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258A -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258A
KR20220005258A KR1020200082882A KR20200082882A KR20220005258A KR 20220005258 A KR20220005258 A KR 20220005258A KR 1020200082882 A KR1020200082882 A KR 1020200082882A KR 20200082882 A KR20200082882 A KR 20200082882A KR 20220005258 A KR20220005258 A KR 2022000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leg
desk
chair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섭
Original Assignee
손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섭 filed Critical 손경섭
Priority to KR102020008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258A/ko
Publication of KR2022000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gearbox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실에 설치되는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쉬운 조작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ment device for student books and stools}
본 발명은 교실에 설치되는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쉬운 조작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앉기 위한 좌석부분(10)과, 상기 좌석부분(10)을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석부분(10)은 사용자가 앉기 위한 좌판(12)과, 앉은 사람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판(14), 그리고, 상기 좌판(12)과 등판(14)을 연결하는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분(20)은 프레임(1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그(26)와, 상기 레그(26)를 바닥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28)로 구성된다.
여기서 레그(26)는, 레그상부(22)와 레그하부(24)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레그상부(22)는 레그하부(24)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레그상부(22)와 레그하부(24)의 중첩부분에는 양자를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조절놉(2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절놉(23)을 푼 상태에서 레그상부(22)를 레그하부(24)에서 빼 올린 후 다시 조절놉(23)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반적인 책·걸상은 높이 조절시 양측의 조절놉을 분해하고 조이는 등과 같은 수작업에 기초하는데, 양측의 레그를 모두 조절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높이 조절시 레그상부(22)에 성형된 체결공의 간격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높이의 미세 조절에도 다소 불편함이 제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상기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조절장치의 종래 알려진 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345835호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이 하단에 지지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단에 받침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의 상부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상부 수직프레임의 하부분은 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 안쪽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수강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수직프레임의 후방쪽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전방쪽을 향해 형성된 상부 통공 및 하부분에 내,외부를 연통한 상태로 후방쪽을 향해 형성된 하부 통공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부에 대략 그 가운데 부분이 힌지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의 레버와, 상기 각 레버의 상단에 절곡형성되어 상부 통공을 통해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편과, 상기 각 레버의 하단에 절곡형성되어 레버의 회동시 하부 통공을 통해 하부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각 고정통공중 어느 하나의 고정통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핀과, 상기 각 상부 수직프레임 내의 하부분에 그 일단은 레버에 형성된 스토퍼핀 의 반대쪽에 접촉됨과 함께 타단은 상부수직프레임의 내벽에 접촉되어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에 다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상기 레버의 하단 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에서 빠져나와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의 록킹을 해제하고, 각 레버의 상단 작동편을 상방으로 가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하단스토퍼핀이 하부 수직프레임의 고정통공으로 끼워져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부 수직프레임을 록킹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높이 조절장치 역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통공에 레버가 끼움되어 설정된 길이가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높이 조절장치 역시 고정통공의 간격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계속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835호(등록일: 2004년 03월 11일)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407호(등록일: 2001년 06월 27일)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의 상판과 걸상의 좌판의 높이를 어린이들이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를 갖으며, 책상 또는 걸상의 측면으로 돌출됨을 최소화하여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쳐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책상의 상판과 걸상의 좌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잦은 동작에도 고장발생율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책상 또는 걸상을 구성하는 한 쌍의 레그 구성 중 일측에만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치하여도 상판 및 좌판의 조절된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할 수 있어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는 책상 및 걸상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낮은 제품원가로 인하여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학생용 걸상의 좌판과 책상의 상판하부에 형성되어 다리를 구성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에 설치되어 책상의 상판과 걸상의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레그의 표면 하부에 형성되는 외부치형과, 내부에 상기 외부치형이 치합되는 내부치형와 외부에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 