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863A -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863A
KR20220006863A KR1020200084815A KR20200084815A KR20220006863A KR 20220006863 A KR20220006863 A KR 20220006863A KR 1020200084815 A KR1020200084815 A KR 1020200084815A KR 20200084815 A KR20200084815 A KR 20200084815A KR 20220006863 A KR20220006863 A KR 2022000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iococcus pentosaceus
strain
kacc
cultur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596B1 (ko
Inventor
임상동
김슬기
홍상필
이명기
진영욱
허행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8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5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당뇨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Pediococcus pentosaceus KI62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그 이용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갖고, 내산성, 내담즙성 또는 장부착능을 가지며, 단쇄지방산 생산능이 우수하고, 포도당 흡수 억제 및 인슐린 분비 촉진과 인슐린 저항성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생활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각종 생활관련 성인병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데, 특히 과도한 지방 섭취로의 식생활 변화로 인해 당뇨병을 비롯하여 비만이나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이 증가되고 있다.
당뇨병은 췌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작용 부족에 의해 유발된 대사 장애로, 포도당의 과잉생산, 체지방의 분해 및 단백질의 낭비를 수반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항진시켜 대사상의 혼란을 야기한다.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을 비롯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탄수화물을 비롯한 단백질, 지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 조절 기능 이상으로 고혈당의 특징적인 증세를 나타내며, 이러한 고혈당 증세가 지속되면 망막, 신장 및 신경 등의 미세혈관 합병증과 중풍, 협심증, 심근경색증 및 말초 혈관 질환 등의 대혈관 합병증을 초래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되기도 한다.
당뇨병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혈액 내 글루코스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고, 제2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슐린 작용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당뇨병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이다.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이 있다. 약물로는 혈당강하제(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아카보스, 미글리톨, 보글리보스 등), 인슐린 분비 촉진제(설포닐우레아제, 메글리티나이드 등),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비구나아이드, 글리타존 등), 인크레틴 제제(GLP-1 유사체로 익스에나티드, 리라글루티드 등, DPP-4 억제제로는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등) 및 인슐린 치료가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약물들은 단독만으로 목표 혈당치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경우, 혈당강하제 복합요법 또는 병용요법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당뇨병 치료 약물들은 저혈당, 식욕부진, 구역질, 구토, 설사, 피부발진, 유산증, 간 손상, 위장관 손상과 같은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등의 낫토균이 개발되었으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호기성 균으로 장내에서 서식이 어려우므로, 별도의 섭취를 통해 공급받아야 하며, 충족할 정도로 공급받기 위해서는 다량 섭취해야 하며, 하나의 기전에만 작용하므로 충분한 혈당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이가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80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의 발생과 재발 위험을 막을 수 있는, 우수한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을 제공한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RNA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혈당 강하 및 항당뇨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내산성, 내담즙성, 장부착능이 우수하고, 혈당 강하, 인슐린 분비 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가 탁월하므로,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병원성 미생물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도 가지므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에 대한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K99, K263 및 KI62 균주를 MRS 배지(broth)에서 배양하였을 때, 단쇄지방산 생성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K99, K263 및 KI62 균주를 3% 난소화성 다당류(maltodextrin)가 첨가된 MRS 배지(broth)에서 배양하였을 때, 단쇄지방산 생성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MRS 액체배지에 0.3% 황소 담즙(oxgall)을 첨가한 배지(with oxgall)와 황소 담즙(oxgall)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without oxgall)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각각 배양한 시간에 따른 생장곡선이다.
도 5는 HCl 용액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접종하였을 때, 3 시간 후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HT-29 세포에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장내 부착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RIN-m5F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LP-1R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IRS-2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C1C12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C1C12 세포의 글루코스 흡수능(Glucose uptake)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C2C1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당대사 및 이용률에 관여하는 단백질(p-AKT/AKT)의 발현량을 측정한 웨스턴블롯 결과이다.
도 14는 도 13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C2C1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당대사 및 이용률에 관여하는 단백질(GLUT4)의 발현량을 측정한 웨스턴블롯 결과이다.
도 16은 도 15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시간에 따른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체중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경구당부하 검사에 따른 혈당 수치에 대한 AUC(Area under the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프락토사민(fructosamine)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글루코스(Glucose)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인슐린(Insulin)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중 당화 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C-peptide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췌장 췌도(Pancreatic islets) 내에 존재하는 인슐린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혈당 강하 활성"은 혈액 내 포도당(Glucose)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인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일컫는 것이다. 인체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혈당 수치를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혈당은 혈당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식사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고혈당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생리적 고혈당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를 벗어나는 범위로 혈당치가 증가하거나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것은 당뇨가 발병하였거나, 당뇨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거나, 당뇨가 발병하였으나 미발견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식약청 규정상 정상혈당수치는 100 mg/dl 미만의 공복혈당 및 140 mg/dl 미만의 식후 2 시간 혈당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126 mg/dl 이상의 공복혈당 및 200 mg/dl 이상의 식후 2 시간 혈당을 나타내는 경우를 당뇨병이라 진단한다. 한편, WHO는 110 mg/dl 미만의 공복혈당을 정상수준으로 정의하고 있다. 당뇨병으로 진단되는 수치 미만일 지라도 정상상태보다 높은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지방간을 유발하여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할 위험성을 증가시키며 심혈관 질환 및 이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체내에서는 정상 혈당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글루카곤, 아드레날린, 인슐린, 갑상선 호르몬 등이 작용한다. 이러한 호르몬의 분비 및/또는 활성에 이상이 발생하면 고혈당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과다한 당의 섭취, 운동부족 및/또는 스트레스도 고혈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억제활성과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 당대사와 이용률 증가(포도당 흡수 촉진), 인슐린 분비 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의 다양한 기전에 기초한 다중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당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혈당 강하 활성, 혈당 조절 및/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신규한 균주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RNA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완전히 100% 상동성을 갖는 균은 검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로 명명하면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2020년 06월 25일자로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 KACC 81120BP를 부여받았다.
