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381A -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381A
KR20220088381A KR1020220068922A KR20220068922A KR20220088381A KR 20220088381 A KR20220088381 A KR 20220088381A KR 1020220068922 A KR1020220068922 A KR 1020220068922A KR 20220068922 A KR20220068922 A KR 20220068922A KR 20220088381 A KR20220088381 A KR 20220088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maining
unit
power tool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동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381A/ko
Publication of KR20220088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공구의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 중에서 작업자가 선택한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로 구성되어 전동공구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듀얼 배터리부와, 상기 듀얼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상태검출부와, 상기 배터리 상태검출부에서 검출된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배터리 잔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중 하나의 배터리가 선택되도록 하는 표시선택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산되고 선택된 배터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잔량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power tool with battery lever indicat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동공구의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동공구은 내장된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나사의 풀림이나 조임 등 각종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이다. 전동모터는 산업현장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된 공구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유선 또는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내장된 모터를 구동하여 드라이버 및 드릴 등의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 툴을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구이다.
전동공구는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팩이 결합된 전동공구가 선호된다. 배터리팩은 다수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것으로 전동공구에 착탈가능하며, 전동공구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소모될수록 전압이 낮아져서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해진다.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하면 모터가 제공하는 토크는 작아지거나 모터의 작동이 정지되고, 결국 전동공구를 이용한 작업이 중단된다.
또한, 배터리팩에 장착된 배터리는 작업 진행 중에 동일한 전압이 유지되지 않고 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압이 달라지는 경우, 전압이 높은 배터리는 전압이 낮은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고, 전압이 낮은 배터리는 충전된다. 이러한 경우 전압이 높은 배터리는 과방전되거나 열화되면서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고, 모터에 공급되어야 할 전기에너지가 모터에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충전을 미리 해두거나 배터리팩의 교체시기를 예상하고 다른 배터리팩을 구비하여 작업이 중단됨이 없이 진행되도록 하는 전동공구가 필요하다. 또한, 배터리팩 전체가 아닌 배터리 각각의 전압을 확인하여 배터리의 수명단축을 방지하고 모터에 전기에너지가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공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11966호(2022. 02.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9997호(2012.08.10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작업자가 선택한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를 제공한다.
제1 배터리와 제2 배터리로 구성되어 전동공구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듀얼 배터리부와, 상기 듀얼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는 배터리 상태검출부와, 상기 배터리 상태검출부에서 검출된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배터리 잔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중 하나의 배터리가 선택되도록 하는 표시선택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산되고 선택된 배터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잔량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선택부는 버튼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가 교번하여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일체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일체형 버튼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선택부는 버튼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가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제1 버튼과, 상기 제2 배터리가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제1 버튼에 의해 선택된 제1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버튼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량표시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선택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검출부는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검출부는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에서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검출부는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의 발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발열온도를 연산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잔량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간의 전압차이가 미리 설정된 전압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압경고를 표시하는 전압경고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는,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선택된 하나의 배터리에 관한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에서 다른 배터리로 신속하게 전환되며 선택되며, 선택된 배터리의 잔량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선택하는 버튼과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는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2은 도 1의 상태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3는 도 1의 잔량 표시부와 표시선택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2은 도 1의 상태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3는 도 1의 잔량 표시부와 표시선택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는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로 구성되어 전동공구(1)의 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듀얼 배터리부(200)와, 듀얼 배터리부(200)에 연결되어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300)와, 상태검출부(300)에서 검출된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배터리 잔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 중 하나의 배터리가 선택되도록 하는 표시선택부(500) 및 제어부(400)에 연산되고 선택된 배터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잔량표시부(600)를 포함한다.
