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354A -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354A
KR20220008354A KR1020217042047A KR20217042047A KR20220008354A KR 20220008354 A KR20220008354 A KR 20220008354A KR 1020217042047 A KR1020217042047 A KR 1020217042047A KR 20217042047 A KR20217042047 A KR 20217042047A KR 20220008354 A KR20220008354 A KR 2022000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ransmission
screen
client
file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예 양
난 톈
즈창 샤오
잉옌 신
췬 왕
이창 구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전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전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3Image based installation; Cloning; Build to or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화면 전송 처리방법, 장치,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S301)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이와 페어링을 완료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S302);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03);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S304);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305)를 포함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업데이트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저장 공간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한다.

Description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9년 8월 9일에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제201910735830.1호의 중국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멀티미디어 처리의 기술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작업, 학습, 오락 등의 시나리오에서 화면 전송 조작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접속하면 소스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타겟 디바이스에 동기화하여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내용을 재생한다.
현재,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펌웨어에 프로그래밍되고, 사용자는 처음으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접속할 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소스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될 때, 일반적으로 새로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배포(distribute)하고, 사용자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삽입하며, 타겟 디바이스는 새로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 프로그래밍하고, 사용자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소스 디바이스에 수동으로 접속하여 새로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설치한다.
사용자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교환할 때,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업데이트되지 않았을 수 있고, 사용자는 다시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해야 하여 조작이 비교적 번거롭다.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기능이 비교적 많고, 사이즈도 비교적 크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비교적 많은 시간 소모를 초래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고정된 것이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저장 공간의 크기를 초과하지 못하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의 개발에 제한을 주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될 때 성능 제한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첫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되어,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projection interface)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 내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을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로더(loader)를 가동하는 단계 -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및/또는 업데이트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한다.
네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섯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로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여섯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설치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모듈;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업데이트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일곱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한 미설치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각각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연결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설치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을 포함한다.
여덟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로더를 가동하기 위한 로더 가동 모듈 -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 및/또는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아홉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 위치한 화면 전송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연결 모듈;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제2 연결 모듈;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설치 상태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기 위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처리 모듈;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하기 위한 화면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열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로더를 확인하는 로더 확인 모듈;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로더 프로그래밍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및/또는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된다.
열한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기 위한 로더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열두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첫 번째 방안 또는 두 번째 방안 중 어느 하나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열세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세 번째 방안 또는 다섯 번째 방안 중 어느 하나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열네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타겟 디바이스 또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전송 포트;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 통신 칩;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네 번째 방안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열다섯 번째 방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첫 번째 방안 또는 두 번째 방안 또는 세 번째 방안 또는 네 번째 방안 또는 다섯 번째 방안 중 어느 하나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접속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 경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할 수 있고,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한편,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여 소스 디바이스에 업데이트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바로 업데이트하면 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하는 번거로움이 필요하지 않아 업데이트 조작의 간편함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다른 한편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는 상기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프로그램의 기능은 안정적이고 빈번한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간편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시스템의 아키텍쳐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업데이트, 가동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이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아래에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출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이 필요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단지 본 출원과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였고, 전체적인 구조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시스템의 아키텍쳐 개략도이다.
도 1a와 같이, 화면 전송 시스템에서 소스 디바이스(110)는 화면 전송 조작을 위한 소스가 되는 디바이스이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는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타겟 디바이스(130)는 화면 전송을 조작하기 위한 목적의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소스 디바이스(100)는 비교적 강한 연산 능력을 구비하고, 개인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조작 시스템은 windows, Mac, Android(안드로이드), iO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110)에서 프레젠테이션(PPT), 작업문서(Word)등 파일을 제작,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소스 디바이스(110)의 스크린은 비교적 작고, 스피커 출력이 비교적 낮다. 예를 들면, 노트북의 스크린은 13.3인치, 14인치 및 15.6인치이고, 스피커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2W 내지 5W이다.
회의, 강연 등의 시나리오에서 장소가 넓고 재생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으며, 소스 디바이스(110)에서 파일을 재생하면, 인터페이스의 정보(예를 들면 글꼴, 그림 등)가 작고 소리가 작은 등의 문제가 쉽게 나타나 재생 효과가 비교적 좋지 않은 것을 초래한다.
타겟 디바이스(130)는 태블릿, 디스플레이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블릿은 두 개 또는 복수 개의 물리적 실체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실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태블릿은 터치 제어 기술을 통해 태블릿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대하여 조작 제어할 수 있어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고, 프로젝터, 전자 화이트보드, 스크린, 오디오, TV 및 화상 회의 단말기 등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통합하였다. 일반적으로 태블릿의 디스플레이는 용량성 스크린, 저항성 스크린 또는 전자기 스크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 제어 펜을 통해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에 대하여 터치 제어 조작을 할 수 있다.
태블릿에는 조작 시스템 자체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제3자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서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도 설치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유형 및 내용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전자 화이트보드 기능이 있고, 이는 전자 화이트보드 기능을 통해 쓰기, 그리기, 주석, 코스웨어 제작 및 전시 재생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태블릿은 회의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태블릿, 교육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태블릿일 수 있다.
회의에서 사용, 교육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은 회의, 교육의 업무 특성에 따라 태블릿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맞춤 제작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태블릿의 스크린에서 쓰기를 하는 동시에 그래픽 보조 기능 등의 디자인을 융합시켜 회의에서 고효율의 쓰기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태블릿 내에 원격 데스크톱 공유, 원격 기록의 실시간 동기화를 지원할 수 있는 카메라, 사운드 픽업(sound pickup) 및 앰프 등의 모듈을 내장하여 회의 내에서 원격으로 협업하고, 바운더리스(bounderless) 오피스의 요구를 만족한다.
타겟 디바이스(130)의 스크린은 비교적 크고, 스피커 출력도 비교적 높다. 예를 들면, 태블릿의 스크린은 대부분 55 내지 100인치이고, 스피커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30 내지 60W이다.
회의, 강연 등의 시나리오에서, 파일, 인터페이스의 정보(예를 들면 글꼴, 그림 등)를 타겟 디바이스(110)에서 재생하는 경우, 선명하고, 소리가 크며 재생 효과도 더 좋다.
따라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타겟 디바이스(130)로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110)의 연산 능력이 비교적 강하고 타겟 디바이스(130)의 멀티미디어 재생 효과가 비교적 좋다는 장점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는 전송 포트(121), 무선 통신 칩(122), 입력 유닛(123), 출력 유닛(124), 메모리(125), 프로세서(126) 등의 컴포넌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1b에 도시된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의 구조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 또는 일부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서로 다른 컴포넌트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는 USB Dongle(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동글)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 포트(121)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를 외부 장치로 하여 기타 디바이스의 포트에 접속한다. 예를 들면, USB 포트(타입 A, 타입 B, 타입 C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다. 전송 포트(122)는 다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에 입력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화면 전송 조작을 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110)일 수 있고, 페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타겟 디바이스(130)일 수 있다.