기탁기관명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ACC)
수탁번호 : KACC 81120BP
수탁일자 : 2020.05.14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김치와 분변으로부터 394 종의 균주를 순수분리하고,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억제활성과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최종 선발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가지며, 단쇄지방산 생성능이 우수하며, 포도당 흡수 촉진, 인슐린 분비조절, 인슐린 저항성 개선, p-AKT/AKT, GLUT4, GLP-1R 및 IRS-2 발현 증가, 당대사 및 이용률 향상, 당대사 및 이용률 향상에 기초한 혈당 강하 및 항당뇨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전을 동시에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단독으로 투여되어도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판되는 당뇨병 치료제와 함께 투여될 수도 있다. 함계 투여되는 경우에 혈당 농도를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장내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고창과 같은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인한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능이 우수하므로, 경구를 통해 장까지 안전하게 생존이 가능하며. 장내 병원성 미생물 또는 식중독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활성을 가지므로, 프리바이오틱 소재로써 유리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반코마이신(vancomycin), 암피실린(ampicillin), 폴리믹신B(Polymyxin B)에 항생제 내성을 가지며, SCAN에 언급된 페디오코커스 속 균주의 일반적인 항생제(암피실린(ampicill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겐타마이신(gentamycin), 카나마이신(kan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에 대한 내성 수치보다 더 우수한 항생제 내성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리파아제(C14)(Lipase (14)), 류신 아릴아미다아제(Leucine arylamidase), 시스틴 아릴아미다아제(Cystine arylamidase), 애시드 포스파타아제(Acid phosphatase), 나프톨-AS-BI-포스포하이드롤라아제(Naphtol-AS-BI-phosphohydrolase), 베타-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및 N-아세틸-베타-글루코사니다아제(N-acetyl-β-glucosaminidase)에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벤조피렌(benzopyrene)을 발암성 물질로 전환시키는 발함요소인 베타-글루크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에 대해서는 효소활성을 갖지 않는 매우 안정적인 균주이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를 경구 투여할 경우, 포도당 흡수 촉진, 인슐린 분비 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따른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POS CON)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뿐만 아니라 혈당강하 및/또는 항당뇨 효과를 가지므로, 당뇨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균주 그 자체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일 수 있다. 배양물은 균주의 배양액 및/또는 배양된 균주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균주를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 및/또는 배양된 균주를 포함하는 물질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상기 배양액은 배양액 그 자체이거나, 배양액 농축액 및 배양액 건조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배양액 농축액은 배양액을 농축한 것이고,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은 상기 배양액의 물기를 없앤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균체는 생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일반적인 배양 방법으로 성장하고, 원심분리와 같은 분리 과정으로 회수 및 농축될 수 있으며, 건조(예를 들어, 동결건조)에 의해 생균제 형태로 제조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물"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의 배양액 및/또는 배양된 균주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를 시험관 내에서 성장 및 생존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하는 배지에 상기 균주를 일정기간 배양하여 얻은 상기 균주, 이의 대사물,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배지를 의미하며, 균주 배양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도 이에 포함된다.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바이오틱(probiotics)"은 '생균제'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적당량을 섭취했을 때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세균을 총칭하는 말로 우리 몸에 유익을 주는 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 부착성이 우수하므로, 몸 안의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서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할 수 있다. 특히 본 균주는 병원성 미생물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여줌으로써 유해 미생물 억제 및 장내 세균총의 정상화 등, 정착한 장 안에서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probiotics) 조성물로서 갖추어야 할 상기 조건을 모두 유의적으로 만족하므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은 통상적인 식품,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보조 식품, 식품 첨가용 뿐만 아니라 의약품으로 허가되는 것까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결건조되거나 캡슐화된 형태 또는 배양 현탁액이거나 건조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트레할로스(Trehalose), 옥수수 전분(corn 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rl)이 바람직하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i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시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잔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다양한 유산균 발효유 및 발효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종균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발효유 식품으로는 요구르트, 칼피스, 치즈, 버터 등을 들 수 있고, 발효 제품으로는 두부, 된장, 청국장, 젤리, 김치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유 및 발효 제품은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서 균주만을 본 발명의 균주로 대체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또는 식품용 첨가제일 수 있고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발효 식품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은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일 수 있고 분말 또는 과립 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세포에서의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복합 기전을 통해 동시에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공복 또는 식후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실제 당뇨 동물모델에서도 혈당 강하 작용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당뇨 동물모델에서 평균 당화혈색소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혈당 강하 작용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당뇨환자의 공복 또는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 또는 강하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는 세포에 아주 많은 양을 처리하여도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혈당 강하"는 혈액 내 포도당(Glucose)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인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일컫는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조성물 내 1 내지 500 ㎍/㎖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 농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 농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 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 일 3회 내지 1 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혈당강하, 혈당 저하 활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혈당을 저하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과 함께 "혈당을 저하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솔잎증류농축액, 콩발효추출물, 알부민, 동결건조누에분말, 지각상엽 추출 혼합물, 서목태 펩타이드 복합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타가토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상엽추출물, L-arabinose, 실크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 피니톨, 홍경천등복합추출물, 계피추출분말, 세리포리아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 씨폴리놀 감태주정추출물, 키토올리고당, 구아바잎 추출물, 바나바잎추출물, 달맞이꽃종자 추출물, 구아검/구아검 가수분해물, 귀리식이섬유,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식이섬유, 이눌린/치커리추출물, 호로파종자식이섬유 등의 당뇨병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여,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를 포함하여 당대사 또는 당 이용률 증대, 알파-글루코시다아제와 알파-아밀라아제에 의한 혈당 상승 억제 및 혈중 인슐린 분비 정상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개선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diabetes)"은 높은 혈당 수치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대사 질환의 일종이다. 혈당이 높을 때의 증상으로는 소변이 잦아지고, 갈증과 배고픔이 심해진다.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합병증이 유발되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제1형 당뇨),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제2형 당뇨)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나아가 다른 질병 등으로 인하여 췌장이 손상됨에 따라 발생하는 당뇨병 예컨대, 갑산성 기능 항진증,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 성장호르몬 과다증 또는 카테콜라민 과다증에 의한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섭취로 당뇨병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당뇨병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병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조성물 내 1 내지 500 ㎍/㎖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 농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 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 일 3회 내지 1 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과 함께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솔잎증류농축액, 콩발효추출물, 알부민, nopa;ㅣ추출물, 동결건조누에분말, 지각상엽 추출 혼합물, 서목태 펩타이드 복합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타가토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상엽추출물, L-arabinose, 실크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 피니톨, 홍경천등복합추출물, 계피추출분말, 세리포리아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 씨폴리놀 감태주정추출물, 키토올리고당, 구아바잎 추출물, 바나바잎추출물, 달맞이꽃종자 추출물, 구아검/구아검 가수분해물, 귀리식이섬유,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식이섬유, 이눌린/치커리추출물, 호로파종자식이섬유 등의 당뇨병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조성물 내 1 내지 500 ㎍/㎖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 농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피부 외용,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 등이 있으나, 경구 투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당뇨병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예 1> 균주 분리
혈당 강화 활성을 갖는 후보군을 선별하기 위해서 아래 과정을 통해 김치 및 분변 유래의 균주 394종을 수집하였다.
김치와 분변을 시료로 수집하고, 브롬크레졸 퍼플(bromcresol purple)과 소듐아자이드(sodium azide)를 첨가한 변형 MRS 배지에 0.1 ㎖씩 평면도말법으로 접종한 후 37 ℃에서 48 시간 배양하고, 균락을 변형 MRS 배지에서 순수 분리한 다음 노란색으로 변한 균락을 잠정적 젖산균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변형 MRS 배지에 도말한 후, 호기 배양하여 순수분리하였다. 순수 분리 후 Lactobacilli MRS broth(Difco, USA)에서 37 ℃, 18 시간 배양한 다음 트립틱 소이 아가(tryptic soy agar)(Difco, USA) 사면배지(slant)에서 37 ℃, 18 시간 조건으로 배양하여 보관하였다.
<실험예 2> 혈당 강화 활성을 갖는 균주 선발
1)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억제활성 측정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활성 억제능 측정은 [Xiao Z, Storms R, Tsang A. A quantitative starch-iodine method for measuring alpha-amylase and glucoamylase activities. Anal Biochem. 2006;351:146-148]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를 0.1 g/10 ㎖ 농도로 증류수를 이용해 희석시켜 효소 용액을 제조하였다. 0.5% 가용성 전분을 증류수에 넣어 기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효소 용액 혹은 시료를 기질 용액과 혼합하여 25 ℃에서 10 분간 반응시켰다. 0.1N HCl 용액으로 반응을 정지시킨 후, 요오드(iodine) 용액을 이용하여 30 분간 염색하여 660 ㎚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만을 처리하였을 때(대조군)와 시료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시료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을 의미한다.
[식 1]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 1 - (A / B) × 100
상기 식 1에서,
A는 시료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B는 대조군(control)의 흡광도(absorbance)이다.
2)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 측정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 측정은 p-NPG(p-nitrophenyl α-glucopyranoside)을 기질로 사용하는 [Si MM, Lou JS, Zhou CX, Shen JN, Wu HH, Yang B, et al. Insulin releasin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Acorus calamus in vitro and in vivo. J Ethnopharmacol. 2010;128:154-159.]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료 50 ㎕를 0.75 unit/㎖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효소액 50 ㎕, 20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5) 50 ㎕와 혼합하여 37 ℃에서 10 분간 전배양(preincubation)한 후 0.1 M phosphate buffer(pH 7.0)에 녹인 3 mM p-NPG 100 ㎕를 가하여 37 ℃에서 10 분간 반응시켰다. 0.1 M Na2CO3 750 ㎕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식 2로 계산하였다. 시료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을 의미하고, 대조군은 시료없이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효소액만 처리한 것이다.
