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995A -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995A
KR20220013995A KR1020200093509A KR20200093509A KR20220013995A KR 20220013995 A KR20220013995 A KR 20220013995A KR 1020200093509 A KR1020200093509 A KR 1020200093509A KR 20200093509 A KR20200093509 A KR 20200093509A KR 20220013995 A KR20220013995 A KR 2022001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stone
frame
riprap
under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807B1 (ko
Inventor
이상태
조철수
Original Assignee
(주)부마씨이
조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마씨이, 조철수 filed Critical (주)부마씨이
Priority to KR102020009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8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02D3/068Vibrating apparatus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사석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사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사석틀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틀 장치는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경사진 경사면에 배출시켜 지지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수중에 사석을 투하하는 사석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경사면에 상기 사석을 배출시킬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은 기초사석 형성단계와, 틀배치단계와, 서석투입단계와, 틀이동단계와, 사석누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사석 형성단계는 수중에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이 경사진 기초사석을 형성한다. 상기 틀배치단계는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경사면에 배출시켜 지지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수중에서 사석을 투하하는 사석틀의 유출구를 상기 기초사석의 경사진 측면에 배치시킨다. 상기 사석투입단계는 상기 사석틀에 상기 사석을 투입한다. 상기 틀이동단계는 상기 사석이 상기 사석틀에서 배출되어 상기 기초사석이 확장되도록 상기 사석틀을 전진시킨다. 상기 사석누름단계는 상기 사석틀을 전진시키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배출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Description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Seabed rock berm leveling method and leveling device}
본 발명은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사석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사가 필요없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사석틀 장치에 대한 것이다.
수중 공사 중 안벽, 방파제, 침매터널, 발전소 취수로 등 공사에서 케이슨, 취 배수로 함체, 침매 함체, 블럭 등의 구조물을 수중에 설치하기 위해서 그 기초인 사석을 투하하고 고르기(평탄 작업)를 하여야 한다.
수중에 기초 사석을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종래에는 바지선에서 수중으로 직접 투하하여 투하된 높이가 적당한지 수심을 측정하며 부족한 부분에 추가 투하하는 방법으로 1차 투하하고, 2차 본 고르기는 잠수사가 들어가 기준틀을 설치하고 높낮이를 측정하여 더하거나 빼내는 방법으로 고르기 작업을 하였다.
등록실용 제20-0327417호(등록일자 2003년 09월 09일) 등록번호 제10-0651697호(등록일자 2006년 11월 23일) 등록실용신안 제20-0266873호(등록일자 2002년 02월 22일) 공개특허 제10-2017-0020829호(공개일자 2017년 02월 24일)
종래의 경우 수중에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은 수면 상에서 굴삭기 등 장비의 바켓으로 수중으로 사석을 투하하고 잠수부가 사석이 투하된 수중으로 들어가 사석을 평탄 작업하는 방법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잠수사의 작업 시간이 짧아 많은 수의 잠수부를 동원하여 교대로 작업을 하였다.
또한 조류나 수중 시야 확보 등 수중 작업 조건이 많고, 잠수부의 작업 시간 제한으로 수중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좀 더 진일보한 방법은 잠수부에 의한 수중 작업이 어려워 수중 굴삭기나 수중 불도저로 평탄하게 고르기 하는 수중 장비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에 의한 평탄작업(고르기)도 시야 확보가 되는 아주 깨끗한 수중에서 가능하고, 무엇보다 1차로 사석을 투하 한 다음 2차로 높이를 맞추는 평탄작업(고르기)에 수중 굴삭기 등 수중 장비를 사용해도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석을 투하하는 동시에 평탄하게 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중 사석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잠수사를 투입하지 않고서 수중의 바닥을 평탄하게 고르기할 수 있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중 사석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은 기초사석 형성단계와, 틀배치단계와, 사석투입단계와, 틀이동단계와, 사석누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사석 형성단계는 수중에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이 경사진 기초사석을 형성한다. 상기 틀배치단계는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경사면으로 배출시켜 지지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수중에서 사석을 투하하는 사석틀의 유출구를 상기 기초사석의 경사진 측면에 배치시킨다. 상기 사석투입단계는 상기 사석틀에 상기 사석을 투입한다. 상기 틀이동단계는 상기 사석이 상기 사석틀에서 배출되어 상기 기초사석이 확장되도록 상기 사석틀을 전진시킨다. 상기 사석누름단계는 상기 사석틀을 전진시키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배출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석누름단계는 상기 기초사석의 높이 보다 더 높이 배출된 사석을 상기 사석틀의 전진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석누름단계는 상기 기초사석의 높이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가압면을 가진 다진판의 상기 가압면을 상기 사석틀의 전진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틀배치단계는 상기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로 유입된 사석을 수용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경사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사석을 지지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개방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프레임을 구비한 상기 사석틀을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기초사석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틀 