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954A -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954A
KR20220006954A KR1020200084985A KR20200084985A KR20220006954A KR 20220006954 A KR20220006954 A KR 20220006954A KR 1020200084985 A KR1020200084985 A KR 1020200084985A KR 20200084985 A KR20200084985 A KR 20200084985A KR 20220006954 A KR20220006954 A KR 2022000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guide
unit
wire ropes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최해룡
Original Assignee
최진영
최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최해룡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102020008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954A/ko
Publication of KR2022000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65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pivotably mounte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대에 설치되어 여러가지 조물이 마련된 조물걸이대를 안전하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대장치는 조물걸이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활차유닛들과, 활차유닛들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 상기 조물걸이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윈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드럼지지유닛에 지지되며 와이어로프들이 감기는 드럼과, 상기 드럼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와이어로프들의 이동을 상기 드럼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와이어로프들이 한 줄씩 각각 경유하는 가이드롤러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무대장치{stage se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대에 설치되어 여러가지 조물이 마련된 조물걸이대를 안전하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에서 무대 배경을 설치하기 위한 무대장치는, 무대 배경을 위한 조물을 매달 수 있는 조물걸이대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하고, 윈치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이동시켜 조물걸이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로프는 무대 상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활차에 의해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활차는 조물걸이대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조물걸이대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원활한 작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무대장치용 활차는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안내되도록 복수의 가이드홈을 가지는 복수열 활차와, 한 줄의 와이어로프가 안내되도록 하나의 가이드홈만을 가지는 1열 활차로 구분된다. 복수열 활차는 가이드홈이 2개 형성된 2열 활차, 가이드홈이 3개 형성된 3열 활차, 가이드홈이 4개 형성된 4열 활차 등이 있다.
1열 활차는 복수열 활차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비용이 저렴하므로 통상적으로 무대장치에 1열 활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작품들이 많이 공연되고 있어서 무대장치도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무대 배경을 위한 조물을 매달 수 있는 조물걸이대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고, 조물걸이대에 설치되는 조물의 양과 크기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조물걸이대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의 수도 그만큼 늘어나므로 조물걸이대의 상방에 위치하는 활차의 수도 증가한다. 이 경우 활차 하나에 다수의 와이어로프가 지나갈 수 있도록 복수열 활차가 사용되는데 복수열 활차의 경우 열수가 증가할수록 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와이어로프를 윈치의 드럼에 권취하기 위해 윈치의 하부에도 활차가 설치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445호에는 무대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대구동장치에 적용된 윈치는 로프를 감기 위한 드럼의 하부에 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고정프레임의 측면에 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활차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활차에 하나의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므로 와이어로프의 수만큼 활차가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야 한다. 와이어로프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활차는 높이를 모두 달리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활차들을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할 경우 고정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져야 하므로 고정프레임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445호: 무대구동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윈치에 설치되어 활차를 경유한 와이어로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롤러들을 동일한 높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윈치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엇갈리게 배치된 가이드롤러들을 경유한 각 와이어로프가 드럼에 감길시 와이어로프들이 드럼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달라 드럼 및 와이어로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지는 복수열 활차의 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벼우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대장치는 조물걸이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활차유닛들과; 상기 활차유닛들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 상기 조물걸이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윈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드럼지지유닛에 지지되며 와이어로프들이 감기는 드럼과, 상기 드럼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와이어로프들의 이동을 상기 드럼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와이어로프들이 한 줄씩 각각 경유하는 가이드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들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회전중심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들을 각각 경유한 와이어로프들 모두가 상기 드럼과 동일한 각도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드럼의 비뚤어진 각도는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좌우 방향의 이격거리와 전후 방향의 이격거리 및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직경보다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가 더 작다.
상기 상기 활차유닛들 중 상기 윈치부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1열 활차유닛은 한 줄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지는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단열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1열 활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활차유닛들은 적어도 세 줄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질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열회전롤러는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한쌍의 사이드롤러부들과, 상기 사이드롤러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롤러부들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파이프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가이드롤러들을 동일한 높이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드럼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의 높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을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롤러들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모두가 드럼과 동일한 각도로 접촉되면서 드럼에 감긴다. 따라서 드럼과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지는 복수열 활차의 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벼우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윈치부를 발췌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들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베이스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7은 도 1에 적용된 1열 활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적용된 복수열 활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적용된 복열롤러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무대장치는 조물걸이대(1)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들(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활차유닛들(90)과, 활차유닛들(90)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30)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 조물걸이대(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윈치부(40)를 구비한다.
