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66A -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66A
KR20220011966A KR1020200090886A KR20200090886A KR20220011966A KR 20220011966 A KR20220011966 A KR 20220011966A KR 1020200090886 A KR1020200090886 A KR 1020200090886A KR 20200090886 A KR20200090886 A KR 20200090886A KR 20220011966 A KR20220011966 A KR 2022001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ies
voltage
charging
st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국
이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9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966A/ko
Priority to US18/010,367 priority patent/US20230268762A1/en
Priority to CN202180033668.4A priority patent/CN115552760A/zh
Priority to EP21845810.7A priority patent/EP4135150A4/en
Priority to PCT/KR2021/009338 priority patent/WO2022019612A1/ko
Priority to JP2022567851A priority patent/JP7504227B2/ja
Priority to TW110126789A priority patent/TW202205780A/zh
Publication of KR2022001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시스템에 장착된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전압 차가 적절 범위 이내일 경우 배터리 간에 충/방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여, 전압 차에 의한 배터리 간 충/방전으로 인해 특정 배터리가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Battery charging/dis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ual battery}
본 발명은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전류 경로를 제어하여 특정 배터리의 열화를 방지하는 듀얼 배터리의 연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는데, 전기 구동 차량 또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 같이 최근에 배터리가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배터리 팩의 용량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셀 자체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 경우 용량 증대 효과가 크지 않고, 배터리의 크기 확장에 물리적 제한이 있으며 관리가 불편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이 직/병렬 연결된 배터리 팩을 상호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두 개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듀얼 배터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듀얼 배터리는 외부 전자장치에 장착 시 바로 충전 또는 방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 배터리의 충전 FET 및 방전 FET가 항상 온(On) 상태로 제어된다.
그러나, 충전 FET가 온(On) 되어 있는 상태에서 두 개의 배터리 간에 전압 차가 발생할 경우, 배터리 간 전압 균형을 맞추기 위해 도 1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전압이 높은 제1 배터리는 외부 전자장치(외부 시스템)뿐만 아니라 전압이 낮은 제2 배터리에 동시에 방전하게 되어, 전압이 높은 제1 배터리가 빨리 열화되거나 또는 과방전으로 인한 보호 동작을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2019-0123582 A
(특허문헌 2) KR10-0619904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전압 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FET를 제어하여 특정 배터리의 열화를 방지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두 배터리 간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외부 시스템으로의 방전은 각각 수행하되, 배터리 간의 충/방전은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상호 병렬 연결되어 외부 시스템에 체결되는 제1, 2 배터리; 상기 제1, 2 배터리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차에 따라 제1, 2 배터리 간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시스템; 및 상기 제1, 2 배터리와 외부 시스템 간 및 제1, 2 배터리 간의 충/방전 전류가 흐르는 메인 충/방전 경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충/방전 경로는, 상기 제1, 2 배터리에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상호 병렬 연결되는 제1, 2 경로; 및 일단은 상기 병렬 연결된 제1, 2 경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 시스템에 연결되는 제3 경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각각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상기 제1, 2 경로 상에 각각 구비되어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FET; 상기 제1, 2 경로 상에 각각 구비되는 충전 FET에 직렬 연결되어,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하는 방전 FET; 상기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연결하는 제1 통신부; 소정의 주기 간격으로 해당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시스템으로 전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충전 FET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방전 FET는 온(On) 상태이되, 충전 FET는 오프(Off) 상태로 외부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해당 배터리의 전압 값을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전압 값 송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충전 FET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FET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부 시스템은, 상기 체결되는 제1, 2 배터리로부터의 방전 전류에 의해 웨이크-업 되어 시스템을 구동하는 시스템 구동부;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제1 통신부와 통신을 연결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여, 두 배터리 간의 전압 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전압 상태 판단부;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FET 제어부;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2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제1, 2 배터리의 전압 값을 수신하는 전압 값 수신부; 상기 전압 값 수신부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전압 편차 산출부; 상기 전압 편차 산출부에서 산출한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비교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이면, 이를 나타내는 충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이면, 이를 나타내는 불충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FET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 