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329A -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 - Google Patents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329A
KR20220015329A KR1020210094670A KR20210094670A KR20220015329A KR 20220015329 A KR20220015329 A KR 20220015329A KR 1020210094670 A KR1020210094670 A KR 1020210094670A KR 20210094670 A KR20210094670 A KR 20210094670A KR 20220015329 A KR20220015329 A KR 2022001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rack
car mover
car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스카 키론
티에우 웡 샘
구일라니 브래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2001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07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an electrical linea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66B11/0025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2Guideways; Guides with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시되며,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로 레인 내의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로 레인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카 무버를 갖고, 카 무버는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카 무버 트랙과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휠의 제1 타이어를 갖고, 제1 타이어 및 카 무버 트랙 중 하나 이상은 제1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 간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계합 특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 {AUTONOMOUS ELEVATOR CAR MOVERS AND TRACTION SURFACES THEREFOR, CONFIGURED WITH TRACTION INCREASING AND GUIDANCE ENHANCING IMPLEMENTS}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다중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autonomous elevator car mover)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에 관한 것이다.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는 모터 피구동 휠을 사용하여 수직 I-빔 트랙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상하로 추진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대한 2개의 요소는 전통적인 T-레일 상에서 롤러 가이드에 의해 안내될 엘리베이터 카 및 2개 내지 4개의 모터 피구동 휠을 수용할 자율주행 카 무버를 포함한다. 카 무버 휠과 I-빔 트랙 간의 연결 목표는 이들 요소 간의 마찰을 최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가능한 한, 다른 목표는 카 무버 휠과 I-빔 트랙 간의 마찰을 최대화하면서 이들 요소 간에 필요한 수직력(normal force)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시되며,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로 레인 내의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로 레인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카 무버를 포함하고, 카 무버는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카 무버 트랙과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휠의 제1 타이어를 포함하며, 제1 타이어 및 카 무버 트랙 중 하나 이상은 제1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 간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계합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타이어는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계합 특징부는 열 및 자속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1 코일 권선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코일 권선은 열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제2 코일 권선은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 무버의 컨트롤러는 제1 코일 권선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시간, 카 무버 트랙과 카 무버 간의 거리, 제1 타이어의 온도, 제1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 코일 권선으로 전력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는 카 무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카 무버 트랙과 카 무버 간의 거리, 제1 타이어의 온도, 제1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는 센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직접,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센서 데이터는 센서, 클라우드 서비스 및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코일 권선은 제1 휠을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모터는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타이어는 카 무버 트랙의 제1 측면과 계합하고; 카 무버는 카 무버 트랙의 제2 측면과 계합하는 제2 휠의 제2 타이어를 포함하고, 제2 타이어는 제1 타이어와 제2 타이어가 서로를 향해 끌리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2 타이어 코일 권선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 무버 트랙은 제1 타이어에 의해 계합될 때에 견인력 및 가이던스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트랙 계합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트랙 계합 특징부는, 다이아몬드 프로파일 또는 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카 무버 트랙의 트랙 단면; 및 카 무버 트랙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 상에 볼록 프로파일, 오목 프로파일, 또는 반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카 무버 트랙의 트랙 웹 단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타이어는 타이어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카 무버 트랙은 트랙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며, 타이어 계합 특징부 및 트랙 계합 특징부는 카 무버가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서로 보완하고 서로 계합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타이어 계합 특징부는 제1 타이어의 외부 환상 표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인상(impression) 중 하나이고; 트랙 계합 기능은 카 무버 트랙을 따른 돌출부 및 인상 중 다른 것이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타이어 계합 특징부는 축방향 중심에 있거나 제1 타이어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고; 또는 타이어 계합 특징부 및 트랙 계합 특징부는 삼각형 파형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 무버 트랙은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계합 특징부는 표면 코팅; 표면 마감; 카 무버가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제1 타이어를 카 무버 트랙의 중심에 두는 표면 윤곽, 및 트랙 단면들 간의 상보형 정렬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이다.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 추가로 개시되며,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카 무버의 제1 휠의 제1 타이어 내의 제1 코일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 카 무버는 승강로 레인 내의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로 레인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킴 -; 및 제1 코일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부터 열 및 자속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1 코일 권선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카 무버의 컨트롤러가 시간, 카 무버 트랙과 카 무버 간의 거리, 제1 타이어의 온도, 제1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 코일 권선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카 무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센서가 카 무버 트랙과 카 무버 간의 거리, 제1 타이어의 온도, 제1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센서가 센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직접,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센서 데이터는 센서, 클라우드 서비스 및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1 코일 권선이 제1 휠을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모터는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개시된 양태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1 타이어가 카 무버 트랙의 제1 측면과 계합하는 것; 및 카 무버의 제2 휠의 제2 타이어 내의 제2 타이어 코일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타이어는, 제1 타이어와 제2 타이어가 선택적으로 서로를 향해 끌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카 무버 트랙의 제2 측면과 계합한다.
본 발명으로 간주되는 주제는 명세서의 결론에 있는 청구범위에서 특히 언급되고 명확하게 청구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로 레인 내의 엘리베이터 카 및 카 무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 무버를 나타낸다.
