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861B1 -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861B1
KR101734861B1 KR1020150188433A KR20150188433A KR101734861B1 KR 101734861 B1 KR101734861 B1 KR 101734861B1 KR 1020150188433 A KR1020150188433 A KR 1020150188433A KR 20150188433 A KR20150188433 A KR 20150188433A KR 101734861 B1 KR101734861 B1 KR 10173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lave
fixed rail
engag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영모
유동석
최성일
이원찬
서덕규
Original Assignee
(주)메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티스 filed Critical (주)메티스
Priority to KR102015018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드기기들과 데이터들을 입출력함과 동시에 확장 가능한 모듈형의 확장유닛을 제공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출력 사양의 조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고, 각 슬레이브 모듈의 제1 대접면 및 제2 대접면에 걸림홈 및 걸림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모듈 확장 시 모듈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모듈들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아 커넥터들의 접속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신호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모듈의 일측에 고정레일 지지부가 볼트 체결되고, 고정레일 지지부에 고정레일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듈들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는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Remote I/O apparatus based on CC-LINK}
본 발명은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산업현장의 필드에 설치되는 필드기기들에 연결되어 필드기기들과 데이터들을 입출력함과 동시에 확장 가능한 모듈형의 확장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출력 사양의 조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드버스(field bus)는 각종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필드에 설치된 필드기기들 및 컨트롤러들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으로 정의되고,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의 필드버스에는 센서, 공압 밸브, 바코드 판독기, 액추에이터, 인버터, 모터 등의 다양한 필드기기들이 연결된다.
즉 산업 현장에는 다양한 종류 및 수량의 필드기기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리모트 입출력장치(Remote I/O apparatus)가 필요하고, 이러한 리모트 입출력장치는 복수개의 입출력모듈을 구비하여 기 할당된 필드기기들과 필드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함으로써 다양한 필드기기들의 장비제어, 단위공정제어, 생산라인제어 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리모트 입출력장치는 MCU(Micro Control Unit) 내부에 AI(Analog Input) 모듈, DI(Digital Input) 모듈, D0(Digital output) 모듈 등의 입출력모듈들의 개수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할당된 필드기기들의 수량에 대응하는 입/출력 사양을 제공할 수 없고, 상세하게로는 정해진 개수보다 더 많은 필드기기들을 연결시킬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필드기기들은 산업 현장의 특성에 따라 많은 개수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기초적인 수량만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리모트 입출력장치는 고정된 개수의 필드기기들만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며, 불필요한 공간소모 및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출력모듈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10-1562340호(발명의 명칭 : 필드버스용 입출력모듈)에 개시된 필드버스용 입출력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필드버스용 입출력모듈(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상단 일측에 장착 홈(111)이 형성되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모듈 케이스(110)와, 모듈 케이스(110)의 장착 홈(111)에 장착되며 단자수납부(134)들이 형성된 블록 케이스(133)를 구비하는 터미널 블록(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의 하단에 지지 레일 등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 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가 기판접속단자(123)를 통해 인접한 입출력모듈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의 상부에 장착 홈(111)들이 형성되어 장착 홈(111)으로 터미널 블록(130)이 설치됨과 동시에 모듈 케이스(110)들의 끼움 홈(112)이 지지 레일에 결합되어 터미널 블록(130)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즉 종래기술(100)은 산업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필드기기들의 수량에 대응하여 모듈 케이스(110)들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공간소모 및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하나의 모듈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모듈 케이스(110)를 지지레일에 결합시키는 작업과, 지지레일에 결합된 모듈 케이스(110)의 장착 홈(111)으로 터미널 블록(130)을 결합시키는 이중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의 장착홈(111)으로 터미널 블록(130)이 착탈 됨으로써 반복적인 착탈에 의해 착탈 수단이 헐거워지거나 훼손되어 견고하고 정밀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산업기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터미널 블록(130)의 접점이 쉽게 단락되어 오동작 및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함과 동시에 훼손이 촉진되어 터미널 블록(130) 또는 모듈 케이스(110)의 잦은 교체가 불가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가 단순히 지지레일과의 결합을 통해서만 고정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인접한 모듈 케이스(110)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경이 형성되고, 이러한 간격은 인접한 입출력모듈들 중 일측 입출력모듈의 기판접속단자(123)가 타측 입출력모듈의 접속부(미도시)와의 접속을 방해하여 장애 및 오동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입출력모듈들 사이의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어 미관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이러한 입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입출력장치는 상위 컨트롤러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 PC 등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모듈들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ler Unit)가 설치되고, 새롭게 확장된 입출력모듈은 모듈 케이스(110)의 입출력단자(123)를 통해 MCU에 연결되나, 종래기술(100)에서와 같이 인접하는 입출력모듈이 밀접하게 접촉하지 못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기판접속단자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불필요한 