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143A -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143A
KR20220012143A KR1020200091301A KR20200091301A KR20220012143A KR 20220012143 A KR20220012143 A KR 20220012143A KR 1020200091301 A KR1020200091301 A KR 1020200091301A KR 20200091301 A KR20200091301 A KR 20200091301A KR 20220012143 A KR20220012143 A KR 2022001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rtical frame
passage
door leaf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20009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143A/ko
Publication of KR2022001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05Y2201/502Wing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이격져서 설치되는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에 의해 미닫이도어의 외곽을 이루는 문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짝; 상기 문짝과 고정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제1세로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승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하강함으로써, 상기 문짝이 닫히도록 하는 무게추; 상기 제2세로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승하게 되는 이동체; 및 상기 무게추가 하강하여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이동체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문짝이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를 구비하며, 미닫이도어가 닫히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히 닫힐 때까지 도어가 일정한 속도로 자동폐쇄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Sliding Door Automatic Closed Device}
본 발명은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문짝이 열렸을 때,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면 문짝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면서도, 문짝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미닫이 도어란 도어프레임에 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되는 도어를 일컫는데, 자동 미닫이 도어의 경우 도어의 개폐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어의 개방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어의 닫힘은 무게추의 중량 등을 이용하는 반자동 닫힘 방식도 이용되고 있다.
위의 반자동 닫힘 방식의 종래기술로 미국 특허 7,686,405호에 게재된 자동 미닫이 도어는 2개의 도어가 상부 도어프레임 및 하부 도어프레임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해 무게추의 중량을 이용하는데, 무게추, 와이어 및 방향전환도르래의 조합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킨 때에는 무게추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무게추의 중량이 도어에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위의 종래기술은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때 무게추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무게추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소음 발생의 요인이 되고, 또 도어의 관성력에 의해 도어가 측부 도어프레임에 상당한 속도로 부딪혀 심한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48086호의 미닫이도어의 개폐장치에서는 측면프레임의 내부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유닛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더 구비하여 도어가 무게추에 의해 빠른 속도로 닫히지 않고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문짝이 닫힐 때, 자석이 완충수단에 접하기 전까지는 무게추의 무게로 인해 도어가 강하게 닫히게 되며, 도어를 열 때는 완충수단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인출될 때 까지의 힘이 그대로 작용하여 도어를 강하게 밀어야 도어가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열 때 피스톤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면 자석이 끌어당기는 힘이 피스톤의 힘보다 작아 실린더에서 최대로 인출되기 전에 자석이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자체의 기압을 조절해줄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닫히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히 닫힐 때까지 도어가 일정한 속도로 닫힐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열 때는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완충부재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도어를 수월하게 열 수 있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는,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이격져서 설치되는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에 의해 미닫이도어의 외곽을 이루는 문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짝; 상기 문짝과 고정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제1세로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승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하강함으로써, 상기 문짝이 닫히도록 하는 무게추; 상기 제2세로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승하게 되는 이동체; 및 상기 무게추가 하강하여 상기 문짝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이동체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문짝이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감속체는, 상기 이동체가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몸체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조절몸체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1통로; 상기 조절몸체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통로; 및 상기 조절몸체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와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제2통로에 형성되는 개폐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몸체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와 연통가능하도록 제2통로의 타측에 제3통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에는 상기 제1통로 내부의 압력을 미세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압력조절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문짝이 닫힐 때, 이동체의 이동으로 인해 감속체 내부의 기압이 상승하여 도어가 닫히는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도어가 닫히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히 닫힐 때까지 도어가 일정한 속도로 닫힐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문짝이 열릴 때, 이동체의 이동으로 인해 감속체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어 도어를 열 때는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완충부재의 영향을 적게 받아 도어를 수월하게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조절나사로 감속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미닫이도어에서 문틀의 레일과 문짝의 호차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문짝의 연결부와 와이어, 제1롤러 및 무게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와이어와 제2롤러 및 감속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이동체와 감속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미닫이도어가 열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이동체, 감속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미닫이도어가 닫힐 때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이동체, 감속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미닫이도어가 열릴 때의 조절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감속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에 따른 미닫이도어가 닫힐 때의 조절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감속체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는 미닫이도어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었을 경우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 문짝(20), 와이어(30), 무게추(40), 이동체(50), 감속체(60)를 구비한다.
