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835A -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835A
KR20220004835A KR1020200081239A KR20200081239A KR20220004835A KR 20220004835 A KR20220004835 A KR 20220004835A KR 1020200081239 A KR1020200081239 A KR 1020200081239A KR 20200081239 A KR20200081239 A KR 20200081239A KR 20220004835 A KR20220004835 A KR 2022000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
pallet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욱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835A/ko
Publication of KR2022000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pallet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착시키고, 하면에는 바닥면과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블록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로서,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하면에는 제 1 블록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하면에는 제 2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외측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매개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접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Carry pallet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전광판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로서, 주요 부품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에 다라 플라즈마 패널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장치, 액정패널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장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OLE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장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필요에 따라 대형 사이즈로 생산한 후 대형 패널을 적층 하여 각각의 전자기기 제조회사 또는 별도 가공회사로 이송되어 필요한 사이즈별로 절단 가공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파렛트(pallet)를 이용하여 필요한 곳으로 이송된 후 후공정을 통하여 완제품으로 생산된다.
한편, 파렛트는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적층하여 쌓은 상태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손쉽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파렛트는 금속재 또는 목재 등으로 형성되어 강질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거운 하중의 화물을 수용하도록 하였지만, 많은 수의 파렛트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 이들을 수용하여 보관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절실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크기가 2∼3m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파렛트가 보관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8-0043026호에는 '접이식 조립 파렛트'를 소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파렛트는 적재부의 하부에 반원 형상의 수용부가 마련되고, 적재부와 수용부는 접을 수 있는 직물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시에는 수용부에 지지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적재부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파렛트는 직물 형태로 이루어진 적재부와 수용부를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지지대를 함께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시 지지대를 수용부에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사용 후에는 이를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43026호(2018.04.27.출원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접이식 구조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착시키고, 하면에는 바닥면과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블록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로서,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하면에는 제 1 블록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하면에는 제 2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외측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매개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접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은 블록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블록은 상기 블록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블록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는, 플레이트 영역이 다수의 플레이트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각 플레이트가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관이 용이하고, 보관에 따른 넓은 장소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는, 사용자가 쉽게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상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의 폴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기술적 의미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의 폴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를 나타낸 I-I 방향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렛트(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적재하여 지지하는 플레이트부(100)와, 플레이트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다수의 블록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플레이트부(100)는 제 1 플레이트(110), 제 2 플레이트(120) 및 연결 플레이트(130)로 구성되고, 이들 플레이트(110,120,130)를 서로 연결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가이드 하는 힌지부(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파렛트(10)는 금속, 목재, 합성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중 둘 이상의 소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레이트부(100)는 다수의 사각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나 그 부품,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적재하여 운반 또는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용 파렛트(10)는 0.8 내지 3m의 길이를 갖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플레이트부(100)는 중앙 영역의 제 1 플레이트(110), 제 1 플레이트(1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120) 및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제 2 플레이트(120)와 연결 플레이트(130)는 제 1 플레이트(110)의 일 측에만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부(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로 기능하고, 하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제 1 블록(210)이 형성된다. 제 1 블록(210)은 제 1 플레이트(110)를 바닥면, 일 예로,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230)을 확보한다. 또한, 제 1 블록(210)은 제 2 플레이트(120)의 제 2 블록(220)과 결합되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의 결합을 고정한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제 2 플레이트(120)의 펼침과 접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로 기능한다. 이를 위한 연결 플레이트(130)는 일 측이 제 1 플레이트(11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 2 플레이트(120)에 연결되며, 힌지부(300)를 매개로 각 플레이트(110,120)에 연결된다.
제 2 플레이트(120)는 플레이트부(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110)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로 기능하고, 하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제 2 블록(220)이 형성된다. 제 2 블록(220)은 제 2 플레이트(120)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230)을 확보한다. 또한, 제 2 블록(220)은 제 1 플레이트(110)의 제 1 블록(210)과 결합되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의 결합을 고정한다.
힌지부(300)는 제 1 플레이트(110)와 연결 플레이트(130), 연결 플레이트(130)와 제 2 플레이트(120)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이들 각각이 서로 나란하거나 직각으로 벤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한다. 즉, 힌지부(300)는 제 1 플레이트(110)와 연결 플레이트(130)를 서로 평행하거나 90°로 벤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연결 플레이트(130)와 제 2 플레이트(120)를 서로 평행하거나 90°로 벤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 2 플레이트(120)는 연결 플레이트(130)를 중간 매개로 하여 제 1 플레이트(110)에 나란하거나 180°로 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부(300)는 제 1 플레이트(110), 연결 플레이트(130) 및 제 2 플레이트(120)가 수평으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록킹 부재는 일 예로, 래칫(ratchet)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파렛트(10)는 제 1 플레이트(110), 연결 플레이트(130) 및 제 2 플레이트(120)가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적재될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120)가 하면으로 180°폴딩된 후 부피가 최소로 된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 파렛트(10)의 폴딩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파렛트(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 3의 (a)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10)를 축으로 연결 플레이트(130)를 수직 방향으로 90°벤딩한다. 이때, 힌지부(300)의 록킹 부재는 먼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연결 플레이트(130)는 힌지부(300)에 의하여 벤딩되며, 제 2 플레이트(120)도 연결 플레이트(130)와 함께 벤딩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130)를 벤딩한 후, (b)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30)를 축으로 제 2 플레이트(120)를 수평 방향으로 90°벤딩한다. 따라서, 제 2 플레이트(120)는 제 1 플레이트(110)를 축으로 할 때 180°폴딩되고, 이때, 제 2 플레이트(120)의 제 2 블록(220)은 제 1 플레이트(110)의 제 1 블록(210)에 결합되어 제 2 플레이트(120)의 폴딩, 즉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플레이트(110)의 제 1 블록(210)에는 제 2 플레이트(120)의 제 2 블록(220)이 삽입되는 블록 삽입 홈(2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블록(220)이 제 1 블록(210)의 블록 삽입 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구성은 제 1 블록(210)이 제 2 블록(220)에 형성되는 블록 삽입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도 당연히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파렛트(10)가 접힌 상태에서 일 측의 단변은 기이가 약 1/2로 줄어들며, 본 실시예에서는 0.4 내지 1.5m의 길이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 1 블록(210)과 제 2 블록(220)의 접촉면에는 이들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 부재가 형성된다. 고정 부재는 일 측의 블록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222)와, 고정 돌기(222)에 형합하면서 타 측 블록에 형성되는 고정 홈(212)으로 구성될 있으며, 고정 돌기(222)와 고정 홈(212)을 후크 구조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렛트(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를 적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경우 각 플레이트를 펼친 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렛트(10)는 사용하지 않을 시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적재 및 보관 작업이 용이 해지고, 적재 및 보관을 위한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플레이트부
110 : 제 1 플레이트 120 : 제 2 플레이트
130 : 연결 플레이트
200 : 블록부
210 : 제 1 블록 220 : 제 2 블록
211 : 블록 삽입 홈 212 : 고정 폼
222 : 고정 돌기

