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49A - 리모트 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리모트 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49A
KR20220011949A KR1020200090845A KR20200090845A KR20220011949A KR 20220011949 A KR20220011949 A KR 20220011949A KR 1020200090845 A KR1020200090845 A KR 1020200090845A KR 20200090845 A KR20200090845 A KR 20200090845A KR 20220011949 A KR20220011949 A KR 2022001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ug
plate
terminal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069B1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9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0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슬레이브 모듈들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1 걸쇠와 제2 걸쇠의 마주보는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부들이 각각 형성되며, 경사돌부들이 가이드블록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1 걸쇠와 제2 걸쇠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이 증가하게 되며,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걸쇠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걸림쇠들이 터미널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면이 스프링과 연결되어 플러그가 터미널 블록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회전걸림쇠가 삽입된 플러그의 단부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플러그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 상단부가 터미널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가 회전걸림쇠들의 상부면과 각각 접촉되는 핀들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핀들의 상단부를 하부로 가압하였을 때, 핀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걸림쇠가 핀에 의해 가압되며,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어 플러그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됨으로써 플러그를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모트 입출력장치{Remote input/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출력 사양의 조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들이 내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들에 의해 레일과 결합되어 모듈들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터미널 블록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의 단부를 가압하는 회전걸림쇠들이 설치됨으로써 터미널 블록에 삽입된 플러그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자동화 시스템의 비율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때 공장 자동화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PLC 시스템이다.
PLC 시스템은 산업 플랜트의 자동 제어 및 감시에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이며, 기존의 릴레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제어 기능 신뢰성이 뛰어나고 제어 내용을 손쉽게 수정하고 변경할 수 있으며, 릴레이에 비해 복잡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PLC 시스템은 입출력 모듈, 통신 모듈 등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들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그 중에서 입출력 모듈은 PLC 시스템에서 기본이 되는 모듈이다.
입출력 모듈은 외부 기기와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되어 있고, 동작 자체가 주기적인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2081693호(발명의 명칭 : 전자 디바이스)(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측면 예시도이다.
종래기술이 적용된 모듈러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10)과, 바디(120), 베이스(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터미널(110)은 바디(1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바디(120)는 베이스(130)의 상부에 장착된다.
터미널(110)은 내부에 단자대(111)가 설치되며, 단자대(111)에 의해 외부의 플러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디(120) 내부에 설치되는 PCB(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바디(120)는 내부에 PCB가 장착되며, PCB가 단자대(111) 및 접속단자(132)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30)는 케이스(131)와 접속단자(132)들, 결합부(133)로 이루어진다.
접속단자(132)들은 케이스(131)의 외부로 돌출되며, 인접한 모듈러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접속단자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모듈러 디바이스(100)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133)는 케이스(131)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레치(1331)와 제2 레치(1332), 링크암(1333)으로 이루어진다.
제1 레치(1331)와 제2 레치(1332)는 일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링크암(1333)은 제1 레치(1331)와 제2 레치(1332) 사이에 설치되며, 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레치(1331)와 제2 레치(1332)는 단부가 링크암(1333)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레치(1331), (1332)들은 링크암(1333)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서로 이격 또는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듈러 디바이스(100)들은 레치(1331), (1332)들 및 링크암(1333)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33)에 의해 레일(미도시)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디바이스(100)들은 접속단자(132)들에 의해 인접한 모듈러 디바이스들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디바이스(100)들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하는 모듈러 디바이스만을 레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듈러 디바이스(100)는 레치(1331), (1332)들의 힌지축이 결합되는 링크암(1333)의 힌지홀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은 증가하게 되지만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힌지축이 힌지홀로부터 분리되어 레치(1331), (1332)들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모듈러 디바이스(100)는 단자대(111)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가압수단이 없기 때문에 외부 진동 또는 충격 등이 발생하였을 때 플러그가 단자대(111)로부터 분리되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직접 플러그를 단자대(111)에 연결할 때 까지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슬레이브 모듈들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1 걸쇠와 제2 걸쇠의 마주보는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부들이 각각 형성되며, 경사돌부들이 가이드블록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1 걸쇠와 제2 걸쇠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이 증가하게 되며,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걸쇠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회전걸림쇠들이 터미널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면이 스프링과 연결되어 플러그가 터미널 블록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회전걸림쇠가 삽입된 플러그의 단부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플러그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터미널에 상단부가 터미널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가 회전걸림쇠들의 상부면과 각각 접촉되는 핀들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핀의 상단부를 하부로 가압하였을 때, 핀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걸림쇠가 핀에 의해 가압되어 스프링이 압축됨으로써 플러그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필드기기들과 연결되어 연결된 필드기기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슬레이브 모듈들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전후면에는 일측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전후면에는 타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가이드돌부들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타측면에는 암형 연결부들이 돌출되고,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일측면에는 수형 연결부들이 돌출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은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 또는 상기 마스터 모듈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들에 상기 가이드돌부들이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은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 또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수형 연결부들이 상기 암형 연결부들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면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판들의 상부에 한 쌍의 수직판들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기판이 내장되는 바디; 플러그가 접속되는 커넥터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되, 걸쇠들의 걸림돌부가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레일의 양단부와 걸림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수평판들 중 하나와 접촉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걸쇠 몸체와, 상기 제1 걸쇠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되되 상기 수평판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쇠 몸체의 전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경사돌부를 포함하는 제1 걸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수평판들 중 하나와 접촉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걸쇠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 걸쇠 몸체와, 상기 제2 걸쇠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되되 상기 수평판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걸쇠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경사돌부를 포함하는 제2 걸쇠;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상기 제1 경사돌부 및 상기 제2 경사돌부와 동일한 폭 및 경사를 지닌 경사홈들이 하면부터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쇠와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기 제2 경사돌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대응되는 경사홈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기 제2 경사돌부가 상기 가이드블록의 대응되는 경사홈들 내부에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터미널은 하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핀 