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238A -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238A
KR20220013238A KR1020200092559A KR20200092559A KR20220013238A KR 20220013238 A KR20220013238 A KR 20220013238A KR 1020200092559 A KR1020200092559 A KR 1020200092559A KR 20200092559 A KR20200092559 A KR 20200092559A KR 20220013238 A KR20220013238 A KR 2022001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palm
sewing
functio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954B1 (ko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주) 나무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들 filed Critical (주) 나무들
Priority to KR102020009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9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70Devices for cutting weft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00Selv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p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는, 날줄 및 씨줄을 교차하여 야자매트를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기능성매트를 공급하는 기능성매트 공급부;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재봉함으로써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혼합매트재봉부;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단부의 상부를 재봉하는 상부재봉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단부의 하부를 재봉하는 하부재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Equipment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coconut ma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layer coconut mats}
본 발명은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행로 및 등산로에는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나 돌, 나무를 이용한 포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돌, 나무 등의 재료를 이용한 포장은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생분해가 되지 않아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에는 야자섬유 성분의 실을 직조하여 제조한 야자매트를 이용하여 보행로 및 등산로를 포장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야자매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자동화 수준이 낮아 수작업 비율이 50%에 달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보행로 등에 적용 후에도 절단부위의 올이 풀려 보행자가 풀린 올레 걸려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자라난 잡초가 야자매트 사이의 공극을 뚫고 올라옴으로써 포장재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32367호
본 발명은 생산성이 높은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절단부위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잡초가 매트 상부로 뚫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는, 날줄 및 씨줄을 교차하여 야자매트를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기능성매트를 공급하는 기능성매트 공급부;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재봉함으로써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혼합매트재봉부;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단부의 상부를 재봉하는 상부재봉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단부의 하부를 재봉하는 하부재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야자매트를 일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야자매트 이송롤러; 및 상기 기능성매트를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성매트를 이동하는 기능성매트 이송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조부는 야자매트의 폭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매트 폭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매트는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혼합매트 재봉부는 상기 혼합매트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혼합매트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은, 날줄 및 씨줄을 직조하여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기능성매트를 접하는 단계;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야자매트의 폭을 상기 기능성매트의 폭과 일치하도록 상기 야자매트의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은 생산성 및 안전성이 높다.
또한, 절단부위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잡초가 매트 상부로 뚫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직조부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상부재봉부 및 하부재봉부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로 제조된 적층야자매트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직조부(110)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상부재봉부(150) 및 하부재봉부(160)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100)는, 날줄(10) 및 씨줄(20)을 교차하여 야자매트를 직조하는 직조부(110); 상기 직조부(110)에서 직조된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기능성매트(30)를 공급하는 기능성매트 공급부(120);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를 결합하여 재봉함으로써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혼합매트재봉부(130);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140); 상기 절단부(140)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단부의 상부를 재봉하는 상부재봉부(150); 및 상기 절단부(140)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단부의 하부를 재봉하는 하부재봉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조부(110)에서 직조된 야자매트를 일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야자매트 이송롤러(170); 및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이동하는 기능성매트 이송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조부(110)로부터 인출된 야자매트의 폭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매트 폭 유지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조부(110)는 날줄(10) 및 씨줄(20)을 교차하여 야자매트를 직조하는 것으로, 야자매트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직조부(110)는 날줄(10)을 공급하는 날줄 공급부(112), 복수의 날줄(10)을 교차하도록 배치하여 씨줄(20)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날줄 프레임(113), 상기 교차 배치된 날줄(10) 사이로 씨줄(20)을 