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806A - 음수기 - Google Patents

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806A
KR20220004806A KR1020210059146A KR20210059146A KR20220004806A KR 20220004806 A KR20220004806 A KR 20220004806A KR 1020210059146 A KR1020210059146 A KR 1020210059146A KR 20210059146 A KR20210059146 A KR 20210059146A KR 20220004806 A KR20220004806 A KR 20220004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ube
heating assembly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783B1 (ko
Inventor
하이이엔 위엔
Original Assignee
하이이엔 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이엔 위엔 filed Critical 하이이엔 위엔
Publication of KR2022000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수기를 제공하고, 상기 음수기는 제1 물 탱크, 가열 어셈블리,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 탱크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연통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는 제1 출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물 탱크 내의 수위를 특정 높이로 유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의 정지 수위도 마찬가지로 특정 높이로 유지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오버플로우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보다 높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서 끓는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을 넘어 상기 제1 출수구를 통해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깨끗하지 못한 물 및 여러 번 끓인 물을 마시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수기{water fountain}
본 발명은 음수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사용자가 깨끗하지 못한 물 및 여러 번 끓인 물을 마시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수기는 물 탱크를 설치하고 물 탱크 내에 저항 또는 전자 가열수,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물 탱크 내의 물 온도를 모니터링하며, 물이 가열되어 끓은 후(표준 대기압에서 100℃) 열선히 가열을 멈추고 끓은 물이 물 탱크 내에 저장된다. 수온이 떨어지면 반복적으로 가열하여 여러번 끓인 물이 만들어지고 유해 물질이 형성된다. 또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한 온도는 오차가 있기에 물이 제대로 끓지 못한 상황에서 열선이 가열을 멈출 수 있는데, 이때 물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은 깨끗하지 못한 물(끓이지 않은 물)이고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아 음용에 안전하지 못하다.
이를 감안하여, 관련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일정한 정도에서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깨끗하지 못한 물 및 여러 번 끓인 물을 마시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용 안전, 건강을 보장하는 음수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음수기를 제공하고, 상기 음수기는 제1 물 탱크, 가열 어셈블리,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 탱크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연통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는 제1 출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물 탱크 내의 수위를 특정 높이로 유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의 정지 수위도 마찬가지로 특정 높이로 유지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오버플로우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보다 높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서 끓는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을 넘어 상기 제1 출수구를 통해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수구는 튜브를 통해 제2 출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튜브는 경사지게 아래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출수구에서 유출된 물이 자체 중력에 의해 상기 튜브를 거쳐 상기 제2 출수구를 통해 상기 음수기에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튜브는 제1 튜브부 및 제2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수구는 상기 제1 튜브부를 통해 직접 상기 제2 출수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출수구는 상기 제2 튜브부를 통해 상기 제2 출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튜브부에는 냉각 장치가 설치되며,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물이 상기 제1 튜브부 또는 상기 제2 튜브부에 들어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튜브부의 입수단의 높이는 상기 제2 튜브부의 입수단의 높이보다 약간 낮고, 상기 제1 튜브부에는 전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하면, 물이 상기 제1 튜브부에만 들어가고 상기 냉각 장치가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전자밸브를 차단하면, 수위가 올라가면서 상기 제2 튜브부에 들어가고 상기 냉각 장치가 작동한다.
또한,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는 증기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 출구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증기 출구는 가스 덕트를 통해 상기 제2 출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출수구를 통해 물이 끓으면서 발생한 증기를 동시에 배출한다.
또한, 상기 제2 출수구는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 내에 설치된 내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사이에는 증기가 유통되는 간극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내측 튜브와 연통되며, 상기 가스 덕트는 상기 외측 튜브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음수기에는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제2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물 용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며, 또한, 상기 감지 장치가 물 용기를 감지할 경우, 발광 램프가 제1 색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장치가 물 용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발광 램프가 제2 색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색광과 상기 제2 색광은 상이한 색의 광이다.
또한, 상기 제어 부재는 제2 물 탱크 및 동력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 탱크에는 수원이 저장되며, 상기 동력 펌프를 통해 상기 제2 물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제1 물 탱크 내에 펌핑하여 상기 제1 물 탱크 내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물 탱크는 제1 수조, 제2 수조 및 제3 수조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수조는 상기 동력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연통되고, 상기 제3 수조는 상기 제2 물 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수조, 상기 제2 수조, 상기 제3 수조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동력 펌프를 통해 상기 제2 물 탱크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수조에 펌핑하여, 상기 제2 수조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높이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3 수조로 흘러 넘쳐 상기 제2 물 탱크에 돌아간다.