삽입공들 및 플러그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터미널 케이스;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프링들과, 상기 플러그 삽입공들로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는 커넥터핀들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회전걸림쇠 설치봉들을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회전걸림쇠 설치봉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부면이 상기 스프링들과 결합되는 회전걸림쇠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걸림쇠는 상기 플러그 삽입공으로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회전되되, 상기 플러그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회전되어 상기 플러그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핀 삽입공들 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가 대응되는 회전걸림쇠의 상면과 접촉되는 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들은 작업자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었을 때, 하단부가 대응되는 회전걸림쇠의 상면을 하부로 가압하여 대응되는 회전걸림쇠를 하향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의 상부면 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LED부가 설치되고, 상기 LED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LED들이 설치되는 LED부 몸체;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LED부 몸체에 결합되는 LED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LED부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는 제1 커버 가이드홈들과, 상기 제1 커버 가이드홈들의 하단부로부터 전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LED부 커버의 내측면의 전방 하단부에는 커버 후크들이 수직 연결되고, 상기 LED부 커버는 상기 커버 후크들이 상기 제1 커버 가이드홈들 및 상기 제2 커버 가이드홈들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커버 후크들의 단부가 상기 LED부 몸체의 전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LED부 몸체의 전면에 걸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슬레이브 모듈들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걸쇠와 제2 걸쇠의 마주보는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부들이 각각 형성되며, 경사돌부들이 가이드블록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1 걸쇠와 제2 걸쇠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이 증가하게 되며,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걸쇠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걸림쇠들이 터미널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면이 스프링과 연결되어 플러그가 터미널 블록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회전걸림쇠가 삽입된 플러그의 단부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플러그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에 상단부가 터미널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가 회전걸림쇠들의 상부면과 각각 접촉되는 핀들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핀들의 상단부를 하부로 가압하였을 때, 핀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걸림쇠가 핀에 의해 가압되며,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어 플러그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됨으로써 플러그를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모트 입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레이브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커넥터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접속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베이스들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a와 도 12b는 고정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LED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LED부 커버가 바디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3의 터미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터미널 블록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4의 터미널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3의 플러그 보호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2의 마스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하부 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중간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엔드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모트 입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리모트 입출력장치(10)는 복수개의 입출력모듈들을 포함하여 입출력모듈들을 통해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필드기기들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때 필드기기는 각종 센서, 공압 밸브, 바코드 판독기, 액추에이터, 인버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트 입출력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기기와 테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1)들과, 슬레이브 모듈(1)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마스터 모듈(6)과,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1)들 중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슬레이브 모듈(1)과 결합되는 엔드 모듈(9)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슬레이브 모듈의 사시도이다.
슬레이브 모듈(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7)에 의해 후술되는 레일(R)과 고정되는 베이스(2)와, 내부에 메인 기판(33)이 내장되며 베이스(2)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디(3), 바디(3)의 상부에 설치되며 커넥터들이 연결되는 터미널(4)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측면도이다.
베이스(2)는 제1 케이스(21)와, 제1 커버(22), 통신용 기판(23)들, 제1 커넥터핀(24), 접속핀(25)들, 고정부(27)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21)는 전면 플레이트(211)와, 일단부가 전면 플레이트(211)와 연결되는 측면 플레이트(212), 측면 플레이트(212)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후면 플레이트(213), 측면 플레이트(21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수평판(214), (215), (216), (217), (218), (219)들로 이루어진다.
전면 플레이트(211)와 후면 플레이트(213)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1 후크 삽입공(2111), (2131)들 및 제2 후크 삽입공(2112), (2132)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후크 삽입공(2111), (2131)들은 높이방향의 중앙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1 커버(22)의 제1 후크(221)들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1 케이스(21)는 제1 커버(22)와 결합된다.
제2 후크 삽입공(2112), (2132)들은 상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바디(3)에 형성된 제2 후크(3111)들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베이스(2)와 바디(3)가 결합된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211)와 후면 플레이트(213)의 양측 단부에는 가이드돌부(2113), (2133)들과 가이드홈(2114), (2134)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홈(2114), (2134)들로부터 가이드돌부(2113), (2133)들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이라고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가이드돌부(2113), (2133)들은 전면 플레이트(211) 및 후면 플레이트(213)의 좌측 단부에 돌출되되, 전면 플레이트(211)와 후면 플레이트(21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가이드홈(2114), (2134)들은 전면 플레이트(211)와 후면 플레이트(213)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며, 가이드돌부(2113), (2133)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면 플레이트(21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단부가 각각 전면 플레이트(211)와 후면 플레이트(213)의 우측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212)의 좌측면에는 제1 접속핀(25)들이 삽입되는 제1 접속판 삽입부(2121)와 기판 설치부(2122), 수직판(2123a), (2123b)들이 설치된다.
제1 접속판 삽입부(2121)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 접속판(252)들이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접속판 삽입부(2121)의 하부에는 제1 접속핀(25)의 암형 연결부(2512)가 삽입되는 암형 연결부 삽입공(21211)들이 형성된다.
기판 설치부(2122)는 측면 플레이트(212)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안착돌부(21221)들과, 안착돌부(21221)들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돌부(21222)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착돌부(21221)들과 보조돌부(21222)들은 제1 접속판 삽입부(2121)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안착돌부(21221)들은 측면 플레이트(212)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보조돌부(21222)들은 측면 플레이트(212)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안착돌부(21221)들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기판 설치부(2122)는 안착돌부(21221)들의 상면에 통신용 기판(23)들이 안착되며, 보조돌부(21222)들에 의해 통신용 기판(23)들의 상향 이동을 제한한다.
수직판(2123a), (2123b)들은 측면 플레이트(212)에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후술되는 고정부(27)의 가이드 블록(273)이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212)의 하단부에는 제1, 제2, 제3 수평판(214), (215), (216)이 좌측으로 돌출된다.
제1 수평판(214)은 전단부가 전면 플레이트(211)의 하단부와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 수평판(214)의 전단부와 전면 플레이트(211)의 하단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수평판(214)의 전단부와 전면 플레이트(21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후술되는 고정부(27)의 파지부(2723)가 삽입된다.
제3 수평판(216)은 후단부가 후면 플레이트(213)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제2 수평판(215)은 제1 수평판(214)과 제3 수평판(216)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수평판(214)과 제3 수평판(216)보다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수평판(214), (215), (216)들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수평판(214)과 제3 수평판(216)들에는 후술되는 제1 커버(2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 후크(221)들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후크 삽입공(2141), (2161)들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수평판(215)의 하면에는 후술되는 제1 커넥터핀(24)의 레일 접속부(242)가 삽입되는 접속부 삽입홈(2151)이 형성된다.
