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910A - 액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910A
KR20220005910A KR1020200083663A KR20200083663A KR20220005910A KR 20220005910 A KR20220005910 A KR 20220005910A KR 1020200083663 A KR1020200083663 A KR 1020200083663A KR 20200083663 A KR20200083663 A KR 20200083663A KR 20220005910 A KR20220005910 A KR 20220005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rotation
supply device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727B1 (ko
Inventor
홍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08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7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6Rotor flux based control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액압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모듈레이터블록에 결합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는 모터;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 일측에 피스톤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볼너트; 상기 회전축과 볼너트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축과 동일축 상으로 일직선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시 축방향으로 예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액압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압 공급장치{Hydraulic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액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되어 액압을 발생시키는 액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종류의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예로 지능형 통합 브레이크(IDB : Integrated Dynamic Brake)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형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모터가 작동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동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압 공급장치와, 상기 유액 공급장치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액압을 공급받아 제동동작을 제어하도록 복수의 밸브가 설치된 모듈레이터블록 및 모터와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통합형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모터의 작동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모터 포지션 센서(MPS : Motor Positoin Sensor)를 더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량에 의한 피스톤의 전진 거리를 파악하고 있다. 이때, 모터의 회전 정보를 전자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마그넷이 설치되는데, 마그넷과 모터 포지션 센서 즉, 센싱부와의 간극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모터에 마그넷을 직접 조립하지 않고 최종 조립 전 공정라인에서 모듈레이터블록을 기준으로 높이를 맞춰서 조립해야 한다. 또한, 마그넷을 모터의 회전자와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축이 요구된다.
그러나, 모터의 회전축은 볼 베어링과 직결되어 마그넷과 축을 회전축에 압입 시 기구물 손상의 우려가 있어 압입력을 저감시켜주는 장치, 예컨대 공차링(tolerance ring) 등이 별도로 필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그넷을 모듈레이터블록을 기준으로 높이를 맞추기 위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며, 조립력(압입력)의 범위를 설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모터 포지션 센서용 마그넷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모듈레이터블록에 결합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는 모터;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 일측에 피스톤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볼너트; 상기 회전축과 볼너트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축과 동일축 상으로 일직선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시 축방향으로 예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액압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샤프트; 상기 일단이 샤프트의 끝단에 고정되며 타단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마그넷; 및 상기 삽입홈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이 삽입시 일정량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구속하는 장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결합시 탄성변형되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갖춘 탄성편;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 일부가 평면을 갖도록 마련된 회전 고정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탄성편과 상기 회전 고정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피스톤 및 샤프트를 감싸도록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결합되는 펌프 하우징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펌프 하우징의 단턱부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는 상기 센서조립체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조립체에 삽입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구간 평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과 상기 중간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볼너트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의 진행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마련되는 슬리브; 및 상기 볼너트에 결합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구속돌기가 마련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피스톤의 동작 시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볼너트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 또는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반대편에서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을 관통하는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는 펌프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하우징에는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제2 공간부로 구획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회전축과 일직선으로 결합되는 샤프트에 마그넷을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마그넷과 모터 포지션 센서의 간극을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조립력(압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통해 예압을 형성하여 베어링의 소음과 내구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에 마련된 회전축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에 마련된 회전방지부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에 마련된 센서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조립체를 샤프트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의 회전축과 센서조립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에 마련된 회전축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에 마련된 회전방지부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에 마련된 센서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조립체를 샤프트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의 회전축과 센서조립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압 공급장치(1)는 모듈레이터블록(10)에 결합되는 모터(100)와, 모터(100)의 회전자(120)와 결합되는 회전축(210), 일측에 피스톤(230)이 결합되어 회전축(210)과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는 볼너트(220)와, 회전축(210)과 볼너트(22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300) 및 회전축(210)에 결합되는 센서조립체(500)를 포함한다.
모듈레이터블록(10)은 액압 공급장치(1) 및 마스터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고,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된다. 또한, 모듈레이터블록(10)에는 전자제어유닛(ECU)이 설치되고,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밸브와 액압 공급장치(1)의 모터(100)를 제어함으로써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로 제동유압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ECU)에는 후술할 센서조립체(500)의 마그넷(530)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블록(10)은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듈레이터블록(10)에는 양면에 각각 모터 하우징(101)과 펌프 하우징(400)이 체결된다.