또한, 상기 제1 물 탱크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을 통해 상기 제1 물 탱크를 상기 제1 수조, 상기 제2 수조 및 상기 제3 수조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격벽에는 제1 오버플로우 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격벽에는 제2 오버플로우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오버플로우 포트 및 상기 제2 오버플로우 포트의 높이는 같고 모두 상기 특정 높이이다.
상기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물 탱크와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연통되기에 상기 제1 물 탱크의 수위가 특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의 정지 수위도 마찬가지로 특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이 끓지 않을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이 상기 특정 높이보다 높기에 물이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서 넘치지 않으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의 물이 끓을 때에만 끓는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을 넘어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서 유출될 수 있기에,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의 물이 반복적으로 끓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깨끗하지 못한 물 및 여러 번 끓인 물을 마시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물 탱크(20)의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내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물 탱크(60)와 가열 어셈블리가 연결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위 제어 원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물 탱크(60)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물 탱크(60)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오버플로우 표면 위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시스템의 배관도이다.
도 11은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수단을 더 명확하게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여기서 설명된 실시에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고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면은 설명의 용도일 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연결 방식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연결 방식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하나의 소자가 다른 하나의 소자에 “연결”된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하나의 소자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명시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본문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함의와 같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달리 명시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설치", "서로연결" 및 "연결"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일체형 연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고,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두 구성 요소 간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에서 이해할 것이다. 본문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아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앙",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참조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 또는 구조를 구비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조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과 같은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음수기(100)를 제공하고, 상기 음수기(100)는 베이스(10), 물 탱크(20), 수직 기둥(30), 가로 헤드(40)를 포함한다. 상기 물 탱크(20)와 상기 수직 기둥(30)은 이격되어 물 용기를 놓을 수 있는 공간(10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 기둥(30)은 상기 가로 헤드(40)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며, 상기 가로 헤드(40)는 상기 공간(10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 헤드(40)에는 터치스크린(41) 및 전자 제어 소자 등이 설치되고, 상기 터치스크린(41)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자 제어 소자는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상응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에는 폐수 탱크(11)가 설치되고, 상기 폐수 탱크(11)에는 필터링 플레이트(12)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링 플레이트(12)에는 많은 필터홀이 구비되고, 상기 물 용기에서 흘러 넘친 물은 상기 필터링 플레이트(12)를 지나 상기 폐수 탱크(11) 내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는 수원을 미리 저장하기 위한 대형 물 탱크이다. 상기 물 탱크(20)는 삽입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물 탱크(20)의 물 교체 또는 세척이 편리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탱크(20)는 탱크 본체(21), 상기 탱크 본체(21)에 설치된 필터박스(22), 및 탱크 커버(24)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 커버(24)에는 주입구(241)가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241) 위치에는 커버부(242)가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241)를 커버하고, 상기 커버부(242)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탱크 커버(24)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242)를 뒤집는다.
상기 필터박스(22)의 저면에는 다수의 필터 입구(223)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 입구(223)는 어레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입구(223) 내에 필터 엘리먼트(224)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224)를 통해 필터링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물 탱크(20)는 손잡이(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 본체(21)의 측면에는 수직 슬라이딩 홈(211)이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23)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블록(231)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231)은 상기 슬라이딩 홈(2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23)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회전식 손잡이에 비해 수직 승강형 손잡이가 더 실용적이다.