도 3은 열 및 전자기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 권선 형태의 계합 특징부가 휠에 장착된 카 무버를 나타낸다.
도 4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휠과 카 무버 트랙의 웹이 휠 내의 상보형 인상과 웹 내의 돌출부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5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휠과 카 무버 트랙의 웹이 웹 내의 상보형 인상과 휠 내의 돌출부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6a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타이어와 카 무버 트랙의 웹이 웹 내의 상보형 웨지 형상의 돌출부와 타이어 내의 인상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6b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웹이 웹의 양 측면 상에 반원형 돌출부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 트랙의 웹 및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6c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웨지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트랙과 타이어 내의 상보형 인상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타이어 및 카 무버 트랙을 나타낸다.
도 6d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 단면을 갖는 트랙 및 타이어 내의 상보형 인상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타이어 및 카 무버 트랙을 나타낸다.
도 6e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웹이 볼록 단면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 트랙의 웹 및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6f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웹이 오목 단면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 트랙의 웹 및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6g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웹이 웹의 일 측면 상에 반원형 돌출부 형태의 계합 특징부를 갖는 카 무버 트랙의 웹 및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7은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 처리 및/또는 마감 형태의 계합 특징부가 설치된 카 무버 트랙을 나타내고, 카 무버 트랙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 무버 트랙의 단면은 텅(tongue) 및 홈 정렬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8은 단면 선 8-8을 따른 도 7의 카 무버 트랙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은 다수의 레벨 또는 층(30a, 30b)을 갖는 구조물 또는 건물(20)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자체 추진 또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건물(20)에 의해 운반되는 경계에 의해 획정된 승강로(40)(또는 승강로 샤프트), 및 임의의 수의 주행 방향(예를 들어, 상하)으로 엘리베이터 카 트랙(65)(T-레일일 수 있음)을 따라 승강로 레인(60)에서 주행하기에 적합한 복수의 카(50a-50c)를 포함한다. 카(50a-50c)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50a)로 언급될 것이다. 승강로(40)는 또한 최상부 종점(70a) 및 최하부 종점(70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50a-50c)에 대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복수의 카 무버 시스템(카 무버)(80a-80c)(다르게는, 후술하는 이유 때문에, 빔 클라이머(beam climber) 시스템 또는 빔 클라이머라고 지칭됨)중 하나를 포함한다. 카 무버(80a-80c)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카(50a)로 언급될 것이다. 카 무버(80a)는 카 무버 트랙(85)(I-빔일 수 있음)을 따라 이동하여 승강로 레인(60)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50a)를 이동시키고, 자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카 무버(80a)는 카(50a)의 최상부(90a), 카(50a)의 최하부(91a) 또는 둘 모두와 계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카 무버(80a)는 카(50a)의 최하부(91a)와 계합한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카(50a), 카 무버(80a), 컨트롤러(115) 및 전원(120)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카 무버(80a)와 별개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카 무버(80a)에 포함된(즉, 카 무버(80a)와 함께 승강로(40)를 통해 이동하는) 컨트롤러(115)에 적용 가능할 수 있고, 또한 카 무버(80a) 외부에 배치된(즉, 카 무버(80a)에 원격으로 연결되고 카 무버(80a)에 대해 고정된) 컨트롤러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카 무버(80a)와 별개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카 무버(80a)에 포함된(즉, 카 무버(80a)와 함께 승강로(40)를 통해 이동하는) 전원(120)에 적용 가능할 수 있고, 또한 카 무버(80a) 외부에 배치된(즉, 카 무버(80a)에 원격으로 연결되고 카 무버(80a)에 대해 고정된) 전원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카 무버(80a)는 승강로(40) 내에서 승강로(40)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09a, 109b)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50a)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레일(109a, 109b)은 T-빔이다. 카 무버(80a)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132a, 132b)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132a, 132b)는 카 무버 트랙(85)(도 1)을 형성하는 가이드 빔(111a, 111b)에 대해 가압되는 하나 이상의 전동 휠(134a, 134b)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로(40) 내에서 카 무버(80a)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빔(111a, 111b)은 I-빔이다. I-빔이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빔 또는 유사한 구조물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전기 모터(132a, 132b)에 의해 구동되는 휠들(134a, 134b, 134c, 134d) 간의 마찰은 휠(134a, 134b, 134c, 134d)이 가이드 빔(111a, 111b)을 상승(21) 및 하강(22)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 빔은 승강로(40)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2개의 가이드 빔(111a, 111b)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빔과 함께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2개의 전기 모터(132a, 132b)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를 갖는 카 무버(80a)에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카 무버(80a)는 4개의 휠(134a, 134b, 134c, 134d)(일반적으로 휠(134)) 각각에 대해 하나의 전기 모터를 가질 수 있다. 전기 모터(132a, 132b)는 영구 자석 전기 모터, 비동기 모터,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전기 모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배치 구성이 2개의 상이한 수직 위치(즉, 엘리베이터 카(50a)의 최하부 및 최상부)에 동력 휠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빔(111a)은 웹부(113a)와 2개의 플랜지부(114a)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빔(111a)의 웹부(113a)는 제1 표면(112a) 및 제1 표면(112a)과 대향하는 제2 표면(112b)을 포함한다. 제1 휠(134a)은 제1 표면(112a)과 접촉하고, 제2 휠(134b)은 제2 표면(112b)과 접촉한다. 제1 휠(134a)은 타이어(135)를 통해 제1 표면(112a)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휠(134b)은 타이어(135)를 통해 제2 표면(112b)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휠(134a)은 제1 압축 메커니즘(150a)에 의해 제1 가이드 빔(111a)의 제1 표면(112a)에 대해 압축되고, 제2 휠(134b)은 제1 압축 메커니즘(150a)에 의해 제1 가이드 빔(111a)의 제2 표면(112b)에 대해 압축된다. 제1 압축 메커니즘(150a)은 제1 휠(134a)과 제2 휠(134b)을 함께 압축하여 제1 가이드 빔(111a)의 웹부(113a) 상에 클램핑한다.