[식 2]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 = 1 - (A / B) × 100
상기 식 2에서,
A는 시료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B는 대조군(control)의 흡광도(absorbance)이다.
3) 결과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억제활성과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 측정한 결과, KI62 균주(각각 94.86±3.30% 및 98.59±0.52%), K99 균주(각각 99.95±0.67% 및 95.18±5.66%), K263(각각 98.00±3.06 및 98.70±0.44)가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상기 3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실험예 3>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162 균주의 동정
1) 당 이용성 분석
최종 선발된 KI62 균주에 대해 API20 STREP 키트를 이용하여 당 이용성을 확인하였다. KI62 균주의 당 이용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Strains KI62
Pyruvate +
Hippurate +
Esculin +
Pyrrolidonyl 2 naphthylamide -
6-Bromo-2-naphyl-α-D-glucuronate +
Naphtol AS-BI ß-D-glucuronate -
2-naphthyl-ß-D-galactopyranoside +
2-naphthyl phosphate -
L-leucine-2 naphthylamide +
Arginine +
Ribose +
L-Arabinose +
Mannitol +
Sorbitol +
Lactose +
Trehalose +
Inulin -
Raffinose +
Starch -
Glycogen -
2) 16SD rRNA 동정
KI62 균주로부터 지놈 DNA를 추출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한 DNA를 주형으로 16S rRNA 영역을 증폭하였다. 구체적으로 DNA 시퀀스분석을 위해, universal primer 27F(5'-AGA GTT TGA TCC TGG CTC AG-3')와 1492R(5'-GGT TAC CTT GTT ACG ACT T-3')을 사용하였으며, Big 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 v.3.1(Applied BioSystems, USA)을 사용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증폭과정은 95 ℃, 5 분을 한 후 95 ℃, 30 초; 55 ℃, 2 분; 68 ℃, 1 분 30 초를 30 회 시행하였으며, 68 ℃, 10 분으로 마무리 하였다. 서열 분석은 PCR 생성물을 Montage PCR Clean up kit(Millipore)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dNTP와 반응물을 제거한 후 시퀀싱(sequencing)용 프라이머(primer) 785F 5'(GGA TTA GAT ACC CTG GTA)3'와 907R 5'(CCG TCA ATT CMT TTR AGT TT)3'를 사용하여, Applied Biosystems model 3730XL automated DNA sequencing system(Applied BioSystems, USA)으로 자동 분석하였다.
최종 선발된 KI62 균주의 16S rRNA 분석결과, KI62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DSM20336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종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최종 선발된 KI62 균주를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로 명명하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KACC)에 2020년 06월 25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ACC 81120BP).
본원발명의 균주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에 대한 계통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단쇄지방산 생성능 측정
최종 선발된 K162 균주를 대상으로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s, SCFA) 생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교군으로는 K99 균주와 K263 균주를 사용하였다.
우선, 균주를 각각 MRS 배지(broth)와 3% 난소화성 다당류(maltodextrin)가 첨가된 MRS 배지(broth)에 1% 접종하여 37 ℃, 18 시간동안 배양하고, 배양이 완료된 후 배양액의 상층액만을 분리하여 단쇄지방산인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및 부티르산(butyric acid)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1) 아세트산(acetic acid) 함량 측정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KI62, K99, K263 균주들의 배양 상층액을 시료로 준비하였다. 5 ㎖의 시료액을 실험직전에 끓이고, 식힌 다음, 시료액의 색이 경미하게 보일 때까지 희석한 다음 1% 페놀프탈레인 용액 몇 방울 가한 후, 엷은 홍색이 30초간 지속될 때까지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고, 하기 식 3에 따라 총산을 구하였다.
[식 3]
총산(%, w/v) = V1 × f × 0.006 × 100 / V2
식 3에서,
V1은 적정에 소비된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양(㎖)이고,
f는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역가(1.000)이며,
V2는 적정에 사용된 시료액의 양(㎖)이다.
2)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함량 측정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KI62, K99, K263 균주들의 배양 상층액을 시료로 준비하였다. 우선, 시료 4 g에 ACN(acetonitrile)을 40 ㎖가 되도록 첨가한 후, 초음파분쇄기(sonicator)를 이용하여 30 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1,770 g,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은 0.22 μM 분리막(membrane filter)으로 여과하여 질소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로 분석하였다. GC-MS 분석 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Device Parameter Condition
GC Column HP-FFAP(0.32 ㎜ i.d × 30 m, 0.25 μM)
Oven temperature program 60℃ (4 min) → 115℃(28℃/min)
→ 240℃(20℃/min, 5min)
Inlet temperature 200 ℃
Injector temperature 200 ℃
Injection volume 1 ㎕
Split ratio Splitless
Carrier Helium, 1.0 ㎖/min
MS Ionization mode EI
Electron impact mode 70 eV
Selected ion(m/z) 741), 57, 45
MS ion source temperature 200 ℃
1) Quntitation ion
3) 부티르산(Butyric acid) 함량 측정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KI62, K99, K263 균주들의 배양 상층액을 시료로 준비하였다. 시료로부터 부티르산(butyric acid)을 추출하기 위해 클로로포름-메탄올(chloroform-methanol)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클로로포름-메탄올(chloroform-m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후,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유도체화 시켰다.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유도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튜브에 지방질 20 ㎎을 취하여 0.5N NaOH/Methanol 2 ㎖를 넣고, 마개를 막은 후 히팅 블록(heating block)(100 ℃)에서 약 5 분간 가수분해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냉각한 다음 14% BF3/Methanol 2 ㎖를 넣고 5 분간 반응시킨 다음 이소옥탄 2 ㎖를 넣고 진탕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시료가 들어있는 튜브에 포화식염수 2 ㎖를 넣었다. 마개를 막고 5 초간 가볍게 흔들어준 후 이소옥탄층만을 취해, 무수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시험액을 받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HP-6890GC FID,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은 표 3에 나타내었다.
Instrument GC-FDI
Column SP-2560(Supelcom 100 m × 0.2 ㎜ ID, 0.2 μM film)
Detector Flame ionization detector
Oven temperature 100 ℃(2 min) - 4 ℃/min - 230 ℃(20 min)
Injector temperature 230 ℃
Detector temperature 250 ℃
Injection volume 1 ㎕
Carrier gas He
Column flow 1.5 ㎖/min
Injection volumn 1.0 ㎕
Split ratio 50:1
4) 결론
도 2는 K99, K263 및 KI62 균주를 MRS 배지(broth)에서 배양하였을 때, 단쇄지방산 생성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K99, K263 및 KI62 균주를 3% 난소화성 다당류(maltodextrin)가 첨가된 MRS 배지(broth)에서 배양하였을 때, 단쇄지방산 생성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의 결과는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 도면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수치가 유의미하게 상이함을 의미한다(p<0.05). NS는 유의미하지 않은 수치(p<0.05)임을 의미한다.
