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930A -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의 억제제 및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의 억제제 및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930A
KR20220002930A KR1020217035054A KR20217035054A KR20220002930A KR 20220002930 A KR20220002930 A KR 20220002930A KR 1020217035054 A KR1020217035054 A KR 1020217035054A KR 20217035054 A KR20217035054 A KR 20217035054A KR 20220002930 A KR20220002930 A KR 2022000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dgehog pathway
cancer
inhibitor
administered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 이 오로
Original Assignee
캔써 리서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캔써 리서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캔써 리서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의 측면은 헷지호그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성장, 증식, 또는 전이의 억제를 포함한다. 특히,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 이오타의 억제제에 의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의 억제제 및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
연방정부 지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성명
본 발명은 국립보건원에 의해 수여된 계약 AR054780하에 정부 지원을 받았다.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해 특정한 권리를 갖는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헷지호그(hedgehog) 경로 의존성 암 및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aPKC) 이오타의 억제제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및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헷지호그(Hh) 신호전달 경로는 후생동물에 있어서 발달 및 종양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 가지 포유류 Hh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소닉 헷지호그(SHh), 데저트 헷지호그(DHh), 및 인디안 헷지호그(IHh). 이들 단백질은 패치된 수용체(인간에서 Ptch1 또는 Ptch2)를 길항함으로써 작용하는 분비된 단백질이다. Ptch는 전사 인자 Gli를 활성화하는 평활화된(Smo),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의 활성을 길항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작용한다. Shh가 Ptch에 결합하는 경우, Smo의 Ptch 매개된 억제는 완화되고, 이는 Smo이 Gli 의존성 전사를 촉진하도록 허용한다. 발달 동안, Hh 유도된 Smo 활성은 전구세포의 증식, 이동, 및 분화를 촉진하여 기관 발달의 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Ptch의 돌연변이의 불활성화 또는 Smo의 돌연변이의 활성화에 의한 Hh 경로 신호전달의 조절이상은 암과 관련이 있었다(Toftgard, R. Hedgehog signaling in cancer. Cell Mol. Life Sci., 57: 1720-1731(2000)). Hh 표적 유전자의 유도는 종양 상피에서 종양 성장 및 유지에 필요하고, Hh 경로 신호전달은 다수의 상피성 종양의 종양 전이에 연관되었다. 예를 들면, 기저세포암종(BCC: basal cell carcinoma) 개시 및 확장은 높은 수준의 Hh 경로 신호전달을 필요로 한다.
Hh 경로와 연관된 암 및 질병의 더 우수한 치료 방법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의 측면은 헷지호그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성장, 증식, 및/또는 전이의 억제를 포함한다. 특히, aPKC 이오타의 억제제에 의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 방법이 개시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체에게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암은 구성적으로 활성인 헷지호그 경로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암은 기저세포암종(BCC)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이다.
치료의 복수 주기가 일정 기간에 걸쳐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료는 대상체에게 적어도 3개월, 적어도 6개월, 적어도 9개월, 또는 적어도 12개월, 또는 그 이상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의 복수 주기는 대상체에게 적어도 부분적인 종양 반응,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종양 반응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일 투약 레지멘(regimen)에 따라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추가의 항암 요법,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면역요법, 생물학적 요법, 또는 이의 조합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투여되는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 histone deacetylase) 억제제를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조합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HDAC 억제제는 하이드록삼산, 예를 들면, 보리노스타트, 벨리노스타트, 파노비노스타트, 기비노스타트, 다시노스타트(LAQ824), 및 트리코스타틴 A; 세스퀴테르펜 락톤, 예를 들면, 파테놀라이드, 환형 테트라펩타이드, 예를 들면, 트라폭신 B; 뎁시펩타이드, 예를 들면, 로미뎁신, 및 벤즈아미드, 예를 들면, 엔티노스타트(MS-275), 타세디날린(CI994), 및 모세티노스타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HDAC 억제제는 보리노스타트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또는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농장 동물, 또는 애완동물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대상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생존능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대상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에서 Gli 1 mRNA의 생성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대상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성장 및 세포 증식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를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는 BCC 세포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는 구성적으로 활성인 헷지호그 경로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는 생체 내 또는 시험관 내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는 포유동물(예를 들면, 인간 또는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농장 동물, 또는 애완동물) 암 세포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를 HDAC 억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HDAC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HDAC 억제제는 보리노스타트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기저세포암종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HDAC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HDAC 억제제는 보리노스타트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일반적인 실시에 따라, 도면의 다양한 특징부는 일정한 비례로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 강조된다. 반대로, 다양한 특징부의 치수는 명확성을 위하여 임의로 확대되거나 축소된다. 하기 도면이 도면에 포함된다.
도 1a 내지 1d는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이오타(aPKCI) 억제제가 BCC 세포 생존능을 조절하는 것을 보여준다. BCC 생존능에 대한 화합물 CRT0422839 및 CRT 0364436의 효과는 뮤린 BCC 세포주(BSC1)에서 시험되었고, 공지된 펩타이드 억제제, PSI에 의한 결과와 비교되었고, 이는 문헌[Mirza et al.(JCI Insight(2017) 2(21):e97071)]에 이전에 기재되었다. BSCI 세포 생존능은 1 ㎛ 및 10 ㎛의 농도의 aPKC 억제제, PSI(도 1a), CRT0329868(도 1b), CRT0364436(도 1c), 또는 CRT0422839(도 1d)에 의한 치료 후 도시된다.
도 2a 및 2b는 Shh 경로 출력의 마커인 Gli 1 mRNA의 발현 수준에 대한 PSI, CRT0329868,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에 의한 뮤린 BCC 세포주(BSC1)의 치료 효과를 도시하고, 이는 추가의 문서 BCC 성장 및 Shh 경로 신호전달의 억제로 측정되었다. 결과는 1 ㎛ 및 10 ㎛의 농도의 화합물에 의한 처리 6시간(도 2a) 또는 24시간(도 2b) 후 도시된다.
도 3a 및 3b는 aPKCI 억제제, CRT0364436/TEV-44229(도 3a) 및 CRT0422839/TEV-47448(도 3b)의 화학적 구조 및 성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을 기재하기 전에,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한 방법 및 조성물에 한정되지 않고 당연히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기 때문에,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양태만을 기재하려는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광범위한 값이 제공되는 경우, 내용이 달리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는 한, 하한의 단위의 10분의 1로, 그 범위의 상한과 하한 사이의 각각의 사이 값이 또한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임의의 기재된 값 또는 사이 값 사이의 각각의 더 작은 범위 및 임의의 다른 기재된 값 또는 그 기재된 범위 내의 사이 값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러한 더 작은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은 독립적으로 범위에 포함되거나 배제될 수 있고, 더 작은 범위 내에 한계를 둘 다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각각의 범위는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고, 기재된 범위에서 임의의 구체적으로 배제된 한계의 대상이 된다. 기재된 범위가 한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경우, 그 포함된 한계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배제된 범위는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가에게 흔히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가능성 있고 바람직한 방법 및 물질이 이제 기재된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문헌은 기재된 문헌과 함께 방법 및/또는 물질을 개시하고 기재하기 위하여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모순이 존재할 정도까지 포함된 문헌의 임의의 개시를 대체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개시내용을 읽고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할 것과 같이, 본원에 기재되고 예시화된 각각의 개별적인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다른 몇몇 실시양태의 특징부와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조합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원 및 특징부를 갖는다. 임의의 기재된 방법은 기재된 사건의 순서 또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 "a", "an", 및 "the"는 문맥에서 달리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한다는 것을 반드시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세포"에 대한 언급은 복수의 이러한 세포를 포함하고, "억제제"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억제제 및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이의 등가물, 예를 들면, 화합물 또는 약물 등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논의된 문헌은 본 출원의 출원일 전에 이의 개시내용에 대하여 단독으로 제공된다. 어느 것도 본 발명이 이전 발명에 의해 이러한 문헌을 선행할 자격이 있지 않다는 인정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추가로, 제공된 발행일은 독립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실제 발행일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주어진 수량의 언급에서, 용어 "약"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5 퍼센트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용어 "종양", "암" 및 "신생물"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성장, 증식 또는 생존이 정상 대응 세포의 성장, 증식 또는 생존보다 큰 세포 또는 세포의 집단, 예를 들면, 세포 증식성, 과증식성 또는 분화성 질병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성장이 제어되지 않는다. 용어 "악성종양"은 인근 조직의 침윤을 지칭한다. 용어 "전이" 또는 2차, 재발 또는 재발성 종양, 암 또는 신생물은 대상체 내에서 다른 부위, 위치 또는 영역으로의 조양 암 또는 신생물의 확산 또는 전염을 지칭하고, 여기서 부위, 위치 또는 영역은 원발성 종양 또는 암과 별개의 것이다. 신생물, 종양 및 암은 양성, 악성, 전이성 및 비전이성 유형을 포함하고, 신생물, 종양, 또는 암의 임의의 단계(I, II, III, IV 또는 V) 또는 등급(G1, G2, G3 등) 또는 진행, 악화, 안정화 또는 퇴행 중인 신생물, 종양, 암 또는 전이를 포함한다. 특히, 용어 "종양", "암", "신생물은 암종, 예를 들면, 편평세포암종, 선암, 선편평세포암종, 역형성암종, 대세포암종, 및 소세포암종을 포함한다.