충족 신호가 출력되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 제어신호를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불충족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동일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간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 시스템으로의 방전은 각각 수행하되, 배터리 간의 충/방전은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2 배터리를 외부 시스템에 장착하는 체결 단계;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에서, 소정의 주기 간격으로 해당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제1, 2 배터리와 외부 시스템 간에 상호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 단계; 외부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부터 측정 전압 값을 수신하는 전압 값 수신 단계; 상기 전압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측정 전압 값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배터리 간에 충/방전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에서,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키는 충전 FET 제어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전압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전압 편차 산출 단계; 상기 전압 편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 값이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비교하는 전압 편차 비교 단계; 상기 전압 편차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 상기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전압 편차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이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이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충전 FET 제어 단계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온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프 제어신호가 출력된 경우, 현재 오프(Off) 상태인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두 배터리의 전압 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FET를 제어하여 배터리 간 충/방전을 제어함으로써 전압 차가 높은 상태에서의 배터리 간 충/방전으로 인해 특정 배터리가 열화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배터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배터리와 외부 시스템의 체결 시 형성되는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와 외부 시스템이 체결된 최초 상태에서 형성되는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전압 차에 따른 충전 FET 제어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및 외부 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1. 메인 충/방전 경로(L)
메인 충/방전 경로는,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제1, 2 배터리(100, 200)와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외부 시스템(300) 간에 형성되는 전류 경로로서, 하기와 같은 세부 경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 제1 경로(L1)
제1 경로는, 메인 충/방전 경로(L) 중 제1 배터리(100)에 형성된 경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이 일단은 제1 배터리(100)에 포함된 셀(cell)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배터리(100)와 상호 병렬 연결되는 제2 배터리(200)에 형성된 제2 경로(L2)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나. 제2 경로(L2)
제2 경로는, 메인 충/방전 경로(L) 중 제2 배터리(200)에 형성된 경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이 일단은 제2 배터리(200)에 포함된 셀(cell)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배터리(200)와 상호 병렬 연결되는 제1 배터리(100)에 형성된 제1 경로(L1)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다. 제3 경로(L3)
제3 경로는,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로서, 일단은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2 경로(L1, L2)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 시스템(30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1, 2 및 3 경로(L1~L3)로 구성되는 메인 충/방전 경로(L)를 통하여,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 간에 충/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다.
1.2. 제1, 2 배터리(100, 200)
상호 병렬 연결되어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제1, 2 배터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 충전 FET(110, 210)
충전 FET는, 제1 경로(L1) 및 제2 경로(L2) 상에 각각 구비되어, 자신이 아닌 다른 배터리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1 배터리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배터리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1 배터리(100)에 포함된 셀(cell)로의 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고, 제2 배터리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배터리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2 배터리(100)에 포함된 셀(cell)로의 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나. 방전 FET(120, 220)
방전 FET는, 제1 경로(L1) 및 제2 경로(L2) 상에 각각 구비되는 충전 FET(110, 210)에 직렬 연결되어, 제1 배터리(100)에 포함된 셀(cell) 및 제2 배터리(200)에 포함된 셀(cell)에서 외부 시스템(300)으로의 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배터리 각각에 구비되는 상술한 충전 FET(110, 210) 및 방전 FET(120, 220)는, 서로 다른 온/오프 상태로 외부 시스템(300)과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충전 FET(110, 210)는 모두 오프(Off) 상태이되, 방전 FET(120, 220)는 모두 온(On) 상태로 외부 시스템(300)과 체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1, 2 배터리(100, 200)가 외부 시스템(300)과 체결된 최초 상태에서는,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제1 경로(L1)에서 제3 경로(L3) 및 상기 제2 경로(L2)에서 제3 경로(L3)로의 전류 이동만 있는 상태이고, 제1 경로(L1)에서 제2 경로(L2) 및 제2 경로(L2)에서 제1 경로(L1)로의 전류 이동은 없는, 즉 제1, 2 경로(L1, L2)는 상호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외부 시스템(300)과 체결된 제1, 2 배터리(100, 200)의 최초 상태는, 각각 외부 시스템(300)으로의 방전 동작은 수행하되, 배터리 간의 충/방전 동작은 수행하지 않는다.