페어링은 타겟 디바이스(130)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에 대하여 인증하고, 타겟 디바이스(130)의 무선 접속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에 입력하는 것을 가리킨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가 전송 포트(121)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에 접속하는 경우, 스크린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소스 디바이스(110)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데이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110)에 전송할 수 있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가 전송 포트(121)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130)에 접속할 때, 페어링 데이터, 펌웨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타겟 디바이스(130)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페어링 데이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11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22)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고, Wi-Fi 칩, 블루투스 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중에서 Wi-Fi 칩은 2.4G 주파수 대역, 5G 주파수 대역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칩(122)은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와 타겟 디바이스(130)가 페어링된 후, 무선 통신 칩(122)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130)와 무선 연결을 수립할 수 있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는 상기 무선 연결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130)에서 데이터(예를 들면, 터치 데이터 등)를 수신하며, 데이터(예를 들면, 스크린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를 타겟 디바이스(130)에 입력한다.
입력 유닛(123)은 사용자의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123)은 기능 키(예를 들면, 화면 전송의 시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화면 전송의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 화면 전송의 중지를 제어하는 컨트롤), 터치 제어 패널, 조작 바 등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이러한 기능키는 하나의 버튼 키에 통합될 수 있고, 누르는 횟수, 누르는 시간, 누르는 빈도 등의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제어 기능을 구분한다.
출력 유닛(124)은 화면 전송의 상태, 예를 들면, 현재 화면 전송, 정지 화면 전송, 화면 미전송 등을 출력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출력 유닛(124)은 표시 램프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25)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5)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페어링, 스크린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터치 데이터 등을 전송)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페어링 데이터, 조작 식별자(identifier)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5)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기기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SSD)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6)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의 제어 센터이고, MPU(Micro Processor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연결 포트와 라인을 이용하여 전체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25)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의 운행 또는 실행 및 메모리(125)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의 각종 기능과 프로세스 데이터를 실행하여 컴퓨터 디바이스에 대하여 전체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는 충전 칩 등 기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소스 디바이스(110)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할 수 있고, 타겟 디바이스(130)에 화면 전송 서버를 설치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화면 전송 서버가 화면 전송 프로토콜을 준수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12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와 타겟 디바이스(130)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서로 다른 업무 시나리오, 예를 들면, 회의, 교육, 가족 오락 등에 대하여 화면 전송 프로토콜이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 전송 조작도 다르며, 또한 같은 업무 시나리오에 대하여 화면 전송 프로토콜이 변경될 수 있고, 화면 전송 조작은 서로 다른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화면 전송 서버 사이에서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면 전송 조작을 설명한다.
1.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기화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스크린 샷 조작(즉, 화면 녹화 조작)을 계속 실행하여 소스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데이터를 획득하고, 또한 소스 디바이스가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windows 시스템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GDI, mirror, ddraw 및 dxgi 등 방식을 통해 스크린 샷을 진행할 수 있다.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스크린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스크린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서버는 스크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2.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터치 제어 조작과 동기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서버는 터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데이터는 터치 포인트의 수량, 터치 포인트의 상태, 터치 포인트의 좌표(횡좌표 x와 종좌표 y를 포함) 및 터치 포인트의 압력 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터치 포인트의 좌표는 스크린 데이터가 타겟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따라 선형 축소 확대를 수행하고, 계산하여 터치 포인트의 좌표를 얻는다.
화면 전송 서버는 터치 데이터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터치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터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또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서버는 터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데이터를 제스처 신호로 전환한다.
화면 전송 서버는 제스처 신호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제스처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제스처 신호에 대응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제스처 신호는 페이지 넘기기 조작과 같이 현재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미리 설정한 유형(예컨대, PPT)의 파일에 대하여 지정된 조작을 실행하도록 소스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제스처 신호는 소스 디바이스가 조작 시스템의 키 이벤트를 시뮬레이션 하는 방식으로 제스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제스처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를 획득하는 것을 통해 키 이벤트를 키보드 프로토콜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키 이벤트는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키 이벤트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트리거하는 데에 사용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는 상황에 적용되고, 이 상황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각각,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며, 구체적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후,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칩(예컨대, Wi-Fi 칩)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예컨대, Wi-Fi 연결)을 수립한다. 이 방법은 화면 전송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면 전송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를 우선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은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가 서로 인증하고 상대방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것을 가리킨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대하여 기록할 수 있는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는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사이의 상호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주소 등과 같은 디바이스 주소 및 SSID(Service Set Identifier, 서비스 집합 식별자)와 같은 무선 접속 액세스 포인트 정보,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는 무선 접속 액세스 포인트로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통신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통신 연결되고, 통신 연결된 후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종의 페어링 방식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여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된다.
예를 들면,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접속된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임을 인증하면, 디바이스 주소, 무선 접속 액세스 포인트 정보 등 통신 파라미터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입력한다.
전송 포트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 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통해 페어링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페어링하는 경우, 페어링이 성공된 후에 사용자는 타겟 디바이스를 분리할 수 있고, 이후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로더로 명명되고, 로더는 S201 내지 S204의 방식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만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기에, 일반적인 상황에서 로더의 기능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기능보다 적고, 로더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작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이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며, 이와 동시에 로더를 가동할 수 있고, 로더가 가동될 때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S202,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하나의 독립된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클라이언트의 어셈블리에 속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타겟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소스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데이터, 타겟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조작 컨트롤 등을 포함한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 대하여 그 조작 시스템의 실행에 적합한 로더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될 때,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실행에 적합한 로더를 가동할 수 있다.
일종의 가동 방식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검출 서비스를 미리 레지스트하고, 상기 검출 서비스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할 때 소스 디바이스 내의 로더를 가동한다.
상술한 검출 서비스 가동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른 가동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windows 시스템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루트 디렉토리 내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파일(autorun.inf)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파일의 내용(예컨대, open 파라미터)은 로더를 가리켜,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소스 디바이스를 접속할 때, 소스 디바이스의 어셈블리(예컨대, AutoRun 어셈블리)는 상기 파일의 파라미터에 따라 로더를 가동하는 등,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검출 서비스를 가동하는 것 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필요에 따라 다른 가동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로더는 레지스트리를 기록하지 않을 수 있고, 일부 동적 라이브러리에 의존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는 소스 디바이스의 메모리로 판독되어 소스 디바이스의 환경에서 실행된다.
일부 데이터가 소스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의하여 판독되고, 나머지 일부 데이터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있으면, 상기 일부 데이터를 실행할 때,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서 로더의 나머지 일부 데이터를 판독하여 로더의 정상적인 실행을 보장한다.
로더가 가동된 후, 소스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종의 검출 방법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에는 설명 파일(예컨대, n래 파일)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확인 코드(예컨대, MD5(Message Digest Algorithm,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 제5판) 값), 프로그램 파일의 파일명,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검출 방식에서 설명 파일은 유일하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식별할 수 있고,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입력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설명 파일을 서치하여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설명 파일의 파일 정보는 지정된 파일명을 포함하고,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파일명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파일명의 파일을 검출하지 못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설명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검출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른 검출 방식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레지스트리(windows 시스템에서 경로가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또는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특정 키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판단 처리 방법 외에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다른 검출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S203,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공개하는 서버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타겟 디바이스에 전달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설치 파일을 지정된 목록에 저장한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서버는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 대하여 그 조작 시스템의 설치, 실행에 적합한 서로 다른 유형의 설치 파일을 공개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설치 파일을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타겟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유형의 설치 파일을 지정된 목록에 저장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확장성을 증가시키고 편리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부분적인 기능을 플러그인으로 맞춤화할 수 있다. 즉,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메인 프로그램과 플러그인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설치 파일은 설치 팩(Install pack)이다. 즉, 파일의 집합을 자동으로 압축 해제할 수 있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한 모든 파일(메인 프로그램,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그램, 플러그인,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포함한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정, 바로 가기 등의 실행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설치에 대하여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일 수 있고, 메인 프로그램과 플러그인의 프로그램 파일일 수도 있다.