용어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은 헷지호그 경로의 활성화에 의존하거나 헷지호그 경로의 이상 활성화와 연관된 임의의 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기저세포암종, 수모세포종, 횡문근육종, 소세포폐암, 망막모세포종, 위 및 상부 위장관 암, 골육종, 췌장암,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뇌암, 유선암, 갑상선암, 및 전립선암을 포함한다.
"항종양 활성"은 세포 증식 속도의 감소, 및 따라서 기존의 종양의 성장 속도 또는 요법 동안 발생하는 종양의 감소, 및/또는 기존의 신생물(종양) 세포 또는 새롭게 형성된 신생물 세포의 파괴, 및 따라서 요법 동안 종양의 전체 크기의 감소를 의도한다. 이러한 활성은 동물 모델, 예를 들면, 인간 신세포암종의 이종이식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물 모델의 설명에 대하여 문헌[Pulkkanen et al., In Vivo(2000) 14:393-400 and Everitt et al., Toxicol. Lett.(1995) 82-83:621-625]을 참조한다.
aPKC 이오타 억제제(예를 들면,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의 "치료적 유효 용량 또는 유효량"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aPKC 이오타 억제제가 투여되는 경우, 또는 추가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예를 들면, 보리노스타트)가 aPKC 이오타 억제제와 조합으로 투여되는 경우, 긍정적인 치료 반응, 예를 들면, 항암 활성을 야기하는 양을 의도한다. 추가로,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유효량"은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성장, 증식, 및/또는 전이를 억제하고/거나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에서 Gli 1 mRNA의 생성을 감소시키고/거나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생존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종양 반응"은 모든 측정 가능한 병변의 감소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 종양 반응에 대한 기준은 WHO 보고 기준[WHO Offset Publication, 48-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1979)]을 기준으로 한다. 이상적으로, 모든 1차원으로 또는 2차원으로 측정 가능한 병변은 각각의 평가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다중 병변이 임의의 기관에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측정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상황하에, 가능한 경우, 6개 이하의 대표적인 병변이 선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완전한 반응"(CR)은 적어도 4주 떨어진 2개의 평가에 의해 결정된, 모든 임상적으로 검출 가능한 악성 질환의 완전한 사라짐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부분적인 반응"(PR)은 평가 가능한 질환의 진행 없이, 적어도 4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연속 평가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임의의 새로운 병변의 증거 없이, 모든 측정 가능한 질환의 가장 긴 직각의 직경의 생성물의 합에서 기준선으로부터 50% 이상의 감소를 의미한다. 평가는 용해성 병변의 크기의 부분적인 감소, 용해성 병변의 재석회화, 또는 분아형 병변의 감소된 밀도를 보여주어야 한다. 전이성 질환의 부위에서 일시적인 염증이 관찰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증가가 적어도 28일 떨어진 2개의 순차적인 측정에서 기록되지 않는 한, 크기의 증가를 나타내는 개별적인 병변이 반드시 PR의 자격을 박탈시키는 것은 아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는 환자에게 유의미한 독성학적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임의로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를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미노산, 무기 산에 의해 제조된 염, 예를 들면, 클로라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브로마이드, 및 니트레이트 염, 또는 임의의 상기 상응하는 무기 산 형태로부터 제조된 염, 예를 들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 또는 유기 산에 의한 염, 예를 들면,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석시네이트, 에틸석시네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아스코르베이트,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팔모에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스테아레이트, 뿐만 아니라 에스톨레이트, 글루셉테이트 및 락토비오네이트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을 함유하는 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알루미늄, 리튬, 및 암모늄(치환된 암모늄 포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치료", "치료하다" 등은 원하는 약리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수득하는 것을 지칭한다. 효과는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한다는 면에서 예방적일 수 있고/거나 질환 및/또는 질환에 기여 가능한 부작용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치료의 면에서 치료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치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질환의 임의의 치료를 포함하고, (a) 생존 시간의 증가; (b)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성의 감소; (c) 아직 질환이 있는 것으로 진단되지는 않았지만 질환에 취약할 수 있는 대상체에서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 (d) 질환의 억제, 즉, 이의 발달의 중단(예를 들면, 질환 진행 속도의 감소); 및 (e) 질환의 완화, 즉, 질환의 퇴행의 유발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정제된"은 일반적으로 성분이 존재하는 샘플의 주요 퍼센트를 포함하도록 하는 성분(예를 들면, 화합물, 분자, 제제)의 단리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샘플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성분은 샘플의 50%, 바람직하게는 80%-85%, 더 바람직하게는 90-95%를 포함한다.
용어 "대상체", "개체", 및 "환자"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진단, 예후, 치료, 또는 요법이 바람직한 임의의 포유동물 대상체, 특히 인간을 지칭한다. 치료의 목적을 위하여 "포유동물"은 인간, 가축 및 농장 동물, 및 동물원, 스포츠, 또는 애완 동물, 예를 들면, 개, 말, 고양이, 소, 양, 염소, 돼지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로서 분류된 임의의 동물을 지칭한다. 일부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마우스, 래트, 및 햄스터를 포함하는 설치류; 영장류, 및 형질전환 동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실험 동물, 수의학적 응용, 및 질환을 위한 동물 모델의 개발에서 사용된다.
방법
aPKC 이오타의 억제제에 의해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의 억제제는 HDAC1의 억제제와 조합으로 사용된다. 특정한 이론과 결부되지 않고, aPKC는 GLI1 전사 인자를 인산화하여 GLI1의 크로마틴 회합 및 헷지호그 경로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유전자 전사의 활성화를 야기한다. GLI1 활성은 핵 유입의 조절에 의해 제어된다. 즉, GLI1은 이것이 불활성인 경우 핵막하층과 활성인 경우 핵질 사이를 이동한다. aPKC 이오타가 GLI1을 활성화시키는 메커니즘은 HDAC1의 GLI1로의 동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여기서 GLI1은 HDAC1 매개된 탈아세칠화에 의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aPKC 이오타의 억제제 뿐만 아니라 HDAC1의 억제제는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기존의 종양의 치료에 관한 것이지만, 요법 동안 발생하는 추가의 종양 증식을 예방하는데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 이오타의 억제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aPKC 이오타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aPKC 이오타의 억제제는 CRT0422839(TEV-47448) 및 CRT0364436(TEV-4422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CRT0422839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1
CRT0364436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2
이러한 aPKC 이오타 억제제는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치료하는데 항종양 활성을 갖는다. 특히, 이러한 aPKC 이오타 억제제는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성장,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고,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에서 Gli 1 mRNA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생존능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다(실시예 참조).
HDAC1의 억제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조합 요법은 aPKC 이오타 억제제 및 HDAC1 억제제에 의해 수행된다. 예시적인 HDAC1 억제제는 하이드록삼산, 예를 들면, 보리노스타트, 벨리노스타트, 파노비노스타트, 기비노스타트, 다시노스타트(LAQ824), 및 트리코스타틴 A; 세스퀴테르펜 락톤, 예를 들면, 파테놀라이드, 환형 테트라펩타이드, 예를 들면, 트라폭신 B; 뎁시펩타이드, 예를 들면, 로미뎁신, 및 벤즈아미드, 예를 들면, 엔티노스타트(MS-275), 타세디날린(CI994), 및 모세티노스타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DAC의 다른 부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선택적으로 HDAC1을 억제하는 억제제, 예를 들면, 파테놀라이드가 사용된다.