장비의 오동작 및 오류가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 및 터미널 블록(130)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모듈 케이스(110)의 장착 홈(111)으로 터미널 블록(13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성이 떨어져 외부 진동 및 충격에 의해 터미널 블록(130)이 모듈 케이스(110)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터미널 블록(130)의 단자들 각각의 접점이 인쇄회로기판과 해제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모듈 케이스(110)가 장착 홈(111)에 의하여 일측이 개구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밀폐되지 않고 개방되어 장착 홈(111)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비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즉 1)입출력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2)인접한 입출력모듈들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입출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드기기들과 데이터들을 입출력함과 동시에 확장 가능한 모듈형의 확장유닛을 제공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출력 사양의 조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각 슬레이브 모듈의 제1 대접면 및 제2 대접면에 걸림홈 및 걸림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모듈 확장 시 모듈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모듈들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아 커넥터들의 접속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신호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각 모듈의 일측에 고정레일 지지부가 볼트 체결되고, 고정레일 지지부에 고정레일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듈들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는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필드기기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필드기기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슬레이브 모듈들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은 내부에 메인보드가 설치되되 일면에 핀 암 커넥터가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은 내부에 입출력보드가 설치되되 일면인 제1 대접면에 핀 수 커넥터가 형성되되 타면인 제2 대접면에 핀 암 커넥터가 형성되는 보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핀 수 커넥터가 상기 마스터 모듈의 핀 암 커넥터로 삽입되어 접속되고,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들은 일측 슬레이브 모듈의 핀 수 커넥터가 타측 슬레이브 모듈의 핀 암 커넥터로 삽입되어 접속됨으로써 상기 필드기기들의 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상기 리모트 입출력장치는 고정레일 및 고정레일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의 일측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의 일측면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에 탈부착되고,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수직고정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고정판들은 서로를 향하는 일면에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은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수직판들과, 상기 수직판들 각각의 단부에 상기 수평판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연장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연장판들이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의 상기 수직고정판의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에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터 모듈의 상기 메인 하우징은 일측에 CC-LINK 통신선이 접속되는 통신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 하우징들은 상기 제1 대접면의 테두리에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접면의 테두리에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걸림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들은 타측 슬레이브 모듈의 걸림부가 일측 슬레이브 모듈의 걸림홈을 통과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양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제2 대접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수직면들 중 일측 수직면에 일측 수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양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을 형성하는 내측면들 중 일측 내측면의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걸림홈의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제2 대접면에 대향되는 방향의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은 상기 제1 대접면 및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드기기들과 데이터들을 입출력함과 동시에 확장 가능한 모듈형의 확장유닛을 제공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출력 사양의 조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슬레이브 모듈의 제1 대접면 및 제2 대접면에 걸림홈 및 걸림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모듈 확장 시 모듈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모듈들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아 커넥터들의 접속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신호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모듈의 일측에 고정레일 지지부가 볼트 체결되고, 고정레일 지지부에 고정레일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듈들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10-1562340호(발명의 명칭 : 필드버스용 입출력모듈)에 개시된 필드버스용 입출력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마스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슬레이브 모듈의 보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슬레이브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걸림홈을 내측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걸림부 및 걸림홈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모트 입출력장치(Remote I/O apparatus)(1)는 복수개의 입출력모듈들을 포함하여 입출력모듈들을 통해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필드기기(10-1), ..., (10-N)들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때 필드기기는 각종 센서, 공압 밸브, 바코드 판독기, 액추에이터, 인버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입출력장치(1)는 CC-LINK 필드버스(200)를 통해 상위 컨트롤러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300) 또는 PC(400) 등에 연결된다.