장치는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경사진 경사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수중에 사석을 투하하는 사석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경사면에 상기 사석을 배출시킬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석틀은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로 유입된 사석을 수용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경사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사석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개방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이동시 상기 하부프레임에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배출구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는 상기 사석틀이 전진하면 상기 사석틀과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투하된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이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 사석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석틀이 전진하면 상기 사석의 상부면이 상기 사석판의 가압면으로 가압이되도록 상기 사석판은 상기 사석틀과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석틀을 사용하면 사석틀을 이동시키면서 사석틀에 사석을 투하하면 기초사석의 경사면에 사석이 투하되는 동시에 사석을 일정한 높이로 고르게 포설하고 누름판에 의해 사석이 가압되어 평탄화 작업이 된다. 따라서 사석의 투하와 함께 평탄 작업이 동시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잠수부에 의한 수중 작업은 조류의 흐름이나 물의 탁도에 따라 수중 시야를 확보하여야하는 수중 작업 조건 등으로 많은 제약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작업 조건에 제한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많은 수의 잠수부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깊은 수심에서는 종래의 작업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고 작업 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의 수중 사석틀 장치를 사용하여 수중 사석 고르기를 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틀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중 사석 고르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사석틀 장치는 사석틀(10)과, 누름판(20)을 구비한다.
사석틀(10)은 수중에 있는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a)에 사석(3)을 투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사석틀(10)은 사석(3)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5a)와, 유입구(15a)로 유입된 사석(3)을 경사진 경사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유출구(11b)가 형성된다. 이때 사석틀(10)은 유출구(11b)를 통하여 경사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사석(3)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석틀(10)은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5)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1)은 사석(3)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구(11a)와, 유출구(11b)를 구비한다. 개방구(11a)는 상부프레임(15)으로 부터 사석(3)을 입력 받을 수 있게 상부에 형성되며, 유출구(11b)는 경사진 측면(1a)으로 배출될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때 유출구(11b)는 경사진 측면(1a)의 경사각 보다 기울기가 가파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하부프레임(11)의 유출구(11b)를 기초사석(1)의 측면(1a)에 위치시키면 개방구(11a)로 유입된 사석(3)은 하부프레임(11)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유출구(11b)를 통하여 측면(1a)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1)은 전진해야 하므로 수중의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15)은 하부프레임(11)에 사석(3)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프레임(15)은 유입구(15a)와, 배출구(15b)가 형성된다. 유입구(15a)는 슈트(5)에서 낙하하는 사석(3)이 공급될 수 있게 상부에 형성되며, 배출구(15b)는 유입구(15a)로 공급된 사석(3)이 하부프레임(11)의 개방구(11a)로 공급될 수 있게 하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부프레임(15)은 배출구(15b)가 하부프레임(11)의 개방구(11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5)의 배출구(15b)와 하부프레임(11)의 개방구(11a)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존재한다. 이는 사석(3)이 하부프레임(11)에서 유출구(11b)로 원활히 배출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프레임(15)의 배출구(15b)가 하부프레임(11)의 개방구(11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부프레임(11)이 앞으로 전진하면 하부프레임(11)이 상부프레임(15)의 배출구 (15b)를 가압하여 상부프레임(15)도 함께 전진할 수 있다.
누름판(20)은 사석틀(10)이 전진하면 사석틀(10)과 함께 전진하면서 사석틀(10)에서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을 눌러서 평평하게 한다. 이를 위해 누름판(20)은 하부프레임(11)에 결합된다. 사석틀(10)의 하부프레임(11)이 전진하면 하부프레임(11)의 내부에서 지지되어 있던 사석(3)은 유출구(11b)를 통하여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a)으로 배출된다. 누름판(20)은 경사진 측면(1a)에 배출된 사석(3)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사석(3)을 평평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누름판(20)은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면(21)이 형성된다. 가압면(21)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므로 누름판(20)이 사석틀(10)을 따라 함께 진행하면 서석틀(10)에서 투하된 사석(3)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사석틀 장치를 사용하여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은 기초사석 형성단계(S11)와, 틀배치단계(S13)와, 사석투입단계(S15)와, 틀이동단계(S17)와, 사석누름단계(S19)를 포함한다.
기초사석 형성단계(S11)은 수중에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1a)이 경사진 기초사석(1)을 형성한다. 기초사석(1)은 기본적으로 잠수사가 수중에 잠수하여 형성하며, 본 실시예의 사석틀 장치가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크기로 만든다. 기초사석(1)의 범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적은 수의 잠수사가 짧은 시간 내에 작업이 가능하다.