헷지호그 신호전달 경로의 억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PKC 이오타 억제제의 단독 사용 또는 HDAC 억제제와 조합으로의 사용은 Hh 경로 신호전달을 억제한다. 억제된다는 것은 경로의 활성이 감소되거나 억제되거나 줄어들거나 약화되거나 길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Hh 경로가 과활성이거나 구성적으로 활성인 세포(예를 들면, 암 세포), 예를 들면, Smo 유전자에서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Ptch 또는 SUFU 유전자에서 불활성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세포, 또는 경로 활성제, 예를 들면, SHH/IHH 리간드, SMO 또는 GLI1/2가 과발현된 세포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에 의해 Hh 경로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헷지호그 신호전달 경로의 이상 활성화를 촉진하는 다른 돌연변이는 널리 공지되어 있고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헷지호그 신호전달의 이상 활성화와 관련된 돌연변이, 특히 암과 연관된 돌연변이의 검토를 위하여, 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 문헌[Pellegrini et al.(2017) Int. J. Mol. Sci. 18(11) pii: E2485, Bao et al.(2018) Mol. Nutr. Food Res. 62(1), Levanat et al.(2017) Curr. Pharm. Des. 23(1):73-94, Laukkanen et al.(2016) Anticancer Agents Med. Chem. 16(3):309-317, Suzman et al.(2015) Cancers(Basel). 7(4):1983-1993, Holikova et al.(2004) Int. J. Dermatol. 43(12):865-869, Wetmore(2003) Curr. Opin. Genet. Dev. 13(1):34-42, Bale(2002) Annu. Rev. Genomics Hum. Genet. 3:47-65, Lacour et al.(2002) Br. J. Dermatol. 146 Suppl 61:17-19, Wicking et al.(2001) Cancer Lett. 173(1):1-7, and Daya-Grosjean et al.(2005) Cancer Lett. 225(2):181-192]을 참조한다.
대상 방법의 수행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단독 또는 HDAC 억제제와의 조합은 세포에 유효량으로, 즉, Hh 경로 신호전달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제공된다. 생화학적으로 말하면,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의 유효량 또는 유효 용량은 세포에서 Hh 경로 신호전달을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0% 이상, 200% 이상, 또는 500% 이상 억제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다시 말해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의 유효량 또는 유효 용량과 접촉한 세포에서 Hh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은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의 유효량/유효 용량과 접촉하지 않은 세포에서 관찰된 활성의 약 70% 이하, 약 60% 이하, 약 50% 이하, 약 40% 이하, 약 30% 이하, 약 20% 이하, 약 10% 이하, 약 5% 이하이거나, 약 0%, 즉, 무시해도 되는 양일 것이다. 달리 말하면, Hh 경로 신호전달은 약 0.5배 이상, 1배 이상, 2배 이상, 5배 이상, 8배 이상, 또는 10배 이상 변경될 것이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에 의한 세포 활성의 억제의 양은 분자 생물학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수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에서 인산화된 전사 인자 Gli의 양은 웨스턴 블롯팅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DNA 표적 서열에 대한 Gli의 결합의 양은 전기영동 이동성 검정(EMSA)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Hh 신호전달에 의해 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전사 인자, 예를 들면, ptch1, ptch2, hhip1, nhk2, 및 rab34의 발현의 양은, 예를 들면, Gli의 전사 표적인 유전자의 RNA 또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거나, 루시페라제, EGFP 등과 같은 리포터 단백질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Gli 반응성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핵산 벡터로 세포를 형질감염/감염시키고 생성된 리포터 단백질의 양을 정성적으로 또는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의 억제 효과가 확인될 수 있다.
임상적 의미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의 유효 용량은 적합한 기간,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주, 어쩌면 약 2주 이상, 약 4주 기간 이하, 8주 이상 동안 투여되는 경우, Hh 신호전달 경로의 원하지 않는 활성과 관련된 증상의 변형을 증명할 용량이다. 예를 들면,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의 유효 용량은 적합한 기간,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주, 어쩌면 약 2주 이상, 약 4주 이하의 기간, 8 주 이상 동안 투여되는 경우, 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종양 성장 및 전이를 감속시키거나 중단시키거나 역전시킬 용량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초기 용량이 이러한 기간 동안 투여된 후, 일부 경우, 감소된 투여량일 것인 유지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투여되는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의 유효량 또는 유효 용량의 계산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의 기술에 속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일상적일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투여되는 최종적인 양은 투여 경로, 치료되는 질병 또는 병태의 성질, 및 환자 간에 상이할 것인 인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자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유능한 임상의는 필요한 경우, 질환 상태의 질행의 중단시키거나 역전시키기 위하여 환자에게 투여하는 치료제의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LD50 동물 데이터, 및 제제에 이용 가능한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 임상의는 투여 경로에 따라 개체에 대한 최대 안전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맥내로 투여된 용량은 치료적 조성물이 투여될 더 큰 체액을 고려하여 경막내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된 용량보다 많을 수 있다. 유사하게, 신체로부터 빠르게 제거되는 조성물은 치료적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더 높은 용량으로 또는 반복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사용하여, 유능한 임상의는 일상적인 임상 실험의 과정에서 특정한 치료제의 투여량을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 방법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세포에서 Hh 경로 신호전달 및 따라서 Hh 경로 신호전달과 관련된 세포 활성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h 경로 신호전달이 바람직하지 않은 임의의 세포, 예를 들면, 제어되지 않은 Hh 경로 신호전달이 증식 또는 전이를 촉진하는 암 세포를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와 접촉시킬 수 있다. 세포는 임의의 포유동물 종, 예를 들면, 뮤린, 설치류, 개, 고양이, 말, 소, 양, 영장류, 인간 등으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대상 방법이 시험관내에서 수행되는 경우, 세포는 확립 세포주로부터의 것일 수 있거나 이들은 원발성 세포일 수 있고, 여기서 "원발성 세포" 및 "원발성 세포주", 및 "원발성 배양"은 대상체로부터 유래되거나, 배양의 계대, 즉, 분할의 제한된 수 동안 시험관 내에서 성장하도록 한 세포 및 세포 배양을 지칭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원발성 배양은 0회, 1회, 2회, 4회, 5회, 10회, 또는 15회, 하지만 위기 단계를 통과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횟수만큼 계대배양될 수 있는 배양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원발성 세포주는 시험관내에서 10회 미만의 계대 동안 유지된다.
세포가 원발성 세포인 경우, 이들은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개체로부터 수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 예를 들면, 혈구, 예를 들면, 백혈구는 성분채집술, 백혈구성분채집술, 밀도 기울기 분리 등에 의해 수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포, 예를 들면, 근육, 골수, 비장, 간, 췌장, 폐, 장, 위, 신경계 조직 등이 생검에 의해 수확될 수 있다. 수확된 세포의 분산 또는 현탁을 위하여 적절한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을 일반적으로 저농도, 일반적으로 5 내지 25 mM의 허용되는 완충제와 함께 소태아 혈청 또는 다른 천연 발생 인자로 편리하게 보충된 균형 염 용액, 예를 들면, 정상 식염수, PBS, 행크스 균형 염 용액 등일 것이다. 편리한 완충제는 HEPES, 인산염 완충제, 락테이트 완충제 등을 포함한다. 세포는 바로 사용될 수 있거나, 이들은 장기간 동안 저장, 냉동될 수 있고, 해동되거나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포는 일반적으로 10% DMSO, 50% 혈청, 40% 완충 배지, 또는 이러한 냉동 온도에서 세포를 보존하기 위하여 당해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바와 같은 일부 다른 이러한 용액 중에서 냉동될 것이고, 냉동된 배양된 세포를 해동하기 위하여 당해 분야에서 흔히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해동될 것이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는 물 또는 알코올 또는 용매, 예를 들면, DMSO 또는 DMF 중에 용해될 수 있고, 세포에 제공되기 전에 물 또는 적절한 완충제로 희석될 수 있다.
Hh 경로 신호전달을 조절하기 위하여,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는 세포에 약 30분 내지 약 24시간, 예를 들면, 1시간, 1.5시간, 2시간, 2.5시간, 3시간, 3.5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0시간, 또는 약 30분 내지 약 24시간의 임의의 다른 기간 동안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약 매일 내지 약 4일마다, 예를 들면, 1.5일마다, 2일마다, 3일마다의 빈도, 또는 약 매일 내지 약 4일마다의 임의의 다른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제제는 대상 세포에 1회 이상, 예를 들면, 1회, 2회, 3회, 또는 3회 초과로 제공될 수 있고, 세포는 각각의 접촉 사건 후 일정한 시간 동안, 예를 들면, 16 내지 24시간 동안 제제와 함께 배양되고, 그 시간 후, 배지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되고 세포는 추가로 배양된다.
