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483A -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483A
KR20220008483A KR1020200086596A KR20200086596A KR20220008483A KR 20220008483 A KR20220008483 A KR 20220008483A KR 1020200086596 A KR1020200086596 A KR 1020200086596A KR 20200086596 A KR20200086596 A KR 20200086596A KR 20220008483 A KR20220008483 A KR 2022000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ite dandelion
cosmetic composition
dandelion flower
flow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136B1 (ko
Inventor
김진우
전성진
김민정
감다혜
홍지우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1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흰민들레 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완화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Taraxacum coreanum extract}
본 발명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지향적인 소비추세에 따라 기능성 화장품에 들어가는 유효성분이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천연물 및 화학물질이 그 유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기능성 화장품 내에 배합이 되어서 사용이 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천연소재인 식물성 원료 및 해양원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이루어져 천연 기능성 화장품 및 한방 기능성 화장품이 떠오르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화장품법에 의한 화장품으로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을 시키고, 매력을 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뿌리기, 문지르기, 바르기 등의 유사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의 이상적인 조건으로는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하고, 주름개선의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근깨 및 기미 등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등의 효과가 있어야 하고,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기능성 화장품에 포함되는 화학적 물질의 부작용 때문에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내의 화학적 물질이나 첨가물에 대한 사용거부감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부작용이 적고 기능성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양지에서 자생하는 흰민들레는 고유의 재래종으로서, 뼈와 근육 강화, 독소 제거, 해열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식물이다. 흰민들레의 잎과 줄기에 함유하고 있는 실리마린 성분이 효소의 작용을 돕고 세포막을 튼튼하게 하여 간세포 재생을 촉진시켜 간 기능의 개선재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흰민들레 뿌리의 경우에는 caffeic acid, chicoric acid, chlorogenic acid등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폴리페놀 화합물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암,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약리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천연물질인 흰민들레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에 효과적인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5536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553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흰민들레 꽃 열수 추출물을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주름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완화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는 원줄기가 없고 굵은 뿌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것으로서, 잎은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밑이 좁아지며 양쪽가장자리는 무잎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5~6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흰민들레의 어린잎은 생채로 먹거나 살짝 데쳐 나물로 무쳐 먹으며, 뿌리는 튀겨 먹고, 꽃은 그늘에 말려 차로 마신다.
본 발명에서는 흰민들레의 꽃을 이용한다. 흰민들레의 꽃 대신 잎, 뿌리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용매로 추출된 용매 추출물 또는 발효된 발효물일 수 있다.
일예로, 흰민들레 꽃 용매 추출물은 추출용매 하에서 초음파처리를 통해 추출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흰민들레 꽃과 추출용매가 1 :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2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20 내지 50 kHz,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 W 파워의 초음파기로 5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하에서 5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분 동안 처리된다.
흰민들레 꽃을 추출 시 초음파 추출이 아니라 용매 추출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소량 추출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가 낮을 수 있다.
상기 흰민들레 꽃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흰민들레 꽃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기의 진동수 및 파워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흰민들레 꽃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유효성분 외에 다른 물질도 다량으로 추출되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흰민들레 꽃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펩타이드의 열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기능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99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완화를 위하여 물을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흰민들레 꽃 발효물은 상기 흰민들레 꽃 초음파 용매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흰민들레 꽃 초음파 열수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시킨 후 25 내지 50 ℃에서 100 내지 300 rpm으로 10 내지 30일 동안 발효시킨 것이다.
상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베타-글루코시데아제를 생산한다고 알려진 상기 균주 이외에 다른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완화 효과가 없거나 낮을 수 있다.