다. 제1 통신부(130, 230)
제1 통신부는, 제1, 2 배터리(100, 200)와 체결되는 외부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 간에 배터리 전압 정보와 FET 제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라. 전압 측정부(140, 240)
전압 측정부는, 통상의 방식을 사용하여 일정 주기 간격으로 해당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마. 제1 제어부(150, 250)
제1 제어부는, 체결되는 외부 시스템(300)으로 측정한 배터리 전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현재 오프(Off) 상태인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아래와 같은 세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전압 값 송신부(152, 252)
전압 값 송신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140, 240)에서 측정한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값을 제1 통신부(130, 230)를 통해 외부 시스템(300)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2) 제어신호 수신부(154, 254)
제어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 통신부(130, 230)를 통해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충전 FET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3) FET 제어부(156, 256)
FET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54, 254)에서 수신한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FET(110, 22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54, 254)에서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가 온 제어신호일 경우, FET 제어부는 현재 오프(Off) 상태인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54, 254)에서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가 오프 제어신호일 경우, FET 제어부는 현재 오프(Off) 상태인 충전 FET(110, 210)를 그 상태로, 즉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1.3. 외부 시스템(300)
외부 시스템은, 제1 및 제2 배터리(100, 200)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시스템은, 장착되는 듀얼 배터리가 방전하는 방전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아래의 구성들이 동작할 수 있다.
가. 시스템 구동부(310)
시스템 구동부는,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 체결 시, 상기 제1 경로(L1) -> 제3 경로(L3) 및 제2 경로(L2) -> 제3 경로(L3)를 통하여 유입되는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으로부터의 방전 전류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어, 하기의 구성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나. 제2 통신부(320)
제2 통신부는,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제1 통신부(130, 230)와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 FET(110, 21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 전압 상태 판단부(330)
전압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부(320)를 통하여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여, 두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1) 전압 값 수신부(332)
전압 값 수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320)를 통하여 제1, 2 배터리(100, 200) 로부터 전달되는 제1, 2 배터리의 전압 값을 수신할 수 있다.
2) 전압 편차 산출부(334)
전압 편차 산출부는, 상기 전압 값 수신부(332)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제1, 2 배터리(100, 200) 간의 전압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3) 비교부(336)
비교부는, 상기 전압 편차 산출부(334)에서 산출한 제1, 2 배터리(100, 200)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이면, 이를 나타내는 충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이면, 이를 나타내는 불충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라. 제2 FET 제어부(340)
제2 FET 제어부는,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330)의 비교부(336)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2 배터리(100, 200)의 충전 FET(110, 210)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336)로부터 충족 신호가 출력된 경우, 즉 제1 배터리(100)와 2 배터리(200) 간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 상태이면, 제1, 2 배터리(100, 200) 간에 정상적인 충/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의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은 자신의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켜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은 전류 흐름 경로가 형성되어 배터리 간 충/방전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부(336)로부터 불충족 신호가 출력된 경우, 즉 제1 배터리(100)와 제2 배터리(200) 간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이면, 두 배터리 간의 전압 차로 인하여 특정 배터리가 다른 하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는, 즉 배터리 간 충/방전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의 충전 FET(110, 210)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프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은 자신의 충전 FET(110, 210)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은 전류 흐름 경로가 유지되어 배터리 간 충/방전 동작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전압 차가 적절한 상태인 경우에 배터리 간 충/방전이 진행되므로, 특정 배터리가 타 배터리 및 외부 시스템으로 동시에 방전하게 되어 빨리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듀얼 배터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 알림부(350)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 2 배터리(100, 200)의 배터리 간 전압 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330)의 비교부(336)로부터 불충족 신호가 출력되면, 배터리 간 전압 차 상태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외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배터리 간 전압 차로 인해 배터리 간에 충/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방법(도 5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1. 체결 단계(S100)
체결 단계는, 제1, 2 배터리(100, 200)로 구성된 듀얼 배터리를 외부 시스템(300)에 체결하는 단계로서, 체결되면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 간에 전류 경로인 메인 충/방전 경로(L)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2 배터리(100, 200)가 외부 시스템(300)에 최초 장착 시 방전 FET(120, 220)는 온(On) 상태이되 충전 FET(110, 210)는 오프(Off) 상태로 외부 시스템(300)에 장착되어, 도 2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1, 2 배터리(100, 200)는 배터리 간 전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외부 시스템(300)으로의 전류 이동만 이루어진다.