세포와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의 접촉은 세포의 생존을 촉진하는 임의의 배양 조건하에 임의의 배양 배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는 편리한 임의의 적절한 영양 배지, 예를 들면, 소태아 혈청 또는 열 불활성화 염소 혈청(약 5-10%), L-글루타민, 티올, 특히 2-머캅토에탄올, 및 항생제, 예를 들면,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된 이스코브 변형 DMEM 또는 RPMI 1640에 현탁될 수 있다. 배양은 세포가 반응성인 성장 인자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성장 인자는 막관통 수용체에 대한 특이적인 효과를 통해, 배양에서 또는 온전한 조직에서 세포의 생존, 성장 및/또는 분화를 촉진할 수 있는 분자이다. 성장 인자는 폴리펩타이드 및 비폴리펩타이드 인자를 포함한다. 세포의 생존을 촉진하는 조건은 전형적으로 비상동성 말단 접합 및 상동성 재조합을 용인한다.
본 출원에서 연구 및 치료에 관심이 있는 암 세포는 전암성(예를 들면, 양성), 악성, 전전이성, 전이성, 및 비전이성 세포를 포함하고, 여기서 암 표현형은 Hh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된다. 다시 말해서, Hh 경로 신호전달(및 많은 경우, 조절되지 않은 Hh 경로 신호전달)은 개체에서 세포가 암이 되게 하거나, 개체에서 암의 증상, 예를 들면,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유도하거나 강화시킨다. 많은 이러한 경우, Hh 경로 신호전달은 건강한 세포에서 관찰된 신호전달의 수준에 배하여 종양 세포에서 상승되고, 예를 들면, 건강한 세포에서 Hh 경로 신호전달의 양에 대하여 2배 이상, 3배 이상, 4배 이상, 6배 이상, 8배 이상, 10배 이상, 20배 이상, 또는 50배 이상 상승된다. Hh 신호전달의 수준은, 예를 들면, 당해 분야에 공지되거나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적용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는 생체내에서 Hh 경로 신호전달을 조절하고, 예를 들면, 종양 성장 또는 전이를 억제하여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생체내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는 개체에 직접적으로 투여된다. aPKC 이오타 조절제는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임의의 다수의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제제
aPKC 이오타 억제제(예를 들면,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HDAC 억제제는 다양한 제제로 도입될 수 있다. 더 특히, aPKC 이오타 억제제 또는 HDAC 억제제는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에 의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중에 하나 이상의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은 연방정부 또는 주정부의 규제 기관에 의해 허가되거나 미국 약전 또는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일반적으로 인식된 약전에 열거될 수 있다. 용어 "비히클"은 포유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제제화되는 희석제, 아주번트, 부형제, 또는 담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약제학적 비히클은 지질, 예를 들면, 리포좀, 예를 들면, 리포좀 덴드리머; 액체, 예를 들면, 페트롤륨, 동물, 식물 또는 합성 기원의 것들을 포함하는 물 및 오일, 예를 들면, 땅콩유, 대두유, 미네랄 오일, 참깨유 등, 식염수; 아카시아 검, 젤라틴, 녹말풀, 탈크, 케라틴, 콜로이드성 실리카, 유레아 등일 수 있다. 추가로, 보조제, 안정제, 증점제, 활택제 및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연고, 용액, 좌제, 주사제, 흡입제, 겔, 마이크로스피어, 및 에어로졸로 제제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의 투여는 경피, 피내, 경구, 구강, 직장, 비경구, 복강내, 피내, 기관내 등의 투여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활성제는 투여 후 전신적일 수 있거나, 국소 투여, 벽내 투여의 사용, 또는 이식 부위에 활성 용량을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임플란트의 사용에 의해 국소화될 수 있다. 활성제는 즉시 활성을 위하여 제제화될 수 있거나 지속된 방출을 위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일부 조건, 특히 중추신경계 조건에 있어서, 혈액 뇌 장벽(BBB)을 가로지르도록 제제를 제제화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혈액 뇌 장벽(BBB)을 통한 약물 전달을 위한 하나의 전략은 만니톨 또는 류코트리엔과 같은 삼투 수단에 의해, 또는 브래디키닌과 같은 혈관활성 성분의 사용에 의해 생화학적으로 BBB의 교란을 수반한다. 뇌 종양에 특이적인 제제를 표적화하는 BBB 개방을 사용하는 가능성이 또한 선택사항이다. BBB 교란제는 조성물이 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본 발명의 치료적 조성물과 공동투여될 수 있다. BBB를 통과하기 위한 다른 전략은 카베올린-1 매개된 통과세포외배출, 담체 매개된 수송체, 예를 들면, 글루코스 및 아미노산 담체, 인슐린 또는 트랜스페린을 위한 수용체 매개된 통과세포외배출, 및 능동 유출 수송체, 예를 들면, p-당단백질을 포함하는 내인성 수송 시스템의 사용을 수반할 수 있다. 능동 수송 잔기는 또한 혈관의 내피벽을 가로지르는 수송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을 위한 치료적 화합물과 컨쥬게이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BBB 너머로의 치료제의 약물 전달은 국소 전달에 의해, 예를 들면, 경막내 전달, 예를 들면, 옴마야(Ommaya) 저장소(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 제5,222,982호 및 제5385582호 참조)를 통한 경막내 전달에 의해; 볼루스 주사에 의해, 예를 들면, 주사기에 의해, 예를 들면, 유리체강내로 또는 두개내로; 연속 주입에 의해, 예를 들면, 관삽입에 의해, 예를 들면, 대류에 의해(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출원 제20070254842호 참조); 또는 가역적으로 부착된 제제가 있는 장치를 이식함으로써(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출원 제20080081064호 및 제20090196903호 참조) 수행될 수 있다.
약제에 포함을 위하여,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는 적합한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일반 명제로서, 용량당 비경구로 투여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의 총 약제학적 유효량은 용량 반응 곡선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범위일 것이다.
HDAC 억제제가 함께 있거나 없는 aPKC 이오타 억제제 기반의 요법에 있어서, 즉, 치료적 투여에 사용되는 제제는 무균일 수 있다. 무균은 무균 여과 막(예를 들면, 0.2 μm 막)을 통한 여과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치료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무균 접근 포트를 갖는 컨테이너, 예를 들면, 피하 주사 바늘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스토퍼를 갖는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로 들어간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닛 또는 다중용량 컨테이너, 예를 들면, 밀봉된 앰플 또는 바이알에, 수용액 또는 재구성을 위한 동결건조 제형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동결건조 제제의 예로서, 10-mL 바이알은 화합물의 무균 여과된 1%(w/v) 수용액 5 ml으로 채워지고, 수득된 혼합물은 동결건조된다. 주입 용액은 정균성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동결건조된 화합물을 재구성함으로써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는 국소 투여를 위한 로션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원하는 제제에 따라, 동물 또는 인간 투여를 위하여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비히클로서 정의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는 조합의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희석제의 예는 증류수, 완충수, 생리학적 식염수, PBS,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및 행크스 용액이다. 추가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제는 다른 담체, 아주번트, 또는 비독성, 비치료적, 비면역원성 안정제, 부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pH 조절제 및 완충제, 독성 조절제, 습윤제 및 세제와 같은 생리학적 조건에 근접한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임의의 다양한 안정제, 예를 들면,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이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펩타이드는 폴리펩타이드의 생체내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의 약리학적 성질을 향상시키는(예를 들면, 폴리펩타이드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이의 독성을 감소시키거나, 용해도 또는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널리 공지된 화합물과 착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개질제 또는 착화제의 예는 설페이트, 글루코네이트, 시트레이트 및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핵산 또는 폴리펩타이드는 또한 생체내 특성을 향상시키는 분자와 착화될 수 있다. 이러한 분자는, 예를 들면, 탄수화물, 폴리아민, 아미노산, 다른 펩타이드, 이온(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망간), 및 지질을 포함한다.
다양한 유형의 투여에 적합한 제제에 관한 추가의 지침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e Publishing Company, Philadelphia, Pa., 17th ed.(1985). For a brief review of methods for drug delivery, see, Langer, Science 249:1527-1533(1990)]에서 찾을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방적 및/또는 치료적 치료를 위하여 투여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독성 및 치료적 효능은 예를 들면, LD50(집단의 50%에 대한 치사 용량) 및 ED50(집단 50%에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용량)의 결정을 포함하여 세포 배양 및/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 약제학적 과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독성과 치료적 효과 사이의 용량비는 치료 지수이고, 이는 LD50/ED50 비로서 표현될 수 있다. 큰 치료 지수를 나타내는 요법이 바람직하다.
세포 배양 및/또는 동물 연구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는 인간을 위하여 다양한 투여량을 제제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전형적으로 낮은 독성의 ED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 내에 속한다. 투여량은 사용되는 투여량 및 사용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이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하는데 사용되는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고순도이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오염물질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예를 들면, 적어도 국가 식품(NF) 등급, 일반적으로 적어도 분석 등급, 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제학적 등급). 게다가, 생체내 사용이 의도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무균이다. 주어진 화합물이 반드시 사용 전에 합성되어야 할 정도로, 수득된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합성 또는 정제 공정 동안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잠재적으로 독성인 제제, 특히 임의의 내독소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또한 무균이고, 실질적으로 등장성이고, GMP 조건하에 제조된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는 다른 제제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h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는 다른 공지된 암 요법과 공동투여될 수 있다.