제4 수평판(217)은 측면 플레이트(212)의 상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4 수평판(217)은 하면이 수직판(21231a), (21231b)들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4 수평판(217)에는 제1 후크 삽입공(2171)이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제1 커버(22)의 제1 후크(221)가 제1 후크 삽입공(2171)으로 삽입된다.
제5 수평판(218)은 제1 수평판(214)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단부에 멈춤돌부(2181)가 하향 돌출된다.
멈춤돌부(2181)는 후술되는 제2 걸쇠(272)의 이동제한돌부(27213)와 접촉됨으로써 제2 걸쇠(272)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제5 수평판(218)의 상면에는 제1 커넥터핀(24)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수평판(214)과 제5 수평판(218) 사이에는 후술되는 제2 걸쇠(272)의 제2 걸쇠 몸체(2721)가 설치된다.
제6 수평판(219)은 제2 수평판(215)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수평판(214), (215), (216), (217), (218), (219)들은 조립 시, 좌측 단부가 제1 커버(22)의 우측면과 접촉된다.
도 7은 도 4의 제1 커버의 사시도이다.
제1 커버(2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면으로부터 제1 후크(221)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후크(221)들은 제1 커버(22)가 제1 케이스(21)와 결합되었을 때, 대응되는 위치의 제1 후크 삽입공(2111), (2131), (2141), (2161), (2171)들에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제1 케이스(21)와 제1 커버(22)가 고정된다.
또한 제1 커버(22)의 우측면에는 제1 케이스(21)의 제1 접속판 삽입부(2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접속판 삽입부(222)가 형성되어 제2 접속판(253)이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2 접속판 삽입부(222)의 하부에는 접속핀(25)의 수형 연결부(2513)가 삽입되는 수형 연결부 삽입공(2221)들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접속판 삽입부(222)는 조립 시, 제1 접속판 삽입부(2121)와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메인 기판(33)의 하단부가 제1 접속판 삽입부(2121) 및 제2 접속판 삽입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접속핀(25)들이 메인 기판(33)의 하단부와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통신용 기판(23)들은 기판설치부(2122)에 의해 제1 케이스(21)에 설치되되, 수직판(2123a), (2123b)들을 경계로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통신용 기판(23)들은 상부에 접속핀(25)들이 설치됨으로써 제1, 제2 접속핀(25)들에 의해 메인 기판(33)과 접속된다.
도 8은 도 4의 커넥터핀의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핀(24)은 커넥터핀 몸체(241)와, 레일 접속부(242)로 이루어진다.
커넥터핀 몸체(241)는 평판 형상의 바닥판(2411)과, 바닥판(2411)의 양단부와 수직 연결되는 수직 연결판(2412a), (2412b)들과, 수직 연결판(2412a), (2412b)들의 상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판(2413a), (2413b)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경사판(2413a), (2413b)들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굴곡면(24131a), (24131b)들이 각각 형성된다.
레일 접속부(242)는 수직 연결판(2412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설치 시, 단부(2421)가 제2 수평판(215)의 하면에 형성된 접속부 삽입홈(2151)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커넥터핀(24)은 바닥판(2411)이 제5 수평판(218)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굴곡면(24131a), (24131b)들에 의해 메인 기판(33)과 접속된다.
또한 제1 커넥터핀(24)은 베이스(2)가 레일(R)에 설치되었을 때, 레일 접속부(242)의 단부(2421)가 레일(R)과 접촉되어 메인 기판(33)과 레일(R)을 접속시킨다.
도 9는 도 4의 접속핀의 사시도이다.
접속핀(25)은 통신용 기판(23)에 설치되는 접속핀 몸체(251)와, 접속핀 몸체(251)의 우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접속판(252)과, 접속핀 몸체(251)의 좌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2 접속판(253)으로 이루어진다.
접속핀 몸체(25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단부에 하향 절곡되는 하향절곡부(2511a), (2511b)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하향절곡부(2511a), (2511b)들은 조립 시, 단부가 통신용 기판(23)에 결합됨으로써 제1 접속핀(25)이 통신용 기판(23)에 설치된다.
또한 하향절곡부(2511a), (2511b)들의 양측면에는 암형 연결부(2512)와 수형 연결부(2513)가 각각 돌출된다.
암형 연결부(2512)는 하향절곡부(2511a), (2511b)들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판재(25121)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암형 연결부(2512)는 판재(25121)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되, 단부가 서로 평행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암형 연결부(2512)는 판재(25121)들 사이의 거리가 수형 연결부(2513)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형 연결부(2513)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하향절곡부(2511a)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되, 단부가 하향절곡부(2511a), (2511b)들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형 연결부(2513)는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10)들을 연결할 때,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의 암형 연결부(2512)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제1 접속판(252)은 접속핀 몸체(251)의 우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좌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제1 접속판(252)은 단부가 우측으로 절곡되어 굴곡면(2521)이 형성된다.
제2 접속판(253)은 접속핀 몸체(251)의 좌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우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제2 접속판(253)은 단부가 좌측으로 절곡되어 굴곡면(25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접속핀(25)은 하향절곡부(2511a), (2511b)들이 통신용 기판(23)과 결합되며, 조립 시, 제1 접속판(252)과 제2 접속판(253)이 각각 제1 접속판 삽입부(2121) 및 제2 접속판 삽입부(222) 내부로 삽입되며, 수형 연결부(2513)가 제1 커버(22)의 수형 연결부 삽입공(2221)에 삽입되어 제1 커버(22)의 좌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접속핀(25)은 조립 시, 암형 연결부(2512)가 제1 케이스(21)의 암형 연결부 삽입공(21211)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21)의 우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접속핀(25)은 제1 접속판(252)과 제2 접속판(253)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조립 시, 제1 접속판(252)과 제2 접속판(253)이 메인 기판(33)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도 10은 베이스들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베이스(2)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베이스(2)들이 결합될 때, 가이드돌부(2113), (2133)들이 인접한 베이스의 가이드홈(2114), (2134)들에 삽입됨으로써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2)들은 가이드돌부(2113), (2133)들이 인접한 베이스의 가이드홈(2114), (2134)들에 삽입되었을 때, 수형 연결부(2513)가 인접한 베이스의 암형 연결부(2512)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1은 도 4의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a와 도 12b는 고정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고정부(2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쇠(271)와 제2 걸쇠(272), 가이드 블록(273)으로 이루어진다.