상기 필터박스(22)의 최상면은 상기 손잡이(23)의 상응한 위치에 수용홈(225)이 함몰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23)를 내릴 경우 상기 손잡이(23)가 상기 수용홈(225) 내에 수용되어 숨겨진다. 상기 수용홈(225)의 일측에는 슬롯(226)이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23)를 올리기 편리하다. 상기 손잡이(23)를 최고 위치까지 올린 후, 상기 물 탱크(20)를 상기 베이스(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기본적으로 중공 캐비티 구조로서 튜브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캐비티 구조 내에 동력 펌프(50)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 펌프(50)는 상기 물 탱크(20) 내의 물에 동력을 제공하여 밖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이는 튜브(51)에 연결된다. 상기 물 탱크(20) 및 상기 동력 펌프(50)는 수위의 높고 낮음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기둥(30) 내에는 다른 하나의 물 탱크(60)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탱크(60)는 상기 튜브(51)를 통해 상기 물 탱크(20)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 펌프(50)의 동력에 의해 상기 물 탱크(20) 내의 물을 상기 물 탱크(60) 내에 펌핑한다. 상기 수직 기둥(30) 내에는 가열 어셈블리(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물 탱크(60)와 상기 가열 어셈블리(70)는 튜브(52)를 통해 연통되어 U형을 이루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70)는 물을 가열하여 끓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어셈블리(70)는 나노 가열관이고, 3가닥의 나노 가열관을 병렬되게 수직 설치하며, 3가닥의 나노 가열 관의 하단은 튜브(52)와 연통되고 튜브(52)는 상기 물 탱크(60)에 연결된다.
상기 물 탱크(60)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사이의 튜브에는 단방향 밸브(53)가 설치되고, 상기 단방향 밸브(53)는 상기 물 탱크(60) 내의 물이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에만 흘러 들어가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내의 물은 상기 물 탱크(60)에 돌아갈 수 않도록 함으로써, 후속적인 가열 과정에서 온수가 역류하는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먼저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내에 들어간 물을 먼저 사용하여 물이 반복적으로 끓어 여러 번 끓인 물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본 발명의 간단한 원리 모식도이다. 상기 동력 펌프(50)는 상기 물 탱크(20) 내의 물을 상기 물 탱크(60) 내에 펌핑하여, 상기 물 탱크(60) 내의 수위(S1)를 특정 높이(h1)로 유지하고, 상기 물 탱크(60)와 상기 가열 어셈블리(70)가 하나로 연통되고 양자가 U형을 이루기에,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내의 정지 수위(S2)도 마찬가지로 특정 높이(h1)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탱크(60)는 제1 수조(61A), 제2 수조(62A) 및 제3 수조(63A)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수조(61A), 상기 제2 수조(62A) 및 상기 제3 수조(63A)는 나란히 설치된다. 제1 격벽(64A) 및 제2 격벽(65A)을 통해 상기 물 탱크(60)를 상기 제1 수조(61A), 상기 제2 수조(62A) 및 상기 제3 수조(63A)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조(61A)는 상기 동력 펌프(5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조(62A)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와 연통되며, 상기 제3 수조(63A)는 상기 물 탱크(20)와 연통된다. 상기 물 탱크(20) 내의 물은 먼저 상기 제1 수조(61A) 내에 주입되어, 상기 제2 수조(62A) 내 수위가 소정 높이까지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하고, 상기 제2 수조(62A) 내에 안정적으로 흘러 넘치게 하며, 상기 제2 수조(62A) 내의 수위가 안정적이고 천천히 상승한다. 상기 제2 수조(62A) 내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h1)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제2 수조(62A) 내의 물이 상기 제3 수조(63A) 내에 흘러 넘친다. 상기 제3 수조(63A) 내 수위의 높이가 상기 물 탱크(20) 내의 수위 높이보다 높으면, 이는 튜브(54)를 통해 상기 물 탱크(20) 내에 자연스럽게 흘러가거나, 또는 펌프를 설치하여 상기 제3 수조(63A) 내의 물을 상기 물 탱크(20) 내에 펌핑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조(62A) 내의 물 흐름이 더 안정적이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내의 수위가 더 안정적이고 파동이 적도록, 상기 제1 수조(61A) 내의 물이 상기 제2 수조(62A) 내에 흘러 넘치는 제1 오버플로우 높이는 상기 제2 수조(62A) 내의 물이 상기 제3 수조(63A) 내에 흘러 넘치는 제2 오버플로우 높이보다 크지 않기에, 상기 제1 수조(61A) 및 상기 제2 수조(62A)에 가득 찬 수위 높이는 같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오버플로우 높이와 상기 제2 오버플로우 높이는 같고, 상기 특정 높이(h1)와도 같으며, 상기 제2 수조(62A) 내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h1)에 도달할 경우, 물이 상기 제3 수조(63A) 내에 흘러 넘친다. 상기 오버플로우 높이는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64A, 65A) 최상단의 높이 또는 상기 격벽(64A, 65A) 최상단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포트(66A)의 높이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탱크(60)는 또한 격벽(64A)을 통해 제1 수조(61B) 및 제2 수조(62B)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제1 수조(61B)는 상기 동력 펌프(5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조(61B)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수조(62B)는 상기 물 탱크(20)와 연통된다. 