제1 압축 메커니즘(150a)은 금속 또는 탄성중합체 스프링 메커니즘, 공압 메커니즘, 유압 메커니즘, 턴버클 메커니즘, 전자기계식 액추에이터 메커니즘, 스프링 시스템, 유압 실린더, 전동 스프링 셋업, 또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힘 작동 방법일 수 있다.
제1 압축 메커니즘(150a)은 제1 가이드 빔(111a) 상의 제1 휠(134a) 및 제2 휠(134b)의 압축을 제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작동 중에 실시간으로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제1 휠(134a) 및 제2 휠(134b)은 제1 가이드 빔(111a)과의 견인력을 증가시키 위한 타이어(135)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112a) 및 제2 표면(112b)은 승강로(40)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 휠(134a) 및 제2 휠(134b)이 라이딩할 수 있는 트랙을 생성한다. 플랜지부(114a)는 이 트랙을 따라 휠(134a, 134b)을 안내하는 것을 도와서 휠(134a, 134b)이 트랙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가드레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1 전기 모터(132a)는 제1 휠(134a)을 회전시켜 제1 가이드 빔(111a)을 상승(21) 또는 하강(22)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전기 모터(132a)는 또한 제1 전기 모터(132a)의 회전을 감속 및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모터 브레이크(13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 브레이크(137a)는 제1 전기 모터(132a)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모터 브레이크(137a)는 클러치 시스템,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드럼 브레이크 시스템, 제1 전기 모터(132a)의 로터 상의 브레이크, 전자 브레이킹, 와전류 브레이크, 자기유변 유체 브레이크(Magnetorheological fluid brake) 또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브레이킹 시스템일 수 있다. 빔 클라이머 시스템(130)은 또한 제1 가이드 레일(109a)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가이드 레일 브레이크(138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 브레이크(138a)는 제1 가이드 레일(109a) 상에 클램핑함으로써 빔 클라이머 시스템(130)의 이동을 느리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가이드 레일 브레이크(138a)는 빔 클라이머 시스템(130) 상의 제1 가이드 레일(109a)에 작용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또는 엘리베이터 카(50a)에 근접한 제1 가이드 레일(109)에 작용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빔(111b)은 웹부(113b) 및 2개의 플랜지부(114b)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 빔(111b)의 웹부(113b)는 제1 표면(112c) 및 제1 표면(112c)과 대향하는 제2 표면(112d)을 포함한다. 제3 휠(134c)은 제1 표면(112c)과 접촉하고, 제4 휠(134d)은 제2 표면(112d)과 접촉한다. 제1 휠(134c)은 타이어(135)를 통해 제1 표면(112c)과 접촉할 수 있고, 제4 휠(134d)은 타이어(135)를 통해 제2 표면(112d)과 접촉할 수 있다. 제3 휠(134c)은 제2 압축 메커니즘(150b)에 의해 제2 가이드 빔(111b)의 제1 표면(112c)에 대해 압축되고, 제4 휠(134d)은 제2 압축 메커니즘(150b)에 의해 제2 가이드 빔(111b)의 제2 표면(112d)에 대해 압축된다. 제2 압축 메커니즘(150b)은 제3 휠(134c)과 제4 휠(134d)을 함께 압축하여 제2 가이드 빔(111b)의 웹부(113b) 상에 클램핑한다.