문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도어의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의 조합으로서,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에 위치하고, 후술할 무게추(40)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세로프레임(12), 제1세로프레임(12)과 이격져서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고 후술할 이동체(50) 및 감속체(60)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세로프레임(13), 제1세로프레임(12)과 제2세로프레임(13)의 상부에 설치되고, 레일(11a)이 형성되어 문짝(2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다.
문짝(20)은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위치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위해 상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일문짝(20)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중 연동도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의 레일(11a)에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문짝(20)의 상부에 호차(20b)가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와이어(30)와 고정연결되는 연결부(20a)가 상부에 형성된다.
연결부(20a)는 와이어(30)가 고정연결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형태로 상측 일부분에 와이어(30)가 고정연결되고, 하단부의 양측이 돌출형성되어 문짝(2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30)는 문짝(20)과 고정연결되어, 와이어(30)에 연결된 후술할 무게추(40)에 의해서 문짝(20)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일부분이 연결부(20a)와 고정 결합되며, 따라서 문짝(20)이 이동하게 될 때, 와이어(3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30)는 문짝(2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롤러(72)와,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2롤러(7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롤러(7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이 닫히는 방향, 즉 제1세로프레임(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30)의 일측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문짝(20)의 연결부(20a)에서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30)를 하방하도록 유도해 와이어(30)의 끝단에 후술할 무게추(40)가 연결되도록 하여, 무게추(40)가 상하이동하면 제1롤러(72)에 수직되도록 지지된 와이어(30)의 일부분이 문짝(20)의 상측에서 횡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롤러(7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이 열리는 방향, 즉 제2세로프레임(13)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30)의 타측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문짝(20)의 연결부(20a)에서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30)를 하방하도록 유도해 와이어(30)의 끝단에 후술할 이동체(50)가 연결되도록 하여, 이동체(50)가 상하이동하면 제2롤러(73)에 수직되도록 지지된 와이어(30)의 일부분이 문짝(20)의 상측에서 횡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롤러(72)와 제2롤러(73)가 와이어(30)를 문틀(1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가이드하여 와이어(30)의 양측 단부는 제1세로프레임(12)과 제2세로프레임(13)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위치하여, 일측은 무게추(40)가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이동체(50)가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며, 제1롤러(72)와 제2롤러(73)의 사이는 와이어(30)가 가로로 위치하여 문짝(20)의 연결부(20a)에 고정연결된 상태로 무게추(40)와 이동체(50)의 상하이동을 따라 횡이동 가능하게 된다.
무게추(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로프레임(12)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문짝(20)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승하게 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하강함으로써, 문짝(20)이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문짝(20)이 자동으로 닫힐 수 있을 만큼의 무게를 가지는 무게추(40)로서 사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40)는 와이어(30)의 문짝(20)이 닫히는 방향 끝단에 고정되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려 하므로 와이어(30)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며, 무게추(40)가 와이어(30)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면 와이어(30)는 문짝(20)을 제1롤러(72) 방향으로 가로로 당겨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50)는 제2세로프레임(13)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문짝(20)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감속체(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감속체(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무게추(40)보다 가볍게 형성되어 와이어(30)가 무게추(40)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어 문짝(20)이 무게추(40)의 무게로 인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동체(50)는 후술할 감속체(60)의 내부에 삽입되고 난 뒤 상하이동할때, 감속체(6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61a)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외주면 일측에 패킹(50a)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50a)을 감속체(60)의 내부 일측을 닫도록 형성하면 이동체(50)가 상하이동할 때, 감속체(6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61a)의 압력을 더 용이하게 조절토록 할 수가 있다.
감속체(60)는 무게추(40)가 하강하여 문짝(20)이 닫히게 될 때, 이동체(5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문짝(20)이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와 조절부(62)를 구비한다.
몸체(61)는 제2세로프레임(13)에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간부(61a)가 형성되고, 공간부(61a)에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이동체(50)가 승강가능하게 삽입되게 된다.