오버플로우 포트(66B)의 높이를 상기 특정 높이(h1)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수조(61B) 내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h1)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수조(62B) 내에 흘러 넘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물 탱크(60) 내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물 탱크 내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수위 센서가 설치된 높이는 특정 높이(h1)이므로, 상기 물 탱크(60) 내의 수위가 기본적으로 특정 높이(h1)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 어셈블리(70)는 오버플로우 표면(S3)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의 높이(h2)는 상기 특정 높이(h1)보다 높으며, 그 높이는 끓어 넘친 물이 오버플로우 표면(S3)을 흘러 넘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너무 높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설계 시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h1)보다 약간 높은 것이 가장 좋다. 물이 끓어 번지지 않을 때,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내의 수위는 기본적으로 파동이 없으므로, 수위는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을 넘지 않고, 물이 끓어 넘친 후에만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을 넘기에, 사용자가 받은 물이 반드시 끓인 물이도록 보장하고 끓인 후의 물은 점점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에서 넘치므로 물이 상기 가열 어셈블리(70) 내에서 반복적으로 끓어 여러 번 끓인 물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의 상부에 하나의 수집부(7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집부(71)의 내부 저면(711)은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이며, 상기 수집부(71)의 측변에 제1 출수구(7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출수구(72)의 높이(h3)는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의 높이(h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출수구(72)와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 사이에는 아래를 향해 경사진 경사부(712)가 형성된다. 물이 끓어 번져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S3)을 넘은 후, 이는 경사부(712)를 통해 상기 제1 출수구(72)에 들어감으로써, 끓은 후의 물이 자동적으로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에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끓지 않은 경우 물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에서 유출될 수 없고, 즉 사용자는 끓지 않은 깨끗하지 않은 물을 마시지 않게 되고, 물이 끓어 넘친 후에야만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에서 유출되기에 사용자가 마시게 되는 물은 반드시 끓인 물이므로, 더 위생적이로 안전하며 온도 센서를 통해 수온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기에 온도 센서가 모니터링한 온도가 정확하지 않은 문제를 방지하고, 고온 환경에서 온도 센서가 물에 장시간 잠겨있을 경우 신체에 해로운 유해 물질이 발생하기 쉬운데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피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출수구(72)는 튜브(80)를 통해 제2 출수구(84)와 연통되고, 상기 튜브(80)는 경사지게 아래로 설치되어, 끓은 후의 물이 상기 튜브(80) 내에 들어가고 상기 튜브를 통해 자연적으로 상기 제2 출수구(84)에 유입되어 음수기(100)에서 배출된다. 상기 제2 출수구(84)는 상기 가로 헤드(40)의 하부 표면 부분에 위치하고, 물은 상기 제2 출수구(84)를 통해 음수기(100)에서 유출되고 상기 베이스(10)에 안착된 물 용기에 유입된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70)가 가열하는 과정에서 증기가 발생하는데, 증기 중에는 미량의 염소 가스가 혼합되어 있기에 이를 배출해야 한다. 노출된 증기 배출구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외관이 아름답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증기 배출구의 존재를 주의하지 못하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수집부(71)에 증기 출구(74)를 설치하고, 상기 증기 출구(74)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h1)보다 높으며, 상기 증기 출구(74)는 가스 덕트(83)를 통해 상기 제2 출수구(8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출수구(84)를 통해 물이 끓으면서 발생한 증기를 동시에 배출함으로써, 상기 음수기(100)에 노출된 증기 배출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더 아름다고 사용자도 일반적으로 상기 제2 출수구(84)에서 배출되는 고온수를 더 주의를 기울이기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출수구(84)는 커넥터(810)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810)는 외측 튜브(811), 상기 외측 튜브(811) 내에 설치된 내측 튜브(81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튜브(812)와 상기 외측 튜브(811) 사이에는 증기가 유통되는 간극(813)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80)는 상기 내측 튜브(812)와 연통되며, 상기 가스 덕트(83)는 상기 외측 튜브(811)와 연통되며, 증기는 상기 간극(813)에 유입되어 음수기(100)에서 배출되고, 물은 상기 내측 튜브(812)에 유입되어 상기 음수기(100)에서 배출된다.