워엄휠과, 상기 워엄휠의 기어와 치합되는 워엄기어가 형성된 연동가로축 및, 상기 연동가로축과 워엄휠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에 레그 하부를 감싸며 레그의 외면을 가압하는 고정볼트가 형성된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가로축의 일측 단부에 연동가로축의 회전조작을 위한 렌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의 교실에 설치되며 단순한 구조를 갖는 책상과 걸상의 상판과 조판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비하여 적절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성장기 어린이의 신체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어린이들이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판 또는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그 중 일측 레그에 형성되는 조절장치는 외부에서 육각렌치와 같은 간단한 가정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구동시킬 수 있어 조절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쉬워 비숙련자도 쉽게 조절장치를 구동시켜 상판 또는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장치는 워엄기어와 워엄휠을 이용한 동력전달방향의 변환, 그리고 워엄휠 내부의 내부치형과 상부레그 연결부재의 외부치형의 치합에 의하여 레그가 상하이동하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조절장치가 책상 또는 걸상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조절장치에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쳐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 후벵 형성되는 레그의 일측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상판과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양측의 조절된 레그의 길이를 고정볼트가 외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조절장치를 일측에만 설치하더라도 상판 또는 좌판이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책상 또는 걸상의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학생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갖는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책상의 저면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책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이하, '높이 조절장치'라 한다)(300)는 학교의 교실에 설치되는 단순한 구조의 책상 및 걸상의 상판 또는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걸상(100)의 좌판(110) 또는 책상(200)의 상판(210) 하부에 형성되어 다리 역활을 하는 한 쌍의 레그(120, 22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그(120, 220)는 하부에서 지지부(130, 230)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장치(300)는 한 쌍의 레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의 레그(120, 220)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높이 조절장치(300)가 걸상(100)에 설치된 상태를 일실시예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책상(200)의 레그(220)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 역시 아래 설명하는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300)는 레그(120)의 표면 하부에 형성되는 외부치형(121)과, 내부에 상기 외부치형(121)이 치합되는 내부치형(311)와 외부에 기어(312)가 일체로 형성된 워엄휠(310)과, 상기 워엄휠(310)의 기어(312)와 치합되는 워엄기어(321)가 형성된 연동가로축(320) 및 상기 연동가로축(320)과 워엄휠(310)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에 레그(120) 하부를 감싸는 커버(331)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31)의 일측에는 레그(120)의 외면을 가압하는 고정볼트(3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30)는 하부가 지지부(130)에 안착되며 케이스(330)의 하부와 지지부(130)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131)을 형성하여 레그(120)가 상하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레그(120)의 하부가 구멍(131)에 끼움됨으로써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그(120)가 흔들리거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330)는 하부가 개방된 것으로 설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330)의 내부가 밀폐되고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등의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구동과정을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330)의 외부로 노출된 연동가로축(320)의 육각렌치홈(322)에 육각 렌치(미도시)를 끼움하여 연동가로축(3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연동가로축(320)에 형성된 워엄기어(321)가 회전하며 상기 워엄기어(321)와 워엄휠(310)의 기어(312)가 치합됨에 따라 워엄휠(310)이 회전하고, 동시에 워엄휠(3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치형(311)이 회전함으로써 이와 치합된 외부치형(121)이 상하이동함으로써 외부치형(121)과 일체로 형성된 레그(120)가 상하이동함으로써 좌판(110)이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높이가 조절된 레그(120)는 커버(331)의 일측에 나사체결된 고정볼트(332)가 레그(120)의 외면을 가압하여 조절된 높이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장치(300)가 설치된 레그(120)의 대항되는 위치에 형성된 레그(120)는 지지부(130)의 상부에 고정볼트(332)가 형성된 커버(3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331)의 내부에 레그(120)를 끼움하여 레그(120)가 상하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의 높이 조절장치(300)에 의하여 레그(120)의 높이가 조절되면 고정볼트(332)를 조임하여 레그(12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조절된 높이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동가로축(320)을 회전시켜 레크(120)를 상하이동시켜 좌판(110)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커버(331)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332)를 회전시켜 고정볼트(332)의 단부가 레그(120)의 외면을 가압하여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332)에 의한 레그(120)의 고정은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레그(120)에 동시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레그(120)가 눌림되더라도 좌판이 기울이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볼트(332)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높이 조절장치(300) 전체에 전달되지 않고 고정볼트(332)에 의하여 상쇄됨으로서 계속되는 하중에 의하여 높이 조절장치의 치합상태가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혼들림 없이 설정된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원발명에서는 워엄기어(321)와 워엄휠(310)을 이용한 동력 전달방향의 변환, 그리고 워엄휠(310) 내부의 내부치형(311)과 레그(120)의 외부치형(121)의 맞물림 상태의 