조절부(62)는 몸체(61)의 상단에 결합되며, 이동체(50)가 몸체(61)의 내부에서 승강하게 될 때, 몸체(61) 내부의 압력을 조절토록 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몸체부(63)와, 제1통로(62a)와, 제2통로(62b)와, 개폐구(62c)를 구비한다.
조절몸체부(63)는 몸체(61)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몸체(6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상단에 직접 결합되는 제1몸체(63a)와, 제1몸체(63a)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몸체(6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통로(62a)는 조절몸체부(63)의 내부에 와이어(30)가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몸체(6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61a)와 연통된다.
제2통로(62b)는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62a)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게 될 때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62a) 쪽으로 유입되게 되며, 후술하는 개폐구(62c)의 개페작용으로 인해 몸체(61)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61a)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개폐구(62c)는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62a)와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2통로(62b)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과 같은 구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2통로(62b)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구(62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이 열려 이동체(50)가 하강하게 될 때, 이동체(50)의 하강에 따라서 조절부(62)와 이동체(50) 사이의 공간부(61a)가 넓어지게 되면, 공간부(61a)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면서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개폐구(62c)를 밀어 올리게 되고, 따라서 개폐구(62c)가 개방됨에 따라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제2통로(62b)와 제1통로(62a)를 통해 조절부(62)와 이동체(50) 사이의 공간부(61a)로 유입되므로 문짝(20)을 열 때 이동체(50)가 빠르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이 닫혀 이동체(50)가 상승할 때는, 조절부(62)와 이동체(50) 사이의 공간부(61a)에 위치하는 공기가 조절부(62)로 배출되게 되고, 공기가 조절부(62)로 배출되면 내부의 공기가 제2통로(62b)를 통해 개폐구(62c)를 내부에서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어 제2통로(62b)가 폐쇄되게 되고 공기가 제1통로(62a)로만 배출되므로, 제1통로(62a)와 제2통로(62b)로 동시에 공기가 이동할 때 몸체(6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문짝(20)이 닫힐 때, 이동체(50)가 천천히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절부(62)는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62a)와 연통가능하도록 제2통로(62b)의 타측에 제3통로(62e)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3통로(62e)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로(62a) 내부의 압력을 미세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압력조절나사(62d)가 형성된다.
압력조절나사(62d)는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제1통로(62a)와 연통가능하도록 제3통로(62e)에 형성되어 압력조절나사(62d)를 풀면 조절부(62) 내부의 공기가 제3통로(62e)를 통해 배출 또는 흡수되는 양이 많아지고, 압력조절나사(62d)를 조이면 조절부(62) 내부의 공기가 제3통로(62e)를 통해 배출 또는 흡수되는 양이 적어지도록 할 수 있어 조절부(62) 내부의 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91은 제2통로(62b)를 타공할 때 형성된 불필요한 구멍을 막는 차단체이다.
또한, 미닫이도어 자동개폐장치는 문짝(20)을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열린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문짝(20)을 문틀(10)에 걸어 고정하는 걸쇠나, 문짝(20)과 문틀(10)이 붙도록 고정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문짝(20)을 고정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닫힌 상태의 문짝(2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열면, 문짝(20)의 연결부(20a)에 고정연결된 와이어(30)가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롤러(72)를 지나 와이어(30)에 연결된 무게추(40)가 상승하게 되고, 와이어(30)가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30)에 연결된 이동체(5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50)가 몸체(61)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면 감속체(60) 외부의 공기가 조절부(62)를 통해 몸체(61)의 내부 공간부(61a)에 흡수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62)를 통해 공기가 흡수되면 외부의 공기가 개폐구(62c)를 외부로부터 안쪽으로 밀어내어 제2통로(62b)를 개방시키므로, 조절부(62)의 제2통로(62b)와 제3통로(62e)로 동시에 공기가 흡수되어 이동체(50)가 빠르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문짝(20)이 열릴때는 이동체(50)가 빠르게 하강할 수 있으므로 문짝(20)을 열 때, 이동체(50)로 인한 사용자가 문짝(20)을 여는 힘의 부하가 적어 쉽게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의 문짝(20)의 고정을 풀면, 무게추(40)가 무게로 인해 하강하면서 문짝(20)의 연결부(20a)에 고정된 와이어(30)가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와이어(30)가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30)에 연결된 이동체(5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50)가 몸체(61)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면 감속체(60) 내부의 공기가 조절부(62)를 통해 몸체(6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6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내부의 공기가 개폐구(62c)를 내부로부터 제2통로(62b)쪽으로 밀어내어 제2통로(62b)를 폐쇄시키므로, 조절부(62)의 제3통로(62e)로 공기가 배출되어 이동체(50)가 천천히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체(50)가 천천히 상승함에 따라서 이동체(50)에 연결된 와이어(30) 또한 제2롤러(73)를 따라서 닫히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히 닫힐 때까지 천천히 이동하게 되고, 와이어(30)와 연결된 문짝(20) 또한 동일하게 천천히 닫히게 된다.