조물걸이대(1)는 무대배경을 위한 다양한 조물들이 설치된다. 조물걸이대(1)는 와이어조인트(5)에 의해 와이어로프(30)와 연결된다. 와이어조인트(5)는 조물걸이대(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와이어조인트(5)는 와이어로프(30)의 수와 동일한 수가 설치된다.
와이어로프(30)의 수는 조물걸이대(1)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와이어로프(30)는 총 6줄로 구비된다. 6줄의 와이어로프(30)를 설명의 편의상 윈치부(40)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순서로 1번 와이어로프(31), 2번 와이어로프(32), 3번 와이어로프(33), 4번 와이어로프(34), 5번 와이어로프(35), 6번 와이어로프(36)라 한다.
각 와이어로프(30)는 와이어조인트(5)에 의해 조물걸이대(1)의 각 지점에 연결된다. 조물걸이대(1)와 연결된 와이어로프들(30)은 윈치부(4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조물걸이대(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10)은 무대의 상측에 고정된다. 지지프레임(10)은 조물걸이대(1)의 상방에 위치한다. 지지프레임(1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0)은 건물의 천장이나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드부들은 지지프레임(1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그리드부들 각각에 활차유닛(90)이 결합된다.
각 그리드부들은 한쌍의 제 1그리드(21) 및 제 2그리드(25)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그리드(21)(25)는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 그리드(21)(25)는 지지프레임(10)과 교차되게 설치된다.
활차유닛(90)은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활차유닛(90)은 그리드부에 고정되어 와이어로프(30)의 이동을 안내한다. 활차유닛(90)은 와이어로프(30)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된다. 도시된 예에서 활차유닛(90)은 총 6개가 설치된다. 각 활차유닛(90)에는 와이어로프들(30)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가 경유한다.
설명의 편의상 활차유닛(90)을 윈치부(40)로부터 거리순에 따라 제 1 내지 제 6활차유닛으로 구분하면, 제 1활차유닛(100)은 윈치부(40)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활차유닛이고, 제 6활차유닛(600)은 윈치부(40)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활차유닛이다.
활차유닛(90)은 윈치부(40)로부터 거리에 따라 1열 또는 복수열 활차유닛이 적용된다. 1열 활차유닛은 한 줄의 와이어로프가 안내되도록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복수열 활차유닛은 복수의 와이어로프가 안내되도록 2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활차유닛(100)으로 1열 활차유닛이 적용되고, 제 2 내지 제 6활차유닛(200,300,400,500,600)으로 복수열 활차유닛이 적용된다.
제 1활차유닛(100)의 모습을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고 있다.
제1 그리드(21)의 상부에는 제 1활차유닛(100)의 일측이 고정되고, 제2 그리드(25)의 상부에는 제 1활차유닛(100)의 타측이 고정된다.
제 1활차유닛(100)은 한 줄의 와이어로프(31)가 걸쳐지는 하나의 가이드홈(115)이 형성된 1열회전롤러(110)와, 1열회전롤러(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1열회전롤러(11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120)를 구비한다.
1열회전롤러(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 지지브라켓트(120)에는 고정볼트(125)가 관통하여 결합한다. 1열회전롤러(110)는 고정볼트(12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브라켓트(120)는 결합부에 의해 제 1 및 제 2그리드(21)(25)에 결합된다.
결합부는 지지브라켓트(120)의 일측을 제1 그리드(2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130)과, 제 1지지브라켓트(120)의 타측을 제2 그리드(25)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135)과, 제1 그리드(21)에 밀착되어 제 1지지브라켓트(1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1 지지수단(140)과, 제2 그리드(25)에 밀착되어 제 1지지브라켓트(1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 지지수단(145)을 구비한다.
상술한 제 1활차유닛(100)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36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1활차유닛(100)을 제외한 나머지 활차유닛들은 1열회전롤러 대신에 2개 이상의 가이드홈(115)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구비한다는 점에서만 다르고 나머지 구조는 제 1활차유닛과 동일하다.