구분 프로피온산(ppm) 아세트산(%, w/v) 부티르산(g/kg)
MRS MRS+M MRS MRS+M MRS MRS+M
K99 6.032± 0.085NS 11.022±2.105NS 1.190± 0.014c 1.180± 0.070b 2.033± 0.041d 1.923± 0.050NS
K263 5.221± 0.000 10.357±2.578 1.270± 0.000b 1.330± 0.140a 1.800± 0.050c 2.578± 0.023
KI62 5.953± 1.662 18.047±1.852 1.150± 0.000d 1.120± 0.070c 2.379± 0.022b 2.193± 0.061
도 2,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동등하거나 우수한 단쇄지방산 생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3% 난소화성 다당류(maltodextrin)가 첨가된 MRS 배지(broth)에서 KI62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해 프로피온산의 생상능이 1.63배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 KI62 균주의 특성 분석
최종 선발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항생제 내성, 효소활성 시험, 내담즙 및 내산성 시험, 항균력 시험, 장내 부착성을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D)로 나타내고, 통계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SPSS, SPSS Inc., USA)로 실시하였다. 유의차는 one-way ANOVA로 통계처리 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를 사용하여 유의성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1) 효소활성
MRS 액체배지에서 37 ℃, 18 시간 동안 선발균주를 각각 배양하고, 이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다음, 105~106 CFU/㎖ 수준의 시료로 조제하였다. 상기 시료는 API ZYM kit(API bioMerieux, Lyon, France)를 이용하여 37 ℃에서 5 시간 배양한 다음 효소반응시켰다. 효소활성은 표준색상표를 비교하여 0~5의 수치로 표시하였으며, 대조구 이외의 alkaline phosphatase, eterase(C4), esterase lipase(C8), lipase(C14), leucine arylamidase, valine arylamidase, cystine arylamidase, trypsin, chymotrypsin, acid phosphatase, naphthol-AS-BI-phosphohydrolase, α-galactosidase, β-galactosidase, β-glucuronidase, α-glucosidase, β-glucosidase, N-acetyl-β-glucosaminidase, α-mannosidase, β-fucosidase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Enzyme P. pentosaceus KI62
Alkaline phosphatase 0
Esterase(C4) 0
Esterase Lipase(C8) 0
Lipase(C14) 1
Leucine arylamidase 5
Valine arylamidase 4
Cystinearylamidase 1
Trypsin 0
α-chymotrypsin 0
Acid phosphatase 2
Naphtol-AS-BI-phosphohydrolase 3
α-galactosidase 0
β-galactosidase 2
β-glucuronidase 0
α-glucosidase 0
β-glucosidase 2
N-acetyl-β-glucosaminidase 2
α-mannosidase 0
α-fucosidase 0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Leucine arylamidase에 대하여 5의 높은 활성을 보였고, benzopyrene을 발암성 물질로 전환시키는 발함요소인 β-glucuronidase의 경우에는 효소활성이 0으로 나타나 안정한 균임을 알 수 있다.
2) 내담즙성
[Gilliland SE, Walker DK.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dietary adjunct to produce a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 humans. J Dairy Sci. 1990;73:905-911]에 따라 수행하였다. 우선, MRS 액체배지에서 37 ℃, 18 시간 배양된 P. pentosaceus KI62 균주를 0.05% 시스테인(cysteine)이 함유된 MRS 액체배지에 0.3% 황소 담즙(oxgall)을 첨가한 배지와 대조구로서 황소 담즙(oxgall)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각각 1% 접종하였다. 37 ℃ 배양기(incubator)에서 7 시간동안 혐기배양하였고, 각 시간별로 BCP plate count agar 평판에서 부어 굳힌 후, 37 ℃에서 48 시간 혐기배양하여 계수하였고,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MRS 액체배지에 0.3% 황소 담즙(oxgall)을 첨가한 배지(with oxgall)와 황소 담즙(oxgall)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without oxgall)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각각 배양한 시간에 따른 생장곡선이다. *은 p<0.05, **은 p<0.01, ***은 p<0.001.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oxgall 첨가한 배지에서, 2 시간 이후부터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대조구 대비 91.67%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우수한 담즙내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내산성
[Clark PA, Cotton LN, Martin JH. Selection of bifidobacteria for use as dietary adjuncts in cultured dairy foods: II-Tolerance to simulated pH of human stomachs. Cult Dairy Prod J. 1993;28:11-14]에 따라 수행하였다. 우선, 37% HCl을 증류수에 섞어 pH 2, 3, 4 용액과 대조구로서 pH 6.4 용액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pH 용액 10 ㎖에 0.05% 시스테인(cysteine)이 함유된 MRS 액체배지에서 37 ℃, 24 시간 배양된 선발균주(약 109 CFU/㎖)를 1 ㎖씩 섞은 후 37 ℃에서 혐기 배양하면서 0, 1, 2, 3시간 후의 생균수를 BCP plate count agar 평판에서 부어 굳힌 후 37 ℃에서 48 시간 혐기 배양한 다음 계수하였고,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HCl 용액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접종하였을 때, 3 시간 후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은 p<0.05, **은 p<0.01, ***은 p<0.001.
프로바이오틱 조성물로써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낮은 PH 조건의 위장관을 통과하였을 때, 소장까지 생존해야만 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0 시간)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PH 조건에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3 시간동안 99~100% 생존율을 보였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내산성이 현저히 우수하며, 위에서도 높은 생존율을 갖는 뛰어난 균주임을 알 수 있다.
4) 항생제 내성
MRS 액체배지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접종하고 37 ℃에서 18 시간 배양한 후 0.1% 펩톤(peptone) 용액에 적정농도로 희석하였다. 각 항생제가 각 농도별로 포함된 tryptic soy 액체배지에 105-106 CFU/㎖ 수준으로 접종하고 37 ℃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생장 여부를 결정하였다. 항생제 내성 측정은 2 배 희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억제된 가장 낮은 농도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항당뇨 효과를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으로 결정하였다. 항생제는 Sigma(US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항생제는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Streptomycin, Ampicillin, Penicillin-G, Oxacillin, Bacitracin, Polymyxin B, Ciprofloxacin, Tetracycline, Clindamycin, Erythromycin Rifampicin, Vancomycin 및 Chloramphenicol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Antimicrobal agents MIC(㎍/㎖)
Amikacin 64
Gentamycin 128
Kanamycin 128
Streptomycin 256
Ampicillin >2048
Penicillin-G 0.5
Oxacillin 4
Bacitracin 128
Polymyxin B >512
Ciprofloxacin 128
Tetracycline 64
Clindamycin 1
Erythromycin 2
Rifampicin 0.5
Vancomycin >4096
Chloramphenicol 4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vancomycin에 대한 항생체 내성의 MIC 농도가 4,096 ㎍/㎖ 이상으로서 가장 내성이 높은 반면 Clindamycin에 대한 MIC 농도는 1.0 ㎍/㎖ 이하로 가장 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항생제 내성은 SCAN(The scientific committee on animal nutrition)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5) 항균력
[Gilliand SE, Speck ML. Deconjugation of bile acids by intestinal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obiol. 1977;33:15-1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항균력 측정을 수행하였다.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으로 구성된 지시균은 모두 한국식품연구원으로부터 분양 받았으며, 지시균의 증식배지는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cous aureus는 nutriunt 액체배지에서 호기적으로 37 ℃, 24 시간 배양하였다. 혼합배양 및 대조군에 사용된 배지는 MRS 액체배지로서 선발균주와 지시균을 각각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선택배지로서 Escherichia coli는 EMB agar, Salmonella Typhimurium은 Bismuth sulfite agar, Listeria monocytogenes는 Supplement(X123)가 함유된 Listeria Isolation Agar, Staphyloccous aureus는 Baird parker agar를 사용하여 37 ℃에서 6 시간 배양하였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에 의한 지시균의 억제율은 식 4를 통해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4]
Inhibition (%) = (대조군의 균수 CFU/mL-혼합배양 후의 균수 CFU/mL)/대조군의 균수 CFU/mL
Pathogens Growth Inhibition
(%)
pathogens KI 62+pathogens
CFU/ml pH CFU/ml pH
Escherichia coli 6.80±0.14×106 6.22 4.80±0.28×105 4.72 29.41
Salmonella Typhimurium 3.15±0.64×107 6.17 1.95±0.21×107 4.75 38.10
Listeria monocytogenes 1.45±0.07×105 6.24 7.00±0.14×104 4.67 51.72
Staphyloccous aureus 7.13±0.75×106 5.24 3.53±0.60×106 4.67 50.47
*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초기 균수는 3.63 ± 0.35 × 106 CFU/㎖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써, 유해한 균을 저해하고,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향균활성을 갖는지를 확인한 결과, 3종의 식중독균(E. coli, S. Typhimurium, S. aure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dp 에 대해서도 51% 이상의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6) 장 정착능