또한, 압력조절나사(62d)를 풀거나 조여 조절부(62)의 압력을 조절하면, 문짝(20)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자동으로 닫히는 문짝(2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문틀 11 : 상부프레임
12 : 제1세로프레임 13 : 제2세로프레임
20: 문짝 30: 와이어
40: 무게추 50: 이동체
60: 감속체 61 : 몸체
62 : 조절부

Claims (4)

  1. 제1세로프레임(12)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12)과 이격져서 설치되는 제2세로프레임(13)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12)과 제2세로프레임(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1)에 의해 미닫이도어의 외곽을 이루는 문틀(10);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위치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짝(20);
    상기 문짝(20)과 고정연결되는 와이어(30);
    상기 제1세로프레임(12)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짝(20)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승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하강함으로써, 상기 문짝(20)이 닫히도록 하는 무게추(40);
    상기 제2세로프레임(13)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짝(20)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승하게 되는 이동체(50); 및
    상기 무게추(40)가 하강하여 상기 문짝(20)이 닫히게 될 때, 상기 이동체(5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문짝(20)이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체(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체(60)는,
    상기 이동체(50)가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61); 및
    상기 이동체(50)가 상기 몸체(61)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상기 몸체(61)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62)는,
    조절몸체부(63);
    상기 조절몸체부(63)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30)가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6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61a)와 연통되는 제1통로(62a);
    상기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62a)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통로(62b); 및
    상기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62a)와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제2통로(62b)에 형성되는 개폐구(62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62)는 상기 조절몸체부(63)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62a)와 연통가능하도록 제2통로(62b)의 타측에 제3통로(62e)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62e)에는 상기 제1통로(62a) 내부의 압력을 미세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압력조절나사(62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KR1020200091301A 2020-07-22 2020-07-22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220012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01A KR20220012143A (ko) 2020-07-22 2020-07-22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01A KR20220012143A (ko) 2020-07-22 2020-07-22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43A true KR20220012143A (ko) 2022-02-03

Family

ID=8026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01A KR20220012143A (ko) 2020-07-22 2020-07-22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1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5213C (en) Integrated sliding door/panel system
CA2637080A1 (en) Sliding door with lateral sealing movement
US20160273253A1 (en) Door fitting for the height adjustment of sliding doors
US9611684B2 (en) Sliding door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20220012143A (ko)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US9643820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KR200465261Y1 (ko) 승강장스크린도어의 미닫이 방식 비상도어
EP1873342A1 (en) Counterframe for a concealed sliding door with self-closing device
CN212020156U (zh) 一种立式加工中心二段式自动门
JPH0715988Y2 (ja) 引戸装置
KR102138914B1 (ko) 도어 힌지장치
EP3231759A1 (en) Elevator landing do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KR102083058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CN108367896B (zh) 电梯装置
KR101848086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장치
KR102083057B1 (ko) 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JPH04364309A (ja) 配電機器の扉開閉装置
KR2020013364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342881B1 (ko) 개폐형 문지방
KR200312172Y1 (ko) 폴딩도어의 이동 가이드장치
CN209024006U (zh) 一种带搭扣式轿壁的客梯轿箱
CN221274960U (zh) 一种安全的电梯进出口结构
CN215525028U (zh) 一种通用型卡车驾驶室车门多功能综合试验平台
JP4125081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