량부, 물엿 12~18중량부, 양파 10~15중량부, 정백당 6.0~8.0중량부, 간장 6.0~8.0중량부, 마늘 4.0~6.0중량부, 고춧가루 4.0~6.0중량부 및 생강 1.0~5.0중량부를 포함하는, 홍마늘을 포함하는 곱창용 홍마늘 소스 조성물로서,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홍마늘은 외피가 제거된 생마늘을 45~50℃에서 32~40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저온숙성된 마늘을 70~80℃에서 8일 동안 중온 숙성시키고, 다시 70℃에서 7일 동안 중온 숙성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온숙성된 마늘을 25℃에서 2일 동안 저온 숙성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75ㅁ10% 습도조건에서 숙성시킨 홍마늘을 갈거나 으깬 것인, 홍마늘을 포함하는 곱창용 홍마늘 소스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홍마늘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곱창의 냄새를 제어할 수 있지만 고추장, 물엿 등을 포함하여 제조하였기 때문에 곱창의 맛을 좌우하는 양념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늘 분말 및 후추 분말을 포함하여 곱창의 원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곱창의 풍미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곱창용 양념에 함께 혼합되거나 곱창의 조리 시 포함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곱창 원육을 일정 기간 동안 담가두었다가 꺼내어 세척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마늘 분말 및 후추 분말을 포함하여 곱창의 원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곱창의 풍미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 원육의 잡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찹쌀가루를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잡내 제거 효과를 보조함과 더불어 영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육질을 연하고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개선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표면에 미세한 피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곱창 원육이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껍질을 제거한 마늘을 세척한 뒤 건조시키는, 제 1 단계; 건조된 상기 마늘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마늘 분말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마늘 분말과 후추 분말을 혼합하여 잡내 제거용 조성물을 완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 내지 20중량%의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찹쌀 가루를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5 내지 10중량%의 상기 찹쌀 가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찹쌀 가루는, 물 70 내지 90중량부, 찹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침지 용액을 제조한 뒤 30내지 100분 후 침지 용액을 여과하여 찹쌀을 진공 처리하는, 진공 처리 단계; 진공 처리된 상기 찹쌀을 10 내지5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단계; 물 70 내지 90중량부, 분쇄된 찹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뒤 10 내지 30℃의 온도로 냉각하는, 가열단계; 냉각된 상기 가열 용액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건조한 뒤 500 내지 600MPa의 압력 조건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초고압 처리하여 찹쌀 가루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1) 마늘 분말 및 후추 분말을 포함하여 곱창의 원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곱창의 풍미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고,
2)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 원육의 잡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3) 찹쌀가루를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잡내 제거 효과를 보조함과 더불어,
4)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개선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표면에 미세한 피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곱창 원육이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찹쌀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마늘 분말 및 후추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곱창용 양념에 함께 혼합되거나 곱창의 조리 시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곱창 원육을 일정 기간 동안 담가두었다가 꺼내어 세척하는 방법 등을 통해 곱창의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곱창이라 함은 소의 소장만 의미하는 것이 아닌 막창, 대창, 염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제 1 단계(S100), 제 2 단계(S200), 제 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단계(S100)는 껍질을 제거한 마늘을 세척한 뒤 건조시키는 과정이다. 여기서, 마늘은 알싸한 맛과 향을 내는 음식 재료로서 알리신을 포함하여 여러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피로 해소, 면역력강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마늘은 고기에서 나는 잡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곱창에서 나는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마늘의 건조 과정은 자연 건조, 건조기를 이용한 열풍 건조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완벽한 건조를 위해 마늘을 여러 조각으로 슬라이스하여 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분쇄 과정을 위해 수분기가 거의 없는 상태까지 마늘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 2 단계(S200)는 건조된 상기 마늘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마늘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마늘의 분쇄는 절구 등을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빻거나 믹서기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분쇄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한은 두지 않는다. 또한, 이때 마늘 분말은 다양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지만 후술할 후추 분말과 함께 잘 혼합될 수 있는 크기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 3 단계(S300)는 상기 마늘 분말과 후추 분말을 혼합하는 과정으로서, 잡내 제거용 조성물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후추 분말은 후추나무의 열매를 분말의 형태로 분쇄한 것으로, 고유의 맛과 향이 매우 강해 일반적으로 향신료로 사용되며 음식에 후추 간을 하면 음식의 잡내를 잡아주며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마늘 분말과 후추 분말의 비율은 1 : 1, 2 : 1, 5 : 1, 1 : 3 등으로서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능 및 곱창의 풍미 증진 등을 위하여 조성물에 다른 성분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은 곱창용 양념에 함께 혼합되거나 곱창의 조리 전에 곱창에 도포할 수도 있으며 조성물에 곱창 원육을 담지시킨 후 곱창 원육을 꺼내어 세척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은 곱창의 잡내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잡내로 인한 시식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풍미 또한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총 3 단계를 상술하였지만, 곱창 잡내를 더욱 제어하거나 풍미 증진, 연육 과정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과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하여, 조성물은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잡내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 내지 20중량%의 전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분은 감자, 옥수수, 고구마 등의 식물체에 의하여 합성되는 것으로 