장 정착능 평가를 위해 HT-29 세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HT-29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을 통하여 구입하였고, [Kim SJ, Cho SY, Kim SH, Song OJ, Shin IS, Cha DS, et al. Effect of microencapsulation on viability and other characteristics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12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우선, 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FBS; Gibco, USA)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P/S; Gibco, USA)이 첨가된 RPMI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CO2/95% air가 공급되는 조건의 항온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HT-29 세포를 배양하기 위하여 세포를 12 well plate의 각 well에 106 cells/well로 분주하고 2일에 한번씩 배지를 교체해 주며 실험 전날, 95%까지 세포가 찼을 때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um)로 교체하여 세포(cell)가 더 이상 차는 것을 막아주었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장내 정착능을 실험하기 위해 2차 계대배양한 균주 1 ㎖를 취해 12,000 rpm에서 3 분간 원심분리하고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um)를 이용해 두 번 세척하였다. 세척한 균주를 RPMI 배지로 희석하여 O.D600nm이 0.5가 나오도록 맞춘 후 0.1% 펩톤(peptone) 용액으로 희석한 다음 BCP plate count agar에 부어(pouring) 초기 균수를 측정하였다. OD값을 맞춘 균체 100 ㎖를 웰(well)에 분주한 후 37 ℃, 5% CO2에서 2시간 배양한 다음, PBS를 이용해 붙지 않은 균을 5번 세척해 주었다. 트립신-EDTA(Trypsin-EDTA) 1 ㎖를 첨가하여 세포-박테리아(cell-bacteria)를 떼어내고, 0.1% 펩톤(peptone) 용액으로 희석한 다음 BCP plate count agar에 부어 균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HT-29 세포에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장내 부착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로, 이에 따르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장내 세포에 대한 부착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 rhamnosus GG)(LGG)(Gopal 등, 2001)는 장내 세포에 대한 부착능이 현저히 뛰어난 것으로 널리 알려진 균주이다.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LGG 균주와 동등한 정도의 뛰어난 장내 부착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RIN-m5F 세포에 대한 혈당개선 작용기작 규명
1) 선발균주 전처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MRS 배지(broth)에 1% 접종한 후 37 ℃, 18 시간 각각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주를 1,500 x g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수집하였다. 남아있는 MRS 배지(broth)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집된 균주는 멸균된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균주는 동결 건조 후 10 ㎎/㎖의 농도로 현탁하였다. 초음파 분쇄기(Sonicator)를 이용하여 50 초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멸균기(autoclave)로 멸균하여 실험에 사용할 시료를 준비하였다. 각 시료는 분석에 따라 농도별 희석해 주었고, 농도별 희석은 D.W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시료는 냉장 보관하였다.
2) 세포모델 준비
세포모델로 사용하기 위한 RIN-m5F(췌장세포)를 준비하였다. RIN-m5F(췌장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anassas, VA, USA)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에 필요한 시약은 Gibco(USA)에서 구입 하였으며, 배지는 RPMI-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및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에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antibiotics-antimycotic을 첨가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 세포배양기에서 2~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할 세포모델을 준비하였다.
3) 세포 독성
RIN-m5F에 실험예 6-1로부터 얻은 시료를 처리하고, 시료의 농도에 따른 세포생존율은 WST-1 assay(ITSBio, Seoul, Korea)을 측정하였다. 우선 RIN-m5F 세포를 각각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5×104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24 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각 웰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WST-1 시약을 100 ㎕ 당 10 ㎕ 씩 첨가하여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이용하여 450 ㎚(Ref. 6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식 5를 통해 계산하였다.
[식 5]
Cell viability assay(%)=(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4) 인슐린 분비 조절 활성
RIN-m5F 세포를 well 당 5.0×105 세포(cells)로 12-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여 완전배지에서 3일간 배양한 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YCT를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 modified Kreb's ringer bicarbonate 완충액(KRBB-HEPES, 134 m㏖/ℓ NaCl, 4.8 m㏖/ℓ KCl, 1 m㏖/ℓ CaCl2, 1.2 m㏖/ℓ MgSO4, 1.2 m㏖/ℓ KH2PO4, 5 m㏖/ℓ NaHCO3, 10 m㏖/ℓ HEPES, 1 ㎎/㎖ BSA, pH 7.4)으로 2회 세척하고 20 mM의 포도당을 함유한 KRBB-HEPES 완충액으로 바꾸어 1 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4 ℃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모아 -20 ℃에 보관하였다. 분비된 인슐린의 양을 rat insulin RIA kit으로 측정하였다. 각 웰(well)의 세포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각 단위그램 단백질 당 인슐린 분비량을 계산하였다.
5) RT-PCR(Real-time PCR) 기법을 활용한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변화 분석
Real-time PCR을 통해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우선 RIN-m5F 세포를 5×105 cells/well로 12-웰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여 완전배지에서 3일간 배양 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modified Kreb's ringer bicarbonate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20 mM glucose를 함유한 KRBP-HEPES 완충액으로 바꾸어 1 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 제거 후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Sigma, T9424)를 이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정량하고, 올리고(Oilgo) dT 프라이머(primer)와 AMV 역전사효소(res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1 ㎍의 RNA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주형(template)으로 GLP-1R, IRS-2, GADPH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방법으로 증폭하여 측정하였다. 각 PCR 산물들은 1%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브로민화 에티듐(Ethidium bromide)(EtBr, Sigma)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UV 하에서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8에 정리하였다.
명칭 서열
PPAR-γ sense
(서열번호 2)
5'-TCGCTG ATG CAC TGC CTA TG-3'
antisense
(서열번호 3)
5'-GAG AGG TCC ACA GAG CTG ATT-3’
SREBP-1c sense
(서열번호 4)
5'-AGC AGC CCC ATG AAC AAA CAC-3'
antisense
(서열번호 5)
5'-CAG CAG TAG GTC TGC CTT GAT-3’
GAPDH sense
(서열번호 6)
5'-CGG-AGT-CAA-CGG-ATT-GG-TCG-TAT-3'
antisense
(서열번호 7)
5'-AGC-CTT-CTC-CAT-GGT-GGT-GAA-GAC-3'
5) 통계분석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Duncan 사후검정 비교를 실시하여 p<0.05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SPSS V12., SPSS Inc, Chicago, IL, USA).
6) 결과
도 7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RIN-m5F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이에 따르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농도가 1~10 ㎍/㎖일 때, 10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30~100 ㎍/㎖ 농도에서는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1~500 ㎍/㎖(생존율 70% 이상)의 농도까지 안정적이며, 바람직하게는 1~100 ㎍/㎖(생존율 79%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생존율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생존율 100% 이상)일 수 있다.
도 8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RIN-m5F 세포(대조군, control)에서 인슐린 분비량은 73.67 ng/㎎ protein/1h였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처리한 경우, 농도별로 76.50 ng/㎎ protein/1h, 98.39 ng/㎎ protein/1h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인슐린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군과 비교시 최대 33.5%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LP-1R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GLP-1은 베타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G 단백결합 수용체인 GLP-1 수용체(GLP-1R, glucagon-like peptide 2 receptor)에 결합하여 세포 내에 신호전달을 하며, 당 의존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유전자 발현과 생합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GLP-1R 발현이 증가할수록 베타세포의 인슐린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됨을 알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처리함에 따라 인슐린종 세포인 RIN-m5F에서 GLP-1R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GLP-1R 분비량 조절을 통한 직접적인 인슐린 분비 촉진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IRS-2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IRS는 인슐린 신호전달의 매개체로 세포의 성장, 생존, 대사와 같은 기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 수용체와 세포 내의 복잡한 신호전달 분자 사이으이 도킹 단백질이다. 인슐린 수용체 기질2(Insulin receptor substrate 2, IRS-2)는 인슐린과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의 증식과 기능, 생존을 증진시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고 알려지 있다. 이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RIN-m5F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IRS-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IRS-2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IRS-2 발현이 1.25배와 1.45배로 각각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C2C12 세포에서의 당대사 및 이용률 증가 활성 평가
1) 선발균주 전처리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MRS 배지(broth)에 1% 접종한 후 37 ℃, 18 시간 각각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주를 1,500 x g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수집하였다. 남아있는 MRS 배지(broth)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집된 균주는 멸균된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균주는 동결 건조 후 10 ㎎/㎖의 농도로 현탁하였다. 초음파 분쇄기(Sonicator)를 이용하여 50 초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멸균기(autoclave)로 멸균하여 실험에 사용할 시료를 준비하였다. 각 시료는 분석에 따라 농도별 희석해 주었고, 농도별 희석은 D.W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시료는 냉장 보관하였다.