즉 리모트 입출력장치(1)는 기 할당된 필드기기(10-1), ..., (10-N)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상위 컨트롤러(3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위 컨트롤러(3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대응되는 신호를 해당 필드기기로 출력함으로써 장비제어, 단위공정제어, 생산라인제어, 프로젝트 제어 등의 정밀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 할당된 필드기기(10-1), ..., (10-N)들을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정면도이다.
리모트 입출력장치(1)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모듈(Master module)(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Slave module)(5)들, 커버(6), 고정레일 지지부(7), 고정레일(9)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레이브 모듈(5)들이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슬레이브 모듈(5)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3개 이상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정레일(9)은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의 수평판(91)과, 수평판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수직판(93)들과, 수직판(93)들 각각의 단부에 수평판(91)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연장판(95)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레일 지지부(7)는 마스터 모듈(3) 및 슬레이브 모듈(5)들 각각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고정레일 지지부(7)는 하우징의 일측면에 볼트 체결되는 지지판(71)과, 지지판(71)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수직고정판(73)들로 이루어지고, 수직고정판(73)들 각각에는 고정레일 지지부(7)의 연장판(95)이 삽입되는 삽입홈(731)들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판(71)에는 볼트 공이 형성되어 마스터 모듈(3) 및 슬레이브 모듈(5)들 각각의 하우징에 볼트 체결된다.
도 7은 도 4의 마스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마스터 모듈(3)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이하 메인 하우징이라고 함)(31)과, 메인 하우징(31) 내부에 설치되며 슬레이브 모듈(5-1), (5-2)들 각각에 설치되는 입출력보드들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메인보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보드는 리모트 입출력장치(1)의 O.S(Operating System)이며, CPU,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및 논리 연산부를 포함하여 결합된 슬레이브 모듈(5)들을 통해 기 할당된 필드기기(10-1), ..., (10-N)들 각각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는 응답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필드기기(10-1), ..., (10-N)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메인보드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슬레이브 모듈(5)들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및 전기소자(계전기 포함),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등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은 CC-LINK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터 모듈(3)의 메인 하우징(31)은 조립 시 슬레이브 모듈(5)을 향하는 일면(310)의 중앙에 핀 암 커넥터(311)가 설치되고, 핀 암 커넥터(311)는 확장 시 후술되는 도 8 내지 11의 슬레이브 모듈(5)의 핀 수 커넥터(523)가 삽입되어 접속됨으로써 슬레이브 모듈(5)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핀 암 커넥터(311)는 마스터 모듈(3)의 메인보드에 연결된다.
또한 마스터 모듈(3)의 메인 하우징(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유닛상태(MS) 및 네트워크 상태(NS)를 표시하기 위한 LED(319), 통신속도 및 점유국 설정패널(318), CC-LINK 통신선이 접속되는 통신 커넥터(317)가 설치된다.