틀배치단계(S13)은 사석틀(10)의 유출구(11b)를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a)에 배치시킨다. 즉 하부프레임(11)의 유출구(11b)를 측면(1a)에 배치시킨다. 이때 하부프레임(11)은 수중의 바닥에 닿지 않아야 한다. 이때 사석틀(10)은 유출구(11b)의 기울기가 기초사석(1)의 측면(1a)의 기울기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초사석(1의 평편한 면에 하부프레임(11)을 거치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11)의 유출구(11b)는 기초사석(1)의 높이보다 작아야 한다.
서석투입단계(S15)는 사석틀(10)의 유입구(15a)로 사석(3)을 투입한다. 사석(3)이 상부프레임(15)의 유입구(15a)에 투입되도록 트레미 관이나 슈트(5)로 사석(3)을 공급한다. 그러면 사석(3)은 사석틀(10)의 하부프레임(11)에 지지되어 기초사석(1)의 경사진 측면(1a)에 쌓이게 된다.
틀이동단계(S17)는 사석(3)이 사석틀(10)에서 배출되어 기초사석(1)이 확장되도록 사석틀(10)을 화살표 X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사석틀(10)의 하부프레임(11)을 화살표 X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하부프레임(11)에 수용된 사석(3)은 배출되어 기초사석(1)이 확장된다. 상부프레임(15)은 하부프레임(11)에 가압되어 하부프레임(11)에 의해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석누름단계(S19)는 사석틀(10)을 전진시키면서 누름판(20)으로 사석틀(10)에서 배출된 사석(3)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사석틀(10)이 전진하면 누름판(20)이 사석틀(10)과 함께 전진하면서 누름판(20)의 가압면(21)이 사석(1)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사석(1)을 평평하게 한다. 누름판(20)이 기초사석(1)의 상면에 위치하여 진행하므로 누름판(20)이 사석틀(10)과 함께 진행하면 사석틀(10)에서 배출된 사석(3)은 기초사석(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평평하게 눌러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석틀(10)과 누름판(20)이 배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초사석(1)이 형성되면 잠수사가 수중에 들어가지 않고 사석(3)을 수중에 투하하여 사석 고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석을 투하하는 동시에 평탄작업(고르기)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잠수부에 의한 수중 작업은 조류의 흐름이나 물의 탁도에 따라 수중 시야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많은 제약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수중 작업 조건의 제안 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많은 수의 잠수부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깊은 수심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작업은 잠수부에 의한 작업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작업 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 : 기초사석 3 : 사석
5 : 슈트 10 : 사석틀
11 : 하부프레임 11a : 개방구
11b : 유출구 15 : 상부프레임
15a : 유입구 15b : 배출구
20 : 누름판 21 : 가압면

Claims (11)

  1.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경사면으로 배출시켜 지지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수중에서 사석을 투하하는 사석틀의 유출구를 수중에서 상면이 평평하고 측면이 경사진 기초사석의 경사진 측면에 배치시키는 틀배치단계와,
    상기 사석틀에 상기 사석을 투입하는 사석투입단계와,
    상기 사석이 상기 사석틀에서 배출되어 상기 기초사석이 확장되도록 상기 사석틀을 전진시키는 틀이동단계와,
    상기 사석틀을 전진시키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배출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사석누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누름단계는 상기 기초사석의 높이 보다 더 높이 배출된 사석을 상기 사석틀의 전진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누름단계는 상기 기초사석의 높이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가압면을 가진 다진판의 상기 가압면을 상기 사석틀의 전진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틀배치단계는
    상기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로 유입된 사석을 수용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경사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사석을 지지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개방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프레임을 구비한 상기 사석틀을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기초사석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5.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경사진 경사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수중에 사석을 투하하는 사석틀을 구비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경사면에 상기 사석을 배출시킬 수 있게 경사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틀은
    상기 사석이 유입될 수 있는 개방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로 유입된 사석을 수용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경사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사석을 지지할 수 있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사석을 상기 개방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이동시 상기 하부프레임에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배출구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틀이 전진하면 상기 사석틀과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사석틀에서 투하된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이 상기 사석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석틀이 전진하면 상기 사석의 상부면이 상기 사석판의 가압면으로 가압이되도록 상기 사석판은 상기 사석틀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사석틀 장치.
