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479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479A
KR20220012479A KR1020200091099A KR20200091099A KR20220012479A KR 20220012479 A KR20220012479 A KR 20220012479A KR 1020200091099 A KR1020200091099 A KR 1020200091099A KR 20200091099 A KR20200091099 A KR 20200091099A KR 20220012479 A KR20220012479 A KR 2022001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console
conditioning cas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0009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479A/ko
Publication of KR2022001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firstly cooled and subsequently heated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 및 페이스벤트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콘솔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콘솔도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1템프도어와 제2템프도어; 및 상기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에 점유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점유공간을 통해 상기 콘솔벤트로 유동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냉기가 히터코어와 공조케이스의 내벽 사이에 점유공간을 통하여 콘솔벤트로 적절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격벽이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냉기와 온기가 적절한 균형으로 콘솔벤트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 및 페이스벤트와 후석의 콘솔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유사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차량의 후석 탑승자에게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우천 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안개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기유입구(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4) 및 페이스벤트(5)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콘솔벤트(6)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 상기 공조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4), 페이스벤트(5) 및 콘솔벤트(6)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7), 페이스도어(8) 및 콘솔도어(9); 상기 공조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 및 히터코어(11); 상기 증발기(10)와 히터코어(11)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1템프도어(12)와 제2템프도어(13);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제1템프도어(12) 및 제2템프도어(13)가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10)를 통과한 공기의 냉기와 온기가 후석의 콘솔벤트(6)로 토출 시에 적절한 균형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되어 후석의 콘솔벤트(6)와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4) 및 페이스벤트(5)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공조케이스(2)의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4) 및 페이스벤트(5)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후석의 콘솔벤트(6)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가 차이가 크게 나게 되다보니 차량용 공조장치(1)의 성능이 저하가 된다.
또한, 차량용 공조장치(1)에서 후석의 콘솔벤트(6)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가 적절하게 제어되지 못하게 되다보면 차량의 후석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며,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데 다소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 및 페이스벤트와 후석의 콘솔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서로 유사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 및 페이스벤트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콘솔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콘솔도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1템프도어와 제2템프도어; 및 상기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에 점유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점유공간을 통해 상기 콘솔벤트로 유동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점유공간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하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점유공간은, 상기 제2템프도어가 개방 시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유입되고, 상기 점유공간에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콘솔도어가 개방된 상기 콘솔벤트의 입구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점유공간은, 상하 방향의 길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격벽은, 상기 히터코어의 하측 단부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 중 하측 부위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격벽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각이
Figure pat00001
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콘솔벤트 측 단부가 상기 콘솔벤트의 입구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공조케이스와의 타측 내벽 사이에 틈새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냉기가 히터코어와 공조케이스의 내벽 사이에 점유공간을 통하여 콘솔벤트로 적절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격벽이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냉기와 온기가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콘솔벤트의 입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 및 페이스벤트와 후석의 콘솔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서로 유사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차량의 후석 탑승자에게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가 점유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제2템프도어가 일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냉기와 온기가 적절하게 콘솔벤트로 유입되도록 제2템프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 디프로스트도어(120), 페이스도어(120a) 및 콘솔도어(130), 증발기(140) 및 히터코어(150), 제1템프도어(160)와 제2템프도어(160a), 격벽(170)을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112) 및 페이스벤트(113)와 차량의 후석으로 토출되는 콘솔벤트(114)가 형성된다.
상기 디프로스트도어(120), 페이스도어(120a) 및 콘솔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2), 페이스벤트(113) 및 콘솔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한다.
상기 증발기(140) 및 히터코어(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제1템프도어(160)와 상기 제2템프도어(160a)는 상기 증발기(140)와 상기 히터코어(15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4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격벽(170)은 상기 히터코어(15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히터코어(150)의 하측 단부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 중 하측 부위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17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과의 사이에 점유공간(17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유공간(170a)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하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140)를 통과한 공기의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후 적절하게 상기 콘솔벤트(114)로 유동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서 상기 증발기(140)를 통과한 공기의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상기 점유공간(170a)을 통하여 상기 콘솔벤트(114)로 적절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형상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격벽(170)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각이
Figure pat00002
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17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타측 내벽 사이에 틈새공간(170b)이 형성되며, 상기 콘솔벤트(114) 측 단부가 상기 콘솔벤트입구(114a)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점유공간(170a)은 상기 제2템프도어(160a)가 일부 개방 시에 상기 증발기(140)를 통과한 공기의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점유공간(170a)에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틈새공간(170b)을 통하여 상기 콘솔도어(130)가 개방된 상기 콘솔벤트입구(114a)측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점유공간(170a)에 유입된 냉기 중 일부만 틈새공간(170b)을 통하여 상기 콘솔벤트입구(114a)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제2템프도어(160a)가 완전히 개방 시에는 상기 콘솔벤트입구(114a)측으로 유입된 일부 냉기와 상기 증발기(140)를 통과한 공기의 온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온기가 적절한 균형으로 상기 콘솔벤트입구(114a)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서 후석의 상기 콘솔벤트(1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전석의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2) 및 페이스벤트(113)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유사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제1템프도어(12) 및 제2템프도어(13)가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10)를 통과한 공기의 냉기와 온기가 후석의 콘솔벤트(6)로 토출 시에 적절한 균형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되어 후석의 콘솔벤트(6)와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4) 및 페이스벤트(5)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었다.
즉, 상기와 같이 공조케이스(2)의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4) 및 페이스벤트(5)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후석의 콘솔벤트(6)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가 차이가 크게 나게 되다보니 차량용 공조장치(1)의 성능이 저하가 되었다.
또한, 차량용 공조장치(1)에서 후석의 콘솔벤트(6)로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가 적절하게 제어되지 못하게 되다보면 차량의 후석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며,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데 다소 어렵게 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공기의 냉기가 히터코어(150)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 사이에 점유공간(170a)을 통하여 콘솔벤트(114)로 적절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격벽(170)이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냉기와 온기가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콘솔벤트입구(114a)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에 의하면, 공기의 냉기와 온기가 적절한 균형으로 콘솔벤트입구(115a) 측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석의 디프로스트벤트(112) 및 페이스벤트(113)와 후석의 콘솔벤트(114)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서로 유사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차량의 후석 탑승자에게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 할 수 있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11 : 공기유입구 112 : 디프로스트벤트
113 : 페이스벤트 114 : 콘솔벤트
114a : 콘솔벤트입구 120 : 디프로스트도어
120a: 페이스도어 130: 콘솔도어
140 : 증발기 150 : 히터코어
160 : 제1템프도어 160a: 제2템프도어
170 : 격벽 170a: 점유공간
170b : 틈새공간