제2 압축 메커니즘(150b)은 스프링 메커니즘, 턴버클 메커니즘, 액추에이터 메커니즘, 스프링 시스템, 유압 실린더, 및/또는 전동 스프링 셋업일 수 있다. 제2 압축 메커니즘(150b)은 제2 가이드 빔(111b) 상의 제3 휠(134c) 및 제4 휠(134d)의 압축을 제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작동 중에 실시간으로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제3 휠(134c) 및 제4 휠(134d)은 제2 가이드 빔(111b)과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타이어(135)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112c) 및 제2 표면(112d)은 샤프트(117)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3 휠(134c) 및 제4 휠(134d)이 라이딩할 수 있는 트랙을 생성한다. 플랜지부(114b)는 이 트랙을 따라 휠(134c, 134d)을 안내하는 것을 도와서 휠(134c, 134d)이 트랙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가드레일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2 전기 모터(132b)는 제3 휠(134c)을 회전시켜 제2 가이드 빔(111b)을 상승(21) 또는 하강(22)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전기 모터(132b)는 또한 제2 모터(132b)의 회전을 감속 및 정지시키기 위한 제2 모터 브레이크(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 브레이크(137b)는 제2 모터(132b)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터 브레이크(137b)는 클러치 시스템,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드럼 브레이크 시스템, 제2 전기 모터(132b)의 로터 상의 브레이크, 전자 브레이킹, 와전류 브레이크, 자기유변 유체 브레이크, 또는 임의의 다른 알려진 브레이킹 시스템일 수 있다. 빔 클라이머 시스템(130)은 제2 가이드 레일(109b)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가이드 레일 브레이크(138b)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 레일 브레이크(138b)는 제2 가이드 레일(109b) 상에 클램핑함으로써 빔 클라이머 시스템(130)의 움직임을 느리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2 가이드 레일 브레이크(138b)는 빔 클라이머 시스템(130) 상의 제1 가이드 레일(109a)에 작용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또는 엘리베이터 카(50a)에 근접한 제1 가이드 레일(109a)에 작용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또한 위치 기준 시스템(113)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기준 시스템(113)은 지지체 또는 가이드 레일(109)과 같은 승강로(40)의 최상부에서의 고정 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승강로(40) 내의 엘리베이터 카(50a)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위치 기준 시스템(11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동 구성요소(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50a) 또는 카 무버(80a))에 직접 장착될 수 있거나, 다른 위치 및/또는 구성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기준 시스템(113)은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임의의 장치 또는 메커니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위치 기준 시스템(113)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인코더, 센서, 가속도계, 고도계, 압력 센서, 거리 측정기(range finder), 또는 다른 시스템일 수 있고, 속도 감지, 절대 위치 감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5)는 프로세서(116), 및 프로세서(116)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16)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관련 메모리(119)를 포함하는 전자 컨트롤러일 수 있다. 프로세서(116)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중앙 처리 유닛(CPU),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동종으로 또는 이종으로 배열된 그래픽 처리 유닛(GPU) 하드웨어를 포함한, 광범위한 가능한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의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19)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다른 전자, 광학, 자기 또는 임의의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트롤러(115)는 엘리베이터 카(50a) 및 엘리베이터 카 무버(80a)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5)는 엘리베이터 카(50a)의 가속, 감속, 레벨링, 정지 등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신호를 카 무버(80a)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15)는 또한 위치 기준 시스템(113)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위치 기준 장치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9a, 109b)을 따라 승강로(40) 내에서 위(21) 또는 아래(22)로 이동할 때, 엘리베이터 카(50a)는 컨트롤러(115)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층(30a, 30b)에서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115)는 원격에 또는 클라우드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115)는 카 무버(8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용 전원(120)은 다른 구성요소와 조합하여 카 무버(80a)에 공급되는 전력 그리드 및/또는 배터리 전력을 포함한 임의의 전원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원(120)은 카 무버(8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원(120)은 카 무버(80a)에 포함되는 배터리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또한 엘리베이터 카(50a) 또는 카 무버(80a)에 부착된 가속도계(10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계(107)는 엘리베이터 카(50a) 및 카 무버(80a)의 가속도 및/또는 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카 무버(80a)의 휠(134)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타이어(135) 중 하나 이상이 견인력 증가 도구로서 타이어 계합 특징부들(또는 타이어 계합 특징부)(200a)를 포함할 수 있는 실시형태가 개시된다. 타이어 계합 특징부(200a)는 전력을 수신하고 전자석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코일 권선(210)의 형태일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타이어(135) 및 각각의 휠(134) 중 하나 이상은 제1 타이어(135a) 및 제1 휠(134a)이라고 지칭될 것이고, 제1 타이어(135a)용 코일 권선(210)은 제1 코일 권선(210a)이라고 지칭될 것이다.