모터 하우징(101)은 도 1을 기준으로 모듈레이터블록(10)의 좌측에 체결되며, 후술할 모터(100)를 둘러싸게 마련된다. 또한, 모터 하우징(101) 내에 배치된 모터(100)와 모듈레이터블록(10) 사이에는 모터 커버(102)가 개재된다. 즉, 모터 하우징(101)은 모터 커버(102)와 결합된 상태로 모듈레이터블록(10)에 체결된다.
펌프 하우징(400)은 모터 하우징(101) 반대편에서 모듈레이터블록(10)에 체결되고, 피스톤(230)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를 형성한다. 이때, 실린더와 피스톤(230) 사이 공간에는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펌프챔버(412)가 형성되고, 펌프 하우징(400)의 외면과 모듈레이터블록(10) 사이에는 작동유체의 유출을 막기 위한 펌프 실링부재(425)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펌프 하우징(400)에는 후술할 센서조립체(500)의 샤프트(510)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410)에 의하여 실린더는 가이드부(410)의 내측 공간인 제1 공간부(411)와, 피스톤(230)을 수용하는 제2 공간부(412)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펌프 하우징(400)에는 제2 공간부(412)와 연결되는 유로(4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펌프챔버(412)인 제2 공간부(412)에 수용되는 작동유체는 피스톤(230)의 작동에 따라 유로(413)를 통해 모듈레이터블록(10)의 내부유로로 유출입된다. 이러한 펌프 하우징(400)과 센서조립체(500)의 결합구조 및 피스톤(230)의 작동상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10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모터(100)는 모터 하우징(101) 내에 설치된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를 갖춘 중공형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자(120)는 중앙이 빈 원통형상을 갖추고 그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자성체(121)가 설치된다. 고정자(110)는 회전자(1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자(1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자(110)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자성체(121)와 코일 사이에 척력 및 인력이 작용하여 회전자(1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100)의 회전자(120) 및 고정자(110)의 구조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액압 공급장치(1)가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됨에 따라 모터(100)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미도시)의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작동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요구하는 제동력을 수행하도록 정역회전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회전축(2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모터(100)의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자(120)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회전축(210)은 회전자(120)의 회전체(122)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체(12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내부에 회전축(210)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122)의 후방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은 내경이 감소하도록 마련되어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체(122)는 회전자(120)와 함께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전방 및 후방측이 각각 프론트베어링(132)과 리어베어링(131)에 의해 지지된다.
리어베어링(131)은 모터 하우징(101)과 회전체(122) 사이에 개재되어 전체(122)의 후방측을 지지하고, 프론트베어링(132)은 모터 커버(102)와 회전체(122)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체(122)의 전방측을 지지한다. 즉, 프론트베어링(132)과 리어베어링(131)이 회전체(122)의 전후방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자(120)의 회전 시 회전체(122)와 함께 흔들림 없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210)은 회전체(122)에 압입되거나 스플라인 구조로 결합되어 회전체(122)와 함께 회전하는 스크류샤프트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축(2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후방이 회전체(122)의 후방측 고정됨으로써 회전체(12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10)의 일측에는 회전자(120)와 결합되는 고정부(211)가 형성되고, 회전축(210)의 타측에는 후술할 센서조립체(5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5)가 형성되며, 회전축(2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부(213)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5)는 센서조립체(500)에 삽입되는 가압부(216)와, 가압부(216)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217)와, 지지부(217)의 끝단과 중간부(213) 사이에서 지지부(217)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216)와 지지부(217) 및 단차부(218)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17)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구간 평면(217a)을 갖도록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부(217)는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217a)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일정구간에만 평면(217a)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평면(217a)은 센서조립체(500)와 조립 시 회전축(210)과 회전방향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회전축(210)과 센서조립체(500)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가압부(216)는 후술한 센서조립체(500)의 탄성부재(540)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단차부(218)는 센서조립체(500)와 조립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회전축(210)과 센서조립체(500)의 조립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볼너트(220)는 회전축(210)과 볼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210)과 볼너트(220) 사이에는 마찰에 의한 에너지 저감을 위하여 복수개의 볼(ball)이 채워질 수 있다. 즉, 회전축(210)과 볼너트(220)는 볼-스크류 타입의 동력변환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볼너트(220)가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회전방지부(300)가 마련된다.
회전방지부(300)는 모터 하우징(101) 또는 모듈레이터블록(10)에 고정되어 볼너트(220)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슬리브(310)와, 상기 슬리브(310)에 회전이 방지되도록 결합되는 링부재(320)를 구비할 수 있다.