글루코스(포도당)로부터 구성되는 다당류이며 찬물에는 녹지 않으나, 더운물에는 부풀어 호화(糊化)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백색을 띄며 무미, 무취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분은 음식의 잡내를 흡수해 제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되어 곱창의 잡내를 흡수하여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분이 존재할 경우 접착력이 생겨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곱창의 표면에 잘 달라붙어 도포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찹쌀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따른 조성물은 찹쌀 가루를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잡내 제거 효과를 보조함과 더불어 영양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따른 조성물은 마늘 분말과 후추 분말을 포함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5 내지 10중량%의 찹쌀 가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찹쌀 가루는 진공 처리 단계(S400), 분쇄 단계(S410), 가열 단계(S420), 보조제 완성 단계(S43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진공 처리 단계(S400)는 물 70 내지 90중량부, 찹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침지 용액을 제조한 뒤 30 내지 100분 후 침지 용액을 여과하여 찹쌀을 진공 처리하는 과정이며, 분쇄 단계(S410)는 진공 처리된 찹쌀을 10 내지 5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찹쌀은 차진 기운이 높고 소화가 잘 되는 것으로서 4℃에서 보관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찹쌀 안에는 전분, 수용성 단백질, 섬유질, 비타민 등 영양소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냄새 제거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곱창의 육질을 연하고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찹쌀은 전분과 단백질 함유되어 있어 곱창이 깊은 맛을 낼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침지 과정은 찹쌀이 수분을 흡수하게 하여 찹쌀 속의 전분 조직을 깨뜨려 전분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진행되며, 진공 처리는 찹쌀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진행된다.
이후, 가열 단계(S420)는 물 70 내지 90중량부, 분쇄된 찹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뒤 10 내지 30℃의 온도로 냉각하는 과정으로서, 찹쌀의 찰기를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가열 및 냉각 과정을 통해 찹쌀 가루의 탄성이 더욱 증가되어 곱창의 잡내제거 효능 및 조성물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찹쌀 가루 완성 단계(S430)는 냉각된 상기 가열 용액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건조한 뒤 500 내지600MPa의 압력 조건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초고압 처리하여 찹쌀 가루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초고압 처리를 통해 찹쌀 가루 내의 전분이 호화되고 내열성 포자가 사멸되는 과정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찹쌀 가루의 보존성이 향상되고 미생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으며 물성이 개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찹쌀 가루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찹쌀 가루보다 탄성 및 찰기가 향상되고 찹쌀 가루 내의 전분이 호화된 것으로 찹쌀 가루 자체의 보존성이 향상되고 미생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될 뿐 아니라,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곱창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따른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개선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곱창의 표면에 미세한 피막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곱창 원육이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유연성 및 혼합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개선제는 상술한 찹쌀 가루를 포함한 조성물에 포함되며, 전체 조성물(마늘 분말, 후추 분말, 찹쌀가루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량 대비, 5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제는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500),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510), 개선제 완성 단계(S520)를 거쳐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먼저,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500)는 물 70 내지 80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10 내지 20중량부, 글리세롤(glycerol)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80 내지 95℃로 가열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개선제에 첨가되어 곱창 원육의 표면에 미세한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원육이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하여, 글리세롤은 개선제의 유연성과 혼합성을 증진시키는 가소제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S510)는 물 50 내지 70중량부, 밀랍(beeswax) 10 내지 30중량부,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10 내지 30중량부, 올레산(oleic acid) 1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80 내지 95℃로 가열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밀랍과 카나우바 왁스 또한 곱창 원육의 표면에 미세한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원육이 연육 과정 시 단백질이 지나치게 분해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올레산은 다른 재료들의 유화를 보조하는 유화제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개선제 완성 단계(S520)는 상기 1차 혼합 용액 40 내지 80중량부, 상기 2차 혼합 용액 2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한 뒤 20000 내지 30000rpm의 속도로 2 내지 5분 동안 교반한 후 10 내지 30℃의 온도로 냉각하여 개선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개선제는 곱창 원육의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잡내 제거 과정에서 곱창 내의 단백질이 지나치게 분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곱창 원육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 곱창의 맛과 식감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개선제는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를 포함하는 개선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켜 혼합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곱창 원육의 표면에 피막 현상을 하여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개선제는 전체 개선제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술한 개선제 완성 단계에서 1차 혼합 용액과 2차 혼합 용액을 혼합하는 시점에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교반 및 냉각 과정을 거쳐 개선제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개선 보조제는 타라검(tara gum) 20 내지 30중량부,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5내지 15중량부, 스테아릴젖산나트륨(sodium stearoyl lactylate) 5 내지 15중량부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타라검은 백색 또는 엷은 황색을 내는 분말로서 냄새가 거의 없고 다래과 타라 종자의 배유 부분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다당류이다. 이러한 타라검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켜 유화 안정성을 증진시키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이다.