제1 걸쇠(271)는 막대 형상의 제1 걸쇠 몸체(2711)와, 제1 걸쇠 몸체(2711)의 후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제1 걸림부(2712), 제1 걸쇠 몸체(2711)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1 경사돌부(2713)로 이루어진다.
제1 걸림부(2712)는 제1 걸쇠 몸체(2711)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하단부에 전방으로 걸림돌부(27121)가 돌출되며, 후술되는 레일(R)에 걸림 설치된다.
제1 경사돌부(2713)는 제1 걸쇠 몸체(2711)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러한 제1 걸쇠(271)는 제1 걸쇠 몸체(2711)가 제2 수평판(215)과 제6 수평판(219) 사이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걸림부(2712)가 제2 수평판(215)과 제3 수평판(216)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2 걸쇠(272)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공(27211)이 형성되는 제2 걸쇠 몸체(2721)와, 제2 걸림부(2722), 파지부(2723), 제2 경사돌부(2724)로 이루어진다.
제2 걸림부(2722)는 제2 걸쇠 몸체(2721)의 후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하단부에 후방으로 걸림돌부(27221)가 돌출되며, 후술되는 레일(R)에 걸림 설치된다.
파지부(2723)는 제2 걸쇠 몸체(2721)의 전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하단부에 전방으로 파지돌부(27231)가 돌출된다.
이러한 파지부(2723)는 조립 시, 전면 플레이트(211)와 제1 수평판(214) 사이에 위치하되, 파지돌부(27231)가 전면 플레이트(2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외부에서 조작하여 제2 걸쇠(27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경사돌부(2724)는 제2 걸쇠 몸체(2721)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되,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또한 제2 걸쇠 몸체(2721)의 관통공(27211)에는 이동제한부(27212)가 설치된다.
이동제한부(27212)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부가 제2 걸쇠 몸체(2721)와 연결된다.
또한 이동제한부(27212)의 상면에는 후단부에 이동제한돌부(27213)가 상향 돌출된다.
이동제한돌부(27213)는 전후면에 경사면(27214)들이 형성되는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제한부(27212)는 가압되었을 때,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조립 시, 제5 수평판(218)에 형성된 멈춤돌부(2181)에 경사면(27214)들 중 일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걸쇠(272)는 제2 걸쇠 몸체(272)가 제2 수평판(215)과 제6 수평판(219)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이동제한부(27212)가 멈춤돌부(2181)와 접촉되어 전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블록(273)은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제2 경사홈(2731), (2732)이 형성된다.
제1 경사홈(2731)과 제2 경사홈(2732)은 각각 제1 경사돌부(2713)와 제2 경사돌부(27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제1 경사홈(2731)에는 제1 경사돌부(2713)가 삽입되고, 제2 경사홈(2732)에는 제2 경사돌부(2724)가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 블록(273)은 조립 시, 수직판(2123a), (2123b)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27)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시에는 제2 걸쇠(272)의 이동제한돌부(27213)가 멈춤돌부(218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 걸쇠(272)는 이동제한돌부(27213)가 멈춤돌부(2181)와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방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걸쇠(272)는 작업자가 파지부(2723)를 파지한 상태로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동제한돌부(27213)의 경사면(27214)이 멈춤돌부(2181)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어 이동제한부(27212)가 하향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2 걸쇠(272)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 블록(273)은 제2 경사돌부(2724)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된다. 또한 가이드 블록(273)이 하향 이동될 때, 제1 걸쇠(271)의 제1 경사돌부(2713)는 가이드 볼록(273)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제1 걸쇠(271)와 제2 걸쇠(273)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걸림돌부(27121), (27221)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게 되고, 제2 걸쇠(273)는 이동제한부(27212)가 멈춤돌부(2181)와 접촉되어 의해 전방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27)는 이동제한부(27212)에 의해 제2 걸쇠(272)의 이동이 제한되며, 작업자가 파지부(2723)를 통해 가압할 때에만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레일(R)이 걸림돌부(27121), (27221)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걸쇠(27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걸림돌부(27121), (27221)들이 레일(R)과 결합되어 베이스(2)가 레일(R)에 걸림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2)는 고정부(27)에 의해 레일(R)에 걸림 설치되었을 때, 제1 커넥터핀(24)이 레일(R)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베이스(2)는 전면 플레이트(211) 및 후면 플레이트(213)에 형성된 가이드돌부(2113), (2133)들과 가이드홈(2114), (2134)들에 의해 인접한 베이스들끼리 결합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접속핀(25)들에 형성된 수형 연결부(2513) 및 암형 연결부(2512)에 의해 인접한 베이스들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을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2)는 작업자가 고정부(27)의 파지부(2723)를 가압하였을 때, 제1 걸쇠(271)와 제2 걸쇠(272)가 레일(R)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돌부(27121), 걸림돌부(27221)들이 레일(R)에 걸림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베이스(2)를 레일(R)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도 13은 도 3의 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바디(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31), 제2 커버(32), 메인 기판(33)으로 이루어진다.
제2 케이스(31)는 우측면 및 하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케이스(31)의 전후면에는 제2 후크 설치공(311a), (311b)들이 각각 형성되고, 제2 후크 설치공(311a), (311b)의 내부에는 제2 후크(3111)들이 각각 설치된다.
제2 후크(3111)들은 상단부가 제2 후크 설치공(311a), (311b)의 상단부에 연결되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후크(3111)들의 전면에는 높이방향의 중앙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111)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후크(3111)들은 베이스(2)와 바디(3)가 조립될 때, 제2 후크 삽입공(2112), (2132)들로 각각 삽입됨으로써 베이스(2)와 바디(3)가 결합된다. 또한 제2 후크(3111)들은 베이스(2)와 바디(3)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31111)들이 가압될 경우, 제2 후크(3111)가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2 후크 삽입공(2112), (2132)들로부터 걸림 해제됨으로써 베이스(2)와 바디(3)가 결합 해제된다.