공급하는 씨줄 공급부(114), 날줄(10) 및 씨줄(20)을 밀착시키는 밀착기, 및 상기 날줄(10) 및 씨줄(20)이 직조되어 제조된 야자매트를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날줄 공급부(112)는 날줄(10)이 권취되어 보관되어 있는 날줄 하우징(112a) 및 상기 날줄(10)을 직조기로 인출하는 인출부재(112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씨줄 공급부(114)는 씨줄(20)이 권취되어 보관되어 있는 씨줄 하우징 및 상기 씨줄(20)을 직조기로 인출하는 인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줄 프레임(113)은 복수의 날줄(10)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날줄(10)의 위치가 교차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날줄 프레임(113)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씨줄 공급부(114)의 인출부재는 상기 날줄 프레임(113)의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씨줄(20)을 이동시킨 후, 상기 복수의 날줄 프레임(113)이 교차 이동한 후에, 상기 씨줄(20)을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조된 날줄(10) 및 씨줄(20)을 상기 밀착기가 밀착함으로써 날줄(10) 및 씨줄(20)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야자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야자매트는 인출부의 롤러를 통해 직조부(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직조부(110)는 직조부(110)에서 제조되는 야자매트의 폭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매트 폭 유지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 폭 유지부(111)는 날줄 공급부(112) 및 씨줄 공급부(1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날줄 공급부(112)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날줄(10)이 일정한 폭을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트 폭 유지부(111)는 복수의 날줄(10) 중 최외곽에 위치한 날줄(10)이 설정된 폭 이내에 배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핀 사이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날줄(10)이 배치되는 폭을 제어할 수 있고, 직조된 야자매트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직조부(110)는 1줄 또는 2줄 이상의 날줄(10) 및 씨줄(20)을 이용하여 야자매트를 직조할 수 있으며, 1줄의 날줄(10) 및 씨줄(20)로 야자매트를 직조함으로써 야자매트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2줄의 날줄 및 씨줄을 사용하여 제조된 야자매트(40)에 기능성매트(30)를 결합하여 제조된 적층야자매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하나의 날줄 및 씨줄을 사용하여 제조된 야자매트(40)에 기능성매트(30)를 결합하여 제조된 적층야자매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날줄(10) 및 씨줄(20)은 야자수에서 추출된 야자섬유를 꼬아서 실형상으로 만든 것일 수 있으며, 날줄(10) 및 씨줄(20)의 다른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매트 공급부(120)는 상기 직조부(110)에서 직조된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기능성매트(30)를 공급한다. 상기 기능성매트(30)는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재료는 목화섬, 옥수수 전분 등의 동식물성 바인더가 포함되어 생분해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매트(30)는 적층야자매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적층야자매트 상부로 잡초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매트 공급부(120)는 기능성매트(30)를 권취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성매트 공급부(120)는 기능성매트(30)를 인출하는 롤러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야자매트가 인출되는 속도에 맞춰 기능성매트(30)를 공급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를 적층형태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접하도록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직조부(110)에서 직조된 야자매트를 일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야자매트 이송롤러(170) 및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이동하는 기능성매트 이송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야자매트 이송롤러(170)는 상기 야자매트의 타면에 접하여 상기 야자매트를 기능성매트(30) 쪽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야자매트를 일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매트 이송롤러(180)는 상기 기능성매트(30)의 타면에 접하여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야자매트 쪽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기능성매트(30)를 일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야자매트의 일면 및 기능성매트(30)의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할 수 있다.
혼합매트재봉부(130)는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를 재봉하여 결합함으로써 혼합매트를 제조한다. 상기 혼합매트재봉부(130)는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의 폭 방향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혼합매트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매트재봉부(130)는 상기 야자매트 이송롤러(170) 및 기능성매트 이송롤러(180)에 의해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가 인출되는 방향, 즉, 인출방향을 따라 재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가 서로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후 절단공정에서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의 인출방향과 혼합매트재봉부(130)의 재봉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의 인출과 동시에 재봉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시간 소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혼합매트재봉부(130)에서 사용하는 실은 생분해성 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명주 또는 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친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혼합매트재봉부(130)에 의해 재봉된 측면 박음실(50)이 야자매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박음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측면 박음실(50)은 야자매트(40)의 가장자리로부터 10 내지 20 cm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박음실(50)이 너무 가장자리에 배치되면 측면 박음실(50)이 헤져서 내구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고, 너무 안쪽으로 배치되면 야자매트(40) 및 기능성매트(3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절단부(140)는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 절단부(140)는 칼날 또는 톱날을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으며, 혼합매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이동식 절단부재(절단 칼날 또는 톱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혼합매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가드레일, 상기 가드레일을 왕복 운동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절단부재가 혼합매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능성매트 방향에서 혼합매트를 절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야자매트가 중력에 의해 눌리면서 절단부재가 혼합매트를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부재봉부(150) 및 하부재봉부(160)는 상기 절단부(140)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재봉한다. 