투여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은 헷지호그 경로의 활성화에 의존성이거나 헷지호그 경로의 이상 활성화 또는 구성적 활성화와 관련된 임의의 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기저세포암종, 수모세포종, 횡문근육종, 소세포폐암, 망막모세포종, 위 및 상부 위장관 암, 골육종, 췌장암,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뇌암, 유선암, 갑상선암, 및 전립선암을 포함한다.
aPKC 이오타 억제제(예를 들면,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학적 유효 용량은 단독으로 또는 HDAC 억제제, 및/또는 임의로 다른 항암제와 조합으로 투여될 것이다. 각각의 이들 제제의 "치료학적 유효 용량 또는 유효량"은 투여되는 경우,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에 대하여 개체의 치료에 관하여 긍정적인 치료 반응을 야기하는 양을 의도한다.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항암 효과를 제공하는 이들 제제의 양이 특히 관심이 있다. "긍정적인 치료 반응"은 요법을 겪고 있는 개체에 있어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하나 이상의 증상에서 개선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를 겪고 있는 개체를 의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긍정적인 치료 반응"은 요법(예를 들면, aPKC 이오타 억제제에 의한 요법 또는 aPKC 이오타 억제제 및 HDAC 억제제 및/또는 임의로 다른 항암제에 의한 조합 요법)과 관련하여 질환의 개선, 및/또는 요법과 관련하여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일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긍정적인 치료 반응은 질환에서 하기 개선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것이다: (1) 종양 크기의 감소; (2) 암 세포 수의 감소; (3) 종양 성장의 억제(즉, 어느 정도까지 감속, 바람직하게는 중단); (4) 말초 기관으로의 암 세포 증식의 억제(즉, 어느 정도까지 감속, 바람직하게는 중단); (5) 종양 전이의 억제(즉, 어느 정도까지 감속, 바람직하게는 중단); 및 (6) 암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으로부의 어느 정도의 완화.
이러한 치료 반응은 개선의 정도로서 추가로 특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개선은 완전한 반응으로서 특성화될 수 있다. "완전한 반응"은 신체 검사, 실험실, 핵 및 방사선 연구(즉, CT(컴퓨터 단층촬영) 및/또는 MRI(자기 공명 영상)), 및 연구로의 진입 시간에 긍정적인 모든 초기 비정상 또는 부위에 대하여 반복된 다른 비침습적 과정에 의해 확인된 모든 측정 가능한 또는 평가 가능한 질환의 모든 증상 및 징후의 사라짐의 기록이다. 대안적으로, 질환에서 개선은 부분적인 반응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부분적인 반응"은 치료 전 측정과 비교시 모든 측정 가능한 병변의 직각 직경의 생성물의 합에서 50%보다 큰 감소를 의도한다(오직 평가 가능한 반응을 가진 환자에 대하여, 부분적인 반응은 적용되지 않는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단독 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와의 조합인 aPKC 이오타 억제제의 다중 치료적 유효 용량은 일일 투약 레지멘에 따라,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될 것이다. 예를 들면, 치료적 유효 용량은 1주에 1일, 1주에 2일, 1주에 3일, 1주에 4일, 또는 1주에 5일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간헐적" 투여는 치료적 유효 용량이, 예를 들면, 격일로, 2일마다, 3일마다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독 또는 HDAC 억제제, 및/또는 임의로 다른 항암제와의 조합인 aPKC 이오타 억제제는 확장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1, 2, 3, 4, 5, 6, 7, 8...10...15...24주 동안 주 2회 또는 주 3회 투여될 것이다. "주 2회" 또는 "주 3회"는 투여 제1 주의 제1일에 시작하여, 최소 72시간의 투여 간격 및 최대 96시간의 투여 간격으로, 7일 기간 내에 대상체에게 해당 제제의 치료적 유효 용량 2개가 투여된다. "주 3회" 또는 "주당 3회"는 7일 기간 내에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 용량이 3개 투여된다는 것을 의도하고, 최소 48시간의 투여 간격 및 최대 72시간의 투여 간격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이러한 유형의 투여은 "간헐적" 요법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대상체는 원하는 치료 반응이 달성될 때까지 하나 이상의 매주 주기 동안 간헐적 요법(즉, 치료적 유효 용량의 주 2회 또는 주 3회 투여)을 받을 수 있다. 제제는 하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허용되는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의 조합 요법이 투여된다. aPKC 이오타 억제제는 HDAC 억제제 전에, 동시에 또는 후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HDAC 억제제와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 aPKC 이오타 억제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제제는 동시 요법의 방식으로 개체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동시 요법"은 성분의 조합의 치료적 효과가 요법을 겪고 있는 대상체에서 유발되도록 인간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이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동시 요법은 aPKC 이오타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적 유효 용량 및 적어도 하나의 HDAC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적 유효 용량을 특정한 투약 레지멘에 따라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적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분리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이들 성분의 조합의 치료적 효과가가 요법을 겪고 있는 대상체에서 유발되는 한, 같은 시간에(즉,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에(즉, 같은 날 또는 다른 날에 순차적으로, 어느 순서로든) 수행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는 HDAC 억제제의 투여 전에 단기간 동안 투여되고,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수준이 GLI1 및 HDAC1의 회합 및 GLI1 및 헷지호그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요법 동안 대상체에서 충분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HDAC 억제제에 의한 치료가 중단된 후, 단기간 동안 계속된다. 예를 들면, aPKC 이오타 억제제는 HDAC 억제제의 제1 용량의 투여 전 1주에 투여가 시작되고, 대상체에 대한 HDAC 억제제의 마지막 용량의 투여 후 1주 동안 계속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또는 임의로 다른 항암제와 같은 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지속 방출 제제, 또는 지속 방출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되는 제제이다. 이러한 장치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비지속 방출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지속 방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용량으로 연속적이고 정상 상태의 방식으로 시간에 따라 약물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경피 패치, 및 소형 이식 펌프를 포함한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를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투여 경로는 비경구 투여, 예를 들면, 피하(SC), 복강내(IP), 근육내(IM), 정맥내(IV), 또는 주입, 경구, 폐, 코, 국소, 경피, 종양내, 및 좌제를 포함한다. 조성물이 폐 전달을 통해 투여되는 경우, 치료적 유효 용량은 혈류 중의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와 같은 제제의 가용성 수준이 비경구로, 예를 들면, SC, IP, IM, 또는 IV로 투여되는 치료적 유효 용량에 의해 수득된 것과 등가가 되도록 조절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IM 또는 SC 주사에 의해, 특히 종양에 국소적으로 IM 또는 SC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는 패치 또는 겔과 같이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는 주입에 의해 또는 국소 주사에 의해, 예를 들면, 약 75 mg/h 내지 약 375 mg/h, 약 100 mg/h 내지 약 350 mg/h, 약 150 mg/h 내지 약 350 mg/h, 약 200 mg/h 내지 약 300 mg/h, 약 225 mg/h 내지 약 275 mg/h를 포함하는 약 50 mg/h 내지 약 400 mg/h의 속도의 주입에 의해 투여된다. 예시적인 주입 속도는, 예를 들면, 약 1 mg/m2/일(day) 내지 약 9 mg/m2/일, 약 2 mg/m2/일 내지 약 8 mg/m2/일, 약 3 mg/m2/일 내지 약 7 mg/m2/일, 약 4 mg/m2/일 내지 약 6 mg/m2/일, 약 4.5 mg/m2/일 내지 약 5.5 mg/m2/일을 포함하는 약 0.5 mg/m2/일 내지 약 10 mg/m2/일의 원하는 치료적 용량을 달성할 수 있다. 투여(예를 들면, 주입에 의한)는 원하는 기간 동안 반복되고, 예를 들면, 약 1 일 내지 약 5일, 또는 수 일, 예를 들면, 약 5일마다 1회, 약 1개월, 약 2개월 등 동안 반복될 수 있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는 또한 치료적 개입, 예를 들면, 암 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적 개입 전에, 동시에,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는 또한 조합 요법의 부분으로서 투여될 수 있고, 여기서 면역요법,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또는 생물학적 요법 중 적어도 하나는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투여되는 다양한 조성물의 각각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투여 방식, 투여 빈도(즉, 매일, 또는 간헐적 투여, 예를 들면, 주 2회 또는 3회), 요법을 겪고 있는 특정한 질환, 질환의 중증도, 병력, 개체가 또 다른 치료제와 동시 요법을 겪고 있는지 여부, 및 요법을 격고 있는 개체의 연령, 신장, 체중, 건강,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요법을 겪고 있는 대상체의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제제의 더 높은 투여량이 바람직하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의 개별적인 용량은 전형적으로 대상체에 대한 측정 가능한 효과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양보다 작지 않고,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 및 이의 부산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ADME")에 대한 약동학 및 약리학을 기반으로, 따라서 대상체 내의 조성물의 소인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투여 경로 뿐만 아니라 투여량의 고려사항을 포함하고, 이는 국소적(주로 국소 효과를 위하여 작용이 바람직한 곳에 직접적으로 적용됨), 장(소화관의 부분에 유지되는 경우, 전신적 또는 국소적 효과를 위하여 소화관을 통해 적용됨), 또는 비경구(전신적 또는 국소적 효과를 위하여 소화관이 아닌 경로에 의해 적용됨) 적용을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PKC 이오타 억제제(예를 들면,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의 투여는 국소적이거나 주사,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또는 종양내 주사 또는 이의 조합을 통할 수 있다.