즉, 작업자는 제2 후크(3111)들에 형성된 돌출부(31111)를 가압하게 되면, 베이스(2)와 바디(3)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31)의 전후면 하단부에는 후술되는 제2 커버(32)의 제3 후크(322a), (322b)들이 삽입되는 제3 후크 삽입공(312a), (312b)들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케이스(31)의 후면에는 후술되는 플러그 보호 커버(5)와 결합되는 제4 후크(313)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케이스(31)의 전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14a), (314b)들이 형성된다. 걸림턱(314a), (314b)들은 메인 기판(33)이 제2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메인 기판(33)에 형성된 걸림턱 삽입공(331a), (331b)들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메인 기판(33)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케이스(31)의 상면 후단부에는 상향 돌출되는 LED부(315)가 형성된다.
도 14는 도 13의 LED부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LED부 커버가 바디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LED부(31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3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LED부 몸체(3151)와, LED부 커버(3152)로 이루어진다.
LED부 몸체(315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LED(31511)들이 설치된다.
또한 LED부 몸체(3151)의 양측면에는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는 제1 커버 가이드홈(31512)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 커버 가이드홈(31512)들의 하단부에는 LED부 몸체(3151)의 전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가이드홈(31513)들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LED부 몸체(3151)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터미널(4)의 핸들(46)에 형성된 제6 후크(462)가 삽입되는 제6 후크 삽입홈(31514)이 형성된다.
LED부 커버(3152)는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의 하단부 전방에 커버 후크(31521)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후크(31521)들은 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1522)들이 형성됨으로써 LED부 몸체(3151)와 조립되었을 때, 돌기(31522)들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LED부 커버(3152)의 후면에는 하단부에 후술되는 플러그 보호 커버(5)의 삽입돌부(511)가 삽입되는 돌부 삽입홈(31523)이 형성된다.
이러한 LED부 커버(315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시 커버 후크(31521)들이 제1 커버 가이드홈(31512)들에 의해 가이드 되어 하향 이동되며, LED부 커버(3152)의 하면이 제2 케이스(31)의 상면과 접촉되었을 때, 제2 커버 가이드홈(315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LED부 커버(3152)는 제2 커버 가이드홈(315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커버 후크(31521)들이 LED부 몸체(3151)의 전면에 위치하였을 때, 돌기(31522)들이 LED부 몸체(3151)의 전면과 걸림 설치됨으로써 LED부 커버(3152)가 고정된다.
또한 제2 케이스(31)의 상면에는 제1 결합돌부 삽입공(316)들 및 제1 메인 기판 삽입공(317), 제4 결합돌부 삽입홈(318)들, 결합고리(319)가 형성된다.
제1 결합돌부 삽입공(316)은 제2 케이스(31)와 제2 커버(32)가 조립될 때, 후술되는 제2 커버(3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돌부(321)들이 삽입된다.
제1 메인 기판 삽입공(317)은 제2 케이스(31)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기판(33)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메인 기판(33)의 상단부가 제2 케이스(3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메인 기판 삽입공(317)은 조립 시, 후술되는 터미널 블록(42)에 형성된 제2 메인 기판 삽입공(4211)과 대응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4 결합돌부 삽입홈(318)들은 바디(3)와 터미널(4) 조립 시, 터미널(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4 결합돌부(4213)들이 삽입된다.
결합고리(319)는 제2 케이스(31) 상면의 전단부에 상향 돌출되며, 바디(3)와 터미널(4) 조립 시, 터미널(4)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걸림부(4221)에 걸림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커버(3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케이스(31)의 우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커버(32)는 상면에 제1 결합돌부(321)들이 상향 돌출된다. 이때 제1 결합돌부(321)들은 조립 시, 제2 케이스(3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결합돌부 삽입공(316)에 삽입된다.
또한 제2 커버(32)는 양측면 하단부에 제3 후크(322a), (322b)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3 후크(322a), (322b)들은 조립 시, 제2 케이스(31)에 형성된 제3 후크 삽입공(312a), (312b)들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2 커버(32)가 제1 케이스(31)와 고정된다.
메인 기판(33)은 제2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립 시, 상단부가 제1 메인 기판 삽입공(317)으로 삽입되어 제2 케이스(31)의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메인 기판(33)은 상면의 후단부가 LED(31511)와 접속됨으로써 LED(31511)의 점멸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기판(33)의 양측면에는 조립 시, 제2 케이스(31)에 형성된 걸림턱(314a), (314b)들이 각각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공(331a), (331b)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기판(33)의 하단부는 제1 커넥터핀(24)에 의해 레일(R)과 접속되며, 접속핀(25)들에 의해 통신용 기판(23)들과 접속된다.
또한 메인 기판(33)의 상단부는 터미널(4)에 설치된 제2 커넥터핀(43)들에 의해 플러그(C)들과 접속된다.
도 16은 도 3의 터미널의 분해사시도이다.
터미널(4)은 터미널 케이스(41)와 터미널 블록(42)과, 제2 커넥터핀(43)들과, 회전걸림쇠(44)들과, 핀(45)들, 핸들(46)로 이루어진다.
터미널 케이스(41)는 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411)들 및 핀 삽입공(412)들이 간격을 두고 2열로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 삽입공(411)들과 핀 삽입공(412)들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터미널 케이스(41)의 전면에는 터미널 블록(42)에 형성된 제5 후크(4222)가 결합되는 제5 후크 결합공(413)이 형성된다.
또한 터미널 케이스(41)의 후면에는 터미널 블록(42)에 형성된 제5 결합돌부(4231)가 삽입되는 제5 결합돌부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터미널 케이스(41)의 양측벽 하단부에는 터미널 블록(42)의 제3 결합돌부(4212)들이 삽입되는 제3 결합돌부 삽입홈(415)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터미널 케이스(41)는 제5 후크 결합공(413)들에 삽입되는 제5 후크(4222)와, 제3 결합돌부 삽입홈(415)에 삽입되는 제3 결합돌부(4212)와, 제5 결합돌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5 결합돌부(4231)에 의해 터미널 블록(42)과 결합된다.
도 17은 도 16의 터미널 블록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4의 터미널의 예시도이다.