또한 마스터 모듈(3)의 메인 하우징(31)은 핀 암 커넥터(311)가 설치되는 일면(310)의 테두리에 일면(310)으로부터 외측으로 육면체 형상의 걸림부(313)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313)에 대한 형상 및 결합 구조는 후술되는 도 8과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슬레이브 모듈(5)은 프로젝트에 따라 마스터 모듈(3)에 확장 결합되는 모듈이며, 상세하게로는 입력(Input), 출력(Output), 입출력(I/O), DA(Digital-Analog converter), AD(Analog-Digital conver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모듈(5)은 프로젝트의 요구에 따라 마스터 모듈(3) 또는 슬레이브 모듈(5)에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도 4의 슬레이브 모듈의 보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슬레이브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걸림홈을 내측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슬레이브 모듈(5)은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이하 보조 하우징)(51)을 포함하고, 보조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보드가 설치된다.
이하 조립 시 마스터 모듈(3)을 향하는 보조 하우징(51)의 일면을 제1 대접면(521)이라고 하고, 제1 대접면에 대향되는 타면을 제2 대접면(511)이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보조 하우징(5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시 마스터 모듈(3)을 향하지 않는 방향의 일면인 제2 대접면(511)의 중앙에 핀 암 커넥터(513)가 설치되고, 핀 암 커넥터(513)는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5)의 보조 하우징(51)의 핀 수 커넥터(523)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때 핀 암 커넥터(513)는 전자장비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보조 하우징(51)의 제2 대접면(511)의 테두리에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걸림부(515)들이 돌출 형성되고, 이때 걸림부(515)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5)의 보조 하우징(51)의 걸림홈(525)들 각각으로 삽입됨으로써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5)들의 결합이 밀접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걸림부(515)는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조 하우징(51)의 제2 대접면(511)으로부터 양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걸림부(515)는 보조 하우징(51)의 제2 대접면(511)부터 수직 연결되는 장방향의 수직면들 중 일측 수직면에 일측 수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걸림돌부(516)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부(516)는 보조 하우징(51)의 제2 대접면(511)을 향하는 일면에 걸림턱(517)이 형성되고, 제2 대접면(511)에 대향되는 타면이 곡면(518)으로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조 하우징(51)의 제1 대접면(521)을 살펴보면, 보조 하우징(51)은 제1 대접면(521)의 중앙에 핀 수 커넥터(523)가 설치되고, 핀 수 커넥터(523)는 마스터 모듈(3)의 메인 하우징(31)의 핀 암 커넥터(311) 또는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5)의 보조 하우징(51)의 핀 암 커넥터(513)로 삽입되어 접속된다.
또한 보조 하우징(51)은 제1 대접면(521)의 테두리에 제2 대접면으로부터 내부 수용공간까지 연결되는 걸림홈(525)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걸림홈(525)들은 걸림부(515)들의 위치 및 수량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마스터 모듈(3)의 메인 하우징(31)의 걸림부(313)들 또는 슬레이브 모듈(5)의 보조 하우징(51)의 걸림부(515)들 각각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걸림홈(525)은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양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걸림홈(525)은 장방향의 내측면(526)들 중 일측 내측면(526’)의 중앙에 절개홈(S)이 형성되어 걸림턱(527)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홈(525)의 내측면 및 보조 하우징(51)의 제1 대접면(521)의 연결되는 영역은 곡면(529(으로 연결됨으로써 걸림부(51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5)들의 걸림부(515) 및 걸림홈(525)의 결합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걸림부 및 걸림홈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슬레이브 모듈에 타측 슬레이브 모듈을 확장시키고자 할 때 일측 슬레이브 모듈의 보조 하우징의 제2 대접면에 타측 슬레이브 모듈의 보조 하우징의 제1 대접면을 대접시킨 후 타측 슬레이브 모듈의 보조 하우징의 걸림홈(525) 및 일측 슬레이브 모듈의 보조 하우징의 걸림부(515)를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대접면(521)을 제1 대접면(511)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걸림부(515)가 걸림홈(525)으로 삽입된다. 이때 걸림부(515)의 걸림돌부(516)는 걸림홈(525)을 향하는 일면이 곡면(518)으로 형성되고, 걸림홈(525)을 형성하는 제2 대접면(521)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걸림부(515)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걸림홈(525)으로 삽입된다.