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소인 및 대상체에서 이의 상응하는 생물학적 활성은 전형적으로 관심이 있는 표적에서 존재하는 aPKC 이오타 억제제의 분획에 대항하여 계량된다. 예를 들면, 일단 투여된 aPKC 이오타 억제제는 암 세포 및 암 조직에서 물질에 모이는 당접합체 또는 다른 생물학적 표적과 함께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관심이 있는 표적에서 축적되기 위하여 aPKC 이오타 억제제가 투여되는 투약 레지멘은 더 낮은 개별적인 용량을 허용하기 위한 전략의 부분일 수 잇다. 이는 또한, 예를 들면, 생체내에서 더 천천히 제거되는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용량이 시험관내 검정으로부터 계산된 유효 농도에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예를 들면, 유효량 시험관내 근사치 mM 농도, 대 생체내 mM 농도 미만)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로서, 용량 또는 투약 레지멘의 유효량은 aPKC 키나제 활성 및/또는 GLI1 활성화, 및/또는 헷지호그 경로의 활성화 및/또는 세포 증식 및/또는 세포 이동/침윤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어진 aPKC 이오타 억제제의 IC50으로부터 계량될 수 있다. "IC50"은 시험관내에서 50% 억제에 필요한 약물의 농도를 의도한다. 대안적으로, 유효량은 주어진 aPKC 이오타 억제제 농도의 EC50으로부터 계량될 수 있다. "EC50"은 생체내에서 최대 효과 50%를 수득하는데 필요한 혈장 농도를 의도한다. 관련된 실시양태에서, 투여량은 또한 ED50(유효 투여량)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계산된 IC50의 200X를 초과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투여되는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양은 계산된 IC50보다 약 200X 미만, 약 150X 미만, 약 100X 미만이고, 많은 실시양태에서, 약 75X 미만, 약 60X, 50X, 45X, 40X, 35X, 30X, 25X, 20X, 15X, 10X 미만 및 심지어 약 8X 또는 2X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은 계산된 IC50의 약 1X 내지 50X이고, 때때로 계산된 IC50의 약 2X 내지 40X, 약 3X 내지 30X 또는 약 4X 내지 20X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은 계산된 IC50와 동일하고,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은 계산된 IC50을 초과하는 양이다.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계산된 EC50의 100X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투여되는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양은 계산된 EC50보다 약 100X 미만, 약 50X 미만, 약 40X, 35X, 30X, 또는 25X 미만이고, 많은 실시양태에서, 약 20X 미만, 약 15X 미만, 심지어 약 10X, 9X, 9X, 7X, 6X, 5X, 4X, 3X, 2X 또는 1X 미만이다. 유효량은 계산된 EC50의 약 1X 내지 30X, 때때로 계산된 EC50의 약 1X 내지 20X, 또는 약 1X 내지 10X일 수 있다. 유효량은 또한 계산된 EC50과 동일하거나 계산된 EC50을 초과할 수 있다. IC50은 aPKC 키나제 활성 및/또는 GLI1 활성화, 및/또는 시험관내 세포 증식 및/또는 세포 이동/침윤을 억제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효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수준은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수준을 초과하여야 한다. 효능은 용량 의존성이고,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항종양 효과에 기여한다.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수준은 특정 시간 내 및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수준 아래로 유지될 수 있다("휴지기"는 aPKC 이오타 억제제의 제거를 허용한다). 즉, 약물은 다음 용량이 제공되기 전에 특정 시간까지 특정 수준 아래로 유지된다. 용량 사이의 휴지기가 짧을수록 더 크게 독성에 기여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갖는 환자의 치료 방법은 단독 또는 HDAC 억제제, 및/또는 임의로 다른 항암제와 조합인 aPKC 이오타 억제제 후, 환자가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의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하도록 하는,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가 투여되지 않는 휴지기를 갖는 치료 주기를 포함한다.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의 다중 용량은 일일 투약 레지멘에 따라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된 후, 휴지기가 뒤따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투약 레지멘에 따라 요법을 겪고 있는 대상체가 부분적인 반응, 또는 차도의 연장된 기간 후 재발을 나타내는 경우, 질환의 완전한 차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법의 후속적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치료 기간으로부터 휴지기에 후속적으로, 대상체는 단독 또는 HDAC 억제제, 및 임의로 다른 항암제와 조합인 aPKC 이오타 억제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 기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치료 기간 사이의 휴지기는 본원에서 중단 기간으로 지칭된다. 중간 기간의 길이는 이들 치료제에 의한 요법의 임의의 사전 치료에 의해 달성된 기간 종양 반응의 정도(즉, 완벽한 대 부분적인)에 따라 좌우된다.
응용
이상조절된 Hh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암의 하나의 예는 기저세포암종(BCC)이다. BCC 종양은 증가된 Gli 수준을 갖고, BCC에 대한 분자 표적화된 약물은 Smo을 길항하고 Gli mRNA를 감소시키는데 집중하였다. 하나의 이러한 예는 Smo를 억제하는 식물 알칼로이드인 사이클로파민이다. 모델 시스템(시험관내 및 생체내)은 사이클로파민이 BCC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사이클로파민의 임상 응용은 이의 사용을 배제할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냈다. 전이성 BCC 종양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또 다른 Smo 길항제는 비스모데깁이다. 다른 치료는 수술, 화학요법, 면역요법, 예를 들면, 유포르비아 펩루스(Euphorbia peplus), 이미퀴모드(Imiquimod), 알다라(Aldara), 및 방사선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BCC는 Hh 경로에서 활성화 돌연변이가 Smo에 다운스트림에 있거나 상위성이기 때문에 Smo 길항제에 내성이거나, 암 세포는 Smo 길항제에 내성을 발달시켰다. 대상 방법은 이러한 암에 응용될 수 있다.
이상조절된 Hh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질병의 또 다른 예는 수십 내지 수백개의 BCC의 발달이 특징인 희귀한 다계통 질환인, 골린 증후군으로도 공지된 기저세포모반증후군(BCNS)이다. BCNS를 가진 대상체는 PTCH1의 결함이 있는 카피를 유전적으로 갖고 있다. BCNS는 인구 56,000-164,000명당 1건의 유병률을 갖는 희귀 질환이고, 효과적이고 수용 가능한 치료가 없다. 결과적으로, BCNS를 가진 대상체는 BCC 종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약물에 관심이 있다.
대상 방법 및 조성물은 두 임상 집단에서 BCC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i) 유전적인 BCC 종양을 가진 환자, 예를 들면,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을 가진 환자; 및 ii) 산발성 BCC 종양을 가진 일반 대중에서의 환자. 미국에서, BCC는 년간 100만개의 새로운 사례가 진단되는 가장 흔한 암이다. BCC는 거의 치명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병에 걸린 개인들에서 이들의 높은 발생 및 빈번한 재발은 유의미한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피부암의 발생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피부암의 치료는 국민 건강 보험에 큰 부담을 부과한다. 현재, 자외선 차단제가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BCC 발달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BCC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효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조절된 Hh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암의 또 다른 예는 수모세포종이다. 수모세포종은 소뇌 또는 후두와에서 기원하는 고도의 악성 원발성 뇌 종양이다. 수모세포종은 새로 진단된 사례의 14.5%를 포함하는 가장 흔한 악성 뇌 종양이다. 수모세포종은 일반적으로 뇌간과 소뇌 사이에 제4 뇌실의 근처에서 형성된다. 수모세포종을 위한 공지된 요법은 화학요법, 예를 들면, 로무스틴,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빈크리스틴 또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비스모데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대상 방법은 Smo 길항제에 내성이 있는(또는 내성이 발달한) 수모세포종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조절된 Hh 경로 신호전달에 의해 촉진되는 암의 또 다른 예는 횡문근육종이다. 횡문근육종은 암 세포가 골격근 전구세포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육종(결합 조직의 암)이다. 이는 임의의 해부학적 위치에서 발견될 수 있다. 대부분은 머리, 목, 및 비뇨생식관과 같은 골격근이 부족한 영역에서 발생한다. 횡문근육종의 진단은 골격근 세포를 향한 분화의 인식에 따라 좌우된다. 단백질 myoD1 및 미오게닌은 일반적으로 골격근 세포의 발달에서 발견되는 전사 인자 단백질이고, 이는 근육이 성숙하고 신경에 의해 신경분포된 후 사라진다. 따라서, myoD1 및 미오게닌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골격근에서 발견되지 않고, 횡문근육종의 유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마커로서 역할을 한다. 횡문근육종을 위한 치료는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및 때때로 수술로 구성된다.