제1 타이어(135a)를 위한 통고무 타이어(전통적인 자동차 유형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음)를 사용할 때, 타이어 견인력은 클램핑력, 표면적, 고무 화합물, 및 카 무버 트랙(85)(예를 들어, I-빔)에 대한 트레드 패턴에 의존할 수 있다. 카 무버 트랙(85)은 철계 재료(ferrous material)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온도를 낮추면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의 마찰 계수를 낮춰서, 견인력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제1 타이어(135a) 및 카 무버 트랙(85)(예를 들어, I-빔의 웹(113))의 접촉 표면 상의 수분 및 오일도 견인력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타이어(135a)는, 예를 들어 제1 타이어(135a)를 형성하는 고무 화합물에 매립된 제1 코일 권선(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 권선(210a)은 제1 타이어(135a)를 가열하기도 하고 선택적으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코일 권선(210a)은 가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2 코일 권선(210b)은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 권선(210a, 210b)이 동일할 수 있으므로, 간략화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코일 권선(210a)으로 언급될 것이다. 자기장은, 예를 들어 제1 휠(134a)용 모터(132a)를 통해 제공되는 카 무버(80a)의 주행 사이클 전체에 걸쳐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임의의 수의 코일 권선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코일 권선(210a)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카 무버 컨트롤러(1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시간, 주변 온도, 타이어 온도, 카 무버 트랙(85)에 대한 제1 타이어(135a)의 슬리피지, 및 카 무버 트랙으로부터의 거리 중 하나 이상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무버(80a)의 제1 휠(134a)과 제2 휠(134b) 간의 상대 회전 속도의 차이는 슬리피지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휠(134a) 상에서 감지되는 토크의 감소는 동적 슬리피지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이들 변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는 제1 코일 권선(210a)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센서(220)에 의해 생성된 센서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직접(유선 연결), 무선 네트워크(230) 및 클라우드 서비스(240)(이러한 연결은 후술함)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을 통해 센서(220)로부터 카 무버 컨트롤러(115)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코일 권선(210a)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의 처리는 (예를 들어, 에지 처리를 통해) 센서(220), 카 무버 컨트롤러(115)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240)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연결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무선 LAN용 WLAN) 프로토콜 및/또는 사설 영역 네트워크(Private Area Network: PAN)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다. LAN 프로토콜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로부터의 섹션 802.11 표준에 기초한 WiFi 기술을 포함한다. PAN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단파장 전파를 사용하여 단거리에 걸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블루투스 SIG(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설계되고 판매되는 무선 기술 표준인 BTLE(Bluetooth Low Energy)를 포함한다. PAN 프로토콜은 또한 저전력 저대역폭 요구 사항을 위한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사용하여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고급 통신 프로토콜 제품군을 나타내는, IEEE로부터의 섹션 802.15.4에 기초한 기술인 Zigbee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또한 저에너지 전파를 적용하여 가전 제품과 같은 장치들 간에 통신하여 이들의 무선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Z-Wave Alliance에 의해 지원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Z-Wave를 포함한다.
다른 적용 가능한 프로토콜은, 최종 장치가 배터리 전력을 사용하여 장기간(수년) 동안 작동할 수 있도록, 저비트 레이트로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설계된 무선 광역 네트워크(WAN)인 저전력 WAN(LPWAN)을 포함한다. 장거리 WAN(Long Range WAN: LoRaWAN)은 LoRa Alliance에 의해 유지 관리되는 LPWAN의 일종이며, 네트워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관리 및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무선 연결은 또한, 예를 들어 RFID 스마트카드 상에서 집적 칩(IC)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ub-1Ghz RF 장비는 Sub 1Ghz 미만의 ISM(산업, 과학 및 의료) 스펙트럼 대역에서 - 통상적으로 769~935MHz, 315Mhz 및 468Mhz 주파수 범위에서 - 작동한다. 1Ghz 미만의 이 스펙트럼 대역은 특히 RF IOT(사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다. 다른 LPWAN-IOT 기술은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및 카테고리 M1 사물 인터넷(Cat M1-IOT)을 포함한다. 개시된 시스템을 위한 무선 통신은 셀룰러, 예를 들어 2G/3G/4G(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은 적용 가능한 무선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유선 연결은, TIA(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에 의해 지원되는 기술 표준이고 디지털 시그널링 회로의 전기 특성을 지정하는 EIA(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에 의해 유래된, TIA/EIA-422라고도 알려진 RS(권장 표준)-422에 따른 연결(케이블/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연결은 또한, 컴퓨터 단말과 같은 DTE(데이터 단말 장비)와 모뎀과 같은 DCE(데이터 회로 종단 장비 또는 데이터 통신 장비) 간의 연결 신호를 공식적으로 정의하는 데이터의 직렬 통신 전송을 위한 RS-232 표준에 따른 연결(케이블/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연결은 Modbus 조직(Modbus Organization)에 의해 관리하는 Modbus 직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연결(케이블/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Modbus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와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며, 산업용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단이다. 무선 연결은 또한 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PI)에 의해 관리되는 PROFibus(Process Field Bus) 표준에 따른 커넥터(케이블/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화 기술의 필드버스 통신 표준인 PROFibus는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1158의 일부로 공개적으로 발표되어 있다. 유선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CAN 버스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장치가 호스트 컴퓨터없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차량 버스 표준이다. CAN은 국제 표준 기구(ISO)에 의해 발표된 메시지 기반 프로토콜이다. 상기한 것은 적용 가능한 유선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2 타이어 코일 권선(210b)은 제1 타이어(135a)로부터 카 무버 트랙(85)의 반대 측면 상을 라이딩하는 제2 휠(134b)의 제2 타이어(135b) 상에 배치된다. 전자석의 자기 극성은 제1 및 제2 타이어(135a, 135b)를 서로를 향하여 끌어당겨 견인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220)가 예를 들어 파편으로 인해 제1 타이어(135a)가 끌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그 안의 제1 코일 권선(210a)의 극성이 순간적으로 반전되어 제1 및 제2 타이어(135a, 135b)가 빠르게 카 무버 트랙(85)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동작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 컨트롤러(115)에 의해 유지 관리 경고가 생성되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위한 서비스 허브(250)로 전송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타이어(135a)는 더 많은 양의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코일 권선(210a)에 의해 예열된다. 제1 코일 권선(210a)에 의해 전자기력이 또한 추가되어 견인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직력을 생성하고 카 무버(80a)를 현가하는 데 필요한 클램핑력 및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제1 코일 권선(210a)에 의해 끌릴 수 있는 철계 재료는 제1 코일 권선(210a)이 턴오프될 때 해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135)가 타이어 계합 특징부(200a)를 갖고 카 무버 트랙(85)(I-빔으로 도시됨)의 웹(113)이 트랙 계합 특징부(200)를 갖는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참조로, 카 무버(80a)의 섀시(80a1) 및 롤러 가이드(80a2)가 도시되고 라벨링되어 있다. 타이어 및 트랙 계합 특징부(200a, 200b)(계합 특징부(200a, 200b)라고 지칭될 수 있음)는 주행 경로를 따라 증가된 견인력을 제공하는 매칭하는 표면 프로파일의 형태이다. 간략화를 위해 제1 타이어(135a) 및 제1 휠(134a)은 타이어(135) 및 휠(134)이 동일한 특징부를 갖기 때문에 다시 이 논의의 초점이 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타이어(135a)는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에 의해 형성된 평탄한 강철 빔 표면 상에서 주행하는 트랙션 타이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특징부는 잠재적으로 필요한 수직력을 감소시키면서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의 견인력을 유지하는 도전 과제를 해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 특징부(200a, 200b)는 제1 타이어(135a) 내의 상보형 인상(또는 슬롯)과 계합하는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의 형태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 특징부(200a, 200b)는 또한 제1 타이어(135a) 상의 돌출부와 계합하는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 내의 슬롯(또는 인상, 또는 구멍)의 형태일 수 있다.