상기 발효 시 온도, 혼합 속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흰민들레 꽃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생리활성물질의 분해로 인해 원하는 효과가 전혀 발휘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외에 건강기능식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흰민들레 꽃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흰민들레 꽃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사용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흰민들레 꽃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안료 및 천연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미스트,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자외선 차단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마스크팩,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우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흰민들레 꽃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초음파 열수 추출물
흰민들레 꽃과 물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초음파기(JAC Ultrasinic, Hwaseng, Korea)에 투입 후 80 ℃ 하에서 초음파(40 kHz, 200 W)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1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함으로써 흰민들레 꽃 초음파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발효물
배양액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를 MRS broth에 1% 접종하여 37 ℃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발효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초음파 열수 추출물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pH를 6.95~7.05로 조절한 후 상기 혼합액 100 중량부에 당 1 중량부를 추가하여 37 ℃에서 48시간 발효한 후 Homogenizer(HG-15A, DAIHAN, Korea)를 이용해 파쇄하고 pH 4.78ㅁ0.05로 조절하여 45 ℃에서 48시간 또 발효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함으로써 흰민들레 꽃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초음파 에탄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물 대신 80 부피%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흰민들레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초음파 메탄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물 대신 80 부피% 메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흰민들레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에탄올 발효물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에탄올 추출물에 실시예 2와 같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흰민들레 꽃 에탄올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 측정
1-1.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 DW): 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folin-ciocalteu's 페놀 용액(Folin & Ciocalteu's phenol; Sigma-Aldrich, USA)을 시료에 첨가하여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해 환원되어 발생하는 몰리브덴 청색발색 반응을 원리로 하였다. 시료 0.14 ㎖에 0.2 N F.C용액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방치 후 7.5% Na2CO3 0.56 ㎖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흡광도 값을 756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였고, 단위는 작성한 gallic acid 검량선과 비교하여 mg gallic acid equivalent(GAE)/g dry weight(DW) 로 표시하였다.
1-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total flavonoid content, TFC) : TFC 함량은 Zhishen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21]. 플라보노이드에 알칼리를 작용시키면 황색으로 발색되는 원리에 근거하여 흡광도를 측정해 TFC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 0.5 mL에 증류수 2.5 mL와 99.5% (v/v) 에탄올 1.5 mL 가한 후 1 M potassium acetate 0.1 mL와 10% aluminum chloride 0.1 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실온에서 30 min 방치하였다. 41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quercetin (Sigma-Aldrich, Minneapolis, USA)을 25, 50, 100, 200 ㅅg/mL로 희석하여 검량선을 구하여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mg quercetin equivalent (QE)/g dry matter (DM)로 나타내었다.
1-3. DPPH 소거능(%): 전자공여능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반응하여 짙은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색이 엷어지는 원리를 이용한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Aldric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해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시료 0.25 ㎖에 DPPH 용액 1.25 ㎖을 가하여 암실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Abs(test)-Abs(color))/Abs(control)}X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총폴리페놀
(mg GAE/g DW)
31.9 40.62 16.2 12.4 11.1
총플라보노이드
(mg QE/g DM)
5.02 5.54 2.82 2.55 2.30
DPPH 소거능(%) 45.42 62.65 15.12 10.91 9.88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흰민들레 꽃 초음파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며 DPPH 소거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의 발효물이 실시예 1의 초음파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며 DPPH 소거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물이 우수한 결과를 보인 실시예 1 및 2와 반대로 비교예 3의 에탄올 발효물은 비교예 1의 초음파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흰민들레 꽃 초음파 추출물 및 발효물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의 지표인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비례 관계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2-1.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측정: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은 Flurkey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sodium phosphate monobasic anhydrous 0.8039 g, sodium phosphate dibasic anhydrous 0.9511 g을 각각 증류수 100 mL에 녹여 PH를 6.8로 조정하여 buffer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buffer로 기질10mM 3,4-dihydroxy phenylanin(I-dopa) (20 mg/mL)와 효소 1250unit tyrosinase를 제조하였으며 1250 unit tyrosinase는 증류수에 1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kojic acid(2 mg/mL)를 제조하였다. 2 mL 마이크로튜브에 buffer 0.4 g, 기질 0.2 g, 시료 0.2g, 효소 0.2 g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교반한 뒤 25℃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2]
티로시나아제 저해율(Inhibitory activity, %) = [1-시료OD/ 대조군OD]*100