Smo 길항제에 내성이 있는 다른 조직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변이체를 포함하는 다른 조직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이 또한 대상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소세포폐암, 췌장암, 결장직장암, 난소암 , 및 전립선암의 하위유형을 포함하고, 이들은 모두 헷지호그 경로의 차단제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트
적어도 하나의 aPKC 이오타 억제제(예를 들면,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및/또는 HDAC 억제제, 및/또는 임의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항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된다. 조성물은 액체 형태일 수 있거나, 동결건조될 수 있다. 조성물을 위한 적합한 컨테이너는, 예를 들면, 병, 바이알, 주사기, 및 시험관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무균 접근 포트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컨테이너는 피하 주사 바늘에 의해 천공 가능한 스토퍼를 가진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일 수 있다).
키트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 예를 들면, 인산염 완충 식염수, 링거액, 또는 덱스트로스 용액을 포함하는 제2 컨테이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 용액, 예를 들면, 완충제, 희석제, 필터, 바늘, 및 주사기 또는 다른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최종 사용자에게 유용한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조성물로 미리 충전될 수 있다.
키트는 또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에 대하여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하여 aPKC 이오타 억제제 및/또는 HDAC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서면 설명서를 포함하는 포장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삽입물은 승인되지 않은 드래프트 포장 삽입물일 수 있거나, 식품의약국(FDA) 또는 다른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된 포장 삽입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설명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예를 들면, 정보가 기록된 디스켓, CD, DVD, 플래시 드라이브 등에 제공될 수 있거나, 설명서는 웹사이트 주소에 제시될 수 있고, 이는 제거된 사이트에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용될 수 있다.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에 대하여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설명서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편리한 수단이 키트에 제시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어떻게 제조하고 사용하는지의 완전한 개시내용 및 설명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기재되고, 본 발명자들이 무엇을 본 발명으로 여기는지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하기 실험은 모두 또는 오직 수행된 실험인 것을 제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사용된 숫자(예를 들면, 양, 온도 등)에 관한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했지만, 일부 실험 오차 및 편차가 고려되어야 한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부는 중량부이고,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고, 온도는 섭씨 온도이고, 압력은 대기압이거나 거의 대기압이다.
분자 및 세포 생화학에서 일반적인 방법은 문헌[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Sambrook et al.,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4th Ed.(Ausubel et al. eds., John Wiley & Sons 1999); Protein Methods(Bollag et al., John Wiley & Sons 1996); Nonviral Vectors for Gene Therapy(Wagner et al. eds., Academic Press 1999); Viral Vectors(Kaplift & Loewy eds., Academic Press 1995); Immunology Methods Manual(I. Lefkovits ed., Academic Press 1997); and Cell and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in Biotechnology(Doyle & Griffiths, John Wiley & Sons 1998)]과 같은 표준 교과서에서 찾을 수 있고, 이의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러한 개시내용에서 언급되는 유전자 조작을 위한 시약, 클로닝 벡터, 및 키트는 상업적인 판매사, 예를 들면, 바이오라드(BioRad), 스트라타진(Stratagene), 인비트로겐(Invitrogen), 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 및 클론테크(ClonTech)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실시예 1
BCC 세포 모델에서 헷지호그 경로 조절
도입
기저세포암종(BCC)은 생존 및 성장을 위하여 헷지호그(HH) 신호전달의 높은 수준을 필요로 한다(Chang et al.(2012) Arch. Dermatol. 148(11):1324-1325, Atwood et al.(2015) Cancer Cell 27(3):342-353, Atwood et al.(2013) Nature 494(7438):484-488, Hutchin et al.(2005) Genes Dev. 19(2):214-223). HH 경로의 활성화는 Patched-1에 대한 HH 리간드 결합을 포함하고, 이로써 평활화(SMO)의 억제를 완화시킨다. 이는 전사 인자의 GLI 패밀리의 활성화를 야기하고, 이는 결국 Gli1 그 자체를 포함하는 HH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한다. SMO 억제제는 최근에 BCC 치료에 관하여 FDA 승인을 받았지만, 약물 내성이 유의미한 문제로서 생겨나고 있다(Chang et al., 상기 참조; Atwood et al.(2015), 상기 참조; Sekulic et al.(2012) N. Engl. J. Med. 366(23):2171-21791). BCC는 성장을 위하여 HH 경로에 단일하게 의존하기 때문에(Atwood et al.(2015), 상기 참조), 내성이 있는 BCC는 경로 내재적 돌연변이 뿐만 아니라 GLI 활성화의 비표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SMO의 수준에서의 약리학적 차단을 피해가도록 진화한다(Atwood et al.(2015), 상기 참조; Atwood et al.(2013), 상기 참조).
최근에, 우리는 BCC에서 약물 내성의 강한 메커니즘으로서 비정형 PKC Ι/Λ(aPKC) 과활성화를 확인하였다(Atwood et al.(2013), 상기 참조;). GLI1 아연 집게 도메인의 aPKC 인산화는 크로마틴 회합, 유전자 전사, SMO 및 Patched-1로부터의 입력의 HH 경로 활성화 다운스트림을 야기한다. 추가로, GLI는 aPKC의 전사를 촉진하여, GLI에 의해 또 다른 양성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비표준 HH 신호전달 경로의 과활성화는 경로 활성화를 구동하고, 비스모데깁은 진행된 BCC에서 탈출한다(Atwood et al.(2013), 상기 참조;). 알로스테릭(Erdogan et al.(2006) J. Biol. Chem. 281(38):28450-28459) 또는 오르토스테릭(Kjær et al.(2013) Biochem. J. 451(2):329-342)인 aPKC의 소분자 억제제는 개발 중이지만 BCC를 치료하는데 응용된 적이 없다.
GLI 단백질은 p300에 의한 아세틸화 및 후속적인 탈아세틸화를 통해 SMO의 다운스트림에서 추가로 조절된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1/2(HDAC1/2)에 의한 각각 K518 및 K757에서 GLI1/2의 탈아세틸화는 크로마틴 회합 및 유전자 전사에 필요한 GLI 전사 인자의 핵 성숙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이다(Canettieri et al.(2010) Nat. Cell Biol. 12(2):132-142). HDAC1은 그 자체로 GLI의 전사 표적이고, HH 신호전달의 제3 양성 피드백 루프를 생성한다. 특히 흥미롭게도, HDAC 억제는 많은 HH 구동된 암의 치료를 위하여 제안되었다(Canettieri et al., 상기 참조; Coni et al.(2017) Sci Rep. 7:44079; Zhao et al.(2014) Pharmacol. Res. Perspect. 2(3):e00043; Coni et al.(2013) PLoS One 8(6):e65718). HDAC 억제제는 히스톤-DNA 착물을 변경하고 비히스톤 단백질의 아세틸화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성장을 차단하고 아폽토시스를 촉진한다(Falkenberg et al.(2014) Nat. Rev. Drug Discov. 13(9):673-691). 부류 I/II HDAC 억제제인 보리노스타트는 현재 피부 림프종의 치료에 대하여 FDA 승인을 받았다(Mann et al.(2007) Clin. Cancer Res. 13(8):2318-2322). 불행하게도, HDAC 억제는 이의 광범위한 세포독성 성질에 의해 방해되었다. 신규한 약물 발견은 적합한 표적의 부족 및 임상 개발의 비용으로 인하여 여전히 쉽지 않다(Hoelder et al.(2012) Mol. Oncol. 6(2):155-176).