야자매트는 매우 두껍기 때문에 한 번의 재봉질로 절단된 야자매트의 매듭이 풀리지 않을 정도로 고정하기 어렵고, 야자매트에 기능성매트(30)를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재봉질 함으로써 직조된 야자매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3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재봉부(150) 및 하부재봉부(160)에 의해 각각 재봉된 상부 박음실(60) 및 하부 박음실(70)이 야자매트(4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박음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부 박음실(60) 및 하부 박음실(70)은 야자매트(40)의 가장자리로부터 10 내지 20 cm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측 상부 박음실(60) 및 하부 박음실(70)이 너무 가장자리에 배치되면 상부 박음실(60) 및 하부 박음실(70)이 헤져서 내구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고, 너무 안쪽으로 배치되면 야자매트(40) 및 기능성매트(3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박음실(60) 및 하부 박음실(70)은 적어도 2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야자매트(40) 및 기능성매트(30)의 결합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재봉부(150)는 혼합매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혼합매트의 상부를 재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혼합매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가드레일, 상기 가드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가드레일을 왕복 운동하는 재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재봉부(160)는 혼합매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혼합매트의 하부를 재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혼합매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가드레일, 상기 가드레일에 배치되어 상기 가드레일을 왕복 운동하는 재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하부재봉부(160)는 상기 절단된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도록 상기 절단부(14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재봉부(150)는 상기 하부재봉부(160)에서 재봉된 절단부위를 재봉하도록 상기 하부재봉부(16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기능성매트(30)를 야자매트에 결합이 우선 수행한 후 야자매트의 절단부위를 재봉하는 바, 야자매트 절단부(140)의 재봉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혼합매트를 하부재봉부(160) 및 상부재봉부(150)로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191) 및 제2이송롤러(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롤러(191)는 상기 하부재봉부(160) 및 절단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절단부(140)에서 절단된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가 상기 하부재봉부(160) 및 상부재봉부(150)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이송롤러(192)는 상기 상부재봉부(150) 및 하부재봉부(160) 사이에 배치되어 혼합매트의 후단 절단부위가 상기 하부재봉부(160) 및 상부재봉부(150)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경우 제1이송롤러(191)가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가 하부재봉부(160)에 위치하도록 이송하고, 하부재봉부(160)는 상기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한다. 이를 통해 기능성매트(30)를 야자매트에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후 제1이송롤러(191)는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가 상부재봉부(150)에 위치하도록 이송하고, 상부재봉부(150)는 상기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한다. 이를 통해 야자매트의 절단된 면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2이송롤러(192)가 혼합매트를 이송하여 후단 절단부위가 하부재봉부(160)에 위치하도록 이송할 수 있고, 재봉 후 다시 제2이송롤러(192)가 혼합매트의 후단 절단부위가 상부재봉부(150)에 위치하도록 이송할 수 있다.
하부재봉부(160) 및 상부재봉부(150)에서 사용하는 실은 생분해성 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명주 또는 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친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은, 날줄 및 씨줄을 직조하여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기능성매트를 접하는 단계;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날줄 및 씨줄을 직조하여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날줄 및 씨줄을 교차하여 직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날줄공급부에서 공급된 복수의 날줄이 날줄프레임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교차 이동하며, 씨줄이 상기 복수의 날줄 사이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직조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직조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직조부에 관한 것은 앞서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상기 야자매트의 폭을 상기 기능성매트의 폭과 일치하도록 상기 야자매트의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기능성매트를 접하는 단계는 기능성매트 공급부를 통해 기능성매트를 공급하여 야자매트의 일면 및 기능성매트의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야자매트 이송롤러 및 기능성매트 이송롤러에서 각각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이송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혼합매트재봉부가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매트를 적어도 2회 절단하여 전단 절단부위 및 후단 절단부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를 하부재봉부에 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매트의 전단 절단부위를 상부재봉부에 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단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야자매트의 절단부위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매트의 후단 절단부위를 하부재봉부에 위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재봉부로 상기 후단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의 후단 절단부위를 상부재봉부에 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재봉부로 상기 후단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10: 날줄
20: 씨줄
30: 기능성매트
40: 야자매트