2) 세포모델 준비
세포모델로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 근육세포(C2C12 myoblast)를 준비하였다. 마우스 근육세포(C2C12 myoblast)는 각각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anassas, VA, USA)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에 필요한 시약은 Gibco(USA)에서 구입 하였으며, 배지는 RPMI-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및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에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antibiotics-antimycotic을 첨가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 세포배양기에서 2~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할 세포모델을 준비하였다.
3) 세포 독성
C2C12세포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시료)로 처리하고, 시료의 농도에 따른 세포생존율은 WST-1 assay(ITSBio, Seoul, Korea)을 측정하였다. 우선 C2C12세포를 각각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5×104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24 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각 웰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WST-1 시약을 100 ㎕ 당 10 ㎕ 씩 첨가하여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이용하여 450 ㎚(Ref. 6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식 5를 통해 계산하였다.
[식 5]
Cell viability assay(%)=(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3) 혈당 흡수능 평가
C2C12 세포를 96-well plate (5×104 cells/well)에 분주하고 37 ℃, 5% CO2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하여, 세포가 70% 자란 후, 배지를 1% 말 혈청(horse serum), 1% P/S가 첨가된 DMEM 분화용 배지로 교체하여 48 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며 배양하였다. 완전히 분화된 세포를 24시간 동안 무혈청-저글루코스 배지(serum free-low glucose medium)와 100 nM 2-[N-(7-nitrobenz-2-oxa-1,3-diazol-4-yl)amino]-2-deoxy-D-glucose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후, Cold PBS를 이용하여 세 번 세척 후, 형광측정기를 이용하여 485 ㎚, 535 ㎚ 스팩트럼 파장으로 2-NBDG 흡수능을 측정하였다.
4) 당대사 및 이용률에 관여하는 단백질(GLUT4, Akt)의 발현 분석
웨스턴블롯(Western blot)을 통해, 선발균주로 처리된 세포모델에서의 당대사 및 이용율에 관여하는 단백질(GLUT4, Akt) 발현을 분석하였다. C2C12세포를 12-웰 플레이트(well plate)(5×105 cells/well)에 분주하고 37 ℃, 5% CO2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가 70% 자란 후, 배지를 1% 말혈청(horse serum), 1% P/S가 첨가된 DMEM 분화용 배지로 교체하여 48 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며 배양하였다. 완전히 분화된 세포를 24 시간동안 무혈청-저글루코스 배지(serum free-low glucose medium)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후, PBS를 이용하여 세 번 세척 후, 용리액(lysis buffer)을 넣고 1400 rpm에서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취하여 SDS 샘플완충액을 넣은 후 100 ℃에서 10 분 동안 끓여서 단백질의 변성을 유도하였다. 그 후 10% SDS PAG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한 후, Glut4(1F8) mouse mAb(CST,#2213S), Phospho-Atk(Ser473)(CST,#9271), Akt Antibody (CST,#9272)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5) 통계분석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Duncan 사후검정 비교를 실시하여 p<0.05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SPSS V12., SPSS Inc, Chicago, IL, USA).
6) 결과
도 11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C1C12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C2C12 세포 생존율 RIN-m5F 세포의 생존율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C1C12 세포의 글루코스 흡수능(Glucose uptake)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근육은 인체의 말초조직의 하나로, 체내 혈당의 약 70%를 흡수하여 소모하는 대표적인 조직이면서, 혈당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분화된 근육세포(C2C12 세포)의 글루코스 흡수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2C12 세포의 글루코스 흡수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C2C12 세포의 글루코스 소모를 증진시키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PIP3은 원형질막(Plasma membrane)으로 Akt의 전위(Translocation)를 유도하고, PDK2는 Akt의 ser473에서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막에 결합된 활성된 Akt는 지방과 근육에 존재하는 GLUT4(Glucose transporter type 4)를 증가시키고, 인슐린 자극에 의해 세포질에서 세포막으로 전위(Translocation)하여 포도당이 세포 내로 유입되는 포도당 흡수과정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분화된 근육세포(C2C1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pAkt/Akt 및 GLUT4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C2C1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당대사 및 이용률에 관여하는 단백질(p-AKT/AKT)의 발현량을 측정한 웨스턴블롯 결과이고, 도 14는 이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도 15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서로 다른 농도로, C2C1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당대사 및 이용률에 관여하는 단백질(GLUT4)의 발현량을 측정한 웨스턴블롯 결과이고, 도 16은 이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처리함에 따라 C2C12 세포에서 당대사 및 이용률에 관여하는 단백질(p-AKT/AKT 및 GLUT4)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C2C12 세포의 글루코스 소모를 증진시키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GULT4는 인슐린 수송로로서, 인슐린에 의한 자극이 오면 세포 내 GULT4는 원형질막으로 이동하여 글루코스 수송을 촉진한다. 즉, GLUT4는 혈중 글루코스의 세포 내 유입을 원활하게 하여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처리함에 따라 글루코스 수송에 관여하는 GLUT4의 활성 및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항당뇨 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8> 동물모델을 이용한 혈당개선 효능 평가
1) 실험동물 및 사육환경
실험동물은 Specific-pathogen free(SPF) 상태의 db/db mice(렙틴의 수용체를 생산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계통으로, 렙틴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겨 당뇨병이 유도됨) 5주령을 분양받아 일주일 순화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화기간에는 일반 마우스 사료(Purina Lab Rodent Chow #38057, Purina Co., Seoul Korea)를 급여하며 순화기간 중 음수는 필터링된 음용수를 매일 갈아주어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사육기간 중 온도는 23±1℃, 습도 50±5%, 소음 60 phone이하, 조명시간 08:00~20:00 (1일 12시간), 조도 150~300 Lux, 환기는 시간당 10 회~12 회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본 실험은 동물실험윤리규정을 준수하여 수행하였다.
2) 실험
실험기간 중 식이는 일반 고형사료(Samtako, Gyunggi, Korea)(AIN-93G)를 급여하였고, 실험이 끝난 실험동물은 혈당을 측정한 뒤 난괴법을 사용하여 각 군간 혈당의 평균값이 균일하도록 분리한 후 귀 펀치(ear punch)를 이용하여 개체식별 표시하였다(각 군은 하기 표 10에 정리하였다).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구분하며 군당 8마리씩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때, 정상군은 비당뇨병 마우스, db/+를 대조군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실험기간 중 온도는 23±1℃, 습도 50±5%, 소음 60 phone이하, 조명시간 08:00~20:00 (1일 12시간), 조도 150~300 Lux, 환기는 시간당 10 회~12 회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본 실험은 동물실험윤리규정을 준수하여 수행하였다.