KR1020200093509A 2020-07-28 2020-07-28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KR10250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09A KR102505807B1 (ko) 2020-07-28 2020-07-28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09A KR102505807B1 (ko) 2020-07-28 2020-07-28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95A true KR20220013995A (ko) 2022-02-04
KR102505807B1 KR102505807B1 (ko) 2023-03-07

Family

ID=80268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509A KR102505807B1 (ko) 2020-07-28 2020-07-28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80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6419A (ja) * 1989-11-24 1991-07-18 Kokudo Sogo Kensetsu Kk 砂杭造成船による海底地盤のマウンドの締固め均し方法
JPH0633602B2 (ja) * 1986-01-16 1994-05-02 立興建設株式会社 水中法面均し工法
JP2000096569A (ja) * 1998-09-25 2000-04-04 Kiyoshi Saito 水中捨石基礎法面均し工法とその重錘
KR200266873Y1 (ko) 1999-05-18 2002-03-06 원 회 양 물양장 구축을 위한 수중 기초사석 고르기 장치
KR200267904Y1 (ko) * 2001-12-19 2002-03-12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량 하부 수중 바닥 세굴 방지용 레일식 사석 투하장치
KR200327417Y1 (ko) 2003-05-24 2003-09-22 원 회 양 방파제 구축시 사석 투하범위 기준틀
KR100651697B1 (ko) 2003-09-09 2006-12-06 은성기초건설(주) 수중 사석다짐 및 고르기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5464A (ko) * 2007-05-31 2008-12-04 성보개발 주식회사 수중 골재 고르기장치
JP2009007838A (ja) * 2007-06-28 2009-01-15 Hizen Construction Co Ltd 水中捨石均し装置及び水中捨石均し工法
KR20170020829A (ko) 2017-02-06 2017-02-24 채성동 슬라이딩 게이트를 이용한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석 고르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02B2 (ja) * 1986-01-16 1994-05-02 立興建設株式会社 水中法面均し工法
JPH03166419A (ja) * 1989-11-24 1991-07-18 Kokudo Sogo Kensetsu Kk 砂杭造成船による海底地盤のマウンドの締固め均し方法
JP2000096569A (ja) * 1998-09-25 2000-04-04 Kiyoshi Saito 水中捨石基礎法面均し工法とその重錘
KR200266873Y1 (ko) 1999-05-18 2002-03-06 원 회 양 물양장 구축을 위한 수중 기초사석 고르기 장치
KR200267904Y1 (ko) * 2001-12-19 2002-03-12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교량 하부 수중 바닥 세굴 방지용 레일식 사석 투하장치
KR200327417Y1 (ko) 2003-05-24 2003-09-22 원 회 양 방파제 구축시 사석 투하범위 기준틀
KR100651697B1 (ko) 2003-09-09 2006-12-06 은성기초건설(주) 수중 사석다짐 및 고르기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080105464A (ko) * 2007-05-31 2008-12-04 성보개발 주식회사 수중 골재 고르기장치
JP2009007838A (ja) * 2007-06-28 2009-01-15 Hizen Construction Co Ltd 水中捨石均し装置及び水中捨石均し工法
KR20170020829A (ko) 2017-02-06 2017-02-24 채성동 슬라이딩 게이트를 이용한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석 고르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807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3097A (en) Process of making underground structures for underdraining and shielding purposes
CN108468325B (zh) 一种大面积临海滩涂海泥快速固化施工方法
CN110952528A (zh) 复杂地质条件水泥土地下连续墙施工方法
CN112962525B (zh) 一种疏浚土充灌筑堤结构及其充灌袋筑堤方法
KR20220013995A (ko) 수중 사석 투하 고르기 방법 및 수중 사석틀 장치
CN109024638A (zh) 一种钢围堰内深水板结硬塑性粘土层开挖施工方法
CN110565670B (zh) 一种沉井不排水下沉施工系统的施工方法
KR102474157B1 (ko) 수중 사석 고르기 장치
CN116219960A (zh) 一种绿色筑岛工艺
CN204051097U (zh) 一种槽坝式沉沙槽及采沙系统
RU2615192C1 (ru) Способ добычи твердых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со дна арктического шельфа
CN209686483U (zh) 一种水利工程用机械挖渠装置
CN112627112A (zh) 水下构筑物基础的高精度环保抛石及一次性快速整平方法
JP4451007B2 (ja) 浚渫方法
RU2469191C1 (ru) Способ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обводнен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CN109610465B (zh) 超大面积深基坑开挖施工方法
CN104225970B (zh) 一种槽坝式沉沙槽、采沙系统及采沙方法
RU2024753C1 (ru) Способ дражной разработки россыпей
RU2107164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глубоких россыпей
JPS63233113A (ja) 地盤の締固め工法
CN211148478U (zh) 一种高位注浆充填采空区内充填体形态相似模拟装置
RU2756070C1 (ru) Способ добычи торф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2081321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алмазоносных кимберлитовых трубок
RU2762654C1 (ru) Способ открытой разработки обводнен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RU2495196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подземных вертикальных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резервуа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