도 6a는 평탄하지 않은 주행 표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계합 특징부(200a, 200b)는,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 상의 상보형 홈과 계합하는, 복수의 융기된 타이어 홈(예를 들어, 웨지, 리지 또는 삼각형 파형 프로파일을 형성함)을 생성하는 제1 타이어(135a) 상의 다수의 V자형 윤곽을 포함한다. 도 6a의 실시형태는, 더 큰 견인력 및 감소된 마찰 계수 요건을 초래하는,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에 더 큰 접촉 면적을 제공한다.
도 6b는 타이어(135a, 135b) 및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을 나타낸다. 웹은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웹(113)의 양 측면 상에 반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원형 돌출부 형태의 계합 특징부(200b)를 갖는다. 도 6c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웨지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웨지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트랙 특징부(200b) 형태의 계합 특징부, 및 타이어(135a, 135b) 내에 계합 특징부(200a)를 형성하는 상보형 인상을 갖는 타이어(135a, 135b) 및 카 무버 트랙(85)을 나타낸다. 도 6d는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에 의해 획정된 특징부(200b)를 구비한 트랙 형태의 계합 특징부, 및 타이어(135a, 135b) 상에 계합 특징부(200a)를 형성하는 상보형 인상을 갖는 타이어(135a, 135b) 및 카 무버 트랙(85)을 나타낸다. 도 6e는 타이어(135a, 135b) 및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을 나타낸다. 웹(113)은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볼록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볼록 단면 형태의 계합 특징부(200b)를 갖는다. 도 6f는 타이어(135a, 135b) 및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을 나타낸다. 웹(113)은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오목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오목 단면 형태의 계합 특징부(200b)를 갖는다. 도 6g는 타이어(135a, 135b) 및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을 나타낸다. 웹(113)은 가이던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웹(113)의 일 측면 상에 반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원형 돌출부 형태의 계합 특징부(200b)를 갖는다. 도 6g의 반원형 프로파일은 또 다른 기하학적 특징부(200b)가 향상된 가이던스의 동일한 이점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의 개시된 실시형태는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의 순수 견인력보다는 기계적 계합을 가능하게 하는 비평탄 및/또는 비중실형(non-solid) 빔 표면을 제공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표면 윤곽은 제1 타이어(135a)의 외부 환상 표면(26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의 계합 특징부(200a)는 제1 타이어(135a)의 축방향 중심(270)을 따라 진행되지만, 도 5의 계합 특징부(200a)는 축방향 중심(270)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타이어 수명을 연장하고 시스템 작동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의 감소된 수직력 요건 및 견인력 요건의 이점을 제공한다. 계합 특징부(200a, 200b)는 또한 움직이는 동안 카 무버(80a)의 향상된 추적/조향을 제공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허브-휠-모터 기반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카 무버(80a)는 견인을 위해 카 무버 트랙(85)의 웹(113)에 의존할 수 있다. 웹(113)은 충분한 마찰 계수를 제공해야 하며 카 무버(80a)의 타이어(135)가 웹(113)의 중심에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타이어(135) 및 휠(134)로서 제1 타이어(135a) 및 제1 휠(134a)에 대해 언급할 것이고, 카 무버 트랙(85)과의 계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 무버 트랙(85)(I-빔으로 도시됨) 상에 제공된 트랙 계합 특징부(200b)는 웹(113)(양 측면)에 대해 원형(오목 프로파일) 형상(또는 표면 윤곽)(200b1)을 포함한다. 웹(113)의 오목 형상은 제1 타이어(135a)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제1 타이어(135a)의 자체 추적을 보장한다.