구분(n=8) 실험방법
정상군
(Normal group, NOR)
(비당뇨병 마우스, db/+)
매일 0.2 ㎖ 증류수를 8주동안 경구투여
대조군
(Control group, CON)
(당뇨병 마우스, db/db)
매일 0.2 ㎖ 증류수를 8주동안 경구투여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 POS CON)
(당뇨병 마우스, db/db)
Metformin hydrochloride 60 ㎎/㎏를 포함하는 0.2 ㎖ 증류수를 매일 8주동안 경구투여
실험군
(KI62)
(당뇨병 마우스, db/db)
8 Log/CFU KI62 농도로 생균체가 현탁된 0.2 ㎖ 증류수를 매일 8주동안 경구투여
3) 혈당 측정 및 경구당부하 검사
각 군별 주간 체중량과 혈당을 측정하였다. 체중량과 혈당은 주 1회 일정시간에 모두 측정하였고, 식이 및 음수 섭취량은 주 1회 일정량의 식이와 음수를 급여한 후 익일 잔량을 측정하였다. 주간 혈당은 매주 일정 시간에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미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구내당능 검사는 실험시료 투여 마지막 주째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시켜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공복 시 혈당 농도를 측정한 후 포도당용액(1 g/kg BW)을 경구투여하고 30, 60, 120, 180분 후 혈당을 측정하였다.
4) 실험동물의 처리 및 시료 수집
실험이 종료된 각 군은 12시간 절식시킨 후, 안와정맥총(orbital plexus)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관에 넣어 1 시간 정도 실온에 방치한 다음 2,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킨 후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은 -70 ℃에서 냉동보관하면서 분석에 이용하였다. 채혈이 끝난 후 각 장기조직(간, 신장, 비장, 정소, 췌장)을 적출하여 0.9% 생리식염수에 세척한 다음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5) 혈액 분석
혈액은 복대정맥에서 채혈하여 코니칼 튜브(conical tube)에 채취한 혈액을 담아 상온에서 30분 응고시킨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혈중 프락토사민(fructosamine)과 TC, TG, LDL-C, HDL-C 및 혈당관련 지표성분인 글루코스(glucose), 인슐린(insuline), HbA1c, C-펩타이드(C-pept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HOMR-IR(Homeostasis Assessment-Insuline Resistance)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6) 조직학적 분석
췌장 랑게르한스섬 조직 분석은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키트(Accessor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고정시킨 췌장 조직을 파라핀에 포매 후 4 ㎛의 두께로 절편하여 세절하고, 탈파라핀한 조직을 퍼옥시다아제 퀀칭 용액(peroxidase quenching solution)으로 30 분간 처리한 후, 즉시 사용가능한(Ready-To-Use) IHC 차단 시약(IHC Blocking Reagent)으로 15분간 반응시켰다. 이 후 차단시약(Blocking Reagent)과 활성화된 1차 항체(Working Primary Antibody solution)(2-10 ㎕ of antibody to 1 ㎖ of Ready-To-Use IHC antibody Diluent) 각각을 처리하여 상온에서 3 시간 또는 저온에서 밤새(overnight) 반응시킨 다음, 활성화된 항-토끼 IHC 항체(Working anti-Rabbit IHC Antibody)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뒤 DAB 기질(Substrate)과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염색하였다. 염색한 췌장 조직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 및 촬영하였다.
7) 통계분석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D)로 나타내고, 통계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SPSS Inc., USA)로 실시하였다. 유의차는 one-way ANOVA로 통계처리 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를 사용하여 유의성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8) 결과
도 17은 시간에 따른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체중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인 db/db 마우스는 렙틴(leptin)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되어 식욕이 조절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비만이 나타나며 성장에 따라 혈당이 높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과 비교시 모든 동물모델의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간에 따른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당(글루코스 농도, mg/dl)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0주 2주 3주 5주 6주 7주 8주
정상군 104.86±23.01b 105.86±16.68c 130.33±25.66c 127.63±17.85c 118.38±16.32b 84.43±12.86c 126.17±17.31c
대조군 198.71±16.33a 347.00±40.97a 444.40±77.32ab 501.50±50.47a 458.00±34.23a 500.75±29.66a 463.25±10.99a
양성 대조군 182.00±31.86a 268.75±92.00b 460.50±46.17a 353.00±70.27b 376.50±13.92a 398.50±43.07b 395.33±12.38b
실험군
KI62
164.43±19.76b 267.80±43.65a 392.00±70.01a 384.75±19.56b 379.75±10.21a 375.25±21.18b 341.00±37.15b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97),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당은 다소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민을 투여한 양성 대조군에서는 투여 개시 5, 6, 7, 8주에서 혈당 감소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투여된 실험군(KI62)도 양성 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으로의 혈당 감소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경구당부하 검사는 당섭취 후,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인슐린 분비기능을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에 의한 포도당 내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8주차에 12시간 절식 후, 글루코스를 1 g/kg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0, 30, 60, 120, 180 분 간격으로 혈액을 미정맥을 통해 측정하는 당부하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8과 표 11에 정리하였다. 도 18은 경구당부하 검사에 따른 혈당 수치에 대한 AUC(Area under the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0 분 30 분 60 분 120 분 180분
정상군 81.875±13.80c 173.87±23.85b 165.37±27.72b 137.50±20.09d 115.62±14.97c
대조군 489.80±34.40a 600±0.00a 600±0.00a 549.25±25.72a 510.75±37.63a
양성 대조군 398.5±43.07b 600±0.00a 600±0.00a 483.00±28.82b 437.50±40.41b
실험군
KI62
483.60±25.26a 600±0.00a 600±0.00a 447.00±25.41c 446.50±21.09b
표 11에서, 30분, 60분에서 혈당 측정기의 측정 범위인 600 ㎎/㎗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최대 수치인 600 ㎎/㎗로 표기하였다(a).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도 18 및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주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혈당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동등하거나 더 낮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 투여시 인슐린의 감수성 또는 저항성에 영향을 미쳐 혈당을 강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9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프락토사민(fructosamine)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프락토사민은 포도당과 단백질이 결합되어 형성된 화합물로, 8-12 주 동안은 평균적인 혈중 포도당 농도를 나타내는 당화혈색소와 달리 2-3 주 간의 평균적인 포도당 농도를 반영하는 지표이다.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8주 동안 경구투여한 실험군의 혈청내 프락토사민(fructosamine)은 4.84 ± 0.64 μ㏖/L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조군(CON)은 7.70 ± 1.79 μ㏖/L이며, 정상군(NOR)은 3.10 ± 0.67 μ㏖/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2.48배 증가하였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37.11%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은 양성 대조군(6.81 ± 1.49 μ㏖/L)보다 1.4배 더 낮은 수치임을 확인한 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보다 혈당 감소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20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글루코스(Glucose)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NOR)은 대조군(CON) 보다 혈청 내 글루코스 농도가 2 배 이상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p<0.05). 양성 대조군(POS CON)(499.58 ± 33.74 ㎎/㎗)은 대조군(CON)(538.22 ± 28.35 ㎎/㎗)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KI62)은 458.22 ± 33.19 ㎎/㎗로, 대조군(CON)에 비해 14.86% 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보다 혈당 감소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21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인슐린(Insulin)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췌장에서 정상적인 인슐린 분비가 일어나지 못하면 체내의 혈당을 조절하지 못한다.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정상적이더라도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일어날 경우, 당을 대사하지 못하게 되어 혈중에 인슐린이 높아지는 고인슐린혈증(Hyperinsulinemia)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군에 대한 혈중 인슐린을 측정하여 당뇨 조절에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CON),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 CON)들은 전체적으로 정상군(NOR)보다 혈중 인슐린 수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이 투여된 양성 대조군(POS CON)은 혈중 인슐린 수치가 대조군(CON)에 비해 13.63%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투여된 실험군(KI62) 역시 양성 대조군(POS CON)과 유사한 수준으로 혈중 인슐린 수치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과 유사한 수준의 우수한 인슐린 감소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2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중 당화 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혈액 중에서 글루코스의 함량이 높으면 적혈구 헤모굴로빈에 비효소적 방법으로 당이 붙어 당화 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가 생성되며, 이를 HbA1C라고 한다. 적혈구의 수명은 평균 8-12주이므로, HbA1C를 측정하면 현재를 기준으로 4-6주 전후의 혈액 내 글루코스 농도가 반영된 지난 8-12주간의 평균 혈당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8주간 투여한 실험군의 당화혈색소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8-12주간의 평균 혈당치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의 경구 투여에 의해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보다 더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23은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혈청 내 C-peptide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C-peptides은 혈액 상에 돌아다니는 인슐린이 만들어지기 전, 큰 분자 중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슐린의 A고리와 B고리를 연결하는 3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의 원형(Proinsulin)이 합성되며, 이것은 혈액 중에 인슐린과 C-peptide로 나누어지고, 혈액 중에 인슐린과 C-peptide는 같은 비율로 존재한다. 게다가 C-peptide는 항인슐린 항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을 반영하는 당뇨바이오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NOR)에 비해 대조군(CON)에서 C-peptide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를 8주간 투여한 실험군은 C-peptide 농도가 정상군(NOR)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는 혈당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췌장의 조직학적 검사를 하기에 앞서,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췌장 무게를 측정하였고, 표 12에 나타내었다. 서로 다른 위첨자는 서로 유의미하게 상이한 수치임을 의미한다(p<0.05).