제 2활차유닛(200)은 2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갖는 2열 활차유닛이고, 제 3활차유닛(200)은 3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갖는 3열 활차유닛이고, 제 4활차유닛(400)은 4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갖는 4열 활차유닛이고, 제 5활차유닛(500)은 5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갖는 5열 활차유닛이고, 제 6활차유닛(600)은 6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갖는 6열 활차유닛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제 6활차유닛(60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 6활차유닛에 적용된 복열회전롤러(105)는 하나의 가이드홈(115)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한쌍의 사이드롤러부들(106)과, 사이드롤러부들(106)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드롤러부들(106)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115)이 형성된 원통형의 파이프부(108)를 구비한다.
사이드롤러부(106)는 제 1활차유닛에 적용된 1열회전롤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사이드롤러부(106)는 파이프부(108)의 좌우 측면에 하나씩 결합된다.
파이프부(108)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파이프부(108)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115)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파이프부(108)에는 4개의 가이드홈(115)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6활차유닛(600)에 적용된 복열회전롤러(105)에는 총 6줄의 가이드홈(115)이 마련된다.
사이드롤러부(106)와 파이프부(108)는 볼트(10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파이프부(108)의 좌우 양측면에는 환형의 돌출턱(109)이 형성된다. 돌출턱(109)은 사이드롤러부(106)의 측면에 결합된다.
사이드롤러부(106)에는 볼트(103)가 관통하는 관통홀(1070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파이프부(108)의 돌출턱(109)에는 볼트(103)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101)이 다수 형성된다. 볼트(103)는 사이드롤러부(106)의 관통홀(1070을 통과하여 파이프부(108)의 나사홀(101)에 체결된다. 따라서 사이드롤러부(106)와 파이프부(108)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3 내지 제 5활차유닛에 적용되는 복열회전롤러 역시 상술한 제 6활차유닛(600)의 복열회전롤러와 같이 사이드부와 파이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복열회전롤러의 파이프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수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열회전롤러를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부의 양측에 1열회전롤러를 부착하여 만들 수 있으므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조물걸이대(1)의 제 1지점에 연결된 1번 와이어로프(31)는 제 1활차유닛(100)의 단열회전롤러에 걸쳐져 방향이 전환되어 제 2 내지 제 6활차유닛(200,300,400,500,600)의 복열회전롤러를 경유하여 윈치부(40)의 드럼에 감긴다. 그리고 조물걸이대(1)의 제 2지점에 연결된 2번 와이어로프(32)는 제 2활차유닛(200)의 복열회전롤러에 걸쳐져 방향이 전환되어 제 3 내지 제 6활차유닛(300,400,500,600)의 복열회전롤러를 경유하여 윈치부(40)의 드럼에 감긴다. 그리고 조물걸이대(1)의 제 3지점에 연결된 3번 와이어로프(33)는 제 3활차유닛(300)의 복열회전롤러에 걸쳐져 방향이 전환되어 제 4 내지 제 6활차유닛(400, 500,600)의 복열회전롤러를 경유하여 윈치부(40)의 드럼에 감긴다. 그리고 조물걸이대(1)의 제 4지점에 연결된 4번 와이어로프(34)는 제 4활차유닛(400)의 복열회전롤러에 걸쳐져 방향이 전환되어 제 5 및 제 6활차유닛(500,600)의 복열회전롤러를 경유하여 윈치부(40)의 드럼에 감긴다. 그리고 조물걸이대(1)의 제 5지점에 연결된 5번 와이어로프(35)는 제 5활차유닛(500)의 복열회전롤러에 걸쳐져 방향이 전환되어 제 6활차유닛(600)의 복열회전롤러를 경유하여 윈치부(40)의 드럼에 감긴다.
윈치부(40)는 와이어로프들(30)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 조물걸이대(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윈치부(4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프레임(41)과, 베이스프레임(41)에 설치된 드럼지지유닛에 지지되며 와이어로프들(30)이 감기는 드럼(43)과, 드럼지지유닛에 결합되어 드럼(4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와, 와이어로프들(30)의 이동을 드럼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베이스프레임(41)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와이어로프들이 한 줄씩 각각 경유하는 가이드롤러들(60)을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41)은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빔(9) 위에 고정된다. 베이스프레임(4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베이스프레임(41)은 전후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베이스빔(42)으로 이루어진다.
드럼지지유닛은 베이스프레임(41)의 상부에 설치되어 드럼(43)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드럼(43)이 베이스프레임(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드럼지지유닛은 베이스프레임(41)의 상부에 베이스프레임(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들(70)과, 가이드레일들(70)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구동부(50)가 고정되는 이동프레임(75)과, 구동부(50)와 연결되어 드럼의 일측에 결합된는 구동부출력축(79)과, 이동프레임(75)에 설치된 베어링서포트부(8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드럼(43)의 타측에 결합되는 회전축(81)을 구비한다.