즉, 제1, 2 배터리(100, 200)가 외부 시스템(300)에 최초 장착 시, L1 -> L3 및 L2 -> L3로의 방향으로만 전류가 이동하여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은 외부 시스템(300)에만 방전하는 상태인 것이다.
2.2 시스템 구동 단계(S200)
시스템 구동 단계는, 상기 체결 단계(S100)에서 체결된 제1, 2 배터리(100, 200)로부터의 방전 전류에 의해 외부 시스템(300)이 구동하는 단계이다.
외부 시스템(300)은, L1 -> L3 및 L2 -> L3의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제1, 2 배터리(100, 200)로부터의 방전 전류에 의해 웨이크-업 되고, 이를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하여 구동하게 된다.
2.3. 전압 측정 단계(S300)
전압 측정 단계는, 일정 주기 간격으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제1, 2 배터리 각각에 구성되는 전압 측정부(140, 240)에서 수행한다.
2.4. 통신 연결 단계(S400)
통신 연결 단계는,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 간에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제1 통신부(130, 230)와 외부 시스템(300)에 구성된 제2 통신부(320)에 의해 상호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제1, 2 배터리(100, 200)와 외부 시스템(300)이 상호 통신 연결됨으로써 후술하는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2.5. 전압 값 수신 단계(S500)
전압 값 수신 단계는, 외부 시스템(300)에서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으로부터 측정 전압 값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외부 시스템(300)의 전압 값 수신부(332)에서 상기 통신 연결 단계(S400)를 통해 상호 통신 연결된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값을 수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6.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S600)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는, 외부 시스템(300)에서 상기 전압 값 수신 단계(S500)를 통해 수신한 제1, 2 배터리(100, 200)의 전압 값을 바탕으로,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의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아래와 같은 세부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 전압 편차 산출 단계(S610)
먼저, 상기 전압 값 수신 단계(S500)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두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전압 편차 산출부, 334).
나. 전압 편차 비교 단계(S620)
전압 편차 비교 단계는, 상기 전압 편차 산출 단계(S620)에서 산출된 제1, 2 배터리(100, 200) 간의 전압 편차 값이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비교할 수 있다(비교부, 336).
다. 제어신호 출력 단계(S630)
제어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전압 편차 비교 단계(S62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2 배터리(100, 200)의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압 편차 비교 단계(S520)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 간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이면, 제1, 2 배터리(100, 200) 간에 정상적인 충/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의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2 배터리(100, 200) 간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이면, 두 배터리 간의 전압 차로 인하여 특정 배터리가 다른 하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는, 즉 배터리 간 충/방전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의 충전 FET(110, 210)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제2 FET 제어부, 340).