슬리브(310)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내부에 볼너트(22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311)이 형성된다. 슬롯(311)은 슬리브(310)의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10)는 회전자(120)와 간섭받지 않도록 회전체(122)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절곡되어 모터 하우징(101)에 고정되는 플랜지(3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플랜지(312)는 모터 커버(10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모터 하우징(101)에 고정된 모터 커버(102)에 슬리브(310)가 고정됨에 따라 슬리브(310)의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링부재(320)는 볼너트(220)에 압입결합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속돌기(321)가 형성된다. 구속돌기(321)는 슬롯(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슬롯(311)에 삽입된다. 이에, 구속돌기(321)는 볼너트(220)의 회전을 방지하며 볼너트(220)의 이동에 따라 슬롯(3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볼너트(220)의 일측에는 피스톤(230)이 결합되어 피스톤(230)과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피스톤(230)은 중공형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볼너트(220)와 결합되고, 타단이 펌프 하우징(400)의 실린더에 삽입된다. 이러한 피스톤(230)의 중공부(232)에는 회전축(210)과 펌프 하우징(400)의 가이드부(41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230)의 내측면과 가이드부(410)의 외측면 사이에는 가이드부시(2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230)의 직선 운동 시 가이드부시(231)가 가이드부(410)의 외측면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피스톤(230)의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피스톤(230)의 외측면과 펌프 하우징(400) 및 피스톤(230)의 내측면과 가이드부(410) 사이에는 실링부재(235)가 각각 마련되어 피스톤(230)의 작동 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센서조립체(500)는 회전축(210)과 결합되어 회전축(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센서조립체(500)는 회전축(210)과 동일축 상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샤프트(510)와, 샤프트(510)의 끝단에 고정되는 홀더(520)와, 홀더(520)에 장착되는 마그넷(530)과, 샤프트(510)에 형성된 삽입홈(512)에 삽입되는 탄성부재(540) 및 샤프트(510)에 외주면에 장착되는 베어링(550)을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5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회전축(21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삽입홈(512)이 형성된다. 이때, 샤프트(512)에는 삽입홈(512)이 형성된 부분에 회전축(2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샤프트(510)를 회전축(210)의 회전방향으로 구속하는 장착부(5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515)는 삽입부(512)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삽입부(512)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515)는 회전축(210)의 결합시 탄성변형되는 탄성편(518)과, 장착부(515)의 내주면 일부가 평면을 갖도록 마련된 회전 고정면(517) 및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5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릿(516)은 탄성편(518)과 회전 고정면(517)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518)과 회전 고정면(517)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편(518)과 회전 고정면(517)은 각각 180도 위상차를 가지며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편(518)과 회전 고정면(517)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으나, 회전축(210)의 지지부(217)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편(518)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518a)가 마련된다. 이 이탈방지돌기(518a)는 회전축(210)과의 결합 시 회전축(210)이 샤프트(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회전축(210)의 결합부(215)가 장착부(515)를 통해 결합 시 이탈방지돌기(518a)의 내경보다 큰 지지부(217)의 외경에 의해 이탈방지돌기(518a)가 반경방향으로 가압되어 탄성편(518)이 탄성변형된다. 이때, 탄성편(518)은 슬릿(516)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탈방지돌기(518a)가 계속 진행하여 단차부(218)에 안착되는 경우 탄성변형된 탄성편(518)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탈방지돌기(518a)의 후방측이 지지부(217)에 걸려 회전축(2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장착부(515)에 지지부(217)가 삽입 시 지지부(217)의 평면(217a)은 장착부(515)의 회전 고정면(517)의 평면(217a)과 대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217)의 평면(217a)과 회전 고정면(517)이 면접촉하여 회전축(210)과 샤프트(51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결합부(215)가 장착부(515)에 조립될 때 가압부(216)는 삽입부(512)로 삽입된다. 즉, 가압부(216)가 삽입부(512)로 삽입 시 삽입부(512)에 마련된 탄성부재(54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210)이 샤프트(5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부재(540)는 가압부(216)에 의해 일정량 가압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때, 탄성부재(540)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압부(216)의 가압에 따라 압축됨으로써 축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복원력은 회전축(210)과 샤프트(510)의 축 방향으로 예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조립체(500)에 회전축(210)을 조립 시 삽입홈(512)은 탄성부재(540)를 가이드하며 회전축(210)과 일렬로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조립 후 탄성부재(540)에 의해 예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축(210)과 샤프트(510)가 압입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력(압입력)에 따른 종래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홀더(520)는 일단이 샤프트(510)의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에 마그넷(530)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즉, 홀더(520)와 마그넷(530)은 회전축(210)과 결합되는 샤프트(510)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이에, 샤프트(510)가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 시 홀더(520) 및 마그넷(53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베어링(550)은 샤프트의 외측면과 가이드부의 내측 사이에 개재되어 샤프트(510)의 경방향을 지지하여 샤프트(510)와 마그넷(53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베어링(550)은 일측이 샤프트(510)에 지지되고, 타측이 가이드부(410)의 단턱부(415)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540)에 의해 발생된 예압을 베어링(550)에 가하여 베어링(550)의 소음과 내구를 개선하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조립체(500)는 전자제어유닛(ECU)에 마련된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는 마그넷(530)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회전축(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계측한다. 즉,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제어유닛(ECU)은 피스톤(230)의 움직임을 파악하며 모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액압 공급장치