터미널 블록(42)은 하부 수평판(421)과, 전방 수직판(422), 후방 수직판(423), 수직 분리판(424), 격벽(425)들로 이루어진다.
하부 수평판(42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 기판(33)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 메인 기판 삽입공(421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수평판(421)의 양 측면에는 터미널 케이스(41)의 제3 결합돌부 삽입홈(415)들에 삽입되는 제3 결합돌부(4212)들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수평판(421)의 하면에는 제4 결합돌부(4213)들이 하향 돌출된다.
이때 제4 결합돌부(4213)들은 조립 시, 제2 케이스(31)의 상면에 형성된 제4 결합돌부 삽입홈(318)들로 삽입된다.
전방 수직판(422)은 하부 수평판(421)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바디(3)의 결합고리(319)가 걸림 설치되는 고리 걸림부(4221)가 형성된다.
고리 걸림부(4221)는 전방 수직판(422)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결합고리(319)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결합고리(319)가 걸림 설치된다.
또한 전방 수직판(422)에는 제5 후크(4222)가 형성된다.
제5 후크(4222)는 조립 시, 터미널 케이스(41)의 전면에 형성된 제5 후크 결합공(413)에 삽입 된다.
후방 수직판(423)은 하부 수평판(421)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후면에는 후방으로 제5 결합돌부(4231)가 돌출된다.
이러한 제5 결합돌부(4231)는 터미널 블록(42)이 터미널 케이스(41)와 조립되었을 때, 제5 결합돌부 삽입홈(414)으로 삽입된다.
또한 후방 수직판(423)의 측면에는 핸들(46)의 단부(461)가 삽입되는 핸들 삽입홈(4232)이 형성된다.
수직 분리판(424)은 전후단부가 각각 전방 수직판(422) 및 후방 수직판(423)과 연결되되, 하단부가 하부 수평판(421)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직 분리판(424)의 양측면에는 회전걸림쇠(44)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걸림쇠 설치봉(4241)들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걸림쇠 설치봉(4241)들은 수직 분리판(42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격벽(425)들과 핀 삽입공(412)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격벽(425)들은 전방 수직판(422)과 후방 수직판(423)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하단부가 하부 수평판(421)과 연결된다.
이때 격벽(425)들의 하단부에는 하부 수평판(421)에 형성된 제2 메인 기판 삽입공(42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3 메인 기판 삽입공(미도시)이 격벽(425)들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분리판(424)의 하단부까지 형성된다.
또한 격벽(425)들의 전면에는 스프링(S)들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홈(4251)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스프링 설치홈(4251)들은 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S)들의 상단부가 회전걸림쇠 설치봉(4241)들에 설치되는 회전걸림쇠(44)들의 하부면과 접촉된다.
제2 커넥터핀(43)들은 격벽(425)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커넥터핀(43)들에는 격벽(425)들의 전후면 중 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플러그 접촉부(431)가 연결된다.
회전걸림쇠(44)들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쇠 몸체(441)와, 걸림쇠 몸체(44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판(4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걸림쇠(44)들은 걸림쇠 몸체(441)들이에 회전걸림쇠 설치봉(4241)들에 각각 설치되며, 걸림판(442)의 하면이 스프링(S)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걸림쇠(44)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삽입공(411) 내부로 플러그(C)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C)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판(442)의 단부가 하향이동 되되, 플러그(C)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판(442)의 단부가 상향이동 됨으로써 플러그(C) 단부의 측면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커넥터 삽입공(411) 내부에 삽입된 플러그(C)는 회전걸림쇠(44)에 의해 가압되어 커넥터 삽입공(4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핀(45)들은 터미널 케이스(41)의 핀 삽입공(412)들 내부에 각각 삽입되며, 하단부가 회전걸림쇠(44)의 걸림판(442) 상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핀(45)들은 상단부가 터미널 케이스(4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핀(45)들은 돌출된 상단부를 작업자가 하방으로 가압하게 될 경우, 핀(45)들의 하단부가 회전걸림쇠(44)의 걸림판(442)의 상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회전걸림쇠(44)가 하향 회전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C)는 걸림판(442)에 의해 가해지던 가압력이 제거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핸들(46)은 터미널 케이스(41)의 후방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단부(461)가 핸들 삽입홈(4232)에 삽입되어 터미널 블록(42)과 결합된다. 또한 핸들(46)의 후면에는 제6 후크(46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핸들(46)은 평시에는 터미널 케이스(41)의 후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터미널(4)이 바디(3)와 결합될 때 바디(3)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터미널 케이스(41)의 후면과 밀착되며, 제6 후크(462)가 바디(3)에 형성된 제6 후크 삽입홈(31514)에 삽입된다.
도 19는 도 3의 플러그 보호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플러그 보호 커버(5)는 힌지부(51)와, 보호 커버(52)로 이루어진다.
힌지부(51)는 후면 및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삽입돌부(511)가 상향 돌출되며, 후면에 커버 걸림턱(512)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부(51)의 측벽에는 보호 커버(52)가 연결되는 힌지축(513)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부(51)는 삽입돌부(511)가 LED부 커버(3152)에 형성된 돌부 삽입홈(31523)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돌부(511)가 돌부 삽입홈(31523)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제2 케이스(31)에 형성된 제4 후크(313)의 상단부가 힌지부(51)의 하단부와 접촉되어 하향 이동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삽입돌부(511)가 돌부 삽입홈(31523)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보호 커버(52)는 연결부(521)와 경사부(522), 커버부(523)로 이루어진다.
연결부(52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힌지축(513)들과 연결되는 힌지홀(5211)들이 형성된다. 또한 타단부는 LED부 커버(3152)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연결부(521)는 힌지홀(5211)들이 힌지축(513)들과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521)의 일단부에는 커버 걸림턱(512)이 삽입되는 걸림홈(5212)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521)는 힌지축(51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되, 걸림홈(5212) 내부로 커버 걸림턱(512)들이 삽입되기 때문에 보호 커버(5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이로 인해 보호 커버(52)는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경사부(522)는 일단부가 연결부(521)의 타단부와 연결되되, 연결부(521)의 타단부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커버부(523)는 경사부(522)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터미널(4)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플러그 보호 커버(5)는 커버부(523)이 터미널(4)로 삽입된 플러그(C)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플러그(C)들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도 2의 마스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하부 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마스터 모듈(6)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61)와, 중간 몸체(62), 상부 커버(63)로 이루어진다.