2.7. 충전 FET 제어 단계(S700)
충전 FET 전환 단계는, 제1, 2 배터리 각각에서 상기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S600)의 제어신호 출력단계(S630)를 통해 출력된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로서, 제1, 2 배터리(110, 210)의 FET 제어부(156, 256)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S630)를 통해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온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의 충전 FET(110, 21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켜 도 3에 보이는 것과 같이 두 배터리 간에 정상적인 충/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S630)를 통해 외부 시스템(300)으로부터 오프 제어신호가 출력된 경우,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100, 200) 각각의 충전 FET(110, 210)를 그 상태로 유지시켜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두 배터리 간의 충/방전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제1, 2 배터리
110, 210: 충전 FET
120, 220: 방전 FET
130, 230: 제1 통신부
140, 240: 전압 측정부
150, 250: 제1 제어부
152, 252: 전압 값 송신부
154, 254: 제어신호 수신부
156, 256: FET 제어부
300: 외부 시스템
310: 시스템 구동부
320: 제2 통신부
330: 전압 상태 판단부
332: 전압 값 수신부
334: 전압 편차 산출부
336: 비교부
340: 제2 FET 제어부
350: 알림부
L: 메인 충/방전 경로
L1: 제1 경로
L2: 제2 경로
L3: 제3 경로

Claims (10)

  1.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두 배터리 간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으로의 방전은 각각 수행하되, 배터리 간의 충/방전은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상호 병렬 연결되어 외부 시스템에 체결되는 제1, 2 배터리;
    상기 제1, 2 배터리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차에 따라 제1, 2 배터리 간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시스템; 및
    상기 제1, 2 배터리와 외부 시스템 간 및 제1, 2 배터리 간의 충/방전 전류가 흐르는 메인 충/방전 경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충/방전 경로는,
    상기 제1, 2 배터리에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상호 병렬 연결되는 제1, 2 경로; 및 일단은 상기 병렬 연결된 제1, 2 경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 시스템에 연결되는 제3 경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각각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상기 제1, 2 경로 상에 각각 구비되어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FET;
    상기 제1, 2 경로 상에 각각 구비되는 충전 FET에 직렬 연결되어,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하는 방전 FET;
    상기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연결하는 제1 통신부;
    소정의 주기 간격으로 해당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시스템으로 전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충전 FET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방전 FET는 온(On) 상태이되, 충전 FET는 오프(Off) 상태로 외부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해당 배터리의 전압 값을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전압 값 송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충전 FET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FET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은,
    상기 체결되는 제1, 2 배터리로부터의 방전 전류에 의해 웨이크-업 되어 시스템을 구동하는 시스템 구동부;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제1 통신부와 통신을 연결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여, 두 배터리 간의 전압 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전압 상태 판단부;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FET 제어부;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2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제1, 2 배터리의 전압 값을 수신하는 전압 값 수신부;
    상기 전압 값 수신부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전압 편차 산출부;
    상기 전압 편차 산출부에서 산출한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비교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이면, 이를 나타내는 충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 상태이면, 이를 나타내는 불충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FET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 충족 신호가 출력되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 제어신호를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로부터 불충족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동일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7. 듀얼 배터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간 충/방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으로의 방전은 각각 수행하되, 배터리 간의 충/방전은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2 배터리를 외부 시스템에 장착하는 체결 단계;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에서, 소정의 주기 간격으로 해당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제1, 2 배터리와 외부 시스템 간에 상호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 단계;
    외부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부터 측정 전압 값을 수신하는 전압 값 수신 단계;
    상기 전압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측정 전압 값을 바탕으로, 상기 제1, 2 배터리 간에 충/방전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에서,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키는 충전 FET 제어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FET 상태 전환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전압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제1, 2 배터리 각각의 전압 값을 이용하여,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전압 편차 산출 단계;
    상기 전압 편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 값이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비교하는 전압 편차 비교 단계;
    상기 전압 편차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으로 상기 제1, 2 배터리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전압 편차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 이내이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2 배터리 간의 전압 편차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이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FET 제어 단계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온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현재 오프(Off) 상태인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오프 제어신호가 출력된 경우, 현재 오프(Off) 상태인 상기 제1, 2 배터리 각각의 충전 FET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방법.