10 : 모듈레이터블록
100 : 모터
210 : 회전축
220 : 볼너트
230 : 피스톤
300 : 회전방지부
400 : 펌프 하우징
500 : 센서조립체

Claims (13)

  1.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모듈레이터블록에 결합되고,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는 모터;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
    일측에 피스톤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일축 상에서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볼너트;
    상기 회전축과 볼너트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회전축과 동일축 상으로 일직선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센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시 축방향으로 예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액압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샤프트;
    상기 일단이 샤프트의 끝단에 고정되며 타단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마그넷; 및
    상기 삽입홈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이 삽입시 일정량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압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구속하는 장착부가 더 마련되는 액압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결합시 탄성변형되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갖춘 탄성편;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 일부가 평면을 갖도록 마련된 회전 고정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액압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탄성편과 상기 회전 고정면 사이에 형성되는 액압 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피스톤 및 샤프트를 감싸도록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결합되는 펌프 하우징에 지지되는 액압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펌프 하우징의 단턱부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액압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는 상기 센서조립체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액압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조립체에 삽입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구간 평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과 상기 중간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를 구비하는 액압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회전자와 상기 볼너트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의 진행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마련되는 슬리브; 및
    상기 볼너트에 결합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구속돌기가 마련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피스톤의 동작 시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볼너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액압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모터 하우징 또는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고정되는 액압 공급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반대편에서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모듈레이터블록을 관통하는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는 펌프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액압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에는 상기 실린더가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제2 공간부로 구획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액압 공급장치.
KR1020200083663A 2020-07-07 2020-07-07 액압 공급장치 KR10259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63A KR102590727B1 (ko) 2020-07-07 2020-07-07 액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63A KR102590727B1 (ko) 2020-07-07 2020-07-07 액압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10A true KR20220005910A (ko) 2022-01-14
KR102590727B1 KR102590727B1 (ko) 2023-10-24

Family

ID=7934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63A KR102590727B1 (ko) 2020-07-07 2020-07-07 액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7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79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190037894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79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20190037894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727B1 (ko)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2307B2 (ja) クラッチ装置
KR20190037894A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CA2583863C (en) Hydraulic modulator for brake device
CN107585153B (zh) 用于集成动力制动设备的致动器总成
KR20220005911A (ko) 액압 공급장치
US9003903B2 (en) Linear unit
JP4813748B2 (ja) 液圧的な車両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ポンプユニット
JP4692837B2 (ja) 電動倍力装置
US11987221B2 (en)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of electronic brake system
KR20220005910A (ko) 액압 공급장치
JP5724337B2 (ja) エンジンルーム用直動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これを備えた無段変速機および自動車
KR20230133138A (ko) 액압 공급장치
KR101673321B1 (ko) 유압 공급장치
CN218845042U (zh) 一种rv减速机一体化模组
KR20180032382A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CN112628310B (zh) 车辆的电动制动设备
KR102614821B1 (ko) 액압 공급장치
KR102608300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JP3622372B2 (ja) レンズ駆動機構
KR10239415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WO2021221143A1 (ja) 制動装置
CN115701397A (zh) 机电式制动助力装置
CN115701396A (zh) 机电式制动助力装置
CN109311463B (zh) 刹车液压控制装置及摩托车
JP6873029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