췌장 조직 무게(g)
정상군 0.215±0.011a
대조군 0.130±0.007c
양성 대조군 0.158±0.028b
실험군 KI62 0.141±0.010bc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의 췌장 조직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투여된 실험군은 췌장 조직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췌장 조직의 감소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4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췌장 췌도(Pancreatic islets) 내에 존재하는 인슐린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췌장 조직 내 베타세포에 존재하는 인슐린을 측정하는 것은 베타 세포의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인슐린은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도 24에 따르면, 췌장내 췌도(islets)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발현은 정상군(NOR)에 비해 대조군(CON)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췌장내 췌도(islets) 베타세포가 당뇨병으로 인해 현저히 손상되었으며, 췌장의 인슐린 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투여된 실험군(KI62)는 대조군에 비해 인슐린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이 처리된 양성 대조군(POS CON)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에 의해 췌장내 췌도의 베타세포가 기능을 회복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함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25는 정상군(Norma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실험군(KI62),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의 췌장 췌도(Pancreatic islets) 내에 존재하는 글루카곤(Glucagon)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췌도(pancreatic islet cell)는,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s)이라고도 호칭되며, 췌장에 존재하고, 글루카곤 및 인슐린을 분비하는 내분비세포의 군집이다.
도 25에 따르면 췌장내 췌도(islets)에서의 글루카곤 발현은 정상군(NOR)에 비해 대조군(CON)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당뇨병으로 인해 췌장내 췌도(islets)가 손상되었으며, 췌장의 글루카곤 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가 투여된 실험군(KI62)는 대조군에 비해 글루카곤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종래 당뇨 치료제인 메트포민이 처리된 양성 대조군(POS CON)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균주에 의해 췌장내 췌도의 기능을 회복하여 글루카곤 발현이 정상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Pediococcus pentosaceus KI62 and uses thereof <130> HPC930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5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RNA sequence of Pediococcus pentosaceus KI62 <400> 1 tggtaccagg ttcccttttt tagttttttt actctgctca ggatgaacgc tggcggcgtg 60 cctaatacat gcaagtcgaa cgaacttccg ttaattgatt atgacgtact tgtactgatt 120 gagattttaa cacgaagtga gtggcgaacg ggtgagtaac acgtgggtaa cctgcccaga 180 agtaggggat aacacctgga aacagatgct aataccgtat aacagagaaa accgcatggt 240 tttcttttaa aagatggctc tgctatcact tctggatgga cccgcggcgt attagctagt 300 tggtgaggta aaggctcacc aaggcagtga tacgtagccg acctgagagg gtaatcggcc 360 acattgggac tgagacacgg cccag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420 aatggacgca agtctgatgg agcaacgccg cgtgagtgaa gaagggtttc ggctcgtaaa 480 gctctgttgt taaagaagaa cgtgggtaag agtaactgtt tacccagtga cggtatttaa 540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600 atccggattt attgggcgta aagcgagcgc aggcggtctt ttaagtctaa tgtgaaagcc 660 ttcggctcaa ccgaagaagt gcattggaaa ctgggagact tgagtgcaga agaggacagt 720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780 ggctgtctgg tctgcaactg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gaa caggattaga 840 taccctggta gtccatgccg taaacgatga ttactaagtg ttggagggtt tccgcccttc 900 agtgctgcag ctaacgcatt aagtaatccg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960 caaaa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tacg 1020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ttc tgacagtcta agagattaga ggttcccttc 1080 ggggacagaa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1140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tac tagttgccag cattaagttg ggcactctag 1200 t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cgac gtcaaatcat catgcccctt 1260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tggtacaac gagtcgcgag accgcgaggt 1320 taagctaatc tcttaaaacc attctcagtt cggactgtag gctgcaactc gcctacacga 1380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1440 tacacaccgc ccgtcacacc atgagagttt gtaacaccca aagccggtgg ggtaaccttt 1500 taggagctag ccgtctaagg tgggacagat gattagggtg aagtcgtaac aggggaa 1557

Claims (10)

  1.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RNA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내산성, 내담즙성, 장부착능 및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는 혈당 강하 및 항당뇨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6.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97 KACC 81119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10.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62 KACC 81120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84815A 2020-07-09 2020-07-09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KR10257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15A KR102577596B1 (ko) 2020-07-09 2020-07-09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15A KR102577596B1 (ko) 2020-07-09 2020-07-09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63A true KR20220006863A (ko) 2022-01-18
KR102577596B1 KR102577596B1 (ko) 2023-09-13

Family

ID=8005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815A KR102577596B1 (ko) 2020-07-09 2020-07-09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620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메타센테라퓨틱스 메틸글리옥살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신규한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662319B1 (ko) 2023-09-06 2024-04-30 재단법인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acc616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510A (ko) * 2007-12-10 2009-06-15 권대준 항균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젠1 및 이를포함하는 미생물제제
KR20160036784A (ko) * 2014-09-26 2016-04-05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63025A (ko) * 2014-11-26 2016-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23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8078A (ko) 2017-12-08 2019-06-1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0673A (ko) * 2017-12-13 2019-06-21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4B1 (ko) * 2018-06-20 2019-07-1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rcm102736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1117918A (zh) * 2020-01-06 2020-05-08 江南大学 缓解pfos毒害作用的多功能戊糖片球菌ccfm1107、其发酵食品及应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510A (ko) * 2007-12-10 2009-06-15 권대준 항균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젠1 및 이를포함하는 미생물제제
KR20160036784A (ko) * 2014-09-26 2016-04-05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63025A (ko) * 2014-11-26 2016-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23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8078A (ko) 2017-12-08 2019-06-1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0673A (ko) * 2017-12-13 2019-06-21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4B1 (ko) * 2018-06-20 2019-07-1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rcm102736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1117918A (zh) * 2020-01-06 2020-05-08 江南大学 缓解pfos毒害作用的多功能戊糖片球菌ccfm1107、其发酵食品及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sci Microbiota Food Health.,39(2):57-64(2020.1.2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620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메타센테라퓨틱스 메틸글리옥살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신규한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662319B1 (ko) 2023-09-06 2024-04-30 재단법인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acc616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596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486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9925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21826B1 (ko) 간 기능 개선용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254310B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bl409 균주 및 그 용도
KR102173547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KR102139687B1 (ko)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mg4288
KR102577596B1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i62 및 이의 용도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4442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g4555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7043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97 및 이의 용도
KR20180116173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62507B1 (ko)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20190067527A (ko) 비만, 당뇨와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45903B1 (ko) 혈당 상승 저해 및 스트레스 조절 효과가 우수한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14 균주 및 용도
KR20220090474A (ko)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69795B1 (ko) 신규한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eb-fpdk9 균주 및 그의 용도
KR20180040899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79151B1 (ko) 체지방 감소 및 장 건강 증진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2294451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mg4558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285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48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21505528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KR102264188B1 (ko) 당귀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mbel1397 (kctc14037bp)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RU2785355C2 (ru) Новые молочнокислые бактери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20230153832A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95 균주를 포함하는 혈당 저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