예시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자체가 위치한 파일을 가리킬 수 있고,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서 부분 프로그램 파일의 형식도 다소 다르다.
예를 들면, windows 시스템에서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은 exe파일과 같은 실행가능한 파일이고, 플러그인의 프로그램은 파일은 DLL(Dynamic Link Library, 파일은 다이내믹 링크 라이브러리) 파일과 같은 라이브러리 파일이다.
Mac 시스템에서,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은 실행가능한 파일이고, 플러그인의 프로그램 파일은 실행가능한 파일이다.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는 경우, 설치 요청을 생성할 수 있고,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설치 요청을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설치 요청에 응답하여, 지정된 목록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서치하고,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설치 파일을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설치 파일을 로더에 송신할 수 있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로더는 설치 요청에서 식별자로 조작 시스템의 유형을 지시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설치 요청에서 상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지정된 목록에서 상기 식별자가 표시하는 유형과 매칭되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서치하여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S204,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한다.
로더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한 후,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설치 파일을 설치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구현하도록 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설치 파일이 설치 팩이면 상기 설치 팩을 실행할 수 있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모든 파일(메인 프로그램,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그램, 플러그인,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소스 디바이스의 설치 목록에 해제하고, 레지스트리 수정, 시스템 설정 수정, 바로 가기 생성 등의 작업을 완료한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설치 파일이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면,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 또는 메인 프로그램과 플러그인의 프로그램 파일을 포함한다.
이때, 프로그램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할 수 있고, 설명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프로그램 파일이 DAT 파일과 같은 압축 파일이면, 프로그램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할 때, 프로그램 파일에 대하여 압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이와 페어링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면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고, 설치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 내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사항이 일치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설명 파일을 구성하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고,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외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데에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검출 시간이 짧다.
그 다음으로,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고, 설명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며,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정, 바로 가기 등의 설정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를 즉시 구현할 수 있어 안전한 어플리케이션이 위험한 조작으로 간주되어 차단되는 확률을 감소시키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되는 성공률을 보장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화면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상황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각각,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및 그와 페어링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는 페어링되고, 이후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칩(예컨대, Wi-Fi 칩)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예컨대, Wi-Fi 연결)을 수립한다. 상기 방법은 화면 전송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등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로더로 명명되며, 상기 로더는 S301 내지 S304의 방식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한다.
단계 S301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처리 과정은 실시예 1의 단계 S201과 같기에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302,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설명 파일의 파일 정보는 지정된 파일명을 포함하고,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파일명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파일명의 파일을 검출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설명 파일이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단계 S302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처리 과정은 실시예 1의 단계 S202를 참고할 수 있기에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303,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배포한 서버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업데이트 파일을 지정된 목록에 저장한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서버는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 대하여 설치, 실행에 적합한 서로 다른 유형의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조작 시스템에 배포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업데이트 파일을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타겟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유형의 업데이트 파일을 지정된 목록에 저장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확장성을 증가시키기고 편리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부분적인 기능을 플러그인으로 맞춤화할 수 있다. 즉,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메인 프로그램과 플러그인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은 업데이트 팩이다.
본 예시에서, 상기 업데이트 팩은 새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팩(Install pack)이다. 즉, 파일의 집합을 자동으로 압축 해제할 수 있으며, 그 중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설치의 모든 파일(메인 프로그램,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그램, 플러그인,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포함한다.
상기 업데이트 팩은 차분 팩(patch)일 수도 있고, 상기 차분 팩은 새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구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사이의 차분을 포함한다.
다른 일 예시에서, 상기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정, 바로 가기 등의 실행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업데이트에 대하여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일 수 있고, 플러그인의 프로그램 파일일 수도 있다.
상기 예시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자체가 위치한 파일을 가리킬 수 있고,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서 일부 프로그램 파일의 형식도 다소 다르다.
예를 들어, windows 시스템에서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은 exe 파일과 같은 실행가능 파일이고, 플러그인의 프로그램은 DLL 파일과 같은 라이브러리 파일이다.
Mac 시스템에서, 메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은 실행가능한 파일이고, 플러그인의 프로그램 파일은 실행가능한 파일이다.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됨을 확인하였을 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화면 전송 조작의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업데이트는 버전의 업그레이드를 가리키고, 일부 상황에서 업데이트는 버전의 되돌림을 가리킬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새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취약점이 비교적 엄중하고 상기 취약점을 해결하지 못하였으면 버전의 되돌림을 통해 화면 전송 조작의 정상적인 실행을 보장할 수 있고; 또는 새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소스 디바이스가 호환성 문제가 존재하고, 상기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으면, 버전의 되돌림을 통해 화면 전송 조작의 정상적인 실행 등을 보장할 수 있다.
업데이트할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으로, 로더는 설명 파일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로더는 버전 검색 요청을 생성할 수 있고,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버전 검색 요청을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버전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지정된 목록의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고,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로더에 송신할 수 있다.
로더는 제1 버전과 제2 버전에 대하여 비교를 하고,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다르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 즉, 제2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그램 파일을 구비할 수 있고, 로더는 프로그램 파일에 대하여 일일이 버전의 비교를 하여 상기 프로그램 파일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 파일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고, 타겟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며, 제1 버전과 제2 버전이 다르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제2 버전이 타겟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버전이며, 제1 버전과 제2 버전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 사항이 일치하도록 유지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업데이트할 상태의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른 업데이트할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windows 시스템에서 로더가 powershell 또는 cmd에서 -version 명령을 사용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버전 정보를 검출하여 제1 버전으로 하고, 타겟 디바이스의 제2 버전과 비교하거나, 또는 로더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제1 버전을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제1 버전과 제2 버전을 비교하며 타겟 디바이스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여 로더를 통지하는 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업데이트할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 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요구에 따라 다른 업데이트할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S304,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한다.
로더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때, 업데이트 요청을 생성할 수 있고,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요청을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지정된 목록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서치하고,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파일을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업데이트 파일을 로더에 송신할 수 있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로더는 업데이트 요청에서 식별자로 조작 시스템의 유형을 지시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업데이트 요청에서 식별자를 추출하고, 지정된 목록에서 식별자가 표시하는 유형과 매칭되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서치하여 소스 디바이스가 업데이트 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S305,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한다.
로더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한 후, 소스 디바이스에서 업데이트 파일을 사용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이 업데이트 팩이면 상기 업데이트 팩을 실행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상기 업데이트팩이 새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팩이면, 상기 설치 팩을 실행할 수 있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모든 파일(메인 프로그램,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로그램, 플러그인, 설명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소스 디바이스의 설치 목록에 해제하고, 레지스트리 수정, 시스템 설정 수정, 바로 가기 생성 등의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 업데이트 팩이 차분 팩이면, 상기 차분 팩을 실행할 수 있고, 구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캐시에 복사하고, 구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차분 팩을 조합하여 새 버전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파일은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정, 바로 가기 등의 실행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예시에서, 로더는 설치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설치 목록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으로, 업데이트 파일의 프로그램 파일을 설치 목록의 프로그램 파일에 대체하여 프로그램 파일의 업데이트를 구현한다.