KR1020200090886A 2020-07-22 2020-07-22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1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86A KR20220011966A (ko) 2020-07-22 2020-07-22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8/010,367 US20230268762A1 (en) 2020-07-22 2021-07-2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discharging between batteries of dual battery
CN202180033668.4A CN115552760A (zh) 2020-07-22 2021-07-20 用于对双电池的电池之间的充电/放电进行控制的系统和方法
EP21845810.7A EP4135150A4 (en) 2020-07-22 2021-07-2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DISCHARGING BETWEEN BATTERIES OF A DUAL BATTERY
PCT/KR2021/009338 WO2022019612A1 (ko) 2020-07-22 2021-07-20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2567851A JP7504227B2 (ja) 2020-07-22 2021-07-20 デュアルバッテリーにおけるバッテリー間の充放電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TW110126789A TW202205780A (zh) 2020-07-22 2021-07-21 控制構成雙電池的電池之間的充電/放電的系統以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86A KR20220011966A (ko) 2020-07-22 2020-07-22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66A true KR20220011966A (ko) 2022-02-03

Family

ID=7972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86A KR20220011966A (ko) 2020-07-22 2020-07-22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68762A1 (ko)
EP (1) EP4135150A4 (ko)
JP (1) JP7504227B2 (ko)
KR (1) KR20220011966A (ko)
CN (1) CN115552760A (ko)
TW (1) TW202205780A (ko)
WO (1) WO20220196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381A (ko) 2022-06-07 2022-06-27 계양전기 주식회사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1275A3 (en) * 1997-04-08 1999-12-01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 unit, control method therefor, electronic equipment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the same battery pack unit,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battery pack unit is recorded
KR100619904B1 (ko) 2004-09-22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중 배터리 전원회로
TWI307200B (en) 2006-02-16 2009-03-01 Quanta Comp Inc Controllable charging/discharging device
KR20070105219A (ko) * 2006-04-25 2007-10-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 회로
EP2690743B1 (en) * 2011-03-25 2017-10-25 NEC Energy Devices, Ltd. Energy storage system and rechargeable battery control method
JP6030066B2 (ja) 2011-10-27 2016-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電動車両、移動体、電源装置及び電池制御装置
JP6026226B2 (ja) 2012-10-30 2016-11-16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蓄電システム及び電源システム
CN105556782B (zh) 2013-09-19 2018-09-18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蓄电池系统
JP5767302B2 (ja) * 2013-11-19 2015-08-19 蔡富生 バッテリー管理装置のバッテリー管理回路
JP2015192462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Ihi 電池システム
KR102035674B1 (ko) * 2015-11-02 2019-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들의 전압 균일화 장치 및 방법
KR102611659B1 (ko) 2018-04-24 2023-1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과방전 제어 방법
WO2020025024A1 (zh) * 2018-08-01 2020-02-06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骑乘式割草机及其限流保护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381A (ko) 2022-06-07 2022-06-27 계양전기 주식회사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2760A (zh) 2022-12-30
TW202205780A (zh) 2022-02-01
EP4135150A4 (en) 2023-09-27
JP2023525301A (ja) 2023-06-15
US20230268762A1 (en) 2023-08-24
JP7504227B2 (ja) 2024-06-21
WO2022019612A1 (ko) 2022-01-27
EP4135150A1 (en)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223B2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US9627719B2 (en) Charging method of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system
EP16863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harging/discharging capacity of battery packs
US20120004875A1 (en) Method of detecting battery internal resistance
EP2523248B1 (en) Battery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0748311B1 (ko) 배터리 팩 및 전력 입력 장치
US20110304299A1 (en) System of charging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CN101657782B (zh) 多电池充电系统和方法
CN104145400A (zh) 电池控制系统、电池组、电子设备和充电器
JPH11150884A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その充電装置
KR20190048525A (ko) 배터리 팩
US9281698B2 (en) Battery pack
JP4886530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
JP2011176939A (ja) 保護回路及び電子機器
KR20200129046A (ko) 배터리 컨트롤러, 무선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밸런싱 방법
KR20220011966A (ko)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010B1 (ko) 배터리의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0702752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cell in portable device
JP2008275524A (ja) 電池パックおよび残容量算出方法
JP2002078222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回路とパック電池
KR101084217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제어 방법
KR20210114757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034373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080028170A (ko)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KR200436280Y1 (ko) 불루투스 기기 및 휴대폰 충전지의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