상기 음수기(100)에는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수직 기둥(30)의 상기 공간(101)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가로 헤드(40)의 하부 표면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제2 출수구(84)의 바로 아래에 물 용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며, 있으면 발광 램프가 제1 색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없으면 발광 램프가 제2 색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색광과 상기 제2 색광은 상이한 색의 광이고, 상기 제1 색광은 적색광, 제2 색광은 녹색광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가 물 용기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가열 어셈블리(7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물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방지한다.
계속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튜브(80)는 제1 튜브부(81) 및 제2 튜브부(8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수구(72)는 상기 제1 튜브부(81)를 통해 직접 상기 제2 출수구(84)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출수구(72)는 상기 제2 튜브부(82)를 통해 상기 제2 출수구(84)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튜브부(82)에는 냉각 장치(85)가 설치되며, 전자밸브(86)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물이 상기 제1 튜브부(81) 또는 상기 제2 튜브부(82)에 들어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냉각 장치(85)는 반도체 냉각편을 사용할 수 있다.
끓는 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 물이 상기 제1 튜브부(81)에 들어가도록 제어하여 직접 상기 제2 출수구(84)를 통해 상기 음수기(100)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온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 물이 상기 제2 튜브부(82)에 들어가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각 장치(85)를 거쳐 냉각된 후 상기 제2 출수구(84)를 통해 상기 음수기(100)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튜브부(81)의 입수단(801)의 높이는 상기 제2 튜브부(82)의 입수단(802)의 높이보다 약간 낮고, 상기 제1 튜브부(81)에는 전자밸브(86)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86)를 개방하면, 물이 상기 제1 튜브부(81)에만 들어가고 상기 냉각 장치(85)가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전자밸브(86)를 차단하면, 수위가 올라가면서 상기 제2 튜브부(82)에 들어가고 상기 냉각 장치(85)가 작동하여, 상기 제2 튜브부(82) 내에 들어간 물의 온도를 낮춘다.
기설정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제어 소자에 설치하여, 상기 전자 제어 소자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86)의 개폐를 제어하여 물의 흐름 방향 및/또는 상기 냉각 장치(85)의 작업 효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튜브부(82)에 유입되는 끓는 물의 온도를 낮춘 후의 수온(예를 들면 85℃ 홍차, 90℃ 커피와 같은 특정 음료를 만들기 위해 특정 온도로 냉각 및/또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70)의 가열 시간, 가열 효율 등을 제어하여 출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포함/포괄" 및 "구비/포함"이라는 용어와 그 변형은 기술된 특징, 수치, 단계 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지정하는데 사용되지만,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특징, 수치, 단계 또는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의 일부 특징을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특징은 하나의 실시예로 조합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부 특징은 간결함을 위해 하나의 실시예로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다른 실시예로 설명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등가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음수기에 있어서,
    상기 음수기는 제1 물 탱크, 가열 어셈블리,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 탱크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연통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는 제1 출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물 탱크 내의 수위를 특정 높이로 유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의 정지 수위도 마찬가지로 특정 높이로 유지하며,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오버플로우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보다 높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에서 끓는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표면을 넘어 상기 제1 출수구를 통해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서 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구는 튜브를 통해 제2 출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튜브는 경사지게 아래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출수구에서 유출된 물이 자체 중력에 의해 상기 튜브를 거쳐 상기 제2 출수구를 통해 상기 음수기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제1 튜브부 및 제2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수구는 상기 제1 튜브부를 통해 직접 상기 제2 출수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출수구는 상기 제2 튜브부를 통해 상기 제2 출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튜브부에는 냉각 장치가 설치되며,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물이 상기 제1 튜브부 또는 상기 제2 튜브부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부의 입수단의 높이는 상기 제2 튜브부의 입수단의 높이보다 약간 낮고, 상기 제1 튜브부에는 전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하면, 물이 상기 제1 튜브부에만 들어가고 상기 냉각 장치가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전자밸브를 차단하면, 수위가 올라가면서 상기 제2 튜브부에 들어가고 상기 냉각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는 증기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 출구의 높이는 상기 특정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증기 출구는 가스 덕트를 통해 상기 제2 출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출수구를 통해 물이 끓으면서 발생한 증기를 동시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구는 커넥터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 내에 설치된 내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 사이에는 증기가 유통되는 간극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내측 튜브와 연통되며, 상기 가스 덕트는 상기 외측 튜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수기에는 감지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제2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물 용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 장치가 물 용기를 감지할 경우, 발광 램프가 제1 색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장치가 물 용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발광 램프가 제2 색광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색광과 상기 제2 색광은 상이한 색의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제2 물 탱크 및 동력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 탱크에는 수원이 저장되며, 상기 동력 펌프를 통해 상기 제2 물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제1 물 탱크 내에 펌핑하여 상기 제1 물 탱크 내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 탱크는 제1 수조, 제2 수조 및 제3 수조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수조는 상기 동력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연통되고, 상기 제3 수조는 상기 제2 물 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수조, 상기 제2 수조, 상기 제3 수조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동력 펌프를 통해 상기 제2 물 탱크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수조에 펌핑하여, 상기 제2 수조의 수위가 상기 특정 높이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높이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3 수조로 흘러 넘쳐 상기 제2 물 탱크에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 탱크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을 통해 상기 제1 물 탱크를 상기 제1 수조, 상기 제2 수조 및 상기 제3 수조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격벽에는 제1 오버플로우 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격벽에는 제2 오버플로우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오버플로우 포트 및 상기 제2 오버플로우 포트의 높이는 같고 모두 상기 특정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기.