하부 몸체(61)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면의 우측 단부에 베이스(2)에 형성된 가이드돌부(2113), (2133)들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돌부 삽입홈(611)들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부 몸체(61)의 내부에는 메인 보드(7)가 설치된다.
이때 메인 보드(7)는 리모트 입출력장치(1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CPU,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및 논리 연산부를 포함하여 결합된 슬레이브 모듈(1)들을 통해 기 할당된 필드기기들 각각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는 응답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필드기기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메인 보드(7)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데이터 통신을 지워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슬레이브 모듈(1)들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및 전기소자,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보드(7)에는 복수개의 커넥터(71)들이 연결되며, 조립 시, 중간몸체(62) 및 상부 커버(63)에 형성된 커넥터 설치공(6211), (631)들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메인 보드(7)의 상단부에는 메인 보드(7)의 동작 상태 및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해주는 LED 기판(72)이 설치된다.
또한 하부 몸체(61)의 좌측면 하부에는 고정부(8)가 설치되는 고정부 설치홈(6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 설치홈(612) 내부에는 복수개의 수평판들(6121), (6122), (6123), (6124), (6125) 및 수직판(6126), (6127)들에 의해 고정부(613)가 설치된다.
이때 수평판(6121), (6122), (6123), (6124), (6125)들 및 수직판(6126), (6127)들은 제1 케이스(21)에 형성된 수평판(214), (215), (216), (218), (219)들 및 수직판(2123a), (2123b)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8)는 베이스(2)에 설치되는 고정부(27)와 동일한 형태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 몸체(61)에는 고정부 설치홈(612)과 인접한 위치에 제7 후크 삽입공(613)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 설치홈(612)에는 고정부 커버(614)가 설치된다.
고정부 커버(614)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부 삽입홈(6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면에 제7 후크(6141)들이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부 커버(614)는 제7 후크(6141)들이 하부 몸체(61)에 형성된 제7 후크 삽입공(613)들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몸체(61)와 결합되어 고정부(8)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 몸체(61)의 전후면에는 제8 후크 삽입공(615)들이 형성되며, 조립 시 중간 몸체(62)에 형성된 제8 후크(623)들이 삽입되어 중간 몸체(62)와 결합된다.
또한 하부 몸체(61)의 우측면에는 베이스(2)에 설치된 수형 연결부(2513)들과 접속되는 암형 연결부(미도시)들이 돌출 설치된다.
도 22는 도 20의 중간 몸체의 사시도이다.
중간 몸체(6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간 몸체(62)의 좌측면에는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립 시, 하부 몸체(61)의 상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하부 몸체 커버(621)가 연결되고, 중간 몸체(62)의 우측면에는 전술하였던 슬레이브 모듈(1)의 제2 케이스(31)와 동일한 형상의 제3 케이스(622)가 연결된다.
하부 몸체 커버(621)는 조립 시, 하부 몸체(61)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메인 보드(7)에 설치된 커넥터(71)들이 설치되는 커넥터 설치공(6211)들이 형성된다.
또한 중간 몸체(62)의 하단부에는 하부 몸체(61)에 형성된 제8 후크 삽입공(615)들에 삽입되는 제8 후크(623)들이 형성되어 하부 몸체(61)와 결합된다.
또한 중간 몸체(62)의 양측면 및 전후면 상부에는 상부 커버(63)에 형성된 제9 후크(633)들이 삽입되는 제9 후크 삽입공(624)들이 형성된다.
제3 케이스(622)는 전술하였던 슬레이브 모듈(1)의 제2 케이스(3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측단부가 중간 몸체(62)의 우측면과 연결된다.
이때 제3 케이스(622)의 하단부에는 후크(6221)들이 하향 돌출되어 하부 몸체(61)의 우측에 설치되는 베이스(2)와 결합되며, 내부에 메인 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제3 케이스(622)는 상면의 전단부에 상향돌출되는 결합고리(6222)에 의해 터미널(4)이 걸림 설치된다.
상부 커버(63)는 조립 시, 중간 몸체(62) 및 제3 케이스(622)의 후방을 덮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 커버(63)의 전방에는 커넥터(71)가 설치되는 커넥터 설치공(631) 및 커넥터(71)를 덮도록 설치되는 커넥터 커버(632)가 설치된다. 이때 커넥터 커버(632)는 상부 커버(63)와 힌지 결합됨으로써 커넥터(71)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63)의 하단부에는 제9 후크(633)들이 하향 돌출되고, 상부 커버(63)는 조립 시, 중간 몸체(62)에 형성된 제9 후크 삽입공(624)들에 제9 후크(633)들이 삽입됨으로써 중간 몸체(62)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마스터 모듈(6)은 커넥터(71)들에 의해 외부 기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슬레이브 모듈(1)들이 가이드돌부(2113), (2133)들과 가이드홈(2114), (2134)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한 양 만큼의 슬레이브 모듈(1)들을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0의 엔드 모듈의 사시도이다.
엔드 모듈(9)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엔드 모듈(9)의 전후단부에는 슬레이브 모듈(1)들에 형성된 가이드홈(2114), (2134)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돌부(91), (92)들이 수직 연결된다.