여기서 우리는 aPKC 이오타 억제제, CRT0422839 및 CRT0364436이 BCC 세포 생존능을 조절하고 GLI 경로 조절과 함께 GLI1 mRNA의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
시험관내에서 BCC에 대한 aPKC 이오타 억제의 효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뮤린 BCC 세포주를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의 증가하는 용량으로 처리하였다.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에 의한 처리는 BCC 성장 및 생존능에서 용량 의존적 감소를 야기하였다(도 1c 및 1d). BCC 생존능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서 포함된 문헌[Mirza et al.(JCI Insight(2017) 2(21) pii: e97071]에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aPKC 억제제, PSI(도 1a) 및 CRT0329868(도 1b)에 의한 처리에 대하여 비교되었다. 추가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에 의한 처리는 Gli1 mRNA의 수준에서 용량 의존적 감소를 야기하였다(도 2a 및 2b).
실시예 2
aPKC 이오타의 생화학적 키나제 검정
aPKC 이오타의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384웰 블랙, 비결합, 평저 검정 플레이트(Corning 3575)에서 IMAP FP 진행 결합 시스템(Molecular Devices R8127)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검정 혼합물(최종 부피 = 10 μl)은 20 mM Tris-HCL(pH 7.5), 150 μM ATP, 10 mM MgCl2, 0.01% 트리톤(Triton) X-100, 250 μM EGTA, 1 mM DTT, 15 pM PKCI(EMD Millipore 14-505), 100 nM FAM-PKCε-유사기질(Molecular Devices RP7548), 0.1% DMSO, 및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CRT0422839 및 CRT0364436을 함유한다. 화합물 희석물(100% DMSO 중에서 제조됨)을 바이오메크(BioMek) NX 핀 툴(Beckman Coulter)을 사용하여 100 nl에서 검정 플레이트에 가한다. ATP(MilliporeSigma A7699)를 첨가하여 효소 반응을 개시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플레이트를 배양한다. IMAP 검출 시약(85% 1X 결합 완충제 A 및 15% 1X 결합 완충제 B 중의 1:400)의 20 μl 분취량을 각각의 웰에 가한 후, 25℃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다음, FP 이중 거울, FP480 여기 필터, 및 P-pol 535 및 S-pol 535 방출 필터를 사용하는 퍼킨엘머 엔비션(PerkinElmer Envision) 2102 멀티라벨 플레이트 리더(PerkinElmer)를 사용하여 FP를 측정한다. 액티비티베이스(ActivityBase)(IDBS)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화합물 농도의 log10에 대하여 억제 퍼센트를 플롯팅하고, XLFit 4(IDBS)에서 4-파라미터 로지스틱 모형(상부 및 하부가 각각 100 및 0로 강제됨)에 핏팅함으로써 IC50 값을 계산한다.
상기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화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본원에 명백하게 기재되고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이의 취지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모든 예시 및 조건부 언어는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 및 본 발명자가 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기여한 개념을 독자가 이해하는 것을 돕는 것을 의도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기재된 예시 및 조건에 대한 제한 없이 해석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원리, 측면, 및 실시양태 및 이의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는 본원의 모든 기재는 이의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추가로, 이러한 등가물은 현재 공지된 등가물 및 미래에 개발된 등가물, 즉, 구조와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된 임의의 요소를 둘 다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에 도시되고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양태로 제한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그보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구현된다.

Claims (30)

  1. 대상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암이 기저세포암종(BCC: basal cell carcinoma)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이 구성적으로 활성인 헷지호그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전이성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의 복수 주기가 적어도 부분적인 종양 반응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기간 동안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기간이 적어도 6개월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기간이 적어도 12개월인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의 복수 주기가 완전한 종양 반응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기간 동안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일일 투약 레지멘에 따라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항암 요법을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추가의 항암 요법이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면역요법, 생물학적 요법, 또는 이의 조합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 억제제를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조합하여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HDAC 억제제가 보리노스타트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대상체의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생존능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대상체의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에서 Gli 1 mRNA의 생성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대상체에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성장 및 세포 증식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20.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를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가 기저세포암종(BCC) 세포인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가 구성적으로 활성인 헷지호그 경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가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의 것인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가 인간 암 세포인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 세포를 데아세틸라제(HDAC) 억제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HDAC 억제제가 보리노스타트인 방법.
  27.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CRT0422839 또는 CRT0364436,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암이 기저세포암종(BCC)인 조성물.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HDAC 억제제가 보리노스타트인 조성물.
KR1020217035054A 2019-03-28 2020-03-27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의 억제제 및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 KR20220002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25334P 2019-03-28 2019-03-28
US62/825,334 2019-03-28
PCT/US2020/025437 WO2020198670A1 (en) 2019-03-28 2020-03-27 Inhibitors of atypical protein kinase c and their use in treating hedgehog pathway-dependent canc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30A true KR20220002930A (ko) 2022-01-07

Family

ID=7261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054A KR20220002930A (ko) 2019-03-28 2020-03-27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의 억제제 및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43028A1 (ko)
EP (1) EP3947380A4 (ko)
JP (1) JP2022527320A (ko)
KR (1) KR20220002930A (ko)
CN (1) CN114206865A (ko)
AU (1) AU2020248096A1 (ko)
BR (1) BR112021019204A2 (ko)
CA (1) CA3135196A1 (ko)
IL (1) IL286699A (ko)
MX (1) MX2021011788A (ko)
SG (1) SG11202110270YA (ko)
WO (1) WO20201986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3964B2 (en) * 2011-05-06 2015-07-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Inhibitors of atypical protein kinase C and their use in treating hedgehog pathway-dependent cancers
JP6535430B2 (ja) * 2012-09-28 2019-06-26 イグニタ、インク. 非定型プロテインキナーゼcのアザキナゾリン阻害薬
US9192609B2 (en) * 2013-04-17 2015-11-24 Hedgepath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and prognostic monitoring of proliferation disorders using hedgehog pathway inhibitors
TWI675836B (zh) * 2014-03-25 2019-11-01 美商伊格尼塔公司 非典型蛋白質激酶c之氮雜喹唑啉抑制劑
EP3665482A4 (en) * 2017-08-11 2021-06-3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TARGETING KINASES FOR THE TREATMENT OF CARCINOUS METAST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3028A1 (en) 2022-05-12
WO2020198670A9 (en) 2020-11-19
EP3947380A1 (en) 2022-02-09
EP3947380A4 (en) 2023-01-11
SG11202110270YA (en) 2021-10-28
IL286699A (en) 2021-12-01
WO2020198670A1 (en) 2020-10-01
AU2020248096A1 (en) 2021-10-14
MX2021011788A (es) 2022-01-24
BR112021019204A2 (pt) 2021-11-30
CA3135196A1 (en) 2020-10-01
CN114206865A (zh) 2022-03-18
JP2022527320A (ja)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984B2 (en) 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RORγ inhibitors
Sheehan et al. Improving the radiosensitivity of radioresistant and hypoxic glioblastoma
JP2008513447A5 (ko)
CN107072991A (zh) 磷酸酶抑制剂的人类给药
US2013032328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foxp3+ treg related diseases
EP3137117A1 (en) Combination therapies targeting mitochondria for cancer therapy
US20220332703A1 (en) Nr4a1 liga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7012141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treat solid tumors
KR102636859B1 (ko) 암, 당뇨병 및 신경 장애의 치료를 위한 신규한 스피로 및 사이클릭 비스-벤질리딘 프로테아좀 억제제
BR112014022123B1 (pt) Uso de uma combinação para o tratamento de câncer
Xia et al. Engineering hierarchical recognition‐mediated senolytics for reliable regulation of cellular senescence and anti‐atherosclerosis therapy
JP6462582B2 (ja) がんの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220002930A (ko) 비정형 단백질 키나제 c의 억제제 및 헷지호그 경로 의존성 암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
Xu et al. Aminocyanopyridines as anti‐lung cancer agents by inhibiting the STAT3 pathway
WO2008106408A1 (en) Treatment of cancer with bio and chemotherapy
JP2014511839A (ja) 抗癌治療薬
US20210137898A1 (en) Methods to treat gliomas using a stat3 inhibitor
CN112933239A (zh) 激活肿瘤细胞内源性pd-1的试剂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用途
JP2006348021A (ja) 細胞周期阻害剤
JP6328427B2 (ja) プリンヌクレオシドホスホリラーゼまたはヌクレオシドヒドロラーゼのプロドラッグ関連用途の増強された治療的使用
US20210115447A1 (en) Nucleic acid aptamers targeting lymphocyte activation gene 3 (lag-3) and uses thereof
CA3004772A1 (en) Unit dose formulations for use as an anti-fugetactic agent
Dai et al. CDK inhibitors in multiple myeloma
Menhall et al. Pharmacologic inhibition of hepcidin expression reverses anemia of