KR1020210059146A 2020-07-04 2021-05-07 음수기 KR102533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37188.6 2020-07-04
CN202010637188.6A CN111616592B (zh) 2020-07-04 2020-07-04 饮水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806A true KR20220004806A (ko) 2022-01-11
KR102533783B1 KR102533783B1 (ko) 2023-05-26

Family

ID=7225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146A KR102533783B1 (ko) 2020-07-04 2021-05-07 음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3783B1 (ko)
CN (1) CN111616592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248A (ja) * 2001-05-01 2002-11-15 Fuji Electric Co Ltd 飲料注出装置
KR20120133705A (ko) * 2011-05-31 2012-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그 살균방법
JP2015029951A (ja) * 2013-08-02 2015-02-16 アクア化学株式会社 洗浄システム及び洗浄液の浄化装置
KR102017428B1 (ko) * 2018-03-27 2019-10-21 희 철 박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음료용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140361A2 (en) * 2009-06-24 2010-10-08 Lung Wai Choi A heating cup assembly and a soy milk maker
US20170319005A1 (en) * 2016-05-03 2017-11-09 FB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and cooling a beverage
JP6814052B2 (ja) * 2017-01-18 2021-01-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12346233U (zh) * 2020-07-04 2021-01-15 袁海炎 饮水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248A (ja) * 2001-05-01 2002-11-15 Fuji Electric Co Ltd 飲料注出装置
KR20120133705A (ko) * 2011-05-31 2012-1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그 살균방법
JP2015029951A (ja) * 2013-08-02 2015-02-16 アクア化学株式会社 洗浄システム及び洗浄液の浄化装置
KR102017428B1 (ko) * 2018-03-27 2019-10-21 희 철 박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음료용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16592B (zh) 2024-07-30
CN111616592A (zh) 2020-09-04
KR102533783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5249B (zh) 液体加热装置
RU2637303C2 (ru) Па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60130131A1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EP2962612A1 (en) Shower device with water recirculation and base section for such a shower device
CN102670072A (zh) 极速开水机
JP4922827B2 (ja) 液体容器
KR20220004806A (ko) 음수기
CN212346233U (zh) 饮水机
CN103006062A (zh) 开放式双桶饮水机
KR200387075Y1 (ko) 중탕기의 자동 수위조절장치
WO2022166757A1 (zh) 用于电器的防滴落饮料分配组件
CN215272055U (zh) 一种饮水机
JP2006174942A (ja) 食材茹で機
KR101752395B1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JP2005230218A (ja) 家庭用ティー&コーヒーメーカー
CN203000572U (zh) 开放式双桶饮水机
JP2003319877A (ja) 加熱用調理器
JP7324527B2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浄水用水桶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浄水器
CN212841486U (zh) 蒸汽烹饪设备的蒸汽发生装置及蒸汽烹饪设备
JP3573053B2 (ja) 電気湯沸かし器
CN109363502A (zh) 一种自动控制上水和加热的即热式水机
CN214048490U (zh) 即热式饮水机
JP7221404B2 (ja) 循環予熱コーヒーポット及びその作動方法
WO2020103543A1 (zh) 一种双进水方式的洗碗机及其供水模式判断方法
CN112690655A (zh) 一种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