모터(100)는 전동공구(1)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며 전동공구(1)에 결합된 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정자(도면 미도시)와 회전자(도면 미도시), 회전축(도면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모터(100)는 전동공구(1)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듀얼 배터리부(200)는 전동공구(1)의 모터(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동공구(1)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듀얼 배터리부(200)는 제 1 배터리와 제2 배터리(220)로 구성되며, 작업용도에 따른 전동공구(1)의 모터(100)의 사양에 따라 제3 배터리(도면 미도시), 제4 배터리(도면 미도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는 작업 중에 모터(1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수록 전압은 자연스레 낮아지게 된다.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거의 동일한 전압을 유지하나, 모터(1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에 따라 서로 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 간 전압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모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분산되므로, 작업자는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전압을 작업 중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전압 상태에 따라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하량이 달라지고, 현재 배터리의 전하량은 배터리의 잔량에 해당된다. 따라서,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잔량은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전압을 확인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은 전압이나 전류로 측정될 수 있고 배터리의 온도를 반영하여 추정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를 추정하는 방식은 개방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 방식과 전류 적산법(CIM: Current Intergral Mehtod)이 주로 사용되며, 배터리의 종류와 특성, 정확도에 따라 개방회로 전압방식이나 전류 적산법이 선택으로 배터리 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잔량은 후술할 상태검출부(300)에 의해 전압, 전류, 온도가 측정되어 제어부(400)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듀얼 배터리부(200)에 연결되는 상태검출부(300)는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를 검출하는 것으로, 그 요소는 전압이나 전류, 온도 등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태검출부(300)는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압센서(310)와,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에서 모터(1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전류센서(320)와,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발열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압이나 전류 중 어느 하나가 필수적으로 측정되어야 하므로, 온도센서(330)는 전압센서(310)나 전류센서(320)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전압센서(310), 전류센서(320), 온도센서(330)는 듀얼 배터리부(200)에 설치되어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전동공구(1)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태검출부(300)에 연결되는 제어부(400)는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연산한다. 제어부(400)는 상태검출부(300)에서 측정된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상태, 즉 전압이나 전류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개방회로 전압방식 또는 전류 적산법으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발열온도를 연산하여 배터리 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연산된 배터리 잔량을 후술할 잔량표시부(6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의 잔량 모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 중 어느 하나를 표시선택부(500)에 표시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잔량표시부(600)뿐만 아니라 모터(100) 등 전동공구(1)의 여러 구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동공구(1)의 본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상태검출부(300), 표시선택부(500), 잔량표시부(600)만을 제어하는 독립적인 제어부(이하 '잔량표시 제어부'이라 함)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100) 등 나머지 구성을 제어하는 주요 제어부는 전동공구(1) 본체에 설치될 수 있고, 잔량표시 제어부는 전동공구(1) 본체가 아닌 듀얼 배터리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잔량표시 제어부가 듀얼 배터리부(200)에 설치되는 경우, 후술할 디스플레이(610)로 구현되는 잔량표시부(600)는 잔량표시 제어부와 함께 듀얼 배터리부(200)에 설치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어부(400)에 연결되는 표시선택부(500)는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를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 제1 배터리(210)에서 제2 배터리(220) 또는 제2 배터리(220)에서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되도록 한다. 표시선택부(500)는 스위치 방식, 다이얼 방식, 버튼 방식, 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조비용을 고려할 때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가 교번하여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일체형 버튼(5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된 상태에서 일체형 버튼(510)을 누르면 제2 배터리(220)가 선택되거나, 현재 제2 배터리(220)가 선택된 상태에서 일체형 버튼(510)을 누르면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될 수 있다. 일체형 버튼(510)은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가 신속하게 전환되면서 선택되도록 하며 구성이 단순하므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잔량표시부(60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고 있는 배터리가 제1 배터리(210)인지 제2 배터리(220)인지 표시하는 선택아이콘(613)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제1 버튼(521)과 제2 배터리(220)가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제2 버튼(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2 버튼(522)을 누르면 제2 배터리(220)가 선택되거나, 현재 제2 배터리(220)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1 버튼(521)을 누리면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될 수 있다. 두개의 버튼으로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 간 선택적으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를 직관적으로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동공구(1)가 사용되는 작업환경은 먼지, 수분 등 이물질의 밀도가 높으므로, 표시선택부(500)가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선택부(500)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씰링처리될 수 있다.
제어부(400)에 연결된 잔량표시부(600)는 제1 배터리(210) 또는 제2 배터리(220)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610)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잔량표시부(6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610)로 구성되고 표시선택부(5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량표시부(600)가 표시선택부(5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가 표시선택부(500)를 누른 후 곧바로 잔량표시부(600)에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은 일반적인 배터리 형상의 사각형 내부가 채워지는 충전아이콘(612)에 의해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시선택부(500)가 일체형 버튼(510)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잔량표시부(60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가 제1 배터리(210)인지 제2 배터리(220)인지 표시하는 선택아이콘(61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선택부(500)가 두개의 버튼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잔량표시부(600)는 사용편의성을 위해서 현재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가 제1 배터리(210)인지 제2 배터리(220)인지 표시하는 선택아이콘(6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잔량표시부(600)는 제1배터리와 제2 배터리(220) 간의 전압차이가 미리 설정된 전압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압경고를 표시하는 전압경고등(6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 간의 전압이 큰 경우, 작업자에게 전압경고등(614)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를 재충전하거나 교체하는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전압경고는 잔량표시부(600)의 전압경고등(614)에 의해 시각적으로 경고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비프음을 내는 간단한 비퍼 등에 의해 청각적으로 경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잔량표시 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는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선택된 하나의 배터리에 관한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배터리에서 다른 배터리로 신속하게 전환되며 선택되며, 선택된 배터리의 잔량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선택하는 버튼과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동공구
100: 모터
200: 듀얼 배터리부
210: 제1 배터리
220: 제2 배터리
300: 상태검출부
310: 전압센서
320: 전류센서
330: 온도센서
400: 제어부
500: 표시선택부
510: 일체형 버튼
521: 제1 버튼
522: 제2 버튼
600: 잔량표시부
610: 디스플레이
612: 충전아이콘
613: 선택아이콘
614: 전압경고등