또한, 트랙 계합 특징부(200b)는 카 무버 트랙(85)에 적용된 마찰 향상 표면 처리(또는 표면 코팅)(200b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유사한 마찰 품질을 제공하는 아스팔트 코팅 또는 유사한 코팅이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더 큰 마찰 계수를 생성하는 부식 방지 코팅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형태는 또한 증가된 표면 마찰을 제공하기 위해 웹(113)의 표면 마감을 변화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카 무버 트랙(85)은 웹(113) 내에, 예를 들어 단부 플랜지(114a, 114b) 간의 중간에 형성된 텅 및 홈 커넥터 특징부로서 각각 도시된 상보형 정렬 특징부(200b3, 200b4)를 트랙 계합 특징부(200b)로서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200b3, 200b4)는 카 무버 트랙(85)의 단면들(하나의 단면만이 도시됨) 간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정렬 특징부(200b3, 200b4)는 또한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의 개시된 실시형태는 카 무버(80a)와 카 무버 트랙(85) 간에 더 큰 견인력 특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카 무버(80a)를 웹(113)의 중심에 유지하고 소음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 비교적 신속한 설치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보다 정확한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흐름도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다. 블록(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50a)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카 무버(80a)의 제1 타이어(135a) 내의 제1 코일 권선(210a)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카 무버(80a)는 자율적으로 작동하고 승강로 레인(60) 내의 카 무버 트랙(85)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로 레인(60)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50a)를 이동시킨다.
블록(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제1 코일 권선(210a)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부터 열 및 자속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제1 코일 권선(210a)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카 무버(80a)의 컨트롤러(115)가 시간, 카 무버 트랙과 카 무버 간의 거리, 제1 타이어(135a)의 온도, 및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1 코일 권선(210a)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9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카 무버(80a)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센서(220)가 카 무버 트랙(85)과 카 무버(80a) 간의 거리, 제1 타이어(135a)의 온도, 제1 타이어(135a)와 카 무버 트랙(85)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9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센서(220)가 센서 데이터를 컨트롤러(115)에 직접, 무선 네트워크(230)를 통해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240)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220), 클라우드 서비스(240) 및 컨트롤러(115) 중 하나 이상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된다.
블록(9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제1 코일 권선이 제1 휠(134a)을 구동하는 모터(132a)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모터(132a)는 컨트롤러(11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블록(9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제1 타이어(135a)가 카 무버 트랙의 제1 측면(85a)과 계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9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카 무버(80a)의 제2 휠(134b)의 제2 타이어(135b) 내의 제2 타이어 코일 권선(210c)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타이어(135b)는 제1 타이어(135a) 및 제2 타이어(135b)가 선택적으로 서로를 향해 끌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카 무버 트랙(85)의 제2 측면(85b)과 계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들은 프로세서 구현 프로세스 및 프로세서와 같은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형태일 수 있다. 실시형태들은 또한 플로피 디스켓, CD ROM, 하드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구현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일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실시형태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실시형태들은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에 로딩되고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에 로딩되고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일부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일부 전송 매체를 통해, 예를 들어 전기 배선 또는 케이블링을 통해, 광섬유를 통해, 또는 전자기 방사를 통해 전송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일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구현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는 특정 논리 회로를 생성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약"은 본원의 출원 시에 이용 가능한 장비에 기초한 특정의 수량 및/또는 제조 허용오차의 측정과 관련된 오차의 정도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상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설명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특정의 특징부를 각각 갖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본 개시는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았지만 본 개시의 범위에 상응하는 임의의 수의 변형, 변경, 대체, 조합, 하위 조합 또는 균등한 배치 구성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양태는 설명된 실시형태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0)

  1.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로 레인 내의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로 레인을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카 무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 무버는, 상기 카 무버가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카 무버 트랙과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휠의 제1 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어 및 상기 카 무버 트랙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타이어와 상기 카 무버 트랙 간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는 상기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합 특징부는 열 및 자속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1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은 열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코일 권선은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버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코일 권선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시간, 상기 카 무버 트랙과 상기 카 무버 간의 거리, 상기 제1 타이어의 온도, 상기 제1 타이어와 상기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1 코일 권선으로 전력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센서는 상기 카 무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 무버 트랙과 상기 카 무버 간의 거리, 상기 제1 타이어의 온도, 상기 제1 타이어와 상기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에 직접,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는 상기 센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및 상기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되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은 상기 제1 휠을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는 상기 카 무버 트랙의 제1 측면과 계합하고; 그리고
    상기 카 무버는 상기 카 무버 트랙의 제2 측면과 계합하는 제2 휠의 제2 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어는 상기 제1 타이어와 상기 제2 타이어가 서로를 향해 끌리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2 타이어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버 트랙은 상기 제1 타이어에 의해 계합될 때에 견인력 및 가이던스 중 하나 이상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트랙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계합 특징부는, 다이아몬드 프로파일 또는 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상기 카 무버 트랙의 트랙 단면; 및 상기 카 무버 트랙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 상에 볼록 프로파일, 오목 프로파일, 또는 반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상기 카 무버 트랙의 트랙 웹 단면 중 하나 이상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는 타이어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 무버 트랙은 트랙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 계합 특징부 및 상기 트랙 계합 특징부는 상기 카 무버가 상기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서로 보완하고 서로 계합하도록 배치되고 형성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계합 특징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외부 환상 표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인상(impression) 중 하나이고; 그리고
    상기 트랙 계합 특징부는 상기 카 무버 트랙을 따라 돌출부 및 인상 중 다른 것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계합 특징부는 축방향 중심에 있거나 상기 제1 타이어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고; 또는
    상기 타이어 계합 특징부 및 상기 트랙 계합 특징부는 삼각형 파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버 트랙은 상기 계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합 특징부는,
    표면 코팅; 표면 마감; 상기 카 무버가 상기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타이어를 상기 카 무버 트랙의 중심에 두는 표면 윤곽, 및 트랙 단면들 간의 상보형 정렬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인, 시스템.