Claims (4)

  1. 다수의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착시키고, 하면에는 바닥면과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블록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로서,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하면에는 제 1 블록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서 하면에는 제 2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외측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매개로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접히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은 블록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블록은 상기 블록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블록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KR1020200081239A 2020-07-02 2020-07-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KR20220004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39A KR20220004835A (ko) 2020-07-02 2020-07-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39A KR20220004835A (ko) 2020-07-02 2020-07-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835A true KR20220004835A (ko) 2022-01-12

Family

ID=7933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39A KR20220004835A (ko) 2020-07-02 2020-07-02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8334A (zh) * 2022-01-21 2022-04-29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栈板
CN114408334B (zh) * 2022-01-21 2024-05-14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栈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26A (ko) 2016-10-19 2018-04-27 방송혁 접이식 조립 파렛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26A (ko) 2016-10-19 2018-04-27 방송혁 접이식 조립 파렛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8334A (zh) * 2022-01-21 2022-04-29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栈板
CN114408334B (zh) * 2022-01-21 2024-05-14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栈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802B2 (en) Detachable container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US10407209B1 (en) Pallet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f car glass
US20050279666A1 (en) Folding container
JP5806896B2 (ja) ロール状資材の運搬保管用部材
US20090101538A1 (en) Packing box
JP200200269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の積載構造
JP2018076085A (ja) 長尺物運搬および保管用パレット
WO2012120714A1 (ja) 搬送パレット
KR202200048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용 파렛트
US20150344174A1 (en) Pallet and packaging case
JP5554280B2 (ja) ワーク用保護部材及びワークの搬送ユニット
JP2010042861A (ja) フィルム搬送用架台
KR20020037960A (ko) 팔레트의 크기 가변장치
KR101598209B1 (ko) 가변형 파레트
JP2022074436A (ja)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JP5375442B2 (ja) 基板搬送用パレット
CN101602425A (zh) 一种包装周转架、包装周转架组合及电子设备组合
KR20180106354A (ko) 펜스를 구비한 파렛트
KR200400807Y1 (ko) 파레트용 지지대
JP3200355U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CN103879632B (zh) 折叠托盘
US20140208988A1 (en) Pallet
KR102526152B1 (ko) 적층구조를 가진 팔레트
CN214087559U (zh) 一种叉车用的运输辅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