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578A -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578A
KR20220016578A KR1020200096635A KR20200096635A KR20220016578A KR 20220016578 A KR20220016578 A KR 20220016578A KR 1020200096635 A KR1020200096635 A KR 1020200096635A KR 20200096635 A KR20200096635 A KR 20200096635A KR 20220016578 A KR20220016578 A KR 2022001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ask
occupant
bus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콘
주식회사 지엔에스모바일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콘, 주식회사 지엔에스모바일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콘
Priority to KR1020200096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578A/ko
Priority to PCT/KR2020/015048 priority patent/WO2022030686A1/ko
Publication of KR2022001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은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려는 출입자를 촬영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출입자판단부 및 상기 출입자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촬영되는 상기 출입자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출입자의 마스크착용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버스에 적용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 승객에 대한 승차 거부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버스운행기사와 승객 사이의 불필요한 언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출입게이트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며, 게이트 측면에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마련함으로써 넓은 광장에서 행사 진행시 게이트를 우회하여 행사장으로 진입하려는 출입자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automatic sliding gate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mask and measuring body temperature used for bus or for doorway}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유행으로 감염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백신개발 및 감염 예방 정책을 앞다투어 내놓고 있으나, 아직까지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상에는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세균과 바이러스는 언제든지 발현 및 확산되어 사람들의 건강을 해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인이 이용하고 있는 대중교통, 공공시설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은 세균과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유리한 환경이다. 이에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여 필요시에 출입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출입자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KR 제10-2020-0066918호 “비접촉 체온 측정 기반의 출입문 제어 장치 및 방법”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출입자의 입을 개구하도록 한 후 입 내부의 중심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 대상자의 출입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에 해당 질병이 발현하는 시기는 사람마다 다르므로 종래기술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을 되었으나 아직 질병이 발현되지 않아 체온이 상승하지 않은 출입 대상자를 선별적으로 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다수인이 이용하는 공간에 출입하려는 출입 대상자의 마스크 착용여부를 자동 인식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에는 감염되었으나 아직 질병이 발현되지 않은 출입 대상자로 인한 감염병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다수인이 이용하는 공간에 출입하려는 출입 대상자의 마스크 착용여부를 자동 식별하고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열 중이거나 세균이나 바이러스에는 감염되었으나 아직 질병이 발현되지 않은 출입 대상자로 인한 감염병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은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려는 출입자를 촬영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출입자판단부 및 상기 출입자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촬영되는 상기 출입자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출입자의 마스크착용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인식된 상기 얼굴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출입자의 코, 입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라 함-가 보이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파악한 후 등록되어 있는 마스크와 비교하여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더라도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파악한 후 등록되어 있는 마스크와 비교하여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상기 출입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감지된 상기 체온을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자의 발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상기 마스크착용여부 및 상기 발열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게이트는 이동도어, 상기 이동도어가 입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도어를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도어가 연결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로 상호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이동도어의 열림을 검출하는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이동도어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이동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이동도어가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출입자판단부에 의하여 상기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도어고정부는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이동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이동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출입자판단부에 의하여 상기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도어가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트가 닫힌 상태가 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일례로, 상기 몸체는 버스의 출입구에 인접한 상기 버스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상기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의 측면에 마련되며, 좌우로 전개 및 절첩되는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첩식 바리케이드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지주들, 상기 복수의 지주들 중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지그재그로 마련되어 절첩될 수 있는 연결살대 및 상기 게이트의 상기 측면에서 가장 먼 쪽에 마련되는 지주의 외면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요철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게이트를 출입하려는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여부를 비접촉 방식으로 자동으로 인식하고 감지하여 마스크 미착용시 경보, 경보 LED 표시, 게이트 차단과 같은 출입통제 등을 수행함으로써 질병 확산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출입자의 마스크착용여부 감지와 함께 체온을 함께 감지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하였으나 체온이 기준온도 이상인 출입자를 통제하여 질병 