2-2.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 측정: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는 Wㆌsch와 Heidrich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0.1 M tris와 4 mM cacl2 혼합액에 1 M Hcl을 첨가하여 buffer의 PH를 7.5로 조정하였다. 제조된 buffer에 기질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1.2 mg/mL)와 효소 collagenase(0.4 mg/mL)를 제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 L-ascorbic acid를 추출 시료의 고액비에 맞추어 제조하였다. 마이크로튜브에 조건별로 추출한 시료 0.05 g,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에는 시료대신 각각 증류수와 L-ascorbid acid를 첨가한 후 효소 0.075 g, 기질 0.125 g을 순서대로 첨가하여 교반한 뒤 37 ℃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20% citric acid 0.25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ethyl acetate 1.2 mL을 첨가하여 10 분간 RPM 120에 교반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만 분리하여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3]
콜라게나아제 저해율(Inhibitory activity, %) = [1-시료OD/ 대조군OD]*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66.78 87.72 36.72 30.65 31.69
콜라게나아제 저해율(%) 54.68 66.03 30.15 25.48 23.17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흰민들레 꽃 초음파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의 발효물이 실시예 1의 초음파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물이 우수한 결과를 보인 실시예 1 및 2와 반대로 비교예 3의 에탄올 발효물은 비교예 1의 초음파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율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발효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2.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발효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를 제시하기로 한다.
제조예 3: 화장수
실시예 2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화장수의 제조예는 하기 표 3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의 발효물 5.0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라이콜 3.0
피이지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폴리소르베이트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4: 로션
실시예 1의 탈지미세조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로션의 제조예는 하기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의 발효물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너트오일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5: 영양 크림
실시예 2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제조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의 발효물 1.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세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6: 에센스
실시예 2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조예는 하기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의 발효물 1.5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7: 마스크 팩용 유액
실시예 2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마스크 팩용 유액의 제조예는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의 발효물 1.0
폴리비닐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사이클로덱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마이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8)

  1.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물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20 내지 5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의 파워의 초음파기로 5 내지 60분 동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 시 추출온도는 5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민들레 꽃 추출물은 흰민들레 꽃 열수 추출물을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00086596A 2020-07-14 2020-07-14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49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96A KR102449136B1 (ko) 2020-07-14 2020-07-14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96A KR102449136B1 (ko) 2020-07-14 2020-07-14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483A true KR20220008483A (ko) 2022-01-21
KR102449136B1 KR102449136B1 (ko) 2022-09-29

Family

ID=8005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596A KR102449136B1 (ko) 2020-07-14 2020-07-14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1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200A (ja) * 1987-10-07 1989-04-13 Shirasagi Kagaku Gijutsu Kenkyusho:Kk 洗浄剤組成物
KR20170055368A (ko) 2015-11-11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저하 증상 완화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55366A (ko) 2015-11-11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5200A (ja) * 1987-10-07 1989-04-13 Shirasagi Kagaku Gijutsu Kenkyusho:Kk 洗浄剤組成物
KR20170055368A (ko) 2015-11-11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저하 증상 완화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55366A (ko) 2015-11-11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흰민들레 효능 성분, 민들레 차 먹는 법(2019.01.2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136B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4893A (ko) 복숭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
KR101821024B1 (ko)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6647A (ko) 와이셀라 시바리아 세포 용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293A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1721A (ko) 발효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80142B1 (ko)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2449136B1 (ko)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99204B1 (ko) 흑마늘대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28168B1 (ko) 표고버섯 추출물 및 고로쇠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17761B1 (ko) 홍해삼 유래 저염 펩타이드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8309A (ko) 괭생이모자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12332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995384B1 (ko) 명월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6212A (ko)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102619963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율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주름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743B1 (ko) 영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