  15.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카 무버의 제1 휠의 제1 타이어 내의 제1 코일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 상기 카 무버는 승강로 레인 내의 카 무버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로 레인을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킴 -; 및
    상기 제1 코일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부터 열 및 자속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카 무버의 컨트롤러가 시간, 상기 카 무버 트랙과 상기 카 무버 간의 거리, 상기 제1 타이어의 온도, 상기 제1 타이어와 상기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1 코일 권선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센서가 상기 카 무버 트랙과 상기 카 무버 간의 거리, 상기 제1 타이어의 온도, 상기 제1 타이어와 상기 카 무버 트랙 간의 슬리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에 직접,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는 상기 센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및 상기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이 상기 제1 휠을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가 상기 카 무버 트랙의 제1 측면과 계합하는 것; 및
    상기 카 무버의 제2 휠의 제2 타이어 내의 제2 타이어 코일 권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어는, 상기 제1 타이어 및 상기 제2 타이어가 선택적으로 서로를 향해 끌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자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카 무버 트랙의 제2 측면과 계합하는, 방법.
KR1020210094670A 2020-07-30 2021-07-20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 KR202200153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43,049 US11584621B2 (en) 2020-07-30 2020-07-30 Autonomous elevator car movers and traction surfaces therefor, configured with traction increasing and guidance enhancing implements
US16/943,049 2020-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329A true KR20220015329A (ko) 2022-02-08

Family

ID=7712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70A KR20220015329A (ko) 2020-07-30 2021-07-20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4621B2 (ko)
EP (1) EP3945058A1 (ko)
KR (1) KR20220015329A (ko)
CN (1) CN114057064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466A (ja) 1993-01-19 1994-08-02 Aqueous Res:Kk 昇降装置
DE4418480A1 (de) * 1994-05-27 1995-11-30 Hillenkoetter & Ronsieck Vertikalaufzug
US5566784A (en) * 1994-07-08 1996-10-22 Otis Elevator Company Self-propelled elevator system
AR018972A1 (es) 2000-01-13 2001-12-12 Serrano Jorge DISPOSICIoN AUToNOMA DE TRANSPORTE Y VEHíCULO AUToNOMO DE TRANSPORTE.
DE10140390B4 (de) * 2001-08-23 2005-12-01 HIRO LIFT Hillenkötter + Ronsieck GmbH Vertikalaufzug
JP4613027B2 (ja) * 2003-04-14 2011-01-1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リニア・モータを備える駆動装置、この駆動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およびこの駆動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EP1860051B1 (en) * 2006-05-24 2010-10-06 Inventio AG Elevator with Frictional Drive
EP3421407A1 (en) * 2017-06-16 2019-01-02 Otis Elevator Company Rope-climbing self propelled elevator system
US11027944B2 (en) * 2017-09-08 2021-06-08 Otis Elevator Company Climbing elevator transfer system and methods
CN111204623A (zh) * 2019-12-20 2020-05-29 庄平凡 一种电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5058A1 (en) 2022-02-02
CN114057064A (zh) 2022-02-18
CN114057064B (zh) 2023-10-27
US20220033226A1 (en) 2022-02-03
US11584621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6990B (zh) 爬升电梯转移系统和方法
CN114074886B (zh) 构造有导轮的自主电梯轿厢移动器
CN114074882B (zh) 配置用于自学习间隔控制的自主电梯轿厢移动器
US7841564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track-bound vehicle
CN103747997B (zh) 具有磁轨制动装置的制动设备
CN107531445A (zh) 自行式电梯系统的无线通信
US20150368071A1 (en) Self-propelled cargo lift for elevator systems
CN111204623A (zh) 一种电梯系统
KR20220015329A (ko) 견인력 증가 및 가이던스 향상 도구로 구성된 자율 엘리베이터 카 무버 및 이를 위한 견인 표면
EP4008668A1 (en) Autonomous elevator car mover configured for derailment prevention
EP4008670A1 (en) Elevator car mover configured with auxiliary vehicle support for force release control
US20220048730A1 (en) Elevator car mover providing intelligent control based on battery state of charge
US20220033217A1 (en) Multi-car elevator system with autonomous car movers configured for collision avoidance
US20220033223A1 (en) Autonomous elevator car movers configured with coupling devices for vibration damping
CN104986173A (zh) 跨座式单轨列车主动转向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4590679B (zh) 无绳电梯运载工具工作站
US20220055863A1 (en) Ropeless elevator robotic transporters for vehicle parking
US20220063958A1 (en) Ropeless elevator building to building mobility system
JP7072683B2 (ja) 地上装置
GB2621174A (en) Braking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