동력 전달에 의한 레그(120)의 승하강 움직임을 이용하여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착안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높이 조절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는 기본적으로 연동가로축(320)을 회전시켜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동가로축(320)의 회전은 그 외측에 별도의 핸들을 부착하여 손쉽게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높이 조절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가로축(320)의 일측 단부에 육각렌치홈(322)을 형성함으로서 별도의 육각 렌치와 같은 가정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연동가로축(3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상술한 내부치형(311)과 외부치형(121)은 서로 맞물리는 나사가 성형된 것이지만, 이에 대신하여 어느 일측을 나사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돌기(상대물의 나사골에 결합됨)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내부치형(311)과 외부치형(121)은 내부치형(311)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치형(121)을 가지는 부재가 상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의 교실에 설치되며 단순한 구조를 갖는 책상과 걸상의 상판과 조판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비하여 적절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성장기 어린이의 신체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어린이들이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상판 또는 좌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그 중 일측 레그에 형성되는 조절장치는 외부에서 육각렌치와 같은 간단한 가정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구동시킬 수 있어 조절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쉬워 비숙련자도 쉽게 조절장치를 구동시켜 상판 또는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조절장치는 워엄기어와 워엄휠을 이용한 동력전달방향의 변환, 그리고 워엄휠 내부의 내부치형과 상부레그 연결부재의 외부치형의 치합에 의하여 레그가 상하이동하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조절장치가 책상 또는 걸상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조절장치에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쳐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 후벵 형성되는 레그의 일측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상판과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양측의 조절된 레그의 길이를 고정볼트가 외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조절장치를 일측에만 설치하더라도 상판 또는 좌판이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책상 또는 걸상의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걸상 200 : 책상
110 : 좌판 210 : 상판
120, 220 : 레그
121 : 외부치형
130, 230 : 지지부
300 : 높이 조절장치
310 :워엄휠 311 : 내부치형
312 : 기어 320 : 연동가로축
321 : 워엄기어 330 : 케이스
331 : 커버 332 : 고정볼트

Claims (2)

  1. 학생용 걸상의 좌판과 책상의 상판하부에 형성되어 다리를 구성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에 설치되어 책상의 상판과 걸상의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300)는, 레그(120)의 표면 하부에 형성되는 외부치형(121)과,
    내부에 상기 외부치형(121)이 치합되는 내부치형(311)와 외부에 기어(312)가 일체로 형성된 워엄휠(310)과,
    상기 워엄휠(310)의 기어(312)와 치합되는 워엄기어(321)가 형성된 연동가로축(320) 및,
    상기 연동가로축(320)과 워엄휠(310)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에 레그(120) 하부를 감싸며 레그(120)의 외면을 가압하는 고정볼트(332)가 형성된 커버(331)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가로축(320)의 일측 단부에 연동가로축(320)의 회전조작을 위한 렌치홈(3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200082882A 2020-07-06 2020-07-06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22000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882A KR20220005258A (ko) 2020-07-06 2020-07-06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882A KR20220005258A (ko) 2020-07-06 2020-07-06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58A true KR20220005258A (ko) 2022-01-13

Family

ID=7934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882A KR20220005258A (ko) 2020-07-06 2020-07-06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2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07Y1 (ko) 2001-04-12 2001-10-11 김성기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45835Y1 (ko) 2004-01-02 2004-03-25 백남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07Y1 (ko) 2001-04-12 2001-10-11 김성기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45835Y1 (ko) 2004-01-02 2004-03-25 백남준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772B2 (en) Articulated seating mechanism
US7500718B2 (en) Tilt tension mechanism for chair
EP0173372B1 (en) Sitt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swivel-chair
KR101156470B1 (ko)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101780545B1 (ko) 높이조절 책상
KR102573355B1 (ko) 허리 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 및 시트
KR101198520B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JP2014128532A (ja) 起立補助機能をもった椅子座面、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
KR20220005258A (ko)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11689B1 (ko) 높이 조절 의자
CN201088334Y (zh) 人体功能学儿童升降桌椅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JP5383583B2 (ja) 簡易便器
CN105795758A (zh) 一种单杆双控座椅托盘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200386551Y1 (ko)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CN205214614U (zh) 可调节高度的桌子
CN211092819U (zh) 一种具有可调节的腰部支撑装置的设计用座椅
KR102028189B1 (ko) 스탠딩 책상
DE10200846A1 (de) Verschwenkbare Sitzanordnung
KR20180000241A (ko) 의자용 헤드 각도조절장치
JP3820692B2 (ja) 昇降天板付き学習机
KR100823888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N219556741U (zh) 一种折叠式午休课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