메틸 셀룰로오스는 알칼리 존재 하에서 셀룰로오스에 다이메틸황산을 작용시켜 합성되는 것으로서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끈끈한 용액이 된다는 특징이 있어 조성물에 용해되어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성물을 곱창 표면에 도포할 때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곱창 연육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켜 곱창 연육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스테아릴젖산나트륨은 스테아릴젖산류의 나트륨염을 주성분으로 한 그 관련 산류 및 그들의 나트륨염과의혼합물로서 혼합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유화제로서 빵과 같이 구워 만드는 제품의 발포제, 유화제 등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빵류 및 이의 제조용 믹스, 면류, 식물성크림, 소스류, 치즈 외의 식품에 사용된다. 이러한 스테아릴젖산나트륨은 수분증발차단 효과가 있어 곱창 원육의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맛과 신선도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00: 제 1 단계 S200: 제 2 단계
S300: 제 3 단계 S400: 진공 처리 단계
S410: 분쇄 단계 S420: 가열 단계
S430: 찹쌀 가루 완성 단계 S500: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S510: 2차 혼합 제조 단계 S520: 개선제 완성 단계

Claims (4)

  1.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껍질을 제거한 마늘을 세척한 뒤 건조시키는, 제 1 단계;
    건조된 상기 마늘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의 마늘 분말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마늘 분말과 후추 분말을 혼합하여 잡내 제거용 조성물을 완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찹쌀 가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 lose)를 포함하는 개선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개선제는,
    물 70 내지 80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10 내지 20중량부, 글리세롤(glycerol)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80 내지 95℃로 가열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물 50 내지 70중량부, 밀랍(beeswax) 10 내지 30중량부,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10 내지 30중량부, 올레산(oleic acid) 1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한 뒤 80 내지 95℃로 가열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1차 혼합 용액 40 내지 80중량부, 상기 2차 혼합 용액 2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한 뒤 20000 내지 30000rpm의 속도로 2 내지 5분 동안 교반한 후 10 내지 30℃의 온도로 냉각하여 개선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 내지 20중량%의 전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가루는,
    물 70 내지 90중량부, 찹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침지 용액을 제조한 뒤 30 내지 100분 후 침지 용액을 여과하여 찹쌀을 진공 처리하는, 진공 처리 단계;
    진공 처리된 상기 찹쌀을 10 내지 5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단계;
    물 70 내지 90중량부, 분쇄된 찹쌀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 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90 내지 11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뒤 10 내지 30℃의 온도로 냉각하는, 가열 단계;
    냉각된 상기 가열 용액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건조한 뒤 500 내지 600MPa의 압력 조건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초고압 처리하여 찹쌀 가루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제는,
    전체 개선제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의 개선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개선 보조제는,
    타라검(tara gum) 20 내지 30중량부,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5 내지 15중량부, 스테아릴젖산나트륨(sodium stearoyl lactylate) 5 내지 15중량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97066A 2020-08-03 2020-08-03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20016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66A KR20220016738A (ko) 2020-08-03 2020-08-03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66A KR20220016738A (ko) 2020-08-03 2020-08-03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38A true KR20220016738A (ko) 2022-02-10

Family

ID=8025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66A KR20220016738A (ko) 2020-08-03 2020-08-03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67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3658B2 (ja) 食品用組成物
KR101908538B1 (ko) 영지 누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3809B1 (ko) 백삼분말과 홍삼추출액을 이용한 홍삼한과의 제조방법
JP2008079606A (ja) 加工食品用原料粉
CN106720868A (zh) 一种茶苕酥制备方法
JP2008141957A (ja) 機能性米粉、その製造方法及び該米粉を用いた飲食品
KR20210039769A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2135436B1 (ko) 곱창의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35435B1 (ko) 곱창의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4542858A (zh) 一种高钙马铃薯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649028B1 (ko) 꽃게 강정 제조방법
CN107296080B (zh) 高膳食纤维猴头菇山药软饼及其制备方法
KR20220016738A (ko) 마늘 분말을 포함한 곱창 잡내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366840A (zh) 低能量高纤维食品配方及制作工艺
KR20160066699A (ko) 단호박 분말 및 그를 이용한 단호박 가공식품
CN108651969A (zh) 一种核桃仁香菇酱及其制备方法
JP2018093787A (ja) 豆乳ゲル化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46823A (ko) 팥장환 제조방법
KR101972396B1 (ko) 해초 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4985B1 (ko) 홍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EP2358219B1 (en) Soya bean food product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JP2021185809A (ja) 穀類食品練り込み用または米飯用の水中油型乳化物および穀類食品
KR101499629B1 (ko) 화덕피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266774A (ja) 豆乳、おから入りパン類の製造方法
JPH11289968A (ja) 豆乳クリーム入りパン類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