또한 걸림부(515)가 걸림홈(525)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대접면(521)을 지속적으로 가압하면 걸림부(515)의 걸림돌부(516)는 걸림홈(525)을 통과하여 보조 하우징(51)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이때 걸림돌부(516)의 걸림턱(517)은 걸림홈(525)의 걸림턱(527)에 안착됨으로써 타측 슬레이브 모듈이 일측 슬레이브 모듈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모트 입출력장치(1)는 마스터 모듈에 복수개의 슬레이브 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드기기들과 데이터들을 입출력함과 동시에 확장 가능한 모듈형의 확장유닛을 제공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출력 사양의 조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배선 및 공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입출력장치(1)는 각 슬레이브 모듈의 제1 대접면 및 제2 대접면에 걸림홈 및 걸림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모듈 확장 시 모듈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모듈들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아 커넥터들의 접속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신호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입출력장치(1)는 각 모듈의 일측에 고정레일 지지부가 볼트 체결되고, 고정레일 지지부에 고정레일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듈들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는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리모트 입출력장치 3:마스터 모듈 5:슬레이브 모듈
6:커버 7:고정레일 지지부 9:고정레일
71:지지판 73:수직고정판 91:수평판
93:수직판 95:연장판
10-1, ..., 10-N:필드기기 31:메인 하우징
51:보조 하우징 313:핀 암 커넥터 315:돌출부
511:제2 대접면 513:핀 암 커넥터 515:걸림부
516:걸림돌부 517:걸림턱 518:곡면
521:제1 대접면 523:핀 수 커넥터 525:걸림홈

Claims (7)

  1. 필드기기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필드기기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슬레이브 모듈들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은 내부에 메인보드가 설치되되 일면에 핀 암 커넥터가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은 내부에 입출력보드가 설치되되 일면인 제1 대접면에 핀 수 커넥터가 형성되되 타면인 제2 대접면에 핀 암 커넥터가 형성되는 보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핀 수 커넥터가 상기 마스터 모듈의 핀 암 커넥터로 삽입되어 접속되고,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들은 일측 슬레이브 모듈의 핀 수 커넥터가 타측 슬레이브 모듈의 핀 암 커넥터로 삽입되어 접속됨으로써 상기 필드기기들의 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들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상기 리모트 입출력장치는 고정레일 및 고정레일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의 일측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의 일측면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에 탈부착되고,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수직고정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고정판들은 서로를 향하는 일면에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은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의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수직판들과, 상기 수직판들 각각의 단부에 상기 수평판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연장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연장판들이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의 상기 수직고정판의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레일 지지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의 상기 메인 하우징은 일측에 CC-LINK 통신선이 접속되는 통신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들은 상기 제1 대접면의 테두리에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접면의 테두리에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걸림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하는 슬레이브 모듈들은 타측 슬레이브 모듈의 걸림부가 일측 슬레이브 모듈의 걸림홈을 통과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양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제2 대접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수직면들 중 일측 수직면에 일측 수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양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을 형성하는 내측면들 중 일측 내측면의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걸림홈의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제2 대접면에 대향되는 방향의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하우징들 각각은 상기 제1 대접면 및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20150188433A 2015-12-29 2015-12-29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173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33A KR101734861B1 (ko) 2015-12-29 2015-12-29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33A KR101734861B1 (ko) 2015-12-29 2015-12-29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861B1 true KR101734861B1 (ko) 2017-05-12