Claims (7)

  1.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 및 페이스벤트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콘솔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콘솔도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1템프도어와 제2템프도어; 및
    상기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에 점유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점유공간을 통해 상기 콘솔벤트로 유동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유공간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하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유공간은, 상기 제2템프도어가 개방 시 냉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유입되고,
    상기 점유공간에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콘솔도어가 개방된 상기 콘솔벤트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유공간은, 상하 방향의 길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히터코어의 하측 단부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 중 하측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각이
    Figure pat00003
    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콘솔벤트 측 단부가 상기 콘솔벤트의 입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공조케이스와의 타측 내벽 사이에 틈새공간이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091099A 2020-07-22 2020-07-22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12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99A KR20220012479A (ko) 2020-07-22 2020-07-2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99A KR20220012479A (ko) 2020-07-22 2020-07-2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79A true KR20220012479A (ko) 2022-02-04

Family

ID=8026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099A KR20220012479A (ko) 2020-07-22 2020-07-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302B1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CN111319421A (zh) 用于控制空调中的内部/外部空气的系统
JPH1023613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1247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81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450207B2 (ko)
KR1026351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778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2005011125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29713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104529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0543758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54376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200442465Y1 (ko) 차량용 공조 유니트의 벤트 도어
JP2008126789A (ja) 車両用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冷却装置
JP2008094364A (ja) 高温空気チャネル及び低温空気チャネルと関連した温度混合方式のヒーティング、ベンチレーション及びエ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システム
US20200376951A1 (en) Ventilation device with a plurality of zones and associated vehicle
KR2016013503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92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1692229B1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JP200802422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4005595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408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