확산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버스에 적용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 승객에 대한 승차 거부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버스운행기사와 승객 사이의 불필요한 언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이동고정도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출입이 통제된 출입자가 강제로 이동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게이트 측면에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마련함으로써 넓은 광장에서 행사 진행시 게이트를 우회하여 행사장으로 진입하려는 출입자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바리케이드에 요철레일이 마련되는 커버부를 마련함으로써 여러 개의 바리케이드의 커버부를 상호 연결하여 제한된 길이의 바리케이드로도 넓은 둘레를 커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이 버스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이 휴대 및 이동가능하게 출입게이트 용도로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이동도어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이 버스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이동도어가 열린 상태의 게이트 내부 모습, 이동도어가 닫힌 상태의 게이트 내부 모습 및 이동도어고정부가 동작한 게이트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이 휴대 및 이동가능하게 출입게이트 용도로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의 기본형 및 절첩시 바리케이드가 마련된 변형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커버부가 마련된 절첩식 바리케이드가 마련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및 커버부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을 게이트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게이트 시스템(100, 100a)은 게이트(110), 출입자판단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시스템(100, 100a)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절첩식 바리케이드(140), 모니터(150), 시각표시부(160) 및 음향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110)는 출입자가 통과하는 문으로 출입자가 출입 가능한 대상자인지 여부에 따라 개폐된다. 게이트(110)는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이트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게이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110)는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10) 등과 같은 이송수단에 부착되어 고정되게 마련되거나, 도 4 및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또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게이트(110)는 이동도어(112), 이동도어(112)가 입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114, 114a) 및 몸체(114, 114a)에 마련되며, 이동도어(112)를 몸체(114, 114a)의 측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부(116)는 연결부(116a)를 통하여 이동도어(112)가 연결되는 구동벨트(116b), 구동벨트(116b)로 상호 연결되는 구동풀리(116c)와 종동풀리(116d) 및 제어부(130)에 의하여 제어되며, 구동풀리(116c)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6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4, 114a)는 이동도어(112)의 열림을 검출하는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와 이동도어(112)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 및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모터(116e)가 동작하면 구동풀리(116c)의 동작에 의해 구동벨트(116b)는 이동하며, 이에 따라 연결부(116a)에 의하여 구동벨트(116b)에 연결된 이동도어(112)는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이동도어(112)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개폐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의하여 이동도어(112)가 열리는 과정에서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를 만나면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는 제어부(130)에 신호를 보내며, 제어부(130)는 이동도어(112)의 동작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이동도어(112)가 과도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30)에 의하여 이동도어(112)가 닫히는 과정에서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를 만나면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는 제어부(130)에 신호를 보내며, 제어부(130)는 이동도어(112)의 동작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이동도어(112)가 과도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 및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는 예로서 이동체의 접촉에 따라 전기회로의 배선이 개방 또는 단락되는 전기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 및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와 연계한 제어부(130)의 이동도어(112)의 제어는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 및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로부터 제어부(130)가 신호를 받으면 이를 통해 구동모터(116e)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 및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를 각각 구동모터(116e)와 연결되는 전원라인에 마련할 수 있다.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 및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이동도어(112)가 열리는 과정 및 닫히는 과정에서 각각 연결부(116a) 및 이동도어(112)와 접촉함으로써 구동모터(116e)와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개방시킴으로써 구동모터(116e)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 및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는 각각 이동도어(112)가 과도하게 열리는 경우 및 과도하게 닫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117a)로서 이동도어(112)가 열리는 과정에서 연결부(116a)와 접촉함으로써 동작하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117b)로서 이동도어(112)가 닫히는 과정에서 이동도어(112)와 접촉함으로써 동작하는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 한편, 게이트(110)는 몸체(114, 114a)에 마련되는 이동도어고정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d)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16)에 의하여 구동된 이동도어(112)가 몸체(114, 114a)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게이트(110)가 닫힌 상태에서 출입자판단부(120)에 의하여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이동도어고정부(118)는 연결부(116a)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부(116a)를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이동도어고정부(118)로서 이동도어(112)가 닫힌 상태에서 출입하려는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상기 출입자가 강제로 이동도어(112)를 열지 못하도록 이동도어(112)가 열리는 방향으로 치우쳐 이동도어고정부(118)에 인접하여 걸림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이동도어고정부(118)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도어고정부(118)는 평시에는 이동도어(112)가 열린 상태에서 연결부(116a)에 대향하는 몸체(114, 114a) 내면에 후퇴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이동도어(112)가 몸체(114, 114a)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게이트(110)가 닫힌 상태에서 출입자판단부(120)에 의하여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전진하여 이동도어고정부(118)에 인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이동도어(112)가 