다른 한편으로, 업데이트 파일의 설명 파일을 설치 목록의 설명 파일에 대체하여 설명 파일과 프로그램 파일이 일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이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며, 타겟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면,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며, 한편으로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업데이트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할 때,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면 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빈번하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어 업데이트 조작의 간편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는 상기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프로그램의 기능은 안정적이고 빈번하게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어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간편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연결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사항이 일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설명 파일을 구성하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며, 설명 파일을 서치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이미 설치됨을 확인하고,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외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데에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검출 시간이 짧다.
그 다음으로,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파일, 설명 파일을 대체하는 것을 통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며,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정, 바로 가기 등의 설정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를 즉시 구현할 수 있어 안전한 어플리케이션이 위험한 조작으로 간주되어 차단되는 확률을 감소시키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성공률을 보장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화면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 2를 기초로 화면 전송 처리 조작을 가동하는 것을 추가하였다.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401,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한다.
S402,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됨을 확인한다.
여기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한다.
S403,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로더가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잇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화면 전송 조작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으로, 로더는 설명 파일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로더는 버전 검색 요청을 생성할 수 있고,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상기 버전 검색 요청을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버전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지정된 목록의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무선 연결(예컨대, Wi-Fi)을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로더에 송신한다.
로더는 제1 버전과 제2 버전에 대하여 비교를 하고,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같으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그램 파일을 구비할 수 있고, 로더는 프로그램 파일에 대하여 일일이 버전의 비교를 하며, 모든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이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하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행가능한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른 실행가능한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windows 시스템에서 로더가 powershell 또는 cmd에서 -version 명령을 사용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버전 정보를 검출하여 제1 버전으로 하고, 타겟 디바이스의 제2 버전과 비교하거나, 또는 로더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제1 버전을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제1 버전과 제2 버전을 비교하며 타겟 디바이스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여 로더에 통지하는 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행가능한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 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다른 실행가능한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S404,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한다.
로더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함을 확인한 후,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할 수 있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소스 디바이스의 환경에서 실행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구현하도록 한다.
일종의 가동 방식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로더는 설명 파일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가동 파라미터에 따라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indows 시스템에서, WinExec, ShellExecute createprocessasuse 등 함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할 때 상기 프로그램 파일에 가동 파라미터를 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면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였는지 여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연관된 조건에 부합하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안정성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설명 파일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고, 타겟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며, 제1 버전과 제2 버전이 같으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제2 버전은 타겟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버전이며, 제1 버전과 제2 버전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사항이 일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가동 파라미터에 따라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하여 프로그램 파일의 확장성을 향상시켜 프로그램 파일의 정상적인 가동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로더를 가동하고 로더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화면 전송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스 디바이스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501,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선 RegCreateKeyEx, RegSetKeyValue를 통해 검출 서비스 프로그램을 소스 디바이스의 레지스트리에 입력하여 상기 검출 서비스가 가동 항목이 되도록 하여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 대하여 그 조작 시스템의 실행에 적합한 검출 서비스를 레지스트할 수 있다.
일종의 레지스트 방식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우선 검출 서비스를 프로그래밍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처음으로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할 때, 사용자는 수동으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중의 검출 서비스를 가동하고, 상기 검출 서비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검출 서비스를 레지스트하는 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검출 서비스를 레지스트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에서 브라우저 등 클라이언트를 가동하고, 상기 검출 서비스를 공개하는 서버에서 검출 서비스를 다운로드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레지스트하는 등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방식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구성 파일(예컨대, config 파일)을 먼저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구성 파일에 로더의 파일명(스트링)을 입력한다.
이 방식에서 검출 서비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에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USB 포트를 예로 들면, 외부 디바이스가 USB 포트에 삽입될 때, windows 시스템은 전역 메시지(global message) WM_DEVICECHANGE를 생성하고, 모니터링 서비스는 전역 메시지 WM_DEVICECHANGE의 wParam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고, DBT_DEVICEARRIVAL이면 외부 디바이스가 삽입되어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역 메시지 WM_DEVICECHANGE의 lParam 파라미터를 다시 확인하여 DBT_DEVTYP_VOLUME이면 DEV_BROADCAST_VOLUME 구조의 볼륨 번호(volume number) dbcv_unitmask를 추출하여 어떤 볼륨이 삽입되었는지 알 수 있다.
검출 서비스는 외부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한 후 외부 장치에 지정된 구성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구성 파일은 "uwstconfig"와 같은 지정된 파일명을 구비하고,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파일명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명의 파일을 검출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구성 파일이 있음을 확인한다.
외부 디바이스에 지정된 구성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외부 파일이 화면 전송 디바이스임을 확인한다.
외부 디바이스에 지정된 구성 파일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외부 파일이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아님을 확인한다.
상술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결정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른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Type C 포트에 대하여 레벨 신호에 따라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외부 디바이스의 명칭에 따라 화면 전송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방식 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다른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예컨대, Wi-Fi 연결)을 통해 이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S502,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로더를 가동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로더로 명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만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기능은 구비하지 않고,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 로더의 기능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기능보다 적고, 로더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작다.
검출 서버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할 때,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로더를 가동할 수 있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 대하여 그 조작 시스템의 실행에 적합한 로더를 가동할 수 있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할 때,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에서 실행이 적합한 로더를 가동할 수 있다.
일종의 가동 방식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구성 파일(예컨대, config 파일)을 먼저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구성 파일에 로더의 파일명(스트링)을 입력한다.
이 방식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성 파일에서 지정된 스트링을 판독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명칭이 상기 스트링인 로더를 가동할 수 있다.
구성 파일을 통해 가동을 하는 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로더를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로더는 지정된 목록에 저장되고, 검출 서비스는 상기 목록을 서치하였을 때, 상기 목록에 위치한 로더를 가동하는 등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타겟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소스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데이터, 타겟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조작 컨트롤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로더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입력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고, 또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 또는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며;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 또는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며,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다르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같으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로더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팩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고;
상기 설명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설치와 실시예 1의 응용이 기본적으로 유사하기에 설명을 비교적 간단하게 하고, 관련 내용은 실시예 1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실제 응용의 구현에서, 로더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한다.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설치 목록을 확인하고, 상기 설치 목록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의 프로그램 파일에 대체하며;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설명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의 설명 파일에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됨을 확인한 후,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는 것은,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상기 가동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실시예 2, 실시예 3의 응용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에 설명을 비교적 간단하게 하고, 관련 내용은 실시예 2, 3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경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로더를 가동하고 액세스 조작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로더의 실행을 트리거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더를 가동할 필요가 없어 화면 전송 조작의 간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로더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하며, 또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할 때,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면 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빈번하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어 업데이트 조작의 간편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는 로더에 영향을 주지 않고, 로더의 기능은 안정적이고 빈번하게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어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간편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사항이 일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구성 파일을 설정하고, 외부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고, 외부 디바이스에 지정된 구성 파일이 있으면 외부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임을 확인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검출 시간이 짧다.