Family

ID=5873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433A KR101734861B1 (ko) 2015-12-29 2015-12-29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8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487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비앤티 이더캣 기반의 제어 모듈 시스템
KR20210131588A (ko) * 2020-04-24 2021-11-03 (주)메티스 Puf가 적용된 cc-link 기반 슬레이브 모듈
KR20210131561A (ko) * 2020-04-24 2021-11-03 (주)메티스 Puf가 적용된 cc-link 기반 게이트웨이 모듈
KR20220011950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리모트 입출력장치용 슬레이브 모듈
KR20220011949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리모트 입출력장치
CN117573589A (zh) * 2024-01-16 2024-02-20 南京实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CC-Link IE现场网络basic协议插片式IO组态及其配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65B1 (ko) * 1994-01-18 2003-06-02 와고베르발텅스게젤샤프트엠베하 데이터버스용입출력장치
JP2003330509A (ja) 1999-10-29 2003-11-21 Omron Corp センサシステム
KR101562341B1 (ko) 2014-04-18 2015-10-22 주식회사 크래비스 광 결합 방식의 버스 입출력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입출력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65B1 (ko) * 1994-01-18 2003-06-02 와고베르발텅스게젤샤프트엠베하 데이터버스용입출력장치
JP2003330509A (ja) 1999-10-29 2003-11-21 Omron Corp センサシステム
KR101562341B1 (ko) 2014-04-18 2015-10-22 주식회사 크래비스 광 결합 방식의 버스 입출력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입출력 모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487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비앤티 이더캣 기반의 제어 모듈 시스템
KR20210131588A (ko) * 2020-04-24 2021-11-03 (주)메티스 Puf가 적용된 cc-link 기반 슬레이브 모듈
KR20210131561A (ko) * 2020-04-24 2021-11-03 (주)메티스 Puf가 적용된 cc-link 기반 게이트웨이 모듈
KR102334005B1 (ko) * 2020-04-24 2021-12-02 (주)메티스 Puf가 적용된 cc-link 기반 게이트웨이 모듈
KR102340585B1 (ko) * 2020-04-24 2021-12-20 (주)메티스 Puf가 적용된 cc-link 기반 슬레이브 모듈
KR20220011950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리모트 입출력장치용 슬레이브 모듈
KR20220011949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리모트 입출력장치
KR102469070B1 (ko) * 2020-07-22 2022-11-22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리모트 입출력장치용 슬레이브 모듈
KR102469069B1 (ko) * 2020-07-22 2022-11-22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리모트 입출력장치
CN117573589A (zh) * 2024-01-16 2024-02-20 南京实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CC-Link IE现场网络basic协议插片式IO组态及其配置方法
CN117573589B (zh) * 2024-01-16 2024-04-09 南京实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CC-Link IE现场网络basic协议插片式IO组态及其配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861B1 (ko) Cc-link 기반 리모트 입출력장치
US6123585A (en) Module for connecting actuators and/or sensors
EP2506692B1 (en) Din rail mountable base for process fieldbus redundant power conditioner
US10154603B2 (en) Input/output module bus contact system and method
CN106605458B (zh) 冗余电源母板组件
US7252551B2 (en) Electronic part-incorporating connector and wiring harness with electronic part-incorporating connector
US9478913B2 (en) Electronics module for insertion into a carrier unit
US9564707B2 (en) Connection system with modular expansion units having two or more devices
CN105706305A (zh) 用于异形安装轨的桥接模块
US1118378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ontroller
CN103986010A (zh) 配线装置
CN105746007A (zh) 部件构建系统的功能部件
JP6526633B2 (ja) レールに取り付けられる制御システム
EP3312687B1 (en) On machine input/output (i/o) system with modular connections
CN102681476A (zh) 用于连接自动化控制器和可编程模块的系统和方法
CN107966922B (zh) 模块化子机架中的单通道输入/输出
JP6413553B2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装置
US20220037813A1 (en) Adapter housing for a contact insert for fixing on a top-hat rail
CN101282015B (zh) 用于壁式安装的插塞连接器系统
JP4062741B2 (ja) 端子変換ユニット
JP4840665B2 (ja) デジタルioユニット
CN108695636B (zh) 单端子模块和接插组件
US20230079080A1 (en) Configurable Box Bridge Frame
WO2023009105A1 (en) Hot swap base for a building controller
US9768570B2 (en) Arrangement having two electr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