출입자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이동도어고정부(118)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피스톤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걸림부 형상의 이동도어고정부(118)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연결부(116a)를 감싸는 ‘Y’, ‘U’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동도어고정부(118)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이동도어고정부(118)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다수의 인원을 빠르게 출입 및 차단시키기 위해서 이동도어고정부(118)는 평시에는 이동도어(112)가 열린 상태에서 연결부(116a)에 대향하는 몸체(114, 114a) 내면에 후퇴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이동도어(112)가 출입자판단부(120)에 의하여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이동도어(112)가 몸체(114, 114a)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게이트(110)가 닫히게 되고, 이동도어(112)가 전진하여 이동도어고정부(118)에 인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이동도어(112)가 출입자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는 게이트(110)에 마련되며, 게이트(110)를 출입하려는 출입자를 촬영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출입자판단부(120)는 예로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는 촬영되는 상기 출입자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출입자의 마스크착용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출입자판단부(120)의 판단결과에 따라 게이트(110)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는 인식된 상기 얼굴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출입자의 코, 입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라 함-가 보이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입자판단부(120)는 인식된 출입자의 얼굴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 후 코와 입이 동시에 보이지 않을 경우를 기준으로 출입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출입자판단부(120)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파악한 후 등록되어 있는 마스크와 비교하여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입자가 게이트(110)를 출입하려는 과정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 책, 가방, 지갑, 모자 등으로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가리고 게이트(110)를 통과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가 단순히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는지 아닌지 여부를 기준으로만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경우, 마스크가 아닌 다른 대상체를 통하여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보이지 않도록 하고 게이트(110)를 통과하려는 출입자의 부정행위를 막을 수 없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출입자판단부(120)가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는지 아닌지 여부로만 판단하지 아니하고 상기 마스크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마스크 즉, 마스크 이미지 등과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출입자의 부정행위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다른 예로, 출입자판단부(120)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더라도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파악한 후 등록되어 있는 마스크와 비교하여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입자가 게이트(110)를 출입하려는 과정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투명마스크를 착용한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출입자판단부(120)가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는지 아닌지 여부로만 판단하지 아니하고 상기 마스크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마스크 즉, 마스크 이미지 등과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투명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출입 가능한 출입자가 출입불가판정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한편, 출입자판단부(120)는 출입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는 감지된 상기 체온을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자의 발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는 상기 마스크착용여부 및 상기 발열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입자판단부(120)로서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체온, 마스크착용여부를 동시에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110) 또는 몸체(114, 114a)는 예로서 버스(10)의 출입구에 인접한 버스(1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버스(10)를 승차하려는 승객을 차단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4 및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110) 또는 몸체(114, 114a)는 휴대 또는 이동형으로 출입게이트 용도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게이트 시스템(100, 100a)을 이동형으로 출입게이트 용도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야외의 넓은 광장에서 행사가 진행될 경우에 게이트 시스템(100, 100a)을 손쉽게 설치하여 행사에 출입하려는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식별 및 체온측정을 통하여 전염병 등이 염려되는 출입자를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전염병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게이트 시스템(100, 100a) 기술은 게이트(110) 측면에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를 추가적으로 마련함으로써 넓은 광장에서 행사 진행시 게이트(110)를 우회하여 행사장으로 진입하려는 출입자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절첩식 바리케이드(140)에 요철레일(146a)이 마련되는 커버부(146)를 마련함으로써 여러 개의 절첩식 바리케이드(140)의 커버부(146)를 상호 연결하여 제한된 길이의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로도 넓은 둘레를 커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는 게이트(110)의 측면에 마련되며, 좌우로 전개 및 절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및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지주들(142), 복수의 지주들(142) 중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지그재그로 마련되어 절첩될 수 있는 연결살대(144) 및 게이트(110)의 상기 측면에서 가장 먼 쪽에 마련되는 지주의 외면을 감싸는 커버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46)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부(146b)와 철부(146c)를 포함하는 요철레일(146a)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46)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부(146b)와 철부(146c)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게이트(110) 측면에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를 마련함으로써 넓은 광장에서 행사 진행시 게이트(110)를 우회하여 행사장으로 진입하려는 출입자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바리케이드(140)에 요철레일(146a)이 마련되는 커버부(146)를 마련함으로써 여러 개의 절첩식 바리케이드(140)의 커버부(146)를 상호 연결하여 제한된 길이의 절첩식 바리케이드(140)로도 넓은 둘레를 커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커버부(146)의 소재로는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소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모니터(150)는 게이트(110)에 마련될 수 있다. 모니터(150)에는 출입자판단부(120)를 통하여 촬영된 게이트(110)를 출입하려는 출입자의 얼굴, 출입가능여부표시, 적외선감지기를 통하여 측정된 체온, 출입자판단부(120)가 판단을 위해 요구하는 출입자의 얼굴크기와 관련한 기준라인, 출입자에게 요구하는 메시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시각표시부(160)는 게이트(110)에 마련될 수 있다. 시각표시부(160)는 출입자판단부(120)의 출입가능여부 판단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례로, 시각표시부(160)는 LED를 통하여 출입가능시에는 파란색을, 출입불가능시에는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출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음향생성부(미도시)는 게이트(11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생성부는 출입자판단부(120)의 출입가능여부 판단결과를 음향으로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생성부는 게이트(110)를 통과하려는 출입자에게 필요한 안내내용을 안내음성으로 알려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버스