그 다음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성 파일에서 지정된 스트링을 판독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명칭이 상기 스트링인 로더를 가동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로더를 신속하게 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구성 파일은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로더의 가동을 지시하는 데에 동시에 사용되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로더를 프로그래밍하는 상황에 적용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화면 전송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타겟 디바이스, 개인 컴퓨터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601, 로더를 확인한다.
S602,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각각,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칩(예컨대, Wi-Fi 칩)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예컨대, Wi-Fi 연결)을 수립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타겟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개인 컴퓨터)에 접속되면,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는 것은,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는 것은 실시예 1의 응용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에 설명을 비교적 간단하게 하고, 관련 내용은 실시예 1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602에서,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는 처리 과정은 실시예 4의 단계 S502를 참조할 수 있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실시예 2, 3의 응용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에 설명을 비교적 간단하게 하고, 관련 내용은 실시예 2, 3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로더를 프로그래밍하여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하며, 또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할 때,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면 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빈번하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어 업데이트 조작의 간편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는 로더에 영향을 주지 않고, 로더의 기능은 안정적이고 빈번하게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어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간편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사항이 일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 5를 기초로 하여 검출 서비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처리 조작을 증가하였다.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701, 로더를 확인한다.
S702,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한다.
S703, 검출 서비스를 확인한다.
S704, 상기 검출 서비스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개인 컴퓨터)에 접속하고, 검출 서비스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windows, Mac, Android, iOS 등과 같이 소스 디바이스의 조작 시스템의 유형이 비교적 많기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메모리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의 호환을 위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조작 시스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유형에 적합한 조작 시스템의 레지스트를 프로그래밍하여 검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검출 서비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면 로더를 가동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검출 서비스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로더를 가동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것은,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지정된 구성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임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로더를 가동하는 것은,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성 파일에서 지정된 스트링을 판독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명칭이 상기 스트링인 로더를 가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는 것은 실시예 4의 응용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기에 설명은 비교적 간단하게 하고, 관련 내용은 실시예 4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검출 서비스를 프로그래밍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할 때, 로더를 가동하고 검출 서비스의 기능은 간단하고 사이즈가 작아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검출 서비스를 캐리하며, 소스 디바이스에 삽입할 때 바로 레지스트되어 로더를 간편하게 가동하며 사용자가 다른 루트를 통해 수동으로 검출 서비스를 다운로드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아 화면 전송 조작의 간편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후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상황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화면 전송 처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고, 상기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하여 실행되고,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801,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다.
단계 S801에서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는 처리 과정은 실시예 1의 단계 S201의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를 페어링하는 처리 과정과 같기에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802,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
단계 S802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것을 확인하는 처리 과정은 실시예 1의 단계 S201의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처리 과정과 같기에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803,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한다.
단계 S803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는 처리 과정은 실시예 1의 단계 S202의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미설치함을 확인하는 처리 과정, 단계 S203의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는 처리 과정, 실시예 2의 단계 S303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는 처리 과정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804,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일종의 상황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되면,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고, 설치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한다.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이미 설치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으면,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한다.
또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이미 설치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한다.
단계 S804의 처리 과정은 실시예 1의 단계 S203, 단계 S204, 실시예 2의 단계 S304, 단계 S305 및 실시예 3의 단계 S404의 처리 과정을 포함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S805,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PPT(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PDF(Portable Document Format,휴대용 문서 형식), word 등 문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재생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GDI, mirror, ddraw 및 dxgi 등 방식을 통해 스크린 샷 조작을 하여 스크린 샷 조작의 스크린 데이터를 획득하여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로 하며, 전송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통해 화면 전송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예컨대, Wi-Fi 연결)을 통해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것을 확인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며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소스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으로,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자체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타겟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은 일반적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사이즈보다 훨씬 크기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보장하고 화면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업데이트할 때,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면 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서 빈번하게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어 업데이트 조작의 간편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는 상기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프로그램의 기능은 안정적이고 빈번하게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어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간편성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와 타겟 디바이스의 요구사항이 일치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화면 전송 조작의 적응성을 보장함으로써 버전 호환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설명 파일을 구성하고,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며, 설명 파일을 서치하면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이미 설치 또는 미설치됨을 확인하고,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외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데에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검출 시간이 짧다.
그 다음으로,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파일, 설명 파일을 저장 또는 대체하는 것을 통해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며 레지스트리, 시스템 설정, 바로 가기 등의 설정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업데이트를 즉시 구현할 수 있어 안전한 어플리케이션이 위험한 조작으로 간주되어 차단되는 확률을 감소시키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성공률을 보장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화면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9와 같이 아래에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업데이트, 가동 방법을 설명한다.
본 예시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우선 검출 서비스, 로더를 프로그래밍하였다.
S901에서, 서버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배포하고,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 설명 파일을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 설명 파일을 저장한다.
S902에서, 타겟 디바이스는 무선 접속 액세스 포인트로 하는 것을 유지하고,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USB 포트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에 삽입되고,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IP주소, SSID 및 비밀번호를 기록한다.
S903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분리되고, USB 포트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되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SSID와 비밀번호의 검증을 성공한 후, 타겟 디바이스와 Wi-Fi 연결을 수립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검출 서비스를 가동하고, 상기 검출 서비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되고, 가동 항목으로서 소스 디바이스의 가동에 따라 가동되고, 백그라운드에서의 실행을 유지한다.
S904에서, 검출 서비스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검출하여 S905에서 검출 서비스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로더를 가동한다.
S906에서,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되면 S909를 실행하고, 검출 못하면 S907을 실행한다.
S907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되면,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는 설치 파일을 획득한다.
S908에서, 로더는 설치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에 저장, 즉,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를 완료한다.
S909에서,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에 기록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한다.
S910에서,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에 기록한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한다.
S911에서,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와 타겟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비교한다.
만약 두 개의 버전 정보가 같으면 S914를 실행하고, 두 개의 버전 정보가 다르면 S912를 실행한다.
S912에서, 로더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버전 정보에 차이가 존재하는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한다.
S913에서, 로더는 업데이트 파일을 사용하여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 즉, 타겟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에 대체한다.
S914에서, 로더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에 기록한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상기 가동 파라미터를 프로그램 파일에 입력하여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함으로써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한다.
S915에서,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스크린 샷 조작을 실행하여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한다.
S916에서,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USB 포트를 통해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S917에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Wi-Fi 연결을 통해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타겟 디바이스(IP주소)로 송신한다.