가이드레일(70)은 베이스프레임(41)의 상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레일(7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70)은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비뚤어지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70)의 비뚤어진 정도는 후술할 드럼(43)의 비뚤어진 정도와 동일하다.
이동프레임(75)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동프레임(75)은 베이스프레임(41)과 이격되어 베이스프레임(41)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동프레임(75)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70)과 결합되는 슬라이더(76)가 설치된다. 이동프레임(75)을 전후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76)가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동프레임(75) 역시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비뚤어지게 형성된다. 이동프레임(75)의 비뚤어진 정도는 후술할 드럼(43)의 비뚤어진 정도와 동일하다.
드럼(43)을 지지하는 이동프레임(75)은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75)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리미트스위치들(900)과 터치브라켓트(903)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출력축(79)은 드럼(43)의 일측에 결합된다. 드럼(43)에 결합된 구동부출력축(79)은 구동부(5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드럼(43)을 회전시킨다.
회전축(81)은 드럼(43)의 타측에 설치된다. 회전축(81)은 베어링서포트부(80)에 설치된 베어링유닛(8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베이스프레임(41)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83)는 베어링 서포트부(80)와 이격되게 위치한다.
드럼(4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롤러들(60)을 각각 경유한 와이어로프들(30)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감길 수 있도록 드럼(43)의 외주면에는 각 와이어로프들(30)이 감기는 권취영역들(A~F)이 나누어 형성된다. 권취영역들은 경계브라켓트(44)에 의해 구분된다. 각 권취영역(A~F)에는 각 와이어로프가 분리되어 감길 수 있도록 다수의 권취홈들(42)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는 6개의 와이어로프가 나누어서 감길 수 있도록 6개의 권취영역들이 마련된다. 가령, 제 1와이어로프(31)는 제 1권취영역(A)에 감기고, 제 2와이어로프(32)는 제 2권취영역(B)에 감기고, 제 3와이어로프(33)는 제 3권취영역(C)에 감기고, 제 4와이어로프(34)는 제 4권취영역(D)에 감기고, 제 5와이어로프(35)는 제 5권취영역(E)에 감기고, 제 6와이어로프(36)는 제 6권취영역(F)에 감긴다.
드럼(43)은 구동부(50)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로프들(30)을 동시에 풀거나 감는다.
와이어로프(30)가 드럼(43)의 권취홈(4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43)에 잘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 가이드바(49)가 드럼(43)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와이어로프 가이드바(49)의 일측은 베어링 서포트부(80)에 결합되고, 와이어로프 가이드바(49)의 타측은 구동부측 서포트부(77)에 결합된다.
구동부(50)는 이동프레임(75)에 설치된다. 구동부(50)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되는 감속기 및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구동부(50)와 드럼(43)은 구동부출력축(79)으로 연결된다.
가이드롤러들(60)은 베이스프레임(41)에 설치된다. 가이드롤러들(60)은 활차유닛들(90)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30)의 이동을 드럼(43)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롤러들(60)은 다수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롤러들(60)은 전후 방향으로도 일정 거리 이격된다. 가이드롤러들(60)은 베이스프레임(41)에 설치된 고정축(67)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각 고정축(67)이 각 가이드롤러들(60)의 회전중심이 된다. 가이들롤러들(60)은 모두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각 가이드롤러들(60)의 하부에는 와이어로프(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롤러(69)가 각각 설치된다. 이탈방지롤러(69)는 베이스프레임(4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와이어로프(30)는 가이드롤러(60)와 이탈방지롤러(69) 사이를 통과한다.