100, 100a: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110: 게이트
112: 이동도어
114, 114a: 몸체
116: 구동부
116a: 연결부
116b: 구동벨트
116c: 구동풀리
116d: 종동풀리
116e: 구동모터
117a: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
117b: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
118: 이동도어고정부
120: 출입자판단부
130: 제어부
140: 절첩식 바리케이드
142: 복수의 지주들
144: 연결살대
146: 커버부
146a: 요철레일
146b: 요부
146c: 철부
150: 모니터
160: 시각표시부

Claims (11)

  1.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려는 출입자를 촬영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출입자판단부; 및
    상기 출입자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촬영되는 상기 출입자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한 후 상기 출입자의 마스크착용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인식된 상기 얼굴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 후 상기 출입자의 코, 입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라 함-가 보이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파악한 후 등록되어 있는 마스크와 비교하여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추출된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이 보이더라도 상기 마스크착용판단기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체의 윤곽을 파악한 후 등록되어 있는 마스크와 비교하여 상기 마스크착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상기 출입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감지된 상기 체온을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출입자의 발열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출입자판단부는 상기 마스크착용여부 및 상기 발열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이동도어;
    상기 이동도어가 입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도어를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도어가 연결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로 상호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이동도어의 열림을 검출하는 열림검출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이동도어의 닫힘을 검출하는 닫힘검출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이동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이동도어가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출입자판단부에 의하여 상기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도어고정부는 상기 연결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버스의 출입구에 인접한 상기 버스의 외면에 마련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측면에 마련되며, 좌우로 전개 및 절첩되는 절첩식 바리케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바리케이드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지주들;
    상기 복수의 지주들 중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지그재그로 마련되어 절첩될 수 있는 연결살대; 및
    상기 게이트의 상기 측면에서 가장 먼 쪽에 마련되는 지주의 외면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요철레일이 마련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이동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된 상기 이동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출입자판단부에 의하여 상기 출입자가 출입불가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도어가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게이트가 닫힌 상태가 되는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KR1020200096635A 2020-08-03 2020-08-03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KR20220016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35A KR20220016578A (ko) 2020-08-03 2020-08-03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PCT/KR2020/015048 WO2022030686A1 (ko) 2020-08-03 2020-10-30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35A KR20220016578A (ko) 2020-08-03 2020-08-03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78A true KR20220016578A (ko) 2022-02-10

Family

ID=8011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35A KR20220016578A (ko) 2020-08-03 2020-08-03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6578A (ko)
WO (1) WO2022030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5517B (zh) * 2022-03-02 2022-05-20 中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分析的景区游客行为监测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6227B2 (ja) * 2008-11-28 2014-03-19 株式会社大林組 入場管理システム
CN108597084A (zh) * 2018-05-17 2018-09-28 韩鹏 一种出入境口岸自动医疗卫生检疫通行系统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686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3114B (zh) 升降机出入控制系统
WO2016093442A1 (ko) 대테러용 스마트 차량 검문 시스템
BR102014019625A2 (pt) sistema e método de controle e monitoramento para acesso em área restrita
JP4309145B2 (ja) 集合住宅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7536587A5 (ko)
JP6681561B2 (ja) 開閉手段用警戒システムにおける警戒判定器
JP2007148987A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WO2020004134A1 (ja) ゲート装置及びシステム
JPWO2018061812A1 (ja) ゲート装置
CN215729955U (zh) 一种智能测温通道用速通道闸
KR20220016578A (ko) 마스크 착용 식별 및 체온측정이 가능한 버스용 또는 출입게이트용 자동 슬라이딩 게이트 시스템
KR101948475B1 (ko) 보안성이 강화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CN107403485A (zh) 出入境查验系统
CN211037953U (zh) 一种应用于物业管理的门禁装置
JP3584337B2 (ja) 通行制御装置
JP2011132799A (ja) 自動ドア開閉システム
JPH11185087A (ja) 入退場者管理システム
JP6679379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127702A (ja) 制御装置、駐車案内ユニット、駐車案内システ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4265232A (ja) 通行制御装置
KR20060042984A (ko) 방범 기능이 부착된 엘리베이터 장치
IT201900018986A1 (it) "Sistema di sicurezza industriale"
KR20180090575A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KR102543963B1 (ko)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40139850A (ko) 출입 게이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