S918에서,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 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1001)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함 -;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한 미설치 확인 모듈(1002)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설치 파일 획득 모듈(1003);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상기 설치 파일을 설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1004)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설치 확인 모듈(1002)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입력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파일 정보 서치 서브 모듈;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기 위한 설명 파일 서치 서브 모듈;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기 위한 미서치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완료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903)은,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저장 서브 모듈;
상기 설명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기 위한 설명 파일 저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실행 방법에 상응하는 기능 모듈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9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1101)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이와 페어링을 완료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함 -;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됨을 확인하기 위한 설치 확인 모듈(1102)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모듈(1103);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업데이트 파일 획득 모듈(1104);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1105)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확인 모듈(1102)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입력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파일 정보 서치 서브 모듈;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기 위한 설명 파일 서치 서브 모듈;
상기 설명 파일이 서치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됨을 확인하기 위한 서치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완료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상태 확인 모듈(1103)은,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기 위한 제1 버전 판독 서브 모듈;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기 위한 제2 버전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다르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업데이트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1104)은,
설치 목록을 확인하고, 상기 설치 목록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설치 목록 확인 서브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의 프로그램 파일로 대체하기 위한 프로그램 대체 서브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설명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의 설명 파일로 대체하기 위한 설명 파일 대체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는 실행 상태 확인 모듈;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가동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상태 확인 모듈은,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기 위한 제1 버전 판독 서브 모듈;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기 위한 제2 버전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같으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실행가능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가동 모듈은,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는 가동 파라미터 판독 서브 모듈;
상기 가동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하는 가동 파라미터 가동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상응하는 기능 모듈 및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장치는 아래의 모듈,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1201)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이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로더를 가동하기 위한 로더 가동 모듈(1202) -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확인 모듈(1201)은,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외부 디바이스 접속 확인 서브 모듈;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지정된 구성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임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 파일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더 가동 모듈(1202)은,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성 파일에서 지정된 스트링을 판독하기 위한 스트링 판독 서브 모듈;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명칭이 상기 스트링인 로더를 가동하기 위한 스트링 가동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상응하는 기능 모듈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1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장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 위치하고,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페어링 모듈(1301);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연결 모듈(1302);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설치 상태 확인 모듈(1303);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기 위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처리 모듈(1304);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 전송 모듈(130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어링 모듈(1301)은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저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모듈(1305)은,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조작 응답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어링 모듈 설치 상태 확인 모듈(1303)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입력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파일 정보 서치 서브 모듈;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기 위한 설명 파일 서치 서브 모듈;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됨을 확인하기 위한 미서치 확인 서브 모듈;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됨을 확인하기 위한 서치 확인 서브 모듈;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서브 모듈;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같으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확인 서브 모듈은,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기 위한 제1 버전 판독 서브 모듈;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기 위한 제2 버전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다르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업데이트할 확인 서브 모듈;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같으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실행가능 확인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처리 모듈(1304)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기 미설치되면,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설치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 또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업데이트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가동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은,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일 저장 서브 모듈;
상기 설명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기 위한 설명 파일 저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은,
설치 목록을 확인하고, 상기 설치 목록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설치 목록 확인 서브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의 프로그램 파일로 대체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일 대체 서브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설명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의 설명 파일로 대체하기 위한 설명 파일 대체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과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가동 모듈은,
상기 실행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설명 파일에서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기 위한 가동 파라미터 판독 서브 모듈;
상기 가동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하기 위한 가동 파라미터 가동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상응하는 기능 모듈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2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장치는 아래의 모듈,
로더를 확인하기 위한 로더 확인 모듈(1401);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이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로더 프로그래밍 모듈(1402)을 포함하고,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검출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한 검출 서비스 확인 모듈;
상기 검출 서비스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검출 서비스 프로그래밍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서비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할 때, 상기 로더를 가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상응하는 기능 모듈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이 제공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각각,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로더(1501)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할 때 상기 로더를 가동하는 검출 서비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상응하는 기능 모듈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4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과 같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메모리(1601), 통신 모듈(1602), 입력 장치(1603) 및 출력 장치(1604)를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메모리(1601), 통신 모듈(1602), 입력 장치(1603) 및 출력 장치(16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6은 버스를 통해 연결된 예이다.
메모리(1601)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이 대응하는 모듈(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접속 확인 모듈(1001), 미설치 확인 모듈(1002), 설치 파일 획득 모듈(1003),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1004); 또는 도 11과 같이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접속 확인 모듈(1101), 설치 확인 모듈(1102), 업데이트 상태 확인 모듈(1103), 업데이트 파일 획득 모듈(1104),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1105))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로딩될 수 있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프로세서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의 실행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여 상술한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601)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조작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화면 전송 디바이스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기기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601)는 프로세서(1600)에 대하여 원격으로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로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모듈(160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을 수립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데이터와 상호 작용을 실현한다. 입력 장치(1603)는 입력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이 있는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상응하는 기능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5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과 같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700), 메모리(1701), 통신 모듈(1702), 입력 장치(1703) 및 출력 장치(1704)를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700)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도 17은 프로세서(1700)를 예로 들고,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700), 메모리(1701), 통신 모듈(1702), 입력 장치(1703) 및 출력 장치(17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7은 버스를 통해 연결된 예이다.
메모리(1701)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이 대응하는 모듈(예를 들면, 도 12와 같이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접속 확인 모듈(1201), 로더 가동 모듈(1202); 또는 도 14와 같이 화면 전송 처리 장치의 로더 확인 모듈(1401), 로더 프로그래밍 모듈(1402))이다. 프로세서(1700)는 메모리(170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의 실행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여 상술한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701)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조작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기기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701)는 프로세서(1700)에 대하여 원격으로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로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모듈(170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을 수립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데이터와 상호작용을 실현한다. 입력 장치(1703)는 입력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이 있는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상응하는 기능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6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이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과 같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800), 메모리(1801), 통신 모듈(1802), 입력 장치(1803), 출력 장치(1704), 전송 포트(1805) 및 무선 통신 칩(1806)을 포함하고, 전자디바이스의 프로세서(1800)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도 18은 프로세서(1800)를 예로 들고, 전자디바이스의 프로세서(1800), 메모리(1801), 통신 모듈(1802), 입력 장치(1803) 및 출력 장치(18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으며, 도 18은 버스를 통해 연결된 예이다.
메모리(1801)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이 대응하는 모듈(예를 들면, 도 13과 같이 페어링 모듈(1301), 연결 모듈(1302), 설치 상태 확인 모듈(1303),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처리 모듈(1304) 및 화면 전송 모듈(1305))이다. 프로세서(1800)는 메모리(180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의 실행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여 상술한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801)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조작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0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기기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801)는 프로세서(1800)에 대하여 원격으로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로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모듈(180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결을 수립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데이터와 상호작용을 실현한다. 입력 장치(1803)는 입력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이 있는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 포트(1805)는 전자 디바이스를 외부 장치로 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포트에 접속되고, 타겟 디바이스 또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한다.
무선 통신 칩(1806)은 Wi-Fi 칩, 블루투스 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중에서 Wi-Fi 칩은 2.4G 주파수 대역, 5G 주파수 대역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상응하는 기능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실시예 17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방법은,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중의 로더를 가동하는 단계 -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을 포함한다.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방법은,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종의 상황에서, 상기 방법은,
로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이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서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의 관련된 조작을 더 실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및 요구되는 범용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며, 복수의 상황에서 전자는 더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 플로피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FLASH),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여러 개의 명령을 포함하여 컴퓨터 디바이스(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일 수 있음)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주의할 것은, 상술한 화면 전송 처리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포함한 각 유닛 및 모듈은 단지 기능 로직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상술한 구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 되고, 다른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도 서로 구분을 간편화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Claims (30)

  1. 화면 전송 처리 방법으로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projection interface)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입력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는 단계 -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설명 파일이 서치된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다고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완료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설명 파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는 단계;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는 단계;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다고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설치 목록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설치 목록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업데이트 파일 중의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 중의 프로그램 파일에 대체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파일 중의 설명 파일을 상기 설치 목록 중의 설명 파일에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실행 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설명 파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판독하여 제1 버전으로 하는 단계;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여 제2 버전으로 하는 단계;
    상기 제1 버전과 상기 제2 버전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다고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설명 파일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가능한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설명 파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파일의 가동 파라미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가동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가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9. 화면 전송 처리 방법으로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되어,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입력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일 정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에서 설명 파일을 서치하는 단계 - 상기 설명 파일은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설명 파일을 서치하지 못한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다고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완료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파일은 프로그램 파일 및 설명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명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의 지정된 설치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3. 화면 전송 처리 방법으로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로더(loader)를 가동하는 단계 -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되어,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함 -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 내에 지정된 구성(configuration)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화면 전송 디바이스임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로더를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로부터의 구성 파일에서 지정된 스트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그리고 명칭이 상기 스트링인 로더를 가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6.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에 있어서,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완료하는 것은,
    타겟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를 획득 및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19. 화면 전송 처리 방법으로서,
    로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검출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출 서비스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서비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레지스트되고,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로더를 가동하는, 화면 전송 처리 방법.