고정축(67)은 베이스프레임(41)의 한 쌍의 베이스빔(4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고정축(67)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총 6개의 고정축(67)은 모두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고정축(67)의 좌우 이격거리는 가이드롤러(60)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축(67)의 좌우 이격거리 즉, 가이드롤러들(60)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가 가이드롤러(60)의 직경보다 더 작으므로 베이스프레임(41)이나 드럼(43)의 길이를 그만큼 더 줄일 수 있고, 조물걸이대(1)의 상하 이동 거리가 짧은 소규모 무대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각 가이드롤러(60)에 한 줄의 와이어로프(30)가 경유한다. 가이드롤러(60)는 와이어로프(30)의 수와 동일한 수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총 6개의 가이드롤러(60)가 고정축(67)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6개의 가이드롤러를 설명의 편의상 제 1가이드롤러(61), 제 2가이드롤러(62), 제 3가이드롤러(63), 제 4가이드롤러(64), 제 5가이드롤러(65), 제 6가이드롤러(66)로 구분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들(60)은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므로 회전중심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다수의 가이드롤러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열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들(60)을 모두 동일한 높이에 설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가이드롤러들(60)이 모두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므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들(30)이 겹치지 않도록 가이드롤러들(60)을 전후 방향으로 이격시켜 엇갈리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다수의 가이드롤러들(60)을 설치하더라도 베이스프레임(41)의 높이를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활차유닛(90)을 경유한 와이어로프(30)가 가이드롤러들(60)로 이동시 와이어로프(30)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롤러유닛(800)이 베이스프레임(41)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롤러유닛(800)은 한 쌍의 베이스빔(42)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축(803)과, 보조축(80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롤러들(801)로 이루어진다. 보조롤러(801)는 6개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질 수 있도록 6개가 설치된다. 보조롤러들(801)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각 보조롤러(801)에는 와이어로프(30)가 걸쳐지는 한 줄의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롤러들(801)의 하부에는 와이어로프(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롤러(810)가 설치된다. 와이어로프(30)는 보조롤러(801)와 이탈방지롤러(810) 사이를 통과한다.
1번 와이어로프(31)는 제 1활차유닛과 보조롤러유닛(800) 및 제 1가이드롤러(64)를 경유하여 드럼(43)의 제 1권취영역(A)에 감기고, 2번 와이어로프(32)는 제 2활차유닛과 보조롤러유닛(800) 및 제 2가이드롤러(63)를 경유하여 드럼(43)의 제 2권취영역(B)에 감기고, 3번 와이어로프(33)는 제 3활차유닛과 보조롤러유닛(800) 및 제 3가이드롤러(62)를 경유하여 드럼(43)의 제 3권취영역(C)에 감기고, 4번 와이어로프(34)는 제 4활차유닛과 보조롤러유닛(800) 및 제 4가이드롤러(61)를 경유하여 드럼(43)의 제 4권취영역(D)에 감기고, 5번 와이어로프(35)는 제 5활차유닛과 보조롤러유닛(800) 및 제 5가이드롤러(68)를 경유하여 드럼(43)의 제 5권취영역(E)에 감기고, 6번 와이어로프(36)는 제 6활차유닛과 보조롤러유닛(800) 및 제 6가이드롤러(67)를 경유하여 드럼(43)의 제 6권취영역(F)에 감긴다.
한편, 베이스프레임(41)과 나란하게 드럼(43)이 반듯하게 설치될 경우 전후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가이드롤러들(60)을 경유한 각 와이어로프가 드럼(43)에 감길시 도 6의 (b)와 같이 와이어로프들(30)이 드럼(43)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경우 드럼 및 와이어로프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드럼(43)은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된 드럼의 모습이 도 3에 잘 나타나 있다. 도시된 일 예에서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드럼(43)의 비뚤어진 각도는 약 9°이다.
드럼(43)의 비뚤어진 각도는 가이드롤러들(60)의 좌우 방향의 이격거리와 전후 방향의 이격거리 및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가이드롤러들(60)의 직경과 좌우 방향의 이격거리가 동일할 경우 드럼(43)의 비뚤어진 각도는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롤러들(60)의 좌우 방향의 이격거리(d1)와 인접하는 2개의 가이드롤러들(60)의 전후 방향의 이격거리(d2)를 삼각함수에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드럼(43)의 비뚤어진 각도θ는 tanθ=d2/d1이므로 θ=tan-1(d2/d1)이다.