Claims (8)

  1. 제1 배터리(210)와 제2 배터리(220)로 구성되어 전동공구(1)의 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듀얼 배터리부(200);
    상기 듀얼 배터리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300);
    상기 상태검출부(300)에서 검출된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배터리 잔량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 중 하나의 배터리가 선택되도록 하는 표시선택부(500); 및
    상기 제어부(400)에 연산되고 선택된 배터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잔량표시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선택부(500)는 버튼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가 교번하여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일체형 버튼(510)을 포함하고,
    상기 잔량표시부(600)는 상기 일체형 버튼(510)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배터리(210) 또는 상기 제2 배터리(220)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아이콘(6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선택부(500)는 버튼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터리(210)가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제1 버튼(521)과, 상기 제2 배터리(220)가 선택되도록 작동하는 제2 버튼(522)을 포함하고,
    상기 잔량표시부(600)는 상기 제1 버튼(521)에 의해 선택된 제1 배터리(210) 또는 상기 제2 버튼(522)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배터리(220)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아이콘(6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서,
    상기 잔량표시부(6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610)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선택부(5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태검출부(300)는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는 전압센서(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태검출부(300)는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에서 상기 모터(1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전류센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태검출부(300)는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의 발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온도센서(330)에 의해 측정된 발열온도를 연산하여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의 잔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잔량표시부(600)는 상기 제1 배터리(210)와 상기 제2 배터리(220) 간의 전압차이가 미리 설정된 전압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압경고를 표시하는 전압경고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1).



KR1020220068922A 2022-06-07 2022-06-07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KR20220088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22A KR20220088381A (ko) 2022-06-07 2022-06-07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22A KR20220088381A (ko) 2022-06-07 2022-06-07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381A true KR20220088381A (ko) 2022-06-27

Family

ID=8224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22A KR20220088381A (ko) 2022-06-07 2022-06-07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838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997A (ko) 2010-12-28 2012-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동 공구용 배터리
KR20220011966A (ko)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997A (ko) 2010-12-28 2012-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동 공구용 배터리
KR20220011966A (ko)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듀얼 배터리의 배터리 간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8057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EP2375486B1 (en) A method for determining contamination of an interface between a battery pack coupled to a battery charger
US8531161B2 (en) Energy consumption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 still remaining usability
JP5354363B2 (ja) 電動工具
US20040066172A1 (en) DC power source unit with battery charging function
US20120286732A1 (en) Shared control of thermistor and dual purpose thermistor line
JP4276871B2 (ja) ハンドツールマシンの温度監視装置、電動ハンドツールマシン、給電装置、および、ハンドツールマシンの温度監視装置の駆動方法
WO2012120750A1 (ja) 複数の二次電池セルを電源とする電動工具
JP5338552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動工具
JP6796722B2 (ja) 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パック
EP2447204A1 (en) Industrial vehicle
EP3069825B1 (en) Power tool
EP2565661A1 (en) Motor device and power tool
US20090027005A1 (en) Charging device
EP2709235B1 (en) Battery state indication device and electric construction tool
US20100186975A1 (en) Electric tool having cold start function
CN102596467B (zh) 切管机
JP2014233784A (ja) 電動機械器具、及びアタッチメント
WO2014014128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220088381A (ko)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는 전동공구
KR101234234B1 (ko) 모터 사용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GB2384569A (en) Device for displaying battery status when an appliance is switched off
GB2385675A (en) Determining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connected to a load
EP3354392A1 (en) Battery jump and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a welder
CN110998345A (zh) 确定蓄电池的电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