50: 측면 박음실
60: 상부 박음실
70: 하부 박음실
110: 직조부
111: 매트 폭 유지부
112: 날줄 공급부
112a: 날줄 하우징
112b: 날줄 인출부재
113: 날줄 프레임
114: 씨줄 공급부
120: 기능성매트 공급부
130: 혼합매트재봉부
140: 절단부
150: 상부재봉부
160: 하부재봉부
170: 야자매트 이송롤러
180: 기능성매트 이송롤러
191: 제1이송롤러
192: 제2이송롤러

Claims (8)

  1. 날줄 및 씨줄을 교차하여 야자매트를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기능성매트를 공급하는 기능성매트 공급부;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재봉함으로써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혼합매트재봉부;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하는 상부재봉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는 하부재봉부;를 포함하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야자매트를 일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야자매트 이송롤러; 및
    상기 기능성매트를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기능성매트를 이동하는 기능성매트 이송롤러;를 더 포함하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는 야자매트의 폭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매트 폭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매트는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매트 재봉부는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혼합매트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것인,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6. 날줄 및 씨줄을 직조하여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야자매트의 일면에 기능성매트를 접하는 단계;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하부를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매트의 절단부위의 상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야자매트의 폭을 상기 기능성매트의 폭과 일치하도록 상기 야자매트의 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를 결합하여 혼합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야자매트 및 기능성매트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것인,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KR1020200092559A 2020-07-24 2020-07-24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KR102468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59A KR102468954B1 (ko) 2020-07-24 2020-07-24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59A KR102468954B1 (ko) 2020-07-24 2020-07-24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38A true KR20220013238A (ko) 2022-02-04
KR102468954B1 KR102468954B1 (ko) 2022-11-23

Family

ID=8026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559A KR102468954B1 (ko) 2020-07-24 2020-07-24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9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69B1 (ko) * 2013-02-14 2014-05-19 김영기 생분해성 식생매트 제조장치
KR20150085345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에코피아 야자 에코 매트
KR101750057B1 (ko) * 2017-04-19 2017-06-22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야자 섬유질 로프 전용 매트 직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행매트, 식생매트, 코어네트
KR101927989B1 (ko) * 2017-01-19 2018-12-12 한국론타이 주식회사 인공 배양토 매트 제조방법
KR101928384B1 (ko) * 2017-12-05 2018-12-14 김재교 안전 보호망 자동 봉제기 및 이를 이용한 안전 보호망 제조 방법
KR101952841B1 (ko) * 2018-07-12 2019-06-11 (유)삼흥에코그린 내구성이 향상된 산책로 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32367A (ko) 2018-09-18 2020-03-2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69B1 (ko) * 2013-02-14 2014-05-19 김영기 생분해성 식생매트 제조장치
KR20150085345A (ko) *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에코피아 야자 에코 매트
KR101927989B1 (ko) * 2017-01-19 2018-12-12 한국론타이 주식회사 인공 배양토 매트 제조방법
KR101750057B1 (ko) * 2017-04-19 2017-06-22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야자 섬유질 로프 전용 매트 직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행매트, 식생매트, 코어네트
KR101928384B1 (ko) * 2017-12-05 2018-12-14 김재교 안전 보호망 자동 봉제기 및 이를 이용한 안전 보호망 제조 방법
KR101952841B1 (ko) * 2018-07-12 2019-06-11 (유)삼흥에코그린 내구성이 향상된 산책로 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32367A (ko) 2018-09-18 2020-03-2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954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9565B1 (en) Method for forming an artificial grass layer and artificial grass product for use therein
DE60014544T2 (de) Geweb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kleidungsstücken
CN101142352A (zh) 无缝衣服
DE1761119A1 (de) Papiermaschinenfilz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3459690B (zh) 用于生产在两个倾斜取向上包含锭带的纺织材料的方法和装置
CN103459692A (zh) 在两个倾斜取向上包含带条的纺织材料及其生产方法和装置
EP2900866B1 (en) Method for preparing a seam area for a pmc base fabric
KR20190135719A (ko) 야자 매트 직조기
US5333562A (en) Method of stitching a piece of fabric, a piece of fabric obtained thereby, and a composite fiber-matrix piece obtained using said piece of fabric
US7117899B1 (en) Pile mesh fabric
KR20220013238A (ko) 적층야자매트 제조장치 및 적층야자매트의 제조방법
KR101623646B1 (ko) 볏짚 거적 및 그 제조장치
KR101968540B1 (ko) 절단면이 없는 야자매트 제조장치
KR100465863B1 (ko) 광섬유 디스플레이 방법
CN101240489A (zh) 刺绣花边、刺绣花边布料及两者的制造方法
JP7216415B2 (ja) 布団側地の製造方法及び布団の製造方法
CN101313097A (zh) 针织纱接合部分的处理方法
KR102090264B1 (ko) 투수성, 위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웹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JP5106956B2 (ja) コーデュロイ編物
CN102431229A (zh) 一种在线加入经、纬纱的无纺布及其生产方法
KR101756081B1 (ko) 토목용 직물의 변사 마감처리장치
KR101868689B1 (ko)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KR20120040904A (ko) 식생매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12101B1 (ko) 슬릿 얀 편직방법
JP2008007866A (ja) ビーズ織物と製織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