드럼(43)이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드럼지지유닛 전체가 비뚤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70) 역시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비뚤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가이드롤러들(60)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30) 모두가 드럼(43)과 동일한 각도로 접촉될 수 있도록 드럼(43)은 베이스프레임(41)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들(30) 모두가 동일한 각도로 드럼(43)과 접촉하여 각 권취영역에 감긴다. 이에 따라 드럼(43)과 와이어로프(3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무대장치를 도 14 내지 도 16에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무대장치는 윈치부(40)가 지지프레임(10)의 상부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무대장치는 윈치부(40)가 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무대장치는 활차유닛들 사이에 윈치부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윈치부(40)는 제 5활차유닛(500)과 제 6활차유닛(700) 사이에 설치된다. 제 1 내지 제 5활차유닛(100,200,300,400,500)은 도 1과 동일하나 제 6활차유닛(700)은 1열활차유닛(100)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시된 무대장치에서 1번 와이어로프(31)는 제 1활차유닛(100)과 제 1가이드롤러(61)를 경유하여 드럼(43)에 감기고, 2번 와이어로프(32)는 제 2활차유닛(200)과 제 2가이드롤러(62)를 경유하여 드럼(43)에 감기고, 3번 와이어로프(33)는 제 3활차유닛(300)과 제 3가이드롤러(63)를 경유하여 드럼(43)에 감기고, 4번 와이어로프(34)는 제 4활차유닛(400)과 제 4가이드롤러(64)를 경유하여 드럼(43)에 감기고, 5번 와이어로프(35)는 제 5활차유닛(500)과 제 5가이드롤러(65))를 경유하여 드럼(43)에 감긴다. 그리고 6번 와이어로프(36)는 제 6활차유닛(700)과 제 6가이드롤러(66)를 경유하여 드럼(43)에 감긴다.
제 6활차유닛(700)은 한줄의 와이어로프(36)만 경유하므로 제 1활차유닛(100)과 같이 1열활차유닛이 적용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조물걸이대 10: 지지프레임
30: 와이어로프 40: 윈치부
43: 드럼 60: 가이드롤러
90: 활차유닛 100: 제 1활차유닛
200: 제 2활차유닛 300: 제 3활차유닛
400: 제 4활차유닛 500: 제 5활차유닛
600: 제 6활차유닛

Claims (4)

  1. 조물걸이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활차유닛들과;
    상기 활차유닛들을 경유한 와이어로프들을 동시에 감거나 풀어 상기 조물걸이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윈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드럼지지유닛에 지지되며 와이어로프들이 감기는 드럼과, 상기 드럼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와이어로프들의 이동을 상기 드럼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와이어로프들이 한 줄씩 각각 경유하는 가이드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들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회전중심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들을 각각 경유한 와이어로프들 모두가 상기 드럼과 동일한 각도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비뚤어진 각도는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좌우 방향의 이격거리와 전후 방향의 이격거리 및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직경보다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활차유닛들 중 상기 윈치부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1열 활차유닛은 한 줄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지는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단열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1열 활차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활차유닛들은 적어도 세 줄의 와이어로프가 걸쳐질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열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열회전롤러는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한쌍의 사이드롤러부들과, 상기 사이드롤러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롤러부들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파이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KR1020200084985A 2020-07-09 2020-07-09 무대장치 KR20220006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85A KR20220006954A (ko) 2020-07-09 2020-07-09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85A KR20220006954A (ko) 2020-07-09 2020-07-09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54A true KR20220006954A (ko) 2022-01-18

Family

ID=8005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85A KR20220006954A (ko) 2020-07-09 2020-07-09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80A (ko) * 2022-09-05 2024-03-12 차현우 차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45B1 (ko) 2011-01-24 2011-06-15 대아공전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45B1 (ko) 2011-01-24 2011-06-15 대아공전주식회사 무대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80A (ko) * 2022-09-05 2024-03-12 차현우 차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332B1 (ko) 짚 라인
JP2005509580A5 (ko)
CA2759591C (en) Observation wheel type ride
KR101750980B1 (ko) 무대전용윈치
KR20220006954A (ko) 무대장치
KR20120131089A (ko) 차량용 주차장 엘리베이터 시스템
EP3071507B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KR20220033153A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KR101882381B1 (ko) 무대장치
JP2009074322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KR101005712B1 (ko) 일체형 승강이동식 무대장치
JPH0768791B2 (ja) 循環式立体駐車装置
US4090692A (en) Cable gathering and orienting assembly
KR101457811B1 (ko) 경사조절가능한 다중활차시스템
KR20110055765A (ko) 리깅장치
JP5094304B2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KR101796556B1 (ko) 무대장치용 내진설계 활차
JP2005132557A (ja) 天井クレーン
KR200264991Y1 (ko) 무대설비
CN219567099U (zh) 一种施工现场电缆放线装置
JP2004293074A (ja) 立体駐車設備の昇降搬送装置
KR100226988B1 (ko) 로봇 상하이동 장치
CN219031283U (zh) 一种电缆放线装置
JPH06210075A (ja) 舞台吊物機構
JPH01209293A (ja) 上昇引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