  21. 화면 전송 장치로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이미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설치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할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모듈;
    상기 업데이트할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업데이트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따라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모듈
    을 포함하는, 화면 전송 장치.
  22. 화면 전송 장치로서,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소스 디바이스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한 미설치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설치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하도록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설치 모듈
    을 포함하는, 화면 전송 장치.
  23. 화면 전송 장치로서,
    화면 전송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됨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의 로더를 가동하기 위한 로더 가동 모듈 -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을 포함하는, 화면 전송 장치.
  24. 화면 전송 디바이스 내에 위치한 화면 전송 처리 장치로서,
    타겟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페어링 모듈;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된 것을 확인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연결 모듈;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설치 상태 확인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됨 -;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기 위한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 처리 모듈;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하기 위한 화면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
  25. 화면 전송 처리 장치로서,
    로더를 확인하기 위한 로더 확인 모듈;
    상기 로더를 화면 전송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로더 프로그래밍 모듈 -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데에 사용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로더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 내에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및/또는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되는, 화면 전송 처리 장치.
  26.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그와 페어링이 완료된 타겟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로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설치 파일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게 하기 위한 로더 - 상기 화면 전송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면 전송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전송 조작을 실행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
  27.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28. 전자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제13항 내지 제15항 또는 제19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29. 화면 전송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타겟 디바이스 또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전송 포트;
    타겟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 통신 칩;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화면 전송 디바이스.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면 전송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42047A 2019-08-09 2019-12-13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20220008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35830.1A CN110442366B (zh) 2019-08-09 2019-08-09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201910735830.1 2019-08-09
PCT/CN2019/125032 WO2021027205A1 (zh) 2019-08-09 2019-12-13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354A true KR20220008354A (ko) 2022-01-20

Family

ID=6843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047A KR20220008354A (ko) 2019-08-09 2019-12-13 화면 전송 처리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07776A1 (ko)
EP (1) EP3971707A4 (ko)
JP (1) JP7346606B2 (ko)
KR (1) KR20220008354A (ko)
CN (1) CN110442366B (ko)
AU (1) AU2019461393B2 (ko)
WO (1) WO2021027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2366B (zh) * 2019-08-09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061447A (zh) * 2019-12-18 2020-04-24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无线传屏方法、装置及系统
CN111935271A (zh) * 2020-08-04 2020-11-13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数据更新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306437A (zh) * 2020-10-27 2021-02-02 深圳前海茂佳软件科技有限公司 终端投屏方法、装置、设备、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32381B (zh) * 2020-12-30 2023-09-05 湖北盟道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课堂的桌面数据采集方法及系统
TWI788930B (zh) * 2021-07-29 2023-01-01 費米股份有限公司 共享裝置及其近端存取方法
CN114979115B (zh) * 2022-05-05 2024-03-26 北京精一强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uacamole的远程操作屏幕录制与回放系统和方法
CN115495307B (zh) * 2022-08-26 2023-05-30 深圳市旭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传屏数据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166B2 (ja) * 1996-07-02 2000-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ソフトウェア・バージョン管理方式
US20060031779A1 (en) * 2004-04-15 2006-02-09 Citrix Systems, Inc. Selectively sharing screen data
US20060002315A1 (en) * 2004-04-15 2006-01-05 Citrix Systems, Inc. Selectively sharing screen data
JP2005346450A (ja) 2004-06-03 2005-12-15 Alps Electric Co Ltd 無線伝送機器
US7921420B2 (en) 2005-04-29 2011-04-0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imaging device drivers on one or more computer systems
US8732236B2 (en) * 2008-12-05 2014-05-20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Managing network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 nodes and stream transport protocol
US20100064228A1 (en) * 2008-09-11 2010-03-11 Ely Tsern Expandable system architecture comprising a handheld computer device that dynamically generates different user environments with secondary devices with displays of various form factors
US9143341B2 (en) * 2008-11-07 2015-09-22 Opanga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data storage devices that automatically initiate data transfers utilizing host devices
US8185828B2 (en) * 2009-04-08 2012-05-22 Cisco Technology, Inc. Efficiently sharing windows during online collaborative computing sessions
CN101620522A (zh) * 2009-07-20 2010-01-06 大道计算机技术(上海)有限公司 运行具有投屏功能的移动存储器的控制方法
JP5333035B2 (ja) 2009-08-12 2013-11-06 株式会社リコー リモート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機器、プログラム更新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706241B2 (en) * 2009-09-29 2017-07-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of a mobile device to a display screen associated with a set-top-box device
TW201133334A (en) * 2010-03-26 2011-10-01 Cywee Group Ltd Data transmit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5069336B2 (ja) * 2010-05-20 2012-11-07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8977206B2 (en) * 2010-12-08 2015-03-10 Gobe Cam Limited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108084A1 (en) * 2012-10-12 2014-04-17 Crestron Electronics, Inc. Initiating Schedule Management Via Radio Frequency Beacons
JP2012247986A (ja) * 2011-05-27 2012-12-13 Nec Corp 画面送信装置、画面受信装置及びそれらを含む画面転送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方法
US20130007224A1 (en) * 2011-06-30 2013-01-03 Yuanjie Yang Lightweight Method for Out-Of-Band Management of a Remote Computer with a Mirror of Remote Software Resources
US10983747B2 (en) * 2011-07-15 2021-04-20 Vmware, Inc. Remote desktop mirroring
JP2013025460A (ja) 2011-07-19 2013-02-04 Oki Data Corp 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のインストール方法
TW201317879A (zh) * 2011-10-20 2013-05-01 Magic Control Technology Corp 觸控裝置之同步操作系統及方法
KR20130053185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 간의 상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990406B2 (en) * 2012-02-24 2015-03-24 Wyse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sharing using near proximity communication
US9100822B2 (en) * 2012-02-24 2015-08-04 Wyse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sharing using visual tags
KR101325840B1 (ko) * 2012-03-13 2013-11-05 주식회사 팬택 싱크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무선랜 시스템
KR102011361B1 (ko) * 2012-04-07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682B1 (ko) * 2012-04-23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72921B1 (en) * 2013-03-15 2019-09-18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technology and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US9063631B2 (en) * 2013-03-15 2015-06-23 Chad Dustin TILLMA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sharing of resources of an environment
JP2015097070A (ja) * 2013-06-12 2015-05-2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9535646B2 (en) * 2013-06-18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ink projection
KR102092332B1 (ko) * 2013-07-01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US9363305B2 (en) * 2014-01-30 2016-06-07 Vmware, Inc. Remote contextual access to operating system desktops