또한 엔드 모듈(9) 내부에는 베이스(2)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암형 연결부(2512)들과 접속되는 수형 연결부(93)들 및 엔드 모듈 기판(9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엔드 모듈(9)은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1)들이 마스터 모듈(6)에 결합되었을 때, 슬레이브 모듈(1)들 중 최우측에 결합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암형 연결부(2512)와 수형 연결부(93)에 의해 접속되며, 마스터 모듈(6)에 결합된 슬레이브 모듈(1)들의 개수정보를 메인 보드(7)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마스터 모듈(6)은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1)들을 넘버링하고 통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1 : 슬레이브 모듈 2 : 베이스
21 : 제1 케이스 22 : 제1 커버
23 : 통신용 기판 24 : 제1 커넥터핀
25 : 접속핀
27 : 고정부 3 : 바디
31 : 제2 케이스 32 : 제2 커버
33 : 메인 기판 4 : 터미널
41 : 터미널 케이스 42 : 터미널 블록
43 : 제2 커넥터핀 44 : 회전걸림쇠
45 : 핀 46 : 핸들
5 : 플러그 보호 커버 51 : 힌지부
52 : 보호 커버 6 : 마스터 모듈
61 : 하부 몸체 62 : 중간 몸체
63 : 상부 커버 7 : 메인 보드
71 : 커넥터 72 : LED 기판
8 : 고정부 9 : 엔드 모듈

Claims (5)

  1. 필드기기들과 연결되어 연결된 필드기기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슬레이브 모듈들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전후면에는
    일측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전후면에는
    타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가이드돌부들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타측면에는
    암형 연결부들이 돌출되고,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일측면에는
    수형 연결부들이 돌출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은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 또는 상기 마스터 모듈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들에 상기 가이드돌부들이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은
    인접한 슬레이브 모듈 또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조립되었을 때, 상기 수형 연결부들이 상기 암형 연결부들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면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판들의 상부에 한 쌍의 수직판들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기판이 내장되는 바디;
    플러그가 접속되는 커넥터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되, 걸쇠들의 걸림돌부가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레일의 양단부와 걸림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수평판들 중 하나와 접촉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걸쇠 몸체와, 상기 제1 걸쇠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되되 상기 수평판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쇠 몸체의 전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경사돌부를 포함하는 제1 걸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수평판들 중 하나와 접촉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걸쇠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 걸쇠 몸체와, 상기 제2 걸쇠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되되 상기 수평판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걸쇠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경사돌부를 포함하는 제2 걸쇠;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 각각 상기 제1 경사돌부 및 상기 제2 경사돌부와 동일한 폭 및 경사를 지닌 경사홈들이 하면부터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쇠와 상기 제2 걸쇠는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기 제2 경사돌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대응되는 경사홈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기 제2 경사돌부가 상기 가이드블록의 대응되는 경사홈들 내부에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하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핀 삽입공들 및 플러그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터미널 케이스;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격벽들과, 상기 격벽들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프링들과, 상기 플러그 삽입공들로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는 커넥터핀들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회전걸림쇠 설치봉들을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회전걸림쇠 설치봉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부면이 상기 스프링들과 결합되는 회전걸림쇠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걸림쇠는
    상기 플러그 삽입공으로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회전되되, 상기 플러그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회전되어 상기 플러그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핀 삽입공들 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가 대응되는 회전걸림쇠의 상면과 접촉되는 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들은
    작업자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었을 때, 하단부가 대응되는 회전걸림쇠의 상면을 하부로 가압하여 대응되는 회전걸림쇠를 하향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면 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LED부가 설치되고,
    상기 LED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LED들이 설치되는 LED부 몸체;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LED부 몸체에 결합되는 LED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LED부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는 제1 커버 가이드홈들과, 상기 제1 커버 가이드홈들의 하단부로부터 전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LED부 커버의 내측면의 전방 하단부에는 커버 후크들이 수직 연결되고,
    상기 LED부 커버는
    상기 커버 후크들이 상기 제1 커버 가이드홈들 및 상기 제2 커버 가이드홈들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커버 후크들의 단부가 상기 LED부 몸체의 전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LED부 몸체의 전면에 걸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20200090845A 2020-07-22 2020-07-22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2469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45A KR102469069B1 (ko) 2020-07-22 2020-07-22 리모트 입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45A KR102469069B1 (ko) 2020-07-22 2020-07-22 리모트 입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49A true KR20220011949A (ko) 2022-02-03
KR102469069B1 KR102469069B1 (ko) 2022-11-22

Family

ID=8026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45A KR102469069B1 (ko) 2020-07-22 2020-07-22 리모트 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0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65B1 (ko) * 1994-01-18 2003-06-02 와고베르발텅스게젤샤프트엠베하 데이터버스용입출력장치
KR101080585B1 (ko) * 2004-07-20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구조
KR20130005536A (ko) * 2011-07-06 2013-01-16 윤흥식 단자대
KR101734861B1 (ko) * 2015-12-29 2017-05-12 (주)메티스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2081693B1 (ko) * 2018-10-12 2020-02-27 주식회사 오토닉스 전자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65B1 (ko) * 1994-01-18 2003-06-02 와고베르발텅스게젤샤프트엠베하 데이터버스용입출력장치
KR101080585B1 (ko) * 2004-07-20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구조
KR20130005536A (ko) * 2011-07-06 2013-01-16 윤흥식 단자대
KR101734861B1 (ko) * 2015-12-29 2017-05-12 (주)메티스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2081693B1 (ko) * 2018-10-12 2020-02-27 주식회사 오토닉스 전자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069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5055B2 (ja) プログラマブル論理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論理制御装置モジュール
US7336497B2 (en) Electronics housing
CA1318388C (en) I/o relay interface module
US9263861B2 (en) Mounting rail and module latching system
JP6031550B2 (ja) スイッチデバイスのトグル組合せ構成
KR102469070B1 (ko) 리모트 입출력장치용 슬레이브 모듈
US5192222A (en) Plug connection device for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electronic units
US10368458B2 (en) Rail-mounted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mounting
KR101734861B1 (ko)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KR20070045816A (ko) 얼라이너를 갖는 반도체 소자용 테스트 소켓
CN111033915B (zh) 用于插接连接的闭锁装置
KR880014453A (ko) 코드레스 컴퓨터 어셈블리
EP0460198A1 (en) CONNECTOR SETTING SYSTEM.
JPH04230977A (ja) モジュール型コネクタ
KR20220011949A (ko) 리모트 입출력장치
CN101371406A (zh) 具有改进的闩锁机构的连接器
KR20160123214A (ko) 커넥터 어셈블리
EP1028494A2 (en) Lever-ope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two complementary connectors
EP2903400B1 (en) Electronic device
US20060228924A1 (en) IC card connector equipped with respective cover doors and associated anti-mismating device
KR100200275B1 (ko) 접속기
JPH02168795A (ja) I/oリレーターミナル
US20020111078A1 (en) Keying devices for modular systems
EP0503967B1 (en) High density modular power switch drivers
JP7196942B2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