US20150332043A1 (en) * 2014-05-15 2015-11-19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Application analysis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19861B1 (ko) * 2014-05-23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I604382B (zh) * 2014-07-08 2017-1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應用程式分享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系統
US20160026305A1 (en) * 2014-07-25 2016-01-28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Shadeless touch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touch-sensing cover thereof
CN105278771A (zh) * 2014-07-25 2016-01-27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无挡触控的手持式电子装置、方法及图形化使用者界面
CN105320327A (zh) * 2014-07-25 2016-02-10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手持式电子装置及其触控外盖
US9538316B2 (en) * 2014-07-25 2017-01-03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Smart monitor system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60085538A1 (en) * 2014-09-22 2016-03-24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Over-the-air updates for ble devices
US20160132284A1 (en) * 2014-11-07 2016-05-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isplay mirroring
US9929817B2 (en) * 2014-11-19 2018-03-27 Oath Inc. System and method for 3D tracking for ad-hoc cross-device interaction
US10841317B2 (en) * 2015-03-31 2020-11-17 Dell Products, Lp Processing content sharing system data from a plurality of remotely connected computing devices in physical or virtualized space
US9544333B2 (en) * 2015-03-31 2017-01-10 Dell Products, Lp Policy setting for content sharing of a plurality of remotely connected computing devices in physical or virtualized space
US10547896B2 (en) * 2015-04-21 2020-01-2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display streams
DE112016006734T5 (de) * 2015-04-26 2019-01-03 Intel Corporation Integriertes Android- und Windows-Gerät
CN105302603A (zh) * 2015-10-26 2016-02-03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软件升级的方法及装置
JP2017111551A (ja) 2015-12-15 2017-06-2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7117455A1 (en) * 2015-12-29 2017-07-06 Quixey, Inc. Message based application state and card sharing methods for user devices
KR102482549B1 (ko) * 2016-01-11 202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570379B1 (ko) * 2016-04-22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93944B2 (en) * 2016-06-17 2019-01-29 Q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evice media broadcasting or recording with active control
US10372403B2 (en) * 2016-09-15 2019-08-06 Dell Products L.P. Multi-user display collaboration system
CN107948566B (zh) * 2016-10-12 2021-03-2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实现即插即用传屏的方法及装置
KR101757149B1 (ko) * 2016-11-09 2017-07-12 알서포트 주식회사 권한 부여 기동장치를 이용한 스마트기기 응용프로그램의 자동 시험방법
US20200245380A1 (en) * 2016-12-06 2020-07-30 VTV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content in a multi-user and mulit-device environm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547885B2 (en) * 2017-06-08 2020-01-28 T-Mobile Usa, Inc. Adaptively selecting content resolution
US11342073B2 (en) * 2017-09-29 2022-05-2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Transmitted display casting for medical devices
US10033709B1 (en) * 2017-11-20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rivacy of communications through channels having excess capacity
US10545834B1 (en) * 2018-03-02 2020-01-28 June B. Smith Server-assisted network data archiving
CN108664229B (zh) * 2018-04-02 2020-10-0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传屏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07369A (zh) * 2018-04-28 2018-07-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配对方法、配对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设备
US10491760B1 (en) * 2018-07-05 2019-11-26 Delta Electronics, Inc. Image transmission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transmission system
US11425122B2 (en) * 2018-08-13 2022-08-23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figuration file to client devices
WO2020068047A1 (en) * 2018-09-25 2020-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nitor with virtual displays
JP7122236B2 (ja) * 2018-11-28 2022-08-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検査装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782976B (zh) * 2019-01-15 2020-1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0936352B2 (en) * 2019-06-22 2021-03-02 Vmware, Inc. High performance application delivery to VDI desktops using attachable application containers
CN110442366B (zh) * 2019-08-09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20270538A1 (en) * 2019-10-18 2022-08-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mode setting determinations
US11093046B2 (en) * 2019-12-16 2021-08-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US11042222B1 (en) * 2019-12-16 2021-06-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and sharing
US11487423B2 (en) * 2019-12-16 2022-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input areas and hidden inputs
GB2590812B (en) * 2019-12-23 2022-01-05 Ultima Business Solutions Ltd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cess orchestration
AU2021222010B2 (en) * 2020-02-19 2024-04-04 Evercast, LLC Real time remote video collaboration
CN111459355B (zh) * 2020-03-30 2022-03-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US11360943B2 (en) * 2020-04-13 2022-06-14 Citrix Systems, Inc. Unified file storage system
CN111913628B (zh) * 2020-06-22 2022-05-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205805A (zh) * 2020-09-01 2022-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迁移配置文件的方法及装置
CN114708403A (zh) * 2020-12-16 2022-07-05 高勇 一种互动投影输入输出设备
US11360732B1 (en) * 2020-12-31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ultiple devices on shared screen
KR20220100437A (ko) * 2021-01-08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05433B1 (en) * 2021-06-29 2022-08-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borative browsing
US20230051956A1 (en) * 2021-08-16 2023-02-16 Capstone Industries, Inc. Smart mirror capable of remotely operating a mobile device
TWI811916B (zh) * 2021-12-24 2023-08-11 茂傑國際股份有限公司 用於螢幕分享的接口擴展裝置
US20230283834A1 (en) * 2022-03-01 2023-09-07 Brandon Fischer Synchronous widget and a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230283497A1 (en) * 2022-03-07 2023-09-07 Brandon Fischer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ng live sources
US20230297961A1 (en) * 2022-03-18 2023-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erating system facilitation of content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461393B2 (en) 2022-11-17
US20220107776A1 (en) 2022-04-07
CN110442366B (zh) 2021-06-15
EP3971707A1 (en) 2022-03-23
EP3971707A4 (en) 2022-06-15
AU2019461393A1 (en) 2022-01-27
JP7346606B2 (ja) 2023-09-19
CN110442366A (zh) 2019-11-12
WO2021027205A1 (zh) 2021-02-18
JP2022538081A (ja)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461393B2 (en) Screen sharing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750466B (zh) 使用经同步的提示信号配对附近设备
US20220053068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for applet state synchronization
JP6397113B2 (ja) リモーティングセッションを通じた非サポートファイル形式の開封
US10431187B2 (en) Terminal apparatus, screen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U2013390850B2 (en) Synchronizing device association data among computing devices
US112437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llaboration
US8166244B2 (en) Emulating a computer system on a removable storage device
CN107220020B (zh) 一种显示方法和电子设备
JP6615997B2 (ja) 仮想セッションにおけるサーバ・サイド・キーボード・レイアウトとクライアント・サイド・キーボード・レイアウトとの同期
US20080307096A1 (en) Using a remote handheld device as a local device
US111441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data thereof
US20140292816A1 (en) Computer program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512794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737128A (zh) 用于多用户账户的二进制的重新使用
WO2022083342A1 (zh) 数据传输方法和电子设备
KR2021010107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클립 보드 운용 방법
JP2012221159A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269688B2 (ja) 情報処理装置、参加制限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0019668A1 (zh)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20037680A (ko) 디바이스간 동기화 방법, 유저 디바이스,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20230154786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CN115269483A (zh) 控制方法、控制装置和连接装置
